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374B1 -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374B1
KR101209374B1 KR1020120089154A KR20120089154A KR101209374B1 KR 101209374 B1 KR101209374 B1 KR 101209374B1 KR 1020120089154 A KR1020120089154 A KR 1020120089154A KR 20120089154 A KR20120089154 A KR 20120089154A KR 101209374 B1 KR101209374 B1 KR 101209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addle
drying apparatus
section
stir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태
박종진
홍승욱
Original Assignee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슬러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의 함수율에 따라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슬러지 수용 공간인 챔버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챔버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에서 돌출 형성되어 슬러지 사이를 파고들며 회전하는 패들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축과 상기 패들은 입측구간과 출측구간으로 분할되어 이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SLUDGE DRYER HAVING ENHANCED DURABILITY}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의 함수율에 따라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이나 하수 처리장 또는 폐수 처리장에서는 수분을 함유한 각종 폐기물 슬러지가 발생하는 바, 상기 폐기물 슬러지를 처리하는 기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폐기물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오?폐수)을 슬러지와 분리하기 위해서 농축기 및 탈수기 등을 사용하여 슬러지와 수분을 분리하며, 분리된 수분은 정화하여 배출하고 슬러지는 적정 과정을 거쳐 폐기하거나 별도의 처리과정을 거친 후 재활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수분이 일정 이하로 제거되지 않은 슬러지를 토양에 매립하여 폐기할 경우 악취나 침출수로 인한 심각한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되며, 그밖에 소각 처리하는 경우 수분의 함량이 크면 소각시에 투입되는 연료의 소모량이 증가되므로 비경제적이다.
다양하게 발생되는 폐기물 슬러지 중에는 음식물 찌꺼기, 하수 슬러지, 분뇨, 공장에서 발생되는 산업 폐기물 등이 있으며, 폐기물 슬러지는 탈수 처리된 후에 액상물은 폐수처리하고 고형물은 약 80% 이상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폐기물은 함수율을 약 25~35% 정도로 낮춘 후, 폐기시켜왔다.
그러나, 슬러지의 함수율을 10% 이하로 낮출 경우, 고형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법안이 나온 이후, 폐기물 슬러지를 재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98360호는 1차 열매체액 건조기에서 가열된 열풍을 분사하여 수분함수율을 30% 내외로 낮추고, 2차 건조기에서 분쇄함과 동시에 열풍을 이용하여 수분함수율을 20% 내외로 낮추고, 다시 3차 건조기에서 분쇄와 동시에 열품을 이용하여 수분함수율을 10% 내외로낮추는 방법을 개시하였으나, 상기 방법은 최종적으로 수분함수율이 10% 내외인 슬러지를 얻기 위하여, 많은 열에너지를 사용해야 하고, 2차 건조기 및 3차 건조기에서 이용되는 분쇄날이 심하게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676503호는 슬러지 건조시 마모에 의한 패들 전체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패들에 편자를 부착시키는 방법을 개시하였으나, 마모성이 약한 중공의 패들이 회전축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에, 편자 교체를 못할 경우 결국 회전축까지 교체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장기간 운전이 재가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함수율 10% 이하까지 낮출 수 있는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수용된 슬러지의 함수율에 따라 구간별로 상이한 구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함수율 구간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고, 저함수율 구간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슬러지 수용 공간인 챔버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챔버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에서 돌출 형성되어 슬러지 사이를 파고들며 회전하는 패들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축과 상기 패들은 입측구간과 출측구간으로 분할되어 이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출측구간은 전체영역 중 슬러지 배출측의 25~35% 영역이며, 상기 출측구간의 상기 교반축과 상기 패들은 상기 입측구간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출측구간은 내마모강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입측구간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측구간의 상기 교반축과 상기 패들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중공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간헐적으로 분사하여 패들 표면의 슬러지 코팅막을 제거하는 코팅제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슬러지 수용 공간인 챔버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챔버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에서 돌출 형성되어 슬러지 사이를 파고들며 회전하는 패들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축과 패들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반축과 패들의 내부에 스팀을 주입하여 슬러지를 간접 가열에 의하여 건조시키는 1차 건조기; 및 슬러지 수용 공간인 챔버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챔버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에서 돌출 형성되어 슬러지 사이를 파고들며 회전하는 패들을 포함하며, 상기 1차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1차 건조 슬러지를 공급받아 간접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2차 건조기;를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2차 건조기는 슬러지와 접촉하는 상기 교반축과 상기 패들인 내마모강재인 하독스 재질 동등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건조기는 상기 슬러지 투입측 교반축의 중심부에 응축수 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교반축 내부에 상기 응축수 배출관으로 응축수를 유도하는 버킷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축과 상기 패들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은 교반축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건조기 또는 2차 건조기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간헐적으로 분사하여 패들 표면의 슬러지 코팅막을 제거하는 코팅제거장치;를 구비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는 단일 챔버의 내부에서 고함수의 슬러지를 함수율 10% 수준까지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챔버 내부가 구간별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져 장비의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도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는 2차의 건조기를 이용하여 고함수의 슬러지를 함수율 10% 수준까지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건조기는 처리 대상물인 슬러지의 특성에 맞게 이종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장치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교반축 응축수 배출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교반축 내부 버킷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100)는 슬러지 수용 공간인 챔버를 형성하는 몸체부(110)와,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교반축(도 2의 160, 170)과, 상기 교반축에서 돌출 형성되는 패들(도 2의 162, 172)을 포함한다.
몸체부(110)의 일측에는 처리 대상물인 슬러지 투입을 위한 슬러지 투입구(112)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건조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구(115)가 구비된다.
투입되는 슬러지는 함수율인 80% 이상인 고함수의 슬러지이며, 건조 장치에서 간접 가열로 인하여 건조된 후 배출되는 슬러지는 함수율이 10% 이하로 낮아지게 된다.
슬러지는 챔버 내부를 이동하며 간접 가열되고 건조된 후 배출되며, 이러한 과정은 교반축과 패들의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챔버는 길다란 통 형상(대략 U자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러지 투입구(11)를 통해 슬러지가 투입되면 슬러지는 도시된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쌓이게 되는데, 이들이 패들의 회전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다가 슬러지 배출구(115)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 투입구가 좌측에 형성되고 배출구가 우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슬러지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패들은 부채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지름 방향으로는 쐐기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패들들이 교차 회전하면서, 내부의 슬러지들이 패들 사이 공간으로 분산되며 교반과 혼합이 된다.
연속적인 과정을 거쳐서, 슬러지는 순차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슬러지 투입구(112) 측에서 슬러지 배출구(115) 측으로 갈수록 함수율이 낮아지게 된다. 즉 패들이 격벽의 역할을 수행하며, 각각의 패들의 간접 가열에 의하여 슬러지가 건조되어 낮은 함수율을 가지게 된다.
이로인해서, 슬러지가 연속적으로 투입되더라도, 슬러지 배출구(115)를 통해서는 건조가 완료된 함수율이 낮은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건조 장치(100)의 내부에는 슬러지 수용 공간인 챔버(120)가 형성되어 있고, 챔버(120)의 내부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교반축(160, 17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교반축(160, 170)에는 평면적으로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단면적으로는 쐐기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패들(162, 17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교반축(160, 170)과 패들(162, 172)을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는 2가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입측구간(210)과 출측구간(220)을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다.
슬러지의 함수율이 높은 입측구간(210)에서 교반축(160, 170)과 패들(162, 172)에 요구되는 물성은 내부식성이고, 함수율이 낮은 출측구간(220)에서 교반축(160, 170)과 패들(162, 172)에 요구되는 물성은 내마모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출측(슬러지 배출구에 배치되는 도면의 우측)구간(제2구간)과 나머지 구간(제1구간)을 분할하여 이종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측구간(220)의 경우 내마모강의 일종인 하독스(HARDOX) 재질 동급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측구간(210)의 경우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슬러지의 상태에 따라서 구간별로 다른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설비의 수명을 연장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패들과 교반축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패들과 교반축을 가열하고, 이로인해 패들과 교반축에 접촉하는 슬러지를 간접가열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교반축(160, 170)과 패들(162, 172)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내부 공간이 서로 소통하도록 형성된다. 교반축(160,170)을 통해 공급되는 스팀이 교반축(160, 170)과 패들(162, 172)의 내부로 공급되어, 슬러지를 간접가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교반축과 패들의 내부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들(162, 172)은 교반축(160, 170) 주변에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교반축(160, 170)과 각각의 패들(162, 172)의 내부 공간은 두개의 연결관(190, 192)으로 연결되어 있다.
두개의 연결관(190, 192)으로 연결하는 것은, 연결관(190, 192)은 스팀 공급 경로로서의 기능과, 응축수 배출 경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하나의 연결관으로 연결하는 경우 스팀 공급 압력에 의하여 응축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두개의 연결관(190, 192)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하나의 연결관(192)은 패들의 회전시 응축수가 일시적으로 몰려지는 부분에 형성된다. 응축수 배출 기능 향상을 위한 것인데, 이를 위하여 이 연결관(192)의 주변에 일시적으로 응축수를 가둘 수 있도록 격벽(19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는 내부에 코팅제거장치(700)를 구비한다.
코팅제거장치(700)는 슬러지 건조 장치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압축공기를 간헐적으로 분사하여 패들의 표면에 부착되는 슬러지 코팅막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코팅제거장치(700)는 압축공기를 발생하기 위한 컴프레서(미도시)와, 상기 컴프레서에서 발생한 압축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압력관(710)과, 상기 압력관(710)에 구비되어 패들 표면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720)을 포함한다.
분사노즐(720)은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이용하여 간헐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건조장치는 패들을 가열하여, 패들과 접촉하는 슬러지를 간접 가열하는 구조를 갖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슬러지가 패들 표면에 눌어 붙는 현상이 발생한다. 다시말해 슬러지가 건조되며 패들 표면에 코팅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슬러지 코팅막은 열전달을 방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슬러지 코팅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압축공기를 패들 표면으로 간헐적으로 분사하는 코팅제거장치(700)를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교반축 응축수 배출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교반축 내부 버킷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반축(160, 170)과 패들(162, 172)은 중공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스팀의 공급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교반축(160, 170)과 패들(162, 172) 내부에서 스팀이 응축수가 되기도 한다. 이 때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면 응축수가 교반축의 내부에 잔류하여 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교반축(160, 170)은 응축수의 배출을 위하여 응축수 배출관(175)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교반축(160, 170) 내부에 응축수가 발생할 경우 응축수는 교반축(160, 170) 내부에서 응축수 배출관(175)측으로 흐르게 된다. 응축수 배출관(175)은 교반축(170) 중앙부에 형성되며, 입측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도록 하면 응축수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응축수 배출관(175)은 두개의 교반축에 모두 구비된다.
응축수 배출관(175)은 슬러지 입측 부근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구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홈을 형성하는 버킷(177)을 구비하면, 교반축이 회전함에 따라 응축수가 버킷(177)의 중앙부로 담아져서 응축수 배출관(175)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는 건조기를 2차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 장치는, 1차 건조기(500)와 2차 건조기(600)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차 건조기(500)는, 슬러지 수용 공간인 챔버를 형성하는 몸체부(510)와, 상기 챔버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교반축(560)과, 상기 교반축에서 돌출 형성되어 슬러지 사이를 파고들며 회전하는 패들(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축(560)과 패들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져 교반축과 패들의 내부에 스팀이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2차 건조기(600)는, 슬러지 수용 공간인 챔버를 형성하는 몸체부(610)와, 상기 챔버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교반축(660)과, 상기 교반축에서 돌출 형성되어 슬러지 사이를 파고들며 회전하는 패들(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1차 건조기(100)에서 배출되는 1차 건조 슬러지를 공급받아 간접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1차 건조기(500)와 2차 건조기(600)의 내부에는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슬러지 코팅막을 제거하기 위한 코팅제거장치(도 3의 700)가 구비된다.
처리 대상물인 슬러지는 1차 건조기(500)의 슬러지 투입구(512)를 통해 투입된다. 투입된 슬러지는 1차 건조기(500) 내부에서 간접 가열, 건조된 후 1차 건조기(500)의 슬러지 배출구(515)를 통해 배출된다.
1차 건조기(500)에서 배출되는 1차 처리 슬러지는 2차 건조기(600)의 슬러지 투입구(612)를 통해 2차 건조기(600)로 투입된 후, 2차 건조기 내부에서 간접 가열 건조 처리되어 2차 건조기(600)의 배출구로 배출된다.
1차 건조기(500)로 투입되는 슬러지의 함수율은 80% 이상이고, 1차 건조기(10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의 함수율은 25~35% 수준이며, 2차 건조기(200)에서 배출되는 건조 슬러지의 함수율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지는 각각의 건조기(500, 600) 챔버 내부를 이동하며 가열되고 건조된 후 배출되며, 이러한 과정은 교반축과 패들의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챔버는 길다란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1차 건조기(500)의 슬러지 투입구(512)를 통해 슬러지가 투입되면 슬러지는 도시된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쌓이게 되는데, 이들이 패들의 회전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다가 슬러지 배출구(515)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2차 건조기(600)의 경우 좌측으로 투입되어 우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1차 건조기(500)의 내부에는 슬러지 수용 공간인 챔버가 형성되고, 내부에 한 쌍의 교반축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교반축에는 평면적으로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단면적으로는 쐐기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패들이 형성된다.
교반축과 패들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내부 공간이 서로 소통하도록 형성된다. 교반축을 통해 공급되는 스팀이 교반축을 통해 패들의 내부로 공급되어 패들을 가열함으로써, 슬러지를 간접 가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1차 건조기(500)에서는 슬러지가 스팀에 의하여 간접 가열 건조된다.
2차 건조기(600)의 경우에도 패들과 교반축을 중공 형태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패들과 교반축을 간접 가열할 수 있다.
2차 건조기(600)의 경우 함수율이 낮은 슬러지를 내부에서 교반하여 가열하기 때문에, 내마모강의 일종인 하독스 재질(HARDOX, 스웨덴 SSAB사의 AR 플레이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지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장비의 수명을연장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2차 건조기(600)에서 처리되는 슬러지의 경우 함수율이 낮기 때문에 내부식성 재질 보다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장비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1차 건조기(500) 또는 2차 건조기(600)도 앞서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슬러지 건조 장치
110 : 몸체부
120 : 챔버
160, 170 : 교반축
162, 172 : 패들
500 : 1차 건조기
600 : 2차 건조기
700 : 코팅제거장치
710 : 압력관
720 : 분사노즐

Claims (11)

  1. 슬러지 수용 공간인 챔버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챔버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에서 돌출 형성되어 슬러지 사이를 파고들며 회전하는 패들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축과 상기 패들은 입측구간과 출측구간으로 분할되어 이종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출측구간은 전체영역 중 슬러지 배출측의 25~35% 영역이며,
    상기 출측구간의 상기 교반축과 상기 패들은 상기 입측구간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측구간은 하독스 재질이고, 상기 입측구간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축과 상기 패들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간헐적으로 분사하여 패들 표면의 슬러지 코팅막을 제거하는 코팅제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89154A 2012-08-14 2012-08-14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20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154A KR101209374B1 (ko) 2012-08-14 2012-08-14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154A KR101209374B1 (ko) 2012-08-14 2012-08-14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374B1 true KR101209374B1 (ko) 2012-12-06

Family

ID=4790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154A KR101209374B1 (ko) 2012-08-14 2012-08-14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3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185B1 (ko) * 2015-09-30 2016-12-15 주식회사 한국종합플랜트 폐기물 건조 장치
KR101932964B1 (ko) 2018-03-27 2018-12-27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파쇄형 슬러지 케이크 저장 호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185B1 (ko) * 2015-09-30 2016-12-15 주식회사 한국종합플랜트 폐기물 건조 장치
KR101932964B1 (ko) 2018-03-27 2018-12-27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파쇄형 슬러지 케이크 저장 호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5662A (ko)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070437B1 (ko)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1729994B1 (ko) 열매체를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KR101365734B1 (ko) 건설 오니 탈수 건조 장치
KR201600394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90034971A (ko) 오니 건조장치
KR101189158B1 (ko) 건조슬러지를 재순환시키는 슬러지 처리 설비
KR101181938B1 (ko) 스파징패들 건조기 및 리본패들 건조기를 이용한 슬러지의 2단 건조 및 순환방법
JP2000354900A (ja) 排水スラッジ脱水乾燥システム
KR101209374B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339563B1 (ko) 유기성 슬러지 일괄처리장치
KR101620337B1 (ko) 분사노즐과 파쇄판을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0948102B1 (ko) 공기 분산관이 구비된 스파징 패들/디스크형 슬러지 건조장치
CN109205975A (zh) 污泥碳化处理系统及工艺
KR102224084B1 (ko) 디스크 타입 건조기
KR20080035128A (ko) 축산 폐수 및 분뇨 처리시스템
KR20130019557A (ko) 직접가열 열풍건조기
CN209989229U (zh) 用于高含水量的污泥处理干燥设备
KR10116234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44700A (ko) 오니 처리 장치
JP2010203675A (ja) 被処理物の乾燥減容装置及び被処理物の乾燥減容方法
KR101717458B1 (ko) 유중증발 건조장치
KR20030072873A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
KR101351279B1 (ko) 슬러지 이송건조장치
KR100372897B1 (ko)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