KR101913189B1 -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189B1
KR101913189B1 KR1020160045687A KR20160045687A KR101913189B1 KR 101913189 B1 KR101913189 B1 KR 101913189B1 KR 1020160045687 A KR1020160045687 A KR 1020160045687A KR 20160045687 A KR20160045687 A KR 20160045687A KR 101913189 B1 KR101913189 B1 KR 101913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upport frame
additional outer
addition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7798A (ko
Inventor
안영섭
안형준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5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18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7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09Means for locally spacing the pane from the surrounding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창호 시스템에 대해 리모델링 시공이 용이한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양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과;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과;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와, 상기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의 양단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 상기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추가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MULTI WINDOW SYSTEM OF BUILDING}
본 발명은 기존 창호 시스템에 대해 리모델링 시공이 용이한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단열을 위하여 이중 창호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창호 시스템(10)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창호 시스템(10)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A-A선에 대한 도 1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창호 시스템(10)은, 실내공간(I)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유리창(1a)과, 상기 제1 유리창(1a)과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유리창(1b)과, 상기 제1 유리창(1a)과 상기 제2 유리창(1b)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3)와, 상기 제1 유리창(1a)의 양단부 및 상기 제2 유리창(1b)의 양단부를 지지 및 고정하는 프레임(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리창(1a)의 양단부, 상기 제2 유리창(1b)의 양단부 및 프레임(2)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접착성 물질 및/또는 충진재(4)가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과 상기 제1 유리창(1a)의 양단부 사이, 상기 제1 유리창(1a)의 양단부와 스페이서(3) 사이,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3)와 상기 제2 유리창(1b)의 양단부 사이에는, 압축성 접착층(6)(예를 들어, 실리콘 등)이 구비된다.
단열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3중 창호 시스템 리모델링 시공이 필요할 수 있고,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창호 시스템(10)을 3중 창호 시스템으로 리모델링 시공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중 창호시스템을 모두 제거한 후 제조업체에서 생산된 3중 창호 시스템을 새로이 설치하여야 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창호 시스템(10)은 3중 창호 시스템으로의 리모델링 시공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체 교체작업으로 인해 리모델링 시공작업 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창호 시스템(10)은, 유리창과 프레임 등을 서로 결합시키는 압축성 접착층(6)이 완전히 유리창 또는 프레임에 밀착되지 못하거나 노후화 등으로 인해 공극(C)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이러한 공극(C)으로 인해 창호 시스템의 기밀성 및 밀봉성이 확보되지 않아 방수 및 방진 성능이 저감되고, 유리창의 프레임에 대한 고정력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창호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다중 창호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고, 다중 창호 시스템 구현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이 용이한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양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과;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과;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와, 상기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의 양단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 상기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추가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와 상기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의 사이에는, 그리고 상기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와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의 양단부 사이에는, 절연접착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은, 상기 내측 유리창과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 사이에 공기 단열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유리창과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와 상기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의 사이에는, 그리고 상기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와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는,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의 양단부와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 사이에는, 절연접착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서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지지체와; 상기 두 개의 지지체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은,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의 양단부 및 상기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를 상기 지지 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은 외측면에서 나사산을 구비하는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의 양단부를 상기 지지 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는 외측 가압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외측 가압부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부재와; 결합시 상기 외측 가압부에 위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보어에 나사 결합되는 신장형 본체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가압부재는,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의 양단부의 외측면 일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가압부와; 상기 두 개의 가압부 각각의 내측 단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 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보어와 일직선 상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부의 상부에는, 절연성 충진부재가 기밀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개의 가압부와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의 외측면 사이에는, 절연접착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지지부재는, 상기 절연부를 수용 및 고정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내측 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보어와 일직선 상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 나사산을 구비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의 내측면에는, 차열성 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열성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존의 창호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다중 창호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다중 창호 시스템 구현을 위한 리모델링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지지프레임에 추가 외측 프레임 및 추가 외측 유리창을 설치함으로써, 다중 창호 시스템 구현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 외측 프레임이 유리창들을 지지프레임 쪽으로(즉,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지프레임 및 스페이서와 유리창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접착층을 각 면에 밀착시킬 수 있어 절연접착층에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창호 시스템의 기밀성 및 밀봉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창호 시스템의 방수 및 방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창호 시스템에 대한 추가 외측 프레임 및 추가 외측 유리창의 고정력 및 결합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 창호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A-A선에 대한 도 1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B-B선에 대한 도 3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가압부재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 내측 및 내측 방향이란 도 4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향하는 부분 또는 방향 또는 지지프레임 쪽을 향하는 부분 또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 및 외측 방향이란 도 4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향하는 부분 또는 방향 또는 추가 외측 유리창 쪽을 향하는 부분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는 B-B선에 대한 도 3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가압부재(500)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1000)은,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100)과,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1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100)보다 외측 방향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300)과, 상기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300)을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고정 및/또는 결합 및/또는 지지하는 추가 외측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건물의 실내공간(I)의 외벽에 고정 및/또는 결합 및/또는 지지된다. 참고로, 도면에서 도면부호 'O'는 실외를 의미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외측면(201)을 통하여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100)의 양단부를 고정 및/또는 지지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외측면(201)에는, 열 전도성이 거의 없는 절연접착층이 구비되고, 상기 절연접착층은 두께방향으로 소정의 탄성 압축 변형가능한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접착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외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나사산을 구비하는 보어(210)(bore)를 포함한다. 상기 보어(210)는 후술할 추가 외측 프레임에 포함되는 체결부재(700)가 나사산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물질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SUS(stainless ste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유리창(100)은 동일한 평면 상에서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100)의 양단부(실질적으로는 네 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외측면에서 절연 접착층에 의해 고정 및/또는 지지된다.
상기 내측 유리창(100)은 내외측 방향으로 복수 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 유리창(100)은 이중창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내측 유리창(100)은 내측창(100a)과 외측창(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유리창(100)은 내측창(100a)과 외측창(100b) 사이에 제1 공기 단열공간(101)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이중창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이중창 사이에 스페이서(60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600)는, 내외측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지지체(610)와,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물질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SUS(stainless ste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는 전체적으로 'C'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는,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 중 하나의 지지체(610)의 등쪽 부분이 내측창(100a)의 양단부 외측면에 대향하도록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지지체(610)의 등쪽 부분이 외측창(100b)의 양단부 내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 중 하나의 지지체(610)의 등쪽 부분과 내측창(100a)의 양단부 외측면 사이에는,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지지체(610)의 등쪽 부분과 외측창(100b)의 양단부 내측면 사이에는, 열 전도성이 (거의) 없는 절연접착층(810)이 구비된다. 상기 절연접착층(810)은 두께방향으로 소정의 탄성 압축 변형가능한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접착층(810)은 예를 들어 실리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 사이에는 절연부(620)가 고정 및/또는 수용된다. 즉,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는 절연부(620)에 의해 서로 열 전달이 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연부(620)는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 사이에서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의 수용공간 내에 고정 및/또는 수용된다.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분이 소정 구간 폐쇄된 'C' 형상을 구비하므로, 상기 절연부(620)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또는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300)은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100)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300)은 동일한 평면 상에서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실질적으로는 네 단부)는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을 통하여 지지프레임(200)에 고정 및/또는 지지 및/또는 결합된다.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내측면에는, 태양광 또는 태양광에 의한 열을 차단하는 차열성 필름(400)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열성 물질이 코팅되어 있다. 상기 차열성 필름(400) 또는 차열성 물질은 예를 들어 저방사도 필름(Low emissivity film; Low-E fi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300)과 상기 내측 유리창(100)(즉, 외측창(100b)) 사이에 제2 공기 단열공간(301)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추가 외측 유리창(3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공기 단열공간(301)에 스페이서(60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600)는, 내외측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지지체(610)와,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60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 중 하나의 지지체(610)의 등쪽 부분과 외측창(100b)의 양단부 외측면 사이에는,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지지체(610)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지지체(610)의 등쪽 부분과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 내측면 사이에는, 열 전도성이 (거의) 없는 절연접착층(810)이 구비된다. 상기 절연접착층(810)은 두께방향으로 소정의 탄성 압축 변형가능한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접착층(810)은 예를 들어 실리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100)의 양단부와, 상기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음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100)의 양단부와, 상기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은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 중 다수 개의 내측 유리창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결합 및/또는 지지 및/또는 고정되며, 상기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를 고정 및/또는 지지한다.
즉,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100), 상기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300) 및 상기 지지프레임(200)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유리창(100)의 양단부의 단부면,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의 단부면(즉, 상기 내측 유리창(100)의 양단부와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면들), 스페이서(600)의 측면들과, 추가 외측 프레임의 측면 사이에는, 측면 절연접착층(82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은,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 및 상기 내측 유리창(100)의 양단부를 상기 지지 프레임 방향(도 4의 화살표 참고)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은, 내측 지지부재(910)와, 외측 가압부재(500)와, 절연부재(920)와, 체결부재(700)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는,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물질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SUS(stainless ste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는 전체적으로 'C'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는, 등쪽 부분(폐쇄된 부분)이 지지프레임(200)의 외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는, 상기 절연부재(920)를 수용 및 고정하는 수용공간(제1 수용부)와, 수평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 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외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보어(210)와 일직선 상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 나사산을 구비한다.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의 등쪽 부분(수평부의 내측면)과 지지프레임(200)의 외측면 사이에는, 열 전도성이 (거의) 없는 절연접착층이 구비된다. 상기 절연접착층은 두께방향으로 소정의 탄성 압축 변형가능한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접착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와 상기 외측 가압부재(500) 사이에는 절연부재(920)가 고정 및/또는 수용된다. 즉,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와 상기 외측 가압부재(500)는 상기 절연부재(920)에 의해 서로 열 전달이 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연부재(920)는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의 수용공간 및 후술할 외측 가압부재(500)의 수용공간 사이에 고정 및/또는 수용된다. 상기 절연부재(900)는 외측 가압부재의 관통구와 지지프레임의 보어가 형성하는 일직선 상에서 상기 절연부재를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한다. 상기 관통구는 체결부재의 신장형 본체부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분이 소정 구간 폐쇄된 'C' 형상을 구비하므로, 상기 절연부재(920)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또는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외측 가압부재(500)는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의 외측면을 상기 지지 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측 가압부재(50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물질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SUS(stainless ste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가압부재(500)는, 두 개의 가압부(520)와, 몸체부(510)와, 구획판(530)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가압부(520)는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의 외측면 일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두 개의 가압부(520)와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 사이에는, 열 전도성이 (거의) 없는 절연접착층(830)이 구비된다. 상기 절연접착층(830)은 두께방향으로 소정의 탄성 압축 변형가능한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접착층(830)은 예를 들어 실리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510)는 상기 두 개의 가압부(520) 각각의 내측 단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몸체부(510)는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획판(530)은 상기 몸체부(510)의 내측 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보어(210)와 일직선 상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531)를 구비한다. 상기 관통구(531)는 후술할 체결부재(700)의 신장형 본체부(720)가 관통하는 부분이고, 상기 구획판(530)의 상부면 또는 외측면은 후술할 체결부재(700)의 헤드부(710)가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구획판(530)은 상기 몸체부(510)를 외측방향에 위치하는 외측 수용공간(501)과 내측방향에 위치하는 내측 수용공간(502)으로 분할한다.
상기 내측 수용공간(502)은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의 수용공간과 대향되게 구비되고,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와 유사한 형상 및 크기를 구비한다. 상기 내측 수용공간(502)은 상기 내측 지지부재(910)와 함께 절연부재(920)를 고정 및/또는 지지 및/또는 수용한다.
상기 외측 수용공간(501)은 설치자 또는 작업자가 체결부재(700)를 체결하는 작업할 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체결부재(700)의 체결 완료 후 절연성 충진부재(840) 및/또는 마감재(850)가 충진되는 공간이다. 여기서, 상기 절연성 충진부재(840) 및/또는 마감재(850)는 상기 체결부재(700)가 노출되지 않도록 기밀방식으로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체결부재(7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창호 시스템(100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00)는, 상기 체결부재(700)가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에 결합될 때, 상기 외측 가압부(520)에 위치되는 헤드부(710)와, 상기 헤드부(710)에서 연장되고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보어(210)에 나사 결합되는 신장형 본체부(7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체결부재(700)는 외측 가압부재(500)의 구획판(530)의 관통구(531), 절연부재(920)의 관통구, 내측 지지부재(910)의 관통구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지지프레임(200)의 보어(210)에 나사산 결합된다.
이렇게 체결부재(700)가 지지프레임(200)의 보어(210)에 나사산 결합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700)의 헤드부(710)가 외측 가압부재(500)를 지지프레임(200)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외측 가압부재(500)에 구비되는 두 개의 가압부(520)가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를 지지프레임(200)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520)의 가압력 및 가압방향으로 인해, 추가 외측 유리창(300)의 양단부, 스페이서(600), 외측창(100b)의 양단부, 스페이서(600), 내측창(100a)의 양단부를 지지프레임(20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그 결과 전술한 구성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접착층(810)(830)이 각 구성 사이에 밀착 및/또는 압착될 수 있어 절연접착층에 공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창의 지지력 및/또는 고정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존의 창호 시스템(도 2 참고)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다중 창호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창호 시스템에서 유리창의 양단부에 충진된 충진재 및/또는 마감재를 제거한 후, 지지프레임에 태핑드릴로 보어를 형성하고,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외측 프레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외측 유리창과 각 구성 사이에 위치되는 절연접착층을 추가 설치하기만 하면 다중 창호 시스템 구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창호 시스템에서 지지프레임 및 내측 유리창의 철거과정 없이 다중 창호 시스템으로 리모델링 시공이 가능하므로, 다중 창호 시스템의 리모델링 시공 과정을 상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다중 창호 시스템 구현을 위한 리모델링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지지프레임에 추가 외측 프레임 및 추가 외측 유리창을 설치함으로써, 다중 창호 시스템 구현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 외측 프레임이 유리창들을 지지프레임 쪽으로(즉,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지프레임 및 스페이서와 유리창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접착층을 각 면에 밀착시킬 수 있어 절연접착층에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창호 시스템의 기밀성 및 밀봉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창호 시스템의 방수 및 방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창호 시스템에 대한 추가 외측 프레임 및 추가 외측 유리창의 고정력 및 결합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100 : 내측 유리창
200 : 지지프레임
300 : 추가 외측 유리창
400 : 차열성 필름
500 : 외측 가압부재
600 : 스페이서
700 : 체결부재

Claims (11)

  1. 건물의 실내공간의 외벽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양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과;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과;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와, 상기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의 양단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유리창, 상기 복수 개의 추가 외측 유리창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추가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유리창과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 사이에 공기 단열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유리창과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와 상기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의 사이에는, 그리고 상기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와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는,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의 양단부와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 사이에는, 절연접착층이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지지체와;
    상기 두 개의 지지체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외측면에서 나사산을 구비하는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의 양단부를 상기 지지 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는 외측 가압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외측 가압부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부재와;
    결합시 상기 외측 가압부에 위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보어에 나사 결합되는 신장형 본체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와 상기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의 사이에는, 그리고 상기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와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의 양단부 사이에는, 절연접착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외측 프레임은,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의 양단부 및 상기 내측 유리창의 양단부를 상기 지지 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압부재는,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의 양단부의 외측면 일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가압부와;
    상기 두 개의 가압부 각각의 내측 단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 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보어와 일직선 상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부의 상부에는, 절연성 충진부재가 기밀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가압부와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의 외측면 사이에는, 절연접착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는, 상기 절연부를 수용 및 고정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내측 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보어와 일직선 상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 나사산을 구비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외측 유리창의 내측면에는, 차열성 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차열성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KR1020160045687A 2016-04-14 2016-04-14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KR101913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687A KR101913189B1 (ko) 2016-04-14 2016-04-14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687A KR101913189B1 (ko) 2016-04-14 2016-04-14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798A KR20170117798A (ko) 2017-10-24
KR101913189B1 true KR101913189B1 (ko) 2018-10-30

Family

ID=6029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687A KR101913189B1 (ko) 2016-04-14 2016-04-14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1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701Y1 (ko) * 2002-07-05 2002-11-30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101040151B1 (ko) 2010-06-11 2011-06-09 김백두 이중 간봉구조를 이용한 3중 복층 유리
KR101230245B1 (ko) * 2011-09-01 2013-02-06 유진종 스틸 커튼 월 시스템의 단열박스
KR101273960B1 (ko) 2013-04-03 2013-06-12 주식회사 중앙알텍 커튼월 어셈블리
KR101483487B1 (ko) * 2013-10-21 2015-01-19 주식회사 포스코 커튼월 고정장치
KR101566885B1 (ko) * 2014-01-03 2015-11-06 (주)행성화학 열차단 물질이 도포된 창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701Y1 (ko) * 2002-07-05 2002-11-30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101040151B1 (ko) 2010-06-11 2011-06-09 김백두 이중 간봉구조를 이용한 3중 복층 유리
KR101230245B1 (ko) * 2011-09-01 2013-02-06 유진종 스틸 커튼 월 시스템의 단열박스
KR101273960B1 (ko) 2013-04-03 2013-06-12 주식회사 중앙알텍 커튼월 어셈블리
KR101483487B1 (ko) * 2013-10-21 2015-01-19 주식회사 포스코 커튼월 고정장치
KR101566885B1 (ko) * 2014-01-03 2015-11-06 (주)행성화학 열차단 물질이 도포된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798A (ko)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246B1 (ko) 다중 단열 개폐창호 시스템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1617787B1 (ko) 커튼월
KR102063537B1 (ko) 이종재질을 이용한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단열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KR101072957B1 (ko) 고단열 커튼 월 시스템
KR101932658B1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546471B1 (ko) 커튼월 구조
JP2006509123A (ja) エネルギ効率の良い窓の密封システム
KR101470909B1 (ko) 기능성 단열 창호
KR20120002564U (ko) 방화문 기밀 구조
KR101807465B1 (ko) 단열성능 강화 창호
KR101344734B1 (ko) 단열재가 내장된 커튼월
KR101591899B1 (ko) 다중 단열 개폐창호 시스템
KR100764145B1 (ko) 페어그라스 및 창문의 고정구조
KR101907132B1 (ko) 단열과 하중을 보강한 커튼월 시스템용 창틀 조립체
KR101654567B1 (ko)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20130040212A (ko) 프레임 분리형 커튼월
KR101562333B1 (ko) 창호의 코너용 단열프레임
KR101913189B1 (ko) 건물의 다중 창호 시스템
KR101813248B1 (ko) 단열용 커튼 월
JP2017115510A (ja) 改装用建具
KR101741803B1 (ko) 통합형 커튼월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시스템
KR101938620B1 (ko) 구조 보강형 단열 창호 시스템
KR101175351B1 (ko) 외장유리의 힌지볼트 체결구조
KR101619510B1 (ko) 초슬림형 단열커튼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