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926B1 -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 - Google Patents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926B1
KR100981926B1 KR1020080047978A KR20080047978A KR100981926B1 KR 100981926 B1 KR100981926 B1 KR 100981926B1 KR 1020080047978 A KR1020080047978 A KR 1020080047978A KR 20080047978 A KR20080047978 A KR 20080047978A KR 100981926 B1 KR100981926 B1 KR 100981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paddle
specific gravity
high specific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857A (ko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삼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창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92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장 및 제품생산 공정의 건조물 수분 감량을 위해 재처리시키는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건조기는 건조물이 투입되는 입.출구가 구비되고 밀폐된 건조공간이 제공되는 중공의 몸통부를 가지며, 이 몸통부 내의 건조공간에 입구를 통해 투입된 건조물이 열원이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들을 통해 급기되고 이 회전축들 상에 설치되는 패들과 경사판을 이용한 이송부로 강제 이송되게 하면서 소기의 건조 및 감량과정을 일련의 연속적이고 기계적으로 이루어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한 패들식 건조물의 건조기로서, 건조공간 내의 이송부 말단부에 건조물의 건조과정 말단부에서 잔류되는 고 비중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처리하는 수거수단을 갖추어서, 건조과정의 말단부에서 적체되는 고 비중침전물을 수거처리시키어 이송부의 마모 또는 파손을 예방하고 기기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Figure R1020080047978
건조물, 건조기

Description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Paddle dryer having collect apparatus for high specific gravity deposit}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장 및 제품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건조물의 수분 감량을 위해 재처리시키는 패들식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과정의 말단부에서 적체되는 고 비중침전물을 수거처리시킬 수 있도록 한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하수나 폐수처리 및 제품생산 공정에서 다량의 건조물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러한 건조물은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수분 감량을 위하여 별도의 열원을 이용해 강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는 패들식 건조기가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패들식 건조기는 도 1에서와 같이 건조물이 투입.배출되는 입.출구(1.2)가 구비되고 밀폐된 건조공간(3)이 제공되는 중공의 몸통부(4)를 갖추고 있고, 이 몸통부(4) 내의 건조공간(3)에 입구(1)를 통해 투입된 건조물이 스팀 등 고온의 열원이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 이상의 회전축들(5)과 패들(6)을 이용 건조 및 이송되게 하면서 소기의 건조과정을 일련의 기계적이고 연속적으로 이루어 출구(2)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패들식 건조기의 건조과정 말단부, 즉 출구(2) 직전에서 구조적으로 고 비중의 침전물(D)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건조공간(3)의 말단부에 건조물의 건조효율을 위해 기구적 지연구조물로 오버게이트(9)가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오버게이트(9)는 건조물의 수분이 증발된 건조된 건조물이 상부로 배출 되도록 하며 건조물의 체류시간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수분이 포함된 건조물에는 고 비중의 침전물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수분이 증발되면서 건조물과 고 비중 침전물과 분리되어 바닥에는 고 비중의 침전물인 부식토나 모래.고체모양의 알갱이들이 잔류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건조공간(3)의 말단 바닥에 적체되는 고 비중 침전물들은 이송부(8)와의 마찰로 인하여 패들(6) 마모와 파손이 일어나고 있으며, 또 침전물이 처리되지 못할 경우 패들(6)의 마모가 가속화되면서 패들(6)의 표면에 회분 피막이 형성되어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따라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패들식 건조기는 상기에서와 같이 패들(6)의 마모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한 정기적인 보수가 따라 유지비용과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건조물의 건조과장에서 그 건조과정의 말단부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어 잔류하는 고 비중침전물이 수거수단을 이용해 배출처리되게 함으로써, 이송부가 침전물에 의해 마모 또는 파손을 예방하며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시키고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물의 수분 감량을 위해 재처리시키는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건조기는 건조물이 투입되는 입.출구가 구비되고 밀폐된 건조공간이 제공되는 중공의 몸통부를 가지며, 이 몸통부 내의 건조공간에 입구를 통해 투입된 건조물이 열원이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들을 통해 급기되고 이 회전축들 상에 설치되는 부채모양의 경사형패들을 이용한 건조와 이송공정을 이루면서 소기의 건조 및 감량과정을 일련의 연속적이고 기계적으로 이루어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한 패들식 건조물 건조기로서, 건조공간 내의 이송부 말단부에 건조물의 건조과정 말단부에서 잔류되는 고 비중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처리하는 수거수단을 갖추어서, 건조과정의 말단부에서 적체되는 고 비중침전물을 수거처리시키어 패들의 마모 또는 파손을 예방하고 기기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그러면 본 발명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 부채모양의 경사형 패들식은 건조공간의 말단부, 즉 오버게이트의 하부에서 고 비중 침전물이 적체되는 부분에다 그 고 비중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거수단을 갖춤으로써, 이송부가 침전물에 의해 마모 또는 파손을 방지하여 이송부를 보호하고 따라서, 건조효율은 물론 기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시키어 경제적이며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겠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물 건조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수 및 폐수처리장 및 제품생산공정에서 건조물을 연속적으로 건조 및 감량하여 재처리할 수 있도록 한 패들식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패들식 건조기는 밀폐된 건조공간(10a)을 갖는 중공의 몸통부(10)를 가지며, 이 몸통부(10)의 전.후단에 건조물이 투입.배출되는 입.출구(11,12)가 구비되어 있고, 출구(12)의 직전에는 오버게이트(10b)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몸통부(10) 내의 건조공간(10a)에는 입구(11)를 통해 투입된 건조물이 별도의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작동하는 이송부(13)로 강제 이송되면서 별도 공급되는 고열의 스팀 열원으로 소기의 건조 및 감량과정을 일련의 연속적이고 기계적으로 이룬 후 출구(12)를 통해 배출될 것이다.
또 이송부(13)는 입구(11)를 통해 투입된 건조공간(10a) 내에서 건조물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운반체로서, 상기 몸통부(10) 내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어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함과 아울러, 건조를 위한 열원의 공급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회전축들(13a)과, 이 회전축들(13a)의 둘레면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규칙적으로 장착됨은 물론 그 상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통해 건조물을 수용하는 부채모양인 경사형으로 이루는 다수개의 패들(13b)이 부착되어 상기 건조물을 교반.혼합 및 건조하고 이송루트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건조기는 종전과 동일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은 건조공간(10a)의 말단부, 즉 출구(12) 직전에 설치되는 오버게이트(10b)에 의해 일정량의 건조물이 체류하게 되면서 건조하게 되는데, 이에 발생하는 잔류의 고 비중 침전물을 수거처리하여서, 그 고 비중 침전물에 의한 부채모양인 경사형 패들(13b)의 마모 또는 파손을 방지케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공간(10a) 내의 이송부(13) 말단부에 잔류의 고 비중 침전물을 부가적인 구조물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배출 처리하는 수거수단(20)을 갖추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수거수단(20)은 대략 이송부(13)의 말단부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수거수단(20)은 한 쌍으로 설치되는 회전축들(13a)의 사이에서 각 회전축들(13a)의 패들(13b) 회전반경으로부터 벗어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것이다.
또 수거수단(20)은 건조공간(10a)에서 건조과정을 이루는 건조물과 공통공간에 노출형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건조과정을 이루는 건조물과는 격리되고 그 건조물에서 발생하는 고 비중 침전물은 통과되도록 한 다공의 분리벽(21)으로 감싸 제 공되는 격리공간에 내장형으로 설치되어서 고 비중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분리벽(21)은 건조물의 배출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은 수거수단(20)은 여러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크루나 레이크 또는 침전물이 구배에 의해 자연적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경사면 등, 침전물을 수거방식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그 하나의 예로 수거수단(20)은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스크루컨베이어(22)를 이용한 것으로, 이 스크루컨베이어(22)는 건조공간(10a)으로부터 오버게이트(10b)를 관통하여 출구(12)에 걸치어 설치되고, 몸통부(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모터(M)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이송부(13)의 말단부에서 잔류하는 고 비중 침전물을 끌어내 출구(12)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또 스크루컨베이어(22)의 축길이방향 양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이송경로트라프(22a)를 구비하여 고 비중 침전물의 배출작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도록 하는 보조구조를 더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이고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실시 예와 다르다는 것은 레이크(24)을 이용한 것으로, 이 레이크(24)는 건조공간(10a) 바닥으로부터 오버게이트(10b)를 관통하여 출구(12)에 걸치어 액추에이터(A)에 의해 왕복하면서 이송부(13)의 말단부에서 잔류하는 고 비중 침전물을 끌어내 출구(12)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M) 또는 액추에이터(A)를 이용해 구동하는 수거수단(20)은 건조기의 가동 중 고 비중 침전물이 다량 적체되기 전, 예를 들어 건조기의 가동시간 또는 건조물 건조상태, 함수율 등을 계측하여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침전물의 처리신호에 의해 구동하게 될 것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이고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실시와 다르다는 것은, 전동 또는 유압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건조공간(10a)의 바닥면에 이송부(13)의 말단부에서 잔류하는 고 비중 침전물이 자중 또는 건조물의 건조과정 이송력에 의한 떠밀림으로 흘러내림이 가능하도록 후향으로 가며 점차적으로 내려앉는 소정의 구배를 가지는 경사면(26)을 오버게이트(10b)를 관통하여 출구(12)까지 걸치어 갖추고 고 비중 침전물이 출구(12)를 통해 배출되게 한 것이다.
이때, 경사면(26)이 통과되는 오버게이트(10b)의 관통부분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로 구동하는 댐퍼(26a)를 이용하여 개폐 또는 그 침전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패들식 건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3a은 도 2의 A-A선 부분을 따라 부분 절개하여 보여 주는 일부 평면도.
도 3b는 도 2의 B-B선 부분을 따라 부분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 예로서, 패들식 건조물 건조장치의 일부분을 절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부분을 따라 부분 절개하여 보여 주는 일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패들식 건조기의 일부분을 절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통부 11 :입구
12 :출구 13 :이송부
20 :수거수단 21 :분리벽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건조물이 투입.배출되는 입.출구가 구비되고 밀폐된 건조공간이 제공되는 중공의 몸통부를 가지며, 이 몸통부 내의 건조공간에 입구를 통해 투입된 건조물이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들을 통해 열원이 공급되고 이 회전축들 상에 설치되는 패들과 경사판을 이용한 이송부로 강제 이송되게 하면서 소기의 건조 및 감량과정을 일련의 연속적이고 기계적으로 이루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한 패들식 건조기로서,
    상기 건조공간 내의 상기 이송부 말단부에 상기 건조물의 건조과정에서 잔류되는 고 비중 침전물을 스크루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처리하는 수거수단을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컨베이어의 주위에 상기 스크루컨베이어와 인접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송경로트라프를 더 포함하는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
  5. 건조물이 투입.배출되는 입.출구가 구비되고 밀폐된 건조공간이 제공되는 중공의 몸통부를 가지며, 이 몸통부 내의 건조공간에 입구를 통해 투입된 건조물이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들을 통해 열원이 공급되고 이 회전축들 상에 설치되는 패들과 경사판을 이용한 이송부로 강제 이송되게 하면서 소기의 건조 및 감량과정을 일련의 연속적이고 기계적으로 이루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한 패들식 건조기로서,
    상기 건조공간 내의 상기 이송부 말단부에 상기 건조물의 건조과정에서 잔류되는 고 비중 침전물을 레이크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처리하는 수거수단을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
  6. 삭제
  7. 삭제
KR1020080047978A 2008-05-23 2008-05-23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 KR100981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978A KR100981926B1 (ko) 2008-05-23 2008-05-23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978A KR100981926B1 (ko) 2008-05-23 2008-05-23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57A KR20090121857A (ko) 2009-11-26
KR100981926B1 true KR100981926B1 (ko) 2010-09-13

Family

ID=4160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978A KR100981926B1 (ko) 2008-05-23 2008-05-23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9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1069B1 (ja) * 2017-08-04 2018-01-31 株式会社鶴見製作所 固液分離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244B1 (ko) * 1998-05-12 2001-10-25 김동우 오.폐수중의기체,액체,고체의분리장치
KR100813467B1 (ko) * 2006-10-12 2008-03-13 삼창기업 주식회사 산업유기성 슬러지 처리를 위한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244B1 (ko) * 1998-05-12 2001-10-25 김동우 오.폐수중의기체,액체,고체의분리장치
KR100813467B1 (ko) * 2006-10-12 2008-03-13 삼창기업 주식회사 산업유기성 슬러지 처리를 위한 패들식 슬러지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1069B1 (ja) * 2017-08-04 2018-01-31 株式会社鶴見製作所 固液分離装置
JP2019030825A (ja) *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鶴見製作所 固液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57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540B1 (ko) 폐어망 재활용 설비
KR101781588B1 (ko) 저온 슬러지 건조기의 협잡물 제거장치
JP2006231686A (ja) 廃棄プラスチックの洗浄・脱水装置
WO2016033747A1 (zh) 组合式造粒机
KR101272123B1 (ko)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KR100981926B1 (ko) 고 비중 침전물 수거장치를 갖춘 패들식 건조기
KR19980034514A (ko) 유·무기성 슬러지의 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109759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1876342B1 (ko) 전기침투 탈수기용 습증기 배출 장치
CN101497059A (zh) 一种干粉除铁方法及装置
KR20100065656A (ko)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090021B1 (ko)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KR100923032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시스템
KR102377854B1 (ko) 폐기물 건조장치
KR100374983B1 (ko) 건축폐기물의 토사 내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14936B1 (ko) 하부 잔량처리를 위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KR100438250B1 (ko) 평면 이동식 열풍 건조로
KR101209374B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
JP2006153376A (ja) 被処理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設備
KR100836673B1 (ko) 회전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RU2342197C1 (ru) Способ магнитной сепарации и магнитный сепарато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H0618169A (ja) 有害物除去装置
KR20090121858A (ko) 디퍼형의 응축수 배출구조를 갖는 패들식 건조기
KR101970288B1 (ko)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 건조장치
CN217351155U (zh) 污泥干化及尾气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