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263B1 - 삼중 유리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삼중 유리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263B1
KR100976263B1 KR1020080100592A KR20080100592A KR100976263B1 KR 100976263 B1 KR100976263 B1 KR 100976263B1 KR 1020080100592 A KR1020080100592 A KR 1020080100592A KR 20080100592 A KR20080100592 A KR 20080100592A KR 100976263 B1 KR100976263 B1 KR 100976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trength plastic
triple
aluminum fram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422A (ko
Inventor
최재원
서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Priority to KR102008010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2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26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중 유리의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삼중 유리의 단열 간봉재에 있어서, 상부 가운데 부분에는 중간 유리 끼움 오목부(11)를 구비하고 좌우변에는 바깥 방향으로 넓어지는 역쇄기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 및 내부 가운데에는 흡습제가 충진되는 중공부(21)가 구비되며,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역쇄기 중에서 상부쪽에 형성된 상부 역쇄기 형상면(13-1)을 따라 결합되는 상부 결합면(23-1)을 구비하고,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역쇄기 중에서 하부쪽에 형성된 하부 역쇄기 형상면(13-3)에 결합시에는 이격된 상태로 벌어져 있다가 결합 후에는 아랫 방향에서 가압되어 하부 역쇄기 형상면(13-3)에 밀착 결합되는 하부 결합면(23-3)을 구비하는 알루미늄 구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유리의 단열 간봉재가 제공된다.
유리 간봉재, 삼중 유리, 단열재

Description

삼중 유리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GLASS SUPPORT STRUCTURE FOR THREE GLASSE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3 GLASS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삼중 유리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가압만으로 조립이 완료되는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기능성 창호를 제작하거나 건물 외장을 단열하기 위해서는 복층유리와 알미늄 간봉 및 유리 중간층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법이 보편화되어 있다. 유리창용 간봉재는 간봉과 일체로 형성된 폴리우레탄 격벽층이 실외측 유리를 통해 실내측 유리로 전도되는 냉기나 열기를 차단시킴으로써 보온 효과 및 동절기에 실내측 유리면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삼중 유리의 간봉재 구조의 단면도이다. 종래 삼중 유리의 간봉재 구조는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된 좌우측의 알루미늄 후레임(20)이 구비되고, 가운데 부분에 단열재(17)가 삽입된 후 3중 유리가 부착 또는 얹혀지는 구 조를 갖는다. 이러한 도 1의 종래 삼중 유리의 간봉재 구조는 알루미늄 후레임(20)의 구조가 복잡하고, 좌우측의 알루미늄 후레임(20) 사이의 열전달이 발생되어 삼중 유리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단열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44151에 제시된 종래 삼중 유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삼중 유리의 간봉재는 하나의 연결된 부재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후레임(20)을 가지므로 열차단에 있어서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중간 유리(31)와 좌측 유리(3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주입되는 공기와 중간 유리(31)와 우측 유리(3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주입되는 공기가 완전히 밀폐되어 차단되게 구성할 경우 이러한 삼중 유리를 고지대 또는 저지대 등에 설치하면 좌우측의 공기 압력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인해 좌우측 유리(35, 33) 중의 어느 하나가 바깥 방향으로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서는 알루미늄 후레임(20)과 중간 유리(31) 사이에 미세한 공기 구멍이 형성된 가스킷(60)을 설치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미세한 공기 구멍을 갖는 가스킷(60)은 제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절단이나 절삭공정 및 별도의 금형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한 삼중 유리용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완충재를 중간 유리 테두리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함으로써 좌우측 유리와 중간 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주입되는 공기압이 서로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삼중 유리의 단열 간봉재에 있어서, 상부 가운데 부분에는 중간 유리 끼움 오목부(11)를 구비하고 좌우변에는 바깥 방향으로 넓어지는 역쇄기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 및 내부 가운데에는 흡습제가 충진되는 중공부(21)가 구비되며,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역쇄기 중에서 상부쪽에 형성된 상부 역쇄기 형상면(13-1)을 따라 결합되는 상부 결합면(23-1)을 구비하고,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역쇄기 중에서 하부쪽에 형성된 하부 역쇄기 형상면(13-3)에 결합시에는 이격된 상태로 벌어져 있다가 결합 후에는 아랫 방향에서 가압되어 하부 역쇄기 형상면(13-3)에 밀착 결합되는 하부 결합면(23-3)을 구비하는 알루미늄 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유리의 단열 간봉재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삼중 유리의 단열 간봉재에 있어서, 상부 가운데 부분에는 중간 유리 끼움 오목부를 구비하고 좌우변에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와, 오목부 상부에 놓여져서 중간 유리와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 사이를 완충시키는 유리 완충 블록 및 좌우 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각각 분리 구비되는 좌우 알루미늄 후레임을 구비하며, 좌우 알루미늄 후레임은 각각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고강도 단열 플라스틱의 돌출부를 감싸면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내부 가운데에는 흡습제가 충진되는 중공부(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간봉재에 의해서도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에 상기 알루미늄 후레임을 끼우는 제 1단계와, 제 1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 후레임의 하부 결합면(23-3)을 구부려서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하방의 역쇄기 형상에 밀착시키는 제 2단계와, 중간 유리 끼움 오목부(11)에 중간 유리를 삽입하는 제 3단계와, 알루미늄 후레임의 좌우 외측면에 뷰틸 또는 양면 접착제를 접착시키고, 좌우 측면 유리를 상기 뷰틸 또는 양면 접착제에 접착시키는 제 4단계 및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 하부 및 상기 알루미늄 후레임 하부를 실란트로 밀봉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유리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삼중 유리 간봉재는 종래 제품에 비해 간단하게 전용기계를 이용하여 조립이 가능하며, 또한 이를 이용하여 삼중 유리를 제조할 때 공장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하방 역쇄기 형상을 이루는 외곽 각도를 알루미늄 후레임의 하부 결합면(23-3)의 내부 각도의 적어도 두 배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하부 결합면(23-3)을 가압하여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에 밀착시킬 때 걸림이 없도록 하고 실란트에 의한 밀봉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강도 플라스틱의 우수한 단열성을 이용함으써 고성능의 단열 3중 유리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으며, 별도의 특수 재질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중간 유리 사이의 공기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유리 간봉재를 구성하는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일 실시예도이다. 상부 가운데 부분에는 중간 유리 끼움 오목부(11)가 구비되고, 좌우변에는 바깥 방향으로 넓어지는 역쇄기 형상의 돌출부가 구비된다. 역쇄기 형상의 돌출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상부 역쇄기 형상을 이루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의 상부 역쇄기 형상면(13-1)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역쇄기 수직면(13-2) 및 하부 역쇄기 형상을 이루는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하부 역쇄기 형상면(13-3)으로 구성된다. 하부 역쇄기 형상면(13-3)과 연장 형성되는 하부면(15)은 모따기를 형성하였는데 하부 역쇄기 형상면(13-3)과 모따기로 형성된 하부면(15)이 이루는 각도(a)는 후술하는 알루미늄 후레임의 하부 결합면(23-3)을 형성하는 내측 각도(b)의 적어도 두 배 이상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유리 간봉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후레임의 일 실시예도이다. 알루미늄 후레임은 좌우 대칭 형상의 분리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내부 가운데 부분에는 흡습제가 충진되는 중공부(21)를 가지며, 내측면으로는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에 형성된 역쇄기 형상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상부 역쇄기 형상면(13-1)과 결합되는 상부 결합면(23-1)과, 역쇄기 수직면(13-2)과 결합되는 수직 결합면(23-2)와, 하부 역쇄기 형상면(13-3)과 결합되는 하부 결합면(23-3)으로 구성된다. 하부 결합면(23-3)은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와 결합할 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 방향으로 벌어져 있다가 결합 후에는 바깥 방향에서 안쪽 방향으로 가압하여 하부 역쇄기 형상면(13-3)과 하부 결합면(23-3)이 밀착되도록 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역쇄기 형상면(13-3)과 모따기로 형성된 하부면(15)이 이루는 각도(a)는 후술하는 알루미늄 후레임의 하부 결합면(23-3)을 형성하는 내측 각도(b)의 적어도 두 배 이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바깥 방향에서 하부 결합면(23-3)을 가압할 때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모따기 부분에 걸리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실란트가 충진될 때 빈 공간 없이 밀봉이 잘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와 알루미늄 후레임이 결합되는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우선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역쇄기 형상의 돌출부를 알루미늄 후레임의 상부 결합면에 끼운 후, 하부 결합면(23-3)을 바깥 방향에서 하부 역쇄기 형상면과 밀착할 때까지 가압한다. 도 5에서 좌측에 도시된 알루미늄 후레임의 하부 결합면(23-3)은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우측에 도시한 알루미늄 후레임의 하부 결합면(23-3)은 가압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유리 간봉재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에 설명하기로 한다.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에 상기 알루미늄 후레임을 끼우는 제 1단계와, 제 1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 후레임의 하부 결합면(23-3)을 구부려서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하방의 역쇄기 형상에 밀착시키는 제 2단계와, 중간 유리 끼움 오목부(11)에 중간 유리를 삽입하는 제 3단계와, 알루미늄 후레임의 좌우 외측면에 양면 접착제 또는 뷰틸을 접착시키고, 좌우 측면 유리를 상기 양면 접착제 또는 뷰틸에 접착시키는 제 4단계 및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 하부 및 상기 알루미늄 후레임 하부를 실란트로 밀봉하는 제 5단계에 의해서 삼중 유리의 시공이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봉재를 이용하여 삼중 유리를 제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면도로서, 중간 유리(31)가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 상부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중간 유리 끼움 오목부(11)에 삽입된 상태이고, 알루미늄 후레임의 좌우측면에는 양면 접착제 또는 뷰틸을 사용하여 좌우측 유리(35, 33)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 하부 및 상기 알루미늄 후레임 하부는 실란트(51)를 이용하여 밀봉하였다.
도 6에서 좌측 유리(35)와 중간 유리(31)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A'와 우측 유리(33)와 중간 유리(31)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B'에 있는 공기는 서로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종래 삼중 유리에서는 중간 유리에 미세한 구멍(핀홀)을 뚫어놓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좌측 유리(35)와 중간 유리(31)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A'와 우측 유리(33)와 중간 유리(31)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B' 사이의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유리(31)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완충재(34)를 설치하였다. 완충재(34)에 의하여 중간 유리(31)가 설치된 후라도 중간 유리(31)의 테두리를 따라 완충재(34)가 설치되지 않은 공간을 통하여 영역 'A' 및 영역 'B' 사이의 공기의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재(34)는 알루미늄 후레임(20)에 전달되는 충격이 직접 중간 유리(3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완충재(34)가 설치되지 않은 중간 유리(31)의 테두리 영역을 통하여 압력 유지 기능을 동시에 이루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완충재(34)가 설치되더라도 완충재(34)가 설치되지 않은 중간 유리(31)의 테 두리와 알루미늄 후레임(20)이 이루는 공간은 미세하기 때문에 영역 'A' 및 영역 'B' 사이에서 공기 대류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삼중 유리 간봉재의 절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삼중 유리 간봉재와의 차이점은 역쇄기 형상이 두 개 구비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쇄기 형상은 두 개 이상 구비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삼중 유리 간봉재의 절단면도이다. 좌우 대칭 형상의 분리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내부 가운데 부분에는 흡습제가 충진되는 중공부(21)를 가지는 알루미늄 후레임(20)과, 좌우 알루미늄 후레임(20)의 마주보는 면에 삽입되며 가운데 부분에는 중간 유리를 삽입하기 위한 오목홈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고강도 단열 플라스틱(10)과, 오목홈 상부에 놓여져서 중간 유리가 고강도 단열 플라스틱(10)에 직접 닿는 것을 완충하는 유리 완충 블록(19)으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강도 단열 플라스틱(10)의 좌우변에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좌우 알루미늄 후레임(20)의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고강도 단열 플라스틱의 돌출부를 감싸면서 끼우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알루미늄 후레임(20) 일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장치가 필요없는 장점이 있어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잇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삼중 유리의 간봉재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44151에 제시된 종래 삼중 유리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유리 간봉재를 구성하는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일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 유리 간봉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후레임의 일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와 알루미늄 후레임이 결합되는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봉재를 이용하여 삼중 유리를 제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면도.
도 7은 중간 유리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완충재의 일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삼중 유리 간봉재의 절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삼중 유리 간봉재의 절단면도.
***** 도면상 주요기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
10: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 11: 중간 유리 끼움 오목부
13-1: 상부 역쇄기 형상면 13-2: 역쇄기 수직면
13-3: 하부 역쇄기 형상면 15: 하부면
20: 알루미늄 후레임 21: 중공부
23-1: 상부 결합면 23-2: 수직 결합면
23-3: 하부 결합면

Claims (6)

  1. 삼중 유리의 단열 간봉재에 있어서,
    상부 가운데 부분에는 중간 유리 끼움 오목부(11)를 구비하고 좌우변에는 바깥 방향으로 넓어지는 역쇄기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 및
    내부 가운데에는 흡습제가 충진되는 중공부(21)가 구비되며,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역쇄기 중에서 상부쪽에 형성된 상부 역쇄기 형상면(13-1)을 따라 결합되는 상부 결합면(23-1)을 구비하고,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역쇄기 중에서 하부쪽에 형성된 하부 역쇄기 형상면(13-3)에 결합시에는 이격된 상태로 벌어져 있다가 결합 후에는 아랫 방향에서 가압되어 하부 역쇄기 형상면(13-3)에 밀착 결합되는 하부 결합면(23-3)을 구비하는 알루미늄 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유리의 단열 간봉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 플라스틱 단열재의 하방의 역쇄기 형상이 이루는 외측 각도(a)가 상기 고강 플라스틱 단열재의 하방 역쇄기 형상면(13-3)과 결합되는 상기 알루미늄 후레임의 하부 결합면(23-3)의 내측 각도(b)의 적어도 두 배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유리의 단열 간봉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는 폴리 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유리의 단열 간봉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유리 끼움 오목부에는 완충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유리의 단열 간봉재.
  5. 삼중 유리의 단열 간봉재에 있어서,
    상부 가운데 부분에는 중간 유리 끼움 오목부를 구비하고 좌우변에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
    상기 오목부 상부에 놓여져서 중간 유리와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 사이를 완충시키는 유리 완충 블록; 및
    좌우 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각각 분리 구비되는 좌우 알루미늄 후레임
    을 구비하며,
    상기 좌우 알루미늄 후레임은 각각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고강도 단열 플라스틱의 돌출부를 감싸면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내부 가운데에는 흡습제가 충진되는 중공부(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간봉재.
  6. 제 1항의 삼중 유리의 단열 간봉재를 이용하여 삼중 유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에 상기 알루미늄 후레임을 끼우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 이후에 상기 알루미늄 후레임의 하부 결합면(23-3)을 구부려서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의 하방의 역쇄기 형상에 밀착시키는 제 2단계;
    상기 중간 유리 끼움 오목부(11)에 중간 유리를 삽입하는 제 3단계;
    상기 알루미늄 후레임의 좌우 외측면에 양면 접착제 또는 뷰틸을 접착시키고, 좌우 측면 유리를 상기 양면 접착제 또는 뷰틸에 접착시키는 제 4단계; 및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단열재 하부 및 상기 알루미늄 후레임 하부를 실란트로 밀봉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0080100592A 2008-10-14 2008-10-14 삼중 유리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 KR100976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592A KR100976263B1 (ko) 2008-10-14 2008-10-14 삼중 유리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592A KR100976263B1 (ko) 2008-10-14 2008-10-14 삼중 유리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422A KR20100041422A (ko) 2010-04-22
KR100976263B1 true KR100976263B1 (ko) 2010-08-18

Family

ID=4221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592A KR100976263B1 (ko) 2008-10-14 2008-10-14 삼중 유리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884A (ko) * 2014-02-06 2015-08-17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341B1 (en) 1998-06-26 2001-09-11 Lucent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agent for identifying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issues in computer network site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0296701Y1 (ko) 2002-07-05 2002-11-30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200319385Y1 (ko) 2003-04-04 2003-07-12 조종성 크리스탈 장식용 부재
KR200439110Y1 (ko) 2007-04-06 2008-03-21 김용섭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341B1 (en) 1998-06-26 2001-09-11 Lucent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agent for identifying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issues in computer network site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0296701Y1 (ko) 2002-07-05 2002-11-30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200319385Y1 (ko) 2003-04-04 2003-07-12 조종성 크리스탈 장식용 부재
KR200439110Y1 (ko) 2007-04-06 2008-03-21 김용섭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884A (ko) * 2014-02-06 2015-08-17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KR101596114B1 (ko) * 2014-02-06 2016-02-26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422A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418B1 (ko) 삼중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KR101044628B1 (ko) 단열성,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단열창호
JP2000335945A (ja) 一体型マルチガラス窓ユニットとサッシの組み立て品及びその製造方法
RU2424413C2 (ru) Угловой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й рамки оконных стекол
US20120297707A1 (en) Edge bond clamp for insulating glass unit, edge bond for insulating glass unit, insulating glass unit with edge bond clamp, and spacer for insulating glass unit
US20120043729A1 (en) Carriage seal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car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102120087B1 (ko) 두꺼운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윈도우 프레임 내에 진공 단열 유리 윈도우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서 시스템
KR102017105B1 (ko) 삼중 절연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 및 장치
FR2630766A1 (fr) Element de vitrage pour facade rideau
KR20200133241A (ko) 보강 요소를 갖는 스페이서
GB2531757A (en) Spacer Bar to Improve Gas Barrier in Insulated Glass Unit
JPH11247540A (ja) 複層ガラス用のスペーサ及び複層ガラス
KR100976263B1 (ko) 삼중 유리 간봉재 및 이를 이용한 삼중 유리 제조 방법
KR200439110Y1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KR101496293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US6896440B2 (en) Connector for joining multiple pane window spacers
KR101261789B1 (ko) 고단열 창호용 복층유리 스페이서 구조체
CN210858441U (zh) 中空玻璃及中空玻璃制品
US20220243526A1 (en) Spacer for insulated glass units
KR101852063B1 (ko) 가스 주입 단열 복층유리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JP2001026467A (ja) 断熱ガラス体用スペーサ
CN215632511U (zh) 外镶嵌保温材料型材的中空玻璃
KR100654407B1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유리 구조체
KR100697112B1 (ko) 크린룸용 투명창 구조
CN220432646U (zh) 一种易安装夹胶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