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501B1 -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501B1
KR100982501B1 KR1020080011279A KR20080011279A KR100982501B1 KR 100982501 B1 KR100982501 B1 KR 100982501B1 KR 1020080011279 A KR1020080011279 A KR 1020080011279A KR 20080011279 A KR20080011279 A KR 20080011279A KR 100982501 B1 KR100982501 B1 KR 100982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arking
detachable
trolley
detach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410A (ko
Inventor
김수복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1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5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3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horizontal direction only
    • E04H6/3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horizontal direction only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열을 3열 이상의 복수열로 형성하여 공간활용도가 높으면서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평면왕복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차열과, 상기 복수개의 주차열 중 인접한 한 쌍의 주차열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와, 상부에 차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차열과 대차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파레트와, 상기 주차열과 대차 간의 파레트의 이송을 위해 상기 대차에 마련되는 파레트이송장치를 구비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차열은 상기 이동통로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주차열과, 어느 하나의 상기 메인주차열 일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주차열을 포함하고, 상기 파레트이송장치는 상기 메인주차열과 상기 대차 간의 파레트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파레트이송장치를 통해 상기 보조주차열과 대차 간의 파레트 이송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의 상기 파레트에는 상기 파레트 이송방향 쪽으로 인접한 파레트 간의 연결 및 분리를 위한 착탈수단이 마련된다.

Description

평면왕복식 주차설비{Reciprocating Parking Device}
본 발명은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열을 3열 이상의 복수열로 형성하여 공간활용도가 높으면서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이용률과 보급률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요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것이 주차시설이다.
즉, 주차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땅은 정해져 있는 반면 자동차의 숫자는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소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서 주차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주차설비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중 대표적인 것이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이다.
이러한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의 주목적은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주차공 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부가적으로 주차조작의 편의성 및 신속한 입고 및 출고동작을 추구한다.
일반적으로 평면왕복식 주차설비는 복수개의 주차층을 구비하여 지하에 설치되고, 지상에는 차량출입구가 형성된다.
차량출입구과 각 주차층은 리프트를 통해 연결되고, 리프트 상에는 차량을 올릴 수 있도록 파레트가 준비되며, 각 주차층에는 복수개의 주차열이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다. 통상 주차열은 2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상기 2개의 주차열 사이에는 대차가 이동되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각 주차열 상에도 상부에 차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파레트가 배치되는데, 상기 대차에는 대차가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대차이동장치와, 주차열과 대차 간의 파레트의 이송을 위한 파레트이송장치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서 차량출입구로 들어간 차량은 리프트 상의 파레트에 안착된 상태로 리프트를 통해 특정 주차층으로 이송되고, 주차층으로 이송된 차량은 파레트와 함께 다시 대차로 이송된다.
차량이 올려진 대차는 대차이동장치를 통해 주차열 중 비어 있는 자리로 이동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파레트이송장치가 구동되면, 대차 상의 파레트와 차량이주차열의 빈 자리로 이송되면서 차량의 입고가 완료된다. 그리고 차량을 출고시킬 때는 이와 반대로 주차열 상에 주차된 차량은 입고의 역순을 따라 차량출입구로 이송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의 경우 각 주차장에 한 쌍의 주차열만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공간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차층에 3열 이상의 복수개의 주차열이 나란히 배열되도록 한 평면왕복식 주차설비가 많이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대차가 설치되는 이동통로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2개 이상의 복수개의 주차열이 배열된다.
예를 들어 대차가 설치되는 이동통로 양측에 각각 제1주차열과 제2주차열이형성되고, 제2주차열 외측에 제3주차열이 형성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고 하게다.
그러나 이때, 이동통로 양측의 제1 및 제2주차열과 대차 간의 파레트 이송동작은 대차에 마련된 상기 파레트이송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지만, 이동통로와 떨어져 있는 제3주차열과 대차 간의 파레트 이송시에는 상기 파레트이송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 이러한 경우에는 제3주차열에 별도의 보조파레트이송장치를 설치하여 먼저 제3주차열 상의 파레트가 상기 보조파레트이송장치를 통해 제2주차열로 이송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다시 대차에 있는 파레트이송장치를 통해 제2주차열로 이송된 파레트를 대차로 이송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의 경우 별도의 보조파레트이송장치가 추가되면서 시공비용이 상승되고 시공작업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열을 3열 이상의 복수열로 형성하여 공간활용도가 높으면서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평면왕복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차열과, 상기 복수개의 주차열 중 인접한 한 쌍의 주차열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와, 상부에 차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차열과 대차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파레트와, 상기 주차열과 대차 간의 파레트의 이송을 위해 상기 대차에 마련되는 파레트이송장치를 구비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차열은 상기 이동통로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주차열과, 어느 하나의 상기 메인주차열 일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주차열을 포함하고, 상기 파레트이송장치는 상기 메인주차열과 상기 대차 간의 파레트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파레트이송장치를 통해 상기 보조주차열과 대차 간의 파레트 이송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의 상기 파레트에는 상기 파레트 이송방향 쪽으로 인접한 파레트 간의 연결 및 분리를 위한 착탈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착탈수단은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착탈부재는 상기 대차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착탈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착탈부재는 상기 파레트의 이송방향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2착탈부재는 상기 파레트의 이송방향 타단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착탈부재는 상기 파레트의 이송방향 일단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착탈부재는 상기 파레트의 이송방향 타단에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착탈부재는 상기 파레트의 이송방향 양단에 각각 나란하게 마련되고, 상기 파레트의 양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착탈부재의 배열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 중 어느 하는 상기 대차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 중 나머지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봉부가 걸리도록 상기 걸림봉부 외주를 적어도 반 이상 감싸고 양측과 선단 쪽으로 개방된 걸림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 중 어느 하는 상부로 열린형태의 제1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 중 나머지 다른 하나는 하부로 열린형태의 제2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차를 상기 이동통로 상에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대차에 마련되는 대차이동장치와, 상기 파레트이송장치와 대차이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주차열의 파레트를 상기 대차로 이송시킬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주차열의 파레트를 상기 착탈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보조주차열 의 파레트가 상기 메인주차열에 정렬될 때까지 상기 대차 상으로 이송시키는 제1파레트이송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착탈부재가 분리되도록 상기 대차를 상기 이동통로 상에서 이동시키는 제1대차이동과정과, 상기 대차 상으로 이송된 상기 파레트가 상기 대차 상에 정렬되도록 하는 제2파레트이송과정이 순자적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파레트이송장치와 대차이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대차이동과정에서 상기 대차는 상기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가 분리되는 시점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주차열에는 상기 파레트이송장치에 의한 상기 파레트의 이송동작을 허용하되, 상기 파레트가 상기 이송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레트고정장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레트의 바닥에는 골이 형성되고, 상기 파레트고정장치 상기 골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구름부재와, 상기 구름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의하면, 주차층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3개 이상의 복수개의 주차열을 구비하도록 마련되어 공간활용상의 제약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며, 하나의 대차에 마련된 파레트이송장치를 통해 주차층 모든 주차열의 파레트와 대차 간의 이송동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조주차열의 파레트를 메인주차열로 이송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조파 레트이송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면서 그 시공 또한 용이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는 복수개의 주차층(1)을 구비하여 지하에 설치되고, 지상에는 차량출입구(미도시)가 형성되며, 차량출입구(미도시) 일측에는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를 구비하는 조작반(미도시)이 설치된다.
차량출입구(미도시)과 각 주차층(1)은 리프트(2)를 통해 연결되고, 리프트(1) 상에는 차량(C)을 올릴 수 있도록 파레트(60)가 준비된다.
또 각 주차층(1)에는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3개의 주차열(10,20,30)이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고, 이중 2개의 주차열(10,20) 사이에는 대차(50)가 이동되도록 이동통로(40)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로(40) 양측의 주차열은 메인주차열(10,20)을 형성하고, 일측 메인주차열(20) 외측의 주차열은 보조주차열(3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각 주차열(10,20,30) 상에도 상부에 차량(C)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파레트(60)가 배치되며, 상기 대차(50)에는 대차(50)가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대차이동장치(70)와, 주차열(10,20,30)과 대차(50) 간의 파레트의 이송을 위한 파레트이송장치(80)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서 차량출입구(미도시)로 들어간 차량(C)은 리프트(2) 상의 파레트(60)에 안착된 상태로 리프트(2)를 통해 특정 주차층(1)으로 이송되고, 주차층(1)으로 이송된 차량(C)은 파레트(60)와 함께 다시 대차(50)로 이송된다.
차량(C)이 올려진 대차(50)는 대차이동장치(70)를 통해 주차열(10,20,30) 중 비어 있는 자리로 이동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파레트이송장치(80)가 구동되면, 대차(50) 상의 파레트(60)와 차량(C)이 주차열(10,20,30)의 빈 자리로 이송되면서 차량(C)의 입고가 완료된다. 그리고 차량(C)을 출고시킬 때는 이와 반대로 주차열(10,20,30) 상에 주차된 차량(C)은 입고의 역순을 따라 차량출입구(미도시)로 이송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는 3개 이상의 주차열(10,20,30) 배치구조를 통해 공간활용도를 높이면서도 시공이 용이하게 되도록 3개 의 모든 주차열(10,20,30)과 대차(50) 간의 파레트(60) 이송동작이 상기 하나의 파레트이송장치(80)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대차(50)에 설치되는 상기 대차이동장치(70)와 파레트이송장치(80)의 상세구조와 함께 메인주차열(10,20)과 대차(50) 간의 파레트 이송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고해 보면, 이동통로(40) 상에는 횡레일(41)이 설치되 고, 상기 대차이동장치(70)는 대차(50)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대차구동모터(71)와, 대차구동모터(7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71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대차(50)는 상기 롤러(71a)가 횡레일(41) 위에서 구름동작 됨에 따라 이동통로(40)에서 이동된다. 따라서 대차(50)는 대차구동모터(71)의 구동이 중단되면서 롤러(71a)가 정지함에 따라 고정된다.
그리고 파레트이송장치(80)는 대차이동장치(70)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메인주차열(10,20) 상의 파레트(60)를 대차(50)로 이송시키거나 대차(50) 상의 파레트(60)를 메인주차열(10,20)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먼저 대차(50)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프랙션롤러유닛(81)을 구비한다.
각 프랙션롤러유닛(81)은 전후진용모터(82)의 구동에 따라 각각 메인주차열(10,20) 쪽으로 전후진 할 수 있게 되며, 각 프랙션롤러유닛(81)의 선단에는 한 쌍의 마찰롤러(81a)들이 회전모터(81b)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 마찰롤러(81a)로 사이로 마찰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파레트(60)의 하부 중앙에는 파레트(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찰날개(61)가 일체로 형성되는데(도 5참조), 마찰날개(61)는 마찰롤러(81a)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찰롤러(81a)의 회전방향에 따라 파레트(60)의 이송방향으로 이송되고, 마찰날개(61)와 일체로 형성된 파레트(60)는 이를 통해 메인주차열(10,20)과 대차(50) 간에서 이송된다.
따라서 대차(50) 상의 파레트(50)를 메인주차열(10,20) 상으로 이송시킬 때는 대차(50) 에 있는 파레트(60)의 마찰날개(61)가 상기 마찰롤러(81a) 사이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이때 전후진용모터(82)를 구동시켜 프랙션롤러유닛(81)이 어느 하나의 메인주차열(10,20) 쪽으로 전진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모터(81b)를 일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대차(50) 상의 파레트(60)는 메인주차열(10,20)의 빈자리로 이송된다.
반대로 메인주차열(10,20) 상의 파레트(60)를 빈 대차(50) 상으로 이송시킬 때는 전후진용모터(82)를 통해 프랙션롤러유닛(81)을 하나의 메인주차열(10,20) 쪽으로 전진시킴과 동시에 마찰롤러(81a) 사이로 메인주차열(10,20) 상의 파레트(60)의 마찰날개(61)가 삽입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회전모터(81b)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마찰롤러(81a)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메인주차열(10,20) 상의 파레트(60)는 대차(50) 상으로 이송된다.
대차이동장치(70)와 파레트이송장치(80)에 있어서, 상기 대차구동모터(71)와 전후진용모터(82)와 회전모터(81b)의 구동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된다.
또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파레트(60)의 이송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각 주차열(10,20,30)과 대차(50)에는 종레일(51)이 설치되고, 파레트(50)와 종레일(51)의 접촉부에는 복수의 안내롤러(52)가 마련된다.
다음은 보조주차열(30)과 대차(50) 간의 이송구조를 설명하겠다.
먼저 상기 파레트이송장치(80)를 통해 보조주차열(30)과 대차(50) 간의 파레트(60) 이송이 가능하도록 파레트(60)에는 인접한 파레트(60)와 상호 간의 연결 및 분리를 위한 착탈수단(90)이 마련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수단(90)은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착탈부재(91)와 제2착탈부재(9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1착탈부재(91)와 제2착탈부재(92)는 대차(50)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착탈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착탈부재(91)는 상부로 열린형태의 제1고리부(91a)를 구비하여 파레트(60)의 이송방향 일단에 마련되고, 제2착탈부재(92)는 상기 제1고리부(91a)와 걸림구조를 갖도록 하부로 열린형태의 제2고리부(92a)를 구비하여 파레트(60)의 이송방향 타단에 마련되며, 제1고리부(91a)와 제2고리부(92a)는 각각 연결부(91b,92b)를 통해 파레트(60)와 일체를 이룬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파레트의 이송동작은 파레트 하부의 마찰날개가 마찰롤로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마찰날개와 마찰롤러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또 도 5를 보면, 파레트(60)는 마찰날개(61)가 있는 중앙 하부의 날개설치부(60A)를 기준으로 양측 외곽 하부에 안내롤러(52)가 위치되는 롤러안착부(60B)를 구비하고, 차량(C)의 바퀴가 안착되도록 날개설치부(60A)와 롤러안착부(60B) 사이의 상부는 바퀴안착부(60C)를 형성하며, 날개설치부(60B)에 있어서 마찰날개(61) 양측은 상기 마찰롤러(81a)가 지나가는 롤러통로(62)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파레트(60)의 구조를 감안했을 때, 상기 착탈수단(90)은 상기 마찰날개(61)와 롤러통로(62)를 피하여 형성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착탈수단(90)은 마찰날개(61)의 직하부에 마련된다.
또 상기 착탈수단(90)을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파레트(60)는 파레트(6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경우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대차(5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호 착탈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이러한 착탈수단(90)이 마련된 상태에서 보조주차열(30)과 대차(50) 간의 파레트(60) 이송이 가능하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차이동장치(70)와 파레트이송장치(80)를 다음과 같이 제어해야만 한다.
즉, 도7의 a 및 b와 같이, 상기 보조주차열(30)의 파레트를 상기 대차로 이송시킬 때 상기 제어부는 먼저 상기 파레트이송장치(80)를 구동시켜 메인주차열(20)의 파레트(60)를 상기 착탈수단(90)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보조주차열(30)의 파레트(60)가 상기 메인주차열(20)에 정렬될 때까지 상기 대차(50) 상으로 이송시키는 제1파레트이송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면에 있어서, 가상선 A는 메인주차열(20)의 정렬선으로 이동통로(40) 쪽 메인주차열(20)에 정렬되는 파레트(60)들의 선단을 가리킨다. 또 제1파레트이송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대차(50) 상으로 이송된 파레트(60)는 그 중심이 대차(50)와 일치되지 않고 메인주차열(20) 쪽으로 다소 치우쳐져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파레트이송과정이 완료된 이후 제어부는 도 7의 c와 같이, 대차이동장치(70)를 구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착탈부재(91,92)가 분리되도록 상기 대차(50)를 상기 이동통로(40) 상에서 이동시키는 제1대차이동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며, 제1대차이동과정에서 상기 대차이동장치(70)는 대차(50)가 상기 제1착탈부재(91)와 제2착탈부재(92)가 분리되는 시점에서 바로 정지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 어된다. 이는 대차(50)와 대차(50) 상의 파레트(60)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차(50) 상의 파레트(60)와 그 상부의 차량(C)이 다소 불안정상태가 되므로, 대차(50)를 최소한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또 제1대차이동과정이 종료되면, 제어부는 다시 파레트이송장치(80)를 구동시켜 도 7의 d와 같이, 상기 대차(50) 상으로 이송된 파레트(60)의 중심이 대차(5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파레트(60)를 대차(50) 상에 정렬시키는 제2파레트이송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대차(50) 상의 파레트(60)와 그 상부의 차량(C)이 안정된 상태로 대차(50) 상에 안착된 상태가 되어 대차(50)는 메인주차열(10,20) 상의 파레트(60)의 간섭 없이 이동통로(60)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대차(50)는 대차(50) 상의 파레트(60)를 메인주차열(10,20) 중 빈자리로 이송시킨 후 다시 되돌아와 보조주차열(30)로부터 메인주차열(20)로 이송된 파레트(60)를 이송해 가게 된다.
한편, 대차(50) 상의 파레트(60)를 보조주차열(30)로 이송시키는 과정은 위에 상술한 과정의 역순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 상기 제1대차이동과정 이후 보조주차열(30)에서 메인주차열(20)로 이송된 파레트(60)는 파레트(60)의 이송방향을 따라 종레일(51) 상에서 미끄러질 우려가 있고, 이때는 파레트(60)가 메인주차열(20) 상에 정렬될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도록 도 8과 같이, 상기 메인주차열(10,20)에는 파레트이 송장치(80)에 의한 상기 파레트(60)의 이송동작을 허용하되, 파레트(60)가 상기 이송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레트고정장치(100)가 설치된다.
도 9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60)의 바닥에는 골(63)이 형성되고, 상기 파레트고정장치(100)는 골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구름부재(101)와, 하부에서 상기 구름부재(101)를 탄성지지하도록 마련된 탄성부재(10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103은 구름부재(101)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설치부재이고, 또 다른 미설명 부호 104는 탄성부재(102)와 설치부재(103)의 하부 쪽을 수용하도록 마련된 하우징이다.
이에 따라 메인주차열(10,20) 상에 정렬되도록 이송된 파레트(60)는 바닥의 골(63)에 파레트고정장치(100)의 구름부재(101)가 탄력적으로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메인주차열(10,20)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파레트이송장치(80)에 의해 이송될 때는 구름부재(101)가 골(63)을 타넘게 되면서 파레트(60)의 이송이 허용된다.
또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중에는 상기 대차(50) 상에 대차이동장치(70) 및 파레트이송장치(80) 외에 도시되지 않은 턴테이블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대차(50)가 이동통로(40)를 따라 이동하는 운동 외에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도 있는데, 상기 파레트고정장치(80)는 턴테이블장치(미도시)를 통해 180도 회전된 파레트(60)의 경우에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파레트(60) 정 중앙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는 주차층에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3개의 주차열을 구비하여 공간활용상의 제약이 효과적으로 해결되고, 하나의 대차에 마련된 파레트이송장치를 통해 모든 주차열의 파레트와 대차 간의 이송동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조주차열의 파레트를 메인주차열로 이송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조파레트이송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면서 시공 또한 용이하게 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착탈수단(90')을 구성하는 제1착탈부재(91')는 대차(50)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봉부(91a')를 구비하여 파레트(60)의 이송방향 일단에 마련되고, 제2착탈부재(92')는 상기 걸림봉부(91a')가 걸리도록 걸림봉부(91a') 외주를 적어도 반 이상 감싸고 양측과 선단 쪽으로 개방된 걸림홈부(92')를 구비하여 파레트(60)의 이송방향 타단에 마련되며, 걸림봉부(91a')와 걸림홈부(92a')는 각각 연결부(91b',92b')를 통해 파레트(60)와 일체를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착탈부재(91')는 파레트(60)의 일단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도록 제2착탈부재(92')도 파레트(60)의 타단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각각 메인주차열(10,20)과 보조주차열(30)에 배치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파레트(60)는 2개의 착탈수단(90')을 통해 상호 연결되므로, 착탈수단(90')을 통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파레트(60)의 이송방향을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도 착탈수단(90')은 상기 마찰날개(61)와 마찰롤러(81a)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착탈수단(90')은 파레트(90)의 바퀴안착부(60C) 하부 쪽에 마련된다. 물론 착탈수단(90')은 롤러안착부(60B) 상부 쪽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마찰날개(61) 및 마찰롤러(81a)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턴테이블장치(미도시)가 대차(50) 상에 설치되는 경우를 가정해 보면, 대차(50) 상의 파레트(60)는 180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치가 바뀔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수단(90,90')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메인주차열(10,20)과 보조주차열(30) 상의 파레트(60) 사이에서 제1착탈부재(91,91')들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제2착탈부재(92,92')들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때는 착탈수단(90,90')에 따른 파레트(60) 간의 연결이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도록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착탈부재(91',92')는 상기 파레트(60)의 이송방향 양단에 각각 나란하게 마련되고, 상기 파레트(60)의 양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착탈부재(91',92')의 배열은 반대가 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2착탈부재(91',92')가 이와 같이 배열된 상태에서는 파레트(60)가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라도 착탈수단(90')을 통해 항시 인접한 파레트(60) 상호 간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있어서, 보조주차열(30)은 메인주차열(20) 일측에 하나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보조주차열(30)은 상기 메인주차열(10) 일측에 마련되어도 무방하고, 복수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단 보조주차열(30)이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에는 메인주차열(10,20)과 복수주차열(30) 사이의 파레트(60) 사이에는 물론 보조주차열(30) 간의 파레트(60) 사이에도 상기 착탈수단(90,90')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때 보조주차열(30) 상의 파레트(60)는 차량(C)의 출고시에는 메인주차열(10,20)에 인접한 순서대로 빠져 나가 각 주차열의 빈자리로 이동되어야 하고, 입고시에는 메인주차열(10,20)에서 먼 순서대로 제자리로 위치되어야 한다.
또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경우 착탈수단(90,90')을 구성하는 제1착탈부재(91,91')와 제2착탈부재(92,92')는 모든 파레트(60)의 양단에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각 주차열(10,20,30) 상의 파레트(60)가 상호 섞이지 않도록 운전될 경우 상기 메인주차열(10) 상의 파레트에는 제1 및 제2착탈부재(91,91',92,92')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며, 도면에 있어서 메인주차열(20)의 좌측 단부 그리고 보조주차열(30)의 우측 단부에에 형성된 착탈부재(91,91',92,92')도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각 주차층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대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대차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메인주차열과 보조주차열 상에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파레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 각 파레트 사이가 착탈수단을 통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파레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착탈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보조주차열의 파레트가 대차로 이송되는 과정 중 제1파레트이송과정과 제1대차이동과정과 제2파레트이송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하나의 파레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를 절취선 B-B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메인주차열과 보조주차열 상에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파레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 각 파레트가 착탈수단을 통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파레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착탈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메인주차열과 보조주차열 상에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파레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 각 파레트가 착탈수단을 통해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메인주차열 30: 보조주차열
40: 이동통로 50: 대차
60: 파레트 70: 대차이동장치
80: 파레트이송장치 90,90': 착탈수단
91,91': 제1착탈부재 92,92': 제2착탈부재

Claims (11)

  1.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차열과, 상기 복수개의 주차열 중 인접한 한 쌍의 주차열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와, 상부에 차량(C)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차열과 대차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파레트와, 상기 주차열과 대차 간의 파레트의 이송을 위해 상기 대차에 마련되는 파레트이송장치를 구비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차열은 상기 이동통로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주차열과, 어느 하나의 상기 메인주차열 일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주차열을 포함하고, 상기 파레트이송장치는 상기 메인주차열과 상기 대차 간의 파레트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파레트이송장치를 통해 상기 보조주차열과 대차 간의 파레트 이송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의 상기 파레트에는 상기 파레트 이송방향 쪽으로 인접한 파레트 간의 연결 및 분리를 위한 착탈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착탈수단은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착탈부재는 상기 대차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착탈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및 보조주차열에는 상기 파레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종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파레트와 종레일의 접촉부에는 안내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주차열에는 상기 파레트이송장치에 의한 상기 파레트의 이송동작을 허용하되 상기 파레트가 상기 이송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레트고정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파레트의 바닥에는 골이 형성되고, 상기 파레트고정장치는 상기 골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구름부재와, 상기 구름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부재는 상기 파레트의 이송방향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2착탈부재는 상기 파레트의 이송방향 타단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부재는 상기 파레트의 이송방향 일단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착탈부재는 상기 파레트의 이송방향 타단에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착탈부재는 상기 파레트의 이송방향 양단에 각각 나란하게 마련되고, 상기 파레트의 양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착탈부재의 배열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 중 어느 하는 상기 대차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 중 나머지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봉부가 걸리도록 상기 걸림봉부 외주를 적어도 반 이상 감싸고 양측과 선단 쪽으로 개방된 걸림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명왕복식 주차설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 중 어느 하는 상부로 열린형태의 제1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 중 나머지 다른 하나는 하부로 열린형태의 제2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명왕복식 주차설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를 상기 이동통로 상에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대차에 마련되는 대차이동장치와, 상기 파레트이송장치와 대차이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주차열의 파레트를 상기 대차로 이송시킬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주차열의 파레트를 상기 착탈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보조주차열의 파레트가 상기 메인주차열에 정렬될 때까지 상기 대차 상으로 이송시키는 제1파레트이송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착탈부재가 분리되도록 상기 대차를 상기 이동통로 상에서 이동시키는 제1대차이동과정과, 상기 대차 상으로 이송된 상기 파레트가 상기 대차 상에 정렬되도록 하는 제2파레트이송과정이 순자적으로 진행되도록 상기 파레트이송장치와 대차이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차이동과정에서 상기 대차는 상기 제1착탈부재와 제2착탈부재가 분리되는 시점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10. 삭제
  11. 삭제
KR1020080011279A 2008-02-04 2008-02-04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KR100982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279A KR100982501B1 (ko) 2008-02-04 2008-02-04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279A KR100982501B1 (ko) 2008-02-04 2008-02-04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410A KR20090085410A (ko) 2009-08-07
KR100982501B1 true KR100982501B1 (ko) 2010-09-16

Family

ID=4120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279A KR100982501B1 (ko) 2008-02-04 2008-02-04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5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846B1 (ko) * 2010-04-15 2011-06-17 삼중테크 주식회사 주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410A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8273B2 (en) Carriage-type conveyance device
US8424669B2 (en) Work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JP5212836B2 (ja) ワーク搬送設備
JP4301213B2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JP5793407B2 (ja) 無人搬送車による台車の自動搬送システム
KR20090027448A (ko) 차량용 대차 이송 시스템
US10005476B2 (en) Conveyance device utilizing coupled wagons
JP5698116B2 (ja) 搬送装置
JP2008238914A (ja) 台車式搬送設備
JP4515537B1 (ja) カートレインの車両積込み積卸し装置
JP4301214B2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KR100982501B1 (ko) 평면왕복식 주차설비
KR101041846B1 (ko) 주차장치
JP2007119145A (ja) 搬送台車
JP5804277B2 (ja) 搬送装置
JP2005343195A (ja) 台車搬送装置
JP2006213144A (ja) 搬送機及びそれを用いた搬送方法
JP3384424B2 (ja) 搬送設備
JP6065281B2 (ja) 連結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5851642B1 (ja) カゴ台車前詰め装置
CN212897830U (zh) 重列车库
JP6150168B2 (ja) 連結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6240002B2 (ja) 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2009227424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JP3900750B2 (ja)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