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021B1 -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021B1
KR101090021B1 KR1020110005175A KR20110005175A KR101090021B1 KR 101090021 B1 KR101090021 B1 KR 101090021B1 KR 1020110005175 A KR1020110005175 A KR 1020110005175A KR 20110005175 A KR20110005175 A KR 20110005175A KR 101090021 B1 KR101090021 B1 KR 101090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fish
drying
transfer
tub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병관
Original Assignee
나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병관 filed Critical 나병관
Priority to KR1020110005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는 불가사리가 투입되는 투입호퍼; 불가사리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불가사리를 분쇄하는 분쇄기; 분쇄된 불가사리를 1차 건조시키는 제1건조기; 제1건조기로부터 건조된 불가사리를 2차 건조시키는 제2 건조기;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악취 및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 및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2 건조기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2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Apparatus for grinding and drying starfish}
본 발명은 불가사리를 자원화하도록 분쇄 및 건조하는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냄새의 외부배출을 최소화하고 분쇄된 불가사리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하며 불가사리의 공급과 냄새의 배출을 동시에 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한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불가사리에 의한 어민 피해가 빈번히 접수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어민 피해액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불가사리는 주로 전복, 가리비, 바지락 등 조개류를 먹이로 하므로 어민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불가사리를 토벌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 불가사리의 토벌은 소각처리하거나 매립처리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소각처리 및 매립처리시 상당한 비용이 들고 환경오염을 야기하므로 그 한계가 있다. 특히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2호에 의해 매립이 금지되고 있으므로 실효적인 대처방안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 불가사리는 농작물의 성장속도를 촉진하여 비료로 사용시 효과적이며, 불가사리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으로 건강보조용 칼슘제로 개발 가능하며, 기능성 보조식품으로 활용가능하며, 축산사료로도 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불가사리를 소각 또는 매립처리하는 것에서 벗어나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불가사리를 비료, 사료, 기능성보조식품 등으로 활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수집된 불가사리를 분쇄 및 건조시키는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냄새의 외부배출을 최소화하고 분쇄된 불가사리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하며 불가사리의 공급과 냄새의 배출을 동시에 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한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불가사리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하면이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투입스크류를 갖는 투입호퍼;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일단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불가사리를 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제1이송모터를 갖는 제1이송부;
상기 배출구와 제1이송관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제1이송관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불가사리를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가 수집되는 제2이송관과, 상기 제2이송관의 내부에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스크류와, 상기 제2이송스크류를 구동하는 제2이송모터를 갖는 제2이송부;
열풍이 공급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 내에 일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그 일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2이송부로부터 분쇄된 불가사리가 공급되는 제1건조관으로 구성되는 제1건조기;
열풍이 공급되는 제2챔버와, 상기 제2챔버 내에 일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그 일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건조관의 타단부로부터 1차 건조된 불가사리가 공급되고 그 타단부를 통하여 건조된 불가사리가 배출되는 제2건조관으로 구성되는 제2건조기;
그 중간이 상기 제1건조관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제2건조관의 일단부와 연결되어서 상기 제1건조관으로부터 제2건조관으로 불가사리가 공급되게 하며, 그 상단부가 개방되는 공급 및 배출통;
상기 공급 및 배출통의 개방된 상단부와 연결되어서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악취 및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
상기 불가사리가 배출되는 상기 제2건조관의 단부측에 상기 불가사리의 배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열풍을 공급시켜서, 상기 제2건조관내의 불가사리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수분,악취 및 먼지를 상기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측으로 이송시키는 버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건조관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그 양단부가 고정물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되는 제2건조관의 내벽면에 붙은 분쇄된 불가사리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 장치는, 종래 소각 또는 매립에 의해 처리된 불가사리를 자원화할 수 있도록 한다. 불가사리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건조장치를 거친 후, 비료, 사료, 기능성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소각 또는 매립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소각 또는 매립에 의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며, 불가사리의 자원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분쇄기에 의해 비교적 단단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불가사리를 효과적으로 분쇄하고, 분쇄기의 분쇄날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분쇄날과 상기 제1 분쇄날과 비스듬이 배치되는 제2 분쇄날로 구성하여 상기 제2 분쇄날에 의해 불가사리를 원활하게 이송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분쇄된 불가사리는 열풍이 공급되는 제1,2 건조기를 거치면서 효과적으로 건조되고,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는 제1,2 건조기의 제1,2 배출부로부터 악취 및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므로 비료, 사료, 기능성식품 등으로 가공할 때 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건조관(62)과 제2건조관(72)을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불가사리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제1건조관(62)과 제2건조관(72)의 단부측에 공급 및 배출통(200)를 설치함으로써 불가사리의 공급과 냄새의 배출을 동시에 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한다.
또한, 분쇄된 불가사리가 최종 배출되는 제2건조관(72)의 단부에 불가사리의 배출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열풍을 제공하는 버너(300)를 설치함으로써, 증기 및 냄새가 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제1건조관(62)으로부터 제2건조관(72)측으로 낙하되는 분쇄된 불가사리 및 제2건조관(72)내의 불가사리의 건조를 보다 더 신속하게 한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의 정면도,
도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4는 분쇄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건조관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먼저,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는 투입호퍼(10), 제1 이송부(20), 연결부(17), 가이드관(30), 분쇄기(40), 제2 이송부(50), 제1 건조기(60), 제2 건조기(70),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80), 및 제2 이송컨베이어(9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호퍼(10)는 수집된 불가사리가 투입되는 공간으로, 불가사리가 투입되는 투입구(11)와 투입된 불가사리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호퍼(10)의 하면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경사진 경사면(13)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구(12)의 상측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투입스크류(15)가 배치된다. 상기 투입스크류(15)는 제1 모터(14)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투입스크류(15)는 상기 투입호퍼(10) 내에 수용된 불가사리를 배출구(12)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이송부(20)는,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 불가사리를 분쇄기(40) 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 이송부(20)는 제1 이송관(21)과, 제1 이송컨베이어(22)와, 제1 이송모터(2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이송관(21)은 상기 배출구(12)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송관(21)은 상기 배출구(12)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기울어져 연장된다.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22)는 상기 제1 이송관(21) 내부에 배치되어 불가사리를 제1 이송관(21)을 따라 상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 이송모터(23)는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22)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22)는 그 양단부에 배치되는 제1,2 축(101,10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이송컨베이어(22)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장력조절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장력조절부(100)는 지지브라켓(103), 가이드브라켓(104), 및 가압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브라켓(103)은 상기 제1,2 축(101,10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브라켓(103)은 상기 제1 축(101)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104)은 상기 지지브라켓(103)을 가이드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지지브라켓(103)은 상기 가이드브라켓(10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압부(105)는 상기 지지브라켓(103)을 상기 제1 축과 제2 축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이송컨베이어(22)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105)는 상기 지지브라켓(103)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가이드브라켓(104)을 관통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말단에서 제1,2 축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너트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17)는 상기 배출구(12) 및 제1 이송관(21)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7)의 일단부는 상기 배출구(1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이송관(21)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7)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배출구(12)에 끼인 이물질 등의 제거가 용이하다. 상기 배출구(12)의 직상측에는 투입스크류(15)가 배치되므로 투입스크류(15)를 투입호퍼(1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배출구(12)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30)은 상기 제1 이송관(21)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이송스크류(22)에 의해 상기 제1 이송관(21)의 일단부로 이송된 불가사리는 상기 가이드관(30)을 따라 그 자중에 의해 낙하한다.
상기 분쇄기(40)는 불가사리를 분쇄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관(3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기(40)는 분쇄축(411)과 분쇄날(412)을 갖는 분쇄부(41)가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상기 분쇄기(40)는 제2 모터(43)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는다. 서로 마주한 상기 분쇄부(41)의 분쇄날(412)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회전함으로써 회전시 불가사리를 분쇄한다.
상기 분쇄날(412)은 제1 분쇄날(412a)와 제2 분쇄날(41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분쇄날(412a)는 상기 분쇄축(411)에 서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분쇄날(412a)은 상기 분쇄축(411)의 축선에 대하여 비스듬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분쇄날(412b)는 상기 제1 분쇄날(412a)과 이격되되 제1 분쇄날(412a)과 평행하지 않게 배치된다. 상기 제2 분쇄날(412b) 또한 상기 분쇄축(411)의 축선에 대하여 비스듬이 배치되지만, 상기 제1 분쇄날(412a)과 상기 제2 분쇄날(412b)을 연장하면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2 분쇄날(421b)과 상기 분쇄축(411)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 분쇄날(412a)과 분쇄축(411)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게 되고, 상기 제2 분쇄날(412b)은 불가사리를 제1 분쇄날(412a)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분쇄날(412b)는 상기 가이드관(30)의 하측에 배치되는데, 이는 상기 가이드관(30)을 통해 낙하한 불가사리를 최초 분쇄함과 동시에 제1 분쇄날(412a)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해서 제2 분쇄날(412b)을 상기 제1 분쇄날(412a)보다 더 기울여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2 이송부(50)는 상기 분쇄기(40)에 의해 분쇄된 불가사리를 제1 건조기(60) 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2 이송부(50)는 제2 이송관(51), 제2 이송스크류(52), 제2 이송모터(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이송관(51)은 상기 분쇄기(40)에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쇄기(40)로부터 분쇄된 불가사리는 분쇄기(40)의 하측으로 낙하하여 제2 이송관(51)에 수집된다.
상기 제2 이송스크류(52)는 분쇄된 불가사리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2 이송모터(53)는 상기 제2 이송스크류(52)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2 이송스크류(52)는 분쇄된 불가사리를 상기 제2 이송관(51)을 따라 상측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기(40)와 제2 이송관(51) 사이에는 투명창(110)이 구비된다. 상기 투명창(110)을 통하여 상기 분쇄기(40)에 의해 분쇄된 불가사리의 상태(불가사리의 분쇄여부 또는 분쇄된 불가사리의 크기의 적정 여부 등)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건조기(60)는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건조기(60)는 제1 챔버(61), 제1 건조관(62), 제3 이송스크류(63), 제1 공급부(64), 및 제1 배출부(6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챔버(61)는 상기 제2 이송부(50)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1 건조관(62)은 상기 제1 챔버(61) 내에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3 이송스크류(63)는 상기 제1 건조관(62)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시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 공급부(64)는 상기 제1 건조관(62)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공급부(64)는 두개 마련되며, 상기 제1 공급부(64)를 통하여 열풍공급기(미도시)가 열풍을 공급한다.
상기 제1 배출부(65)는 상기 제1 건조관(62)의 악취 및 먼지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제1 배출부(65)는 상기 제1 공급부(64)에 의해 공급된 열풍이 분쇄된 불가사리를 건조시킬 때 발생되는 수증기와 그 수증기에 포함된 악취 및 먼지를 배출시킨다.
상기 제2 건조기(70)는 상기 제1 건조기(60)를 경유한 불가사리를 2회 건조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2 건조기(70)는 상기 제1 건조기(60)과 마찬가지로 제2 챔버(71), 제2 건조관(72), 제4 이송스크류(73), 제2 공급부(74), 및 제2 배출부(7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챔버(71)는 상기 제1 챔버(61)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2 건조관(72)은 상기 제2 챔버(71) 내에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4 이송스크류(73)는 상기 제2 건조관(72)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시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2 공급부(74)는 상기 제2 건조관(72)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공급부(74)는 두 개 마련되며, 상기 제2 공급부(74)를 통하여 열풍공급기(미도시)가 열풍을 공급한다. 열풍공급기는 상기 제1 공급부(64)와 상기 제2 공급부(74)에 동시에 열풍을 공급한다. 물론, 별도의 열풍공급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부(75)는 상기 제2 건조관(72)의 악취 및 먼지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제2 배출부(75)는 상기 제2 공급부(74)에 의해 공급된 열풍이 분쇄된 불가사리를 건조시킬 때 발생되는 수증기와 그 수증기에 포함된 악취 및 먼지를 배출시킨다.
상기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80)는 상기 제1,2 배출부(65,75)와 연결되어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악취 및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 배출부(65,75)는 각각 두 개 씩 마련되고, 상기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80)는 상기 제1,2 배출부(65,75)와 연결되는 결합부(81)를 4개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90)는 상기 제2 건조기(70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분쇄 후 건조된 불가사리를 배출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는 불가사리의 자원화를 가능케 한다. 종래 매립 또는 소각처리에 의해 불가사리를 처리하는 것에 비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는 단단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불가사리를 분쇄기(40)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쇄하고, 분쇄시 제2 분쇄날(412b)에 의해 제1 분쇄날(412a) 측으로 불가사리를 효과적으로 이송시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건조를 위해 열풍을 공급하는 동시에, 제1,2 건조관 내부의 수증기 또는 악취 및 먼지를 집집 및 악취제거장치에 의해 흡입 제거함으로써, 분쇄된 불가사리를 기능성식품, 비료, 사료 등으로 가공시 그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기여한다.
[제 2 실시예]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와 동일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한다.
특히, 상기 투입호퍼(10), 제1이송부(20), 연결부(17), 가이드관(30), 분쇄기(40), 제2이송부(50)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의 장치는 제1건조기(60)와 제2건조기(70)의 구성이 상기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기 제1건조기(60)는 열풍이 공급되는 제1챔버(61)와, 상기 제1챔버(61) 내에 일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그 일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2이송부(50)로부터 분쇄된 불가사리가 공급되는 제1건조관(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건조기(70)는 열풍이 공급되는 제2챔버(71)와, 상기 제2챔버(71) 내에 일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그 일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건조관(62)의 타단부로부터 1차 건조된 불가사리가 공급되고 그 타단부를 통하여 건조된 불가사리가 배출되는 제2건조관(7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건조관(62)과 제2건조관(72) 사이에는 공급 및 배출통(200)이 연결되는데, 그 중간은 상기 제1건조관(62)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제2건조관(72)의 일단부와 연결되어서 상기 제1건조관(62)으로부터 제2건조관(72)으로 불가사리가 공급되게 하며, 그 상단부는 개방되어서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악취 및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시키는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80)로 연결된다.
또한, 제2실시예의 장치에는 버너(300)가 더 구비되는 데, 상기 버너(300)는 상기 불가사리가 배출되는 상기 제2건조관(72)의 단부측에 마련되어서 상기 불가사리의 배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열풍을 공급시킨다.
상기 버너(300)의 열풍은 상기 제2건조관(72)내의 불가사리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수분,악취 및 먼지를 상기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80)측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제2실시예의 장치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2건조관(72)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그 양단부가 고정물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되는 제2건조관(72)의 내벽면에 붙은 분쇄된 불가사리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400)를 더 구비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2건조관(62)(72)은 각각의 양단부 외주면에 환형휠(66)(76)과 체인스프로켓(67)(77)이 고정되어서, 고정물에 고정된 지지롤러(68)(7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모터(미도시) 동력이 전달되는 체인(69)(79)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2실시예의 장치는, 제1건조관(62)과 제2건조관(72)을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불가사리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제1건조관(62)과 제2건조관(72)의 단부측에 공급 및 배출통(200)를 설치함으로써 불가사리의 공급('가'방향 으로 공급)과 냄새의 배출('나'방향으로 배출)을 동시에 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한다.
또한, 분쇄된 불가사리가 최종 배출되는 제2건조관(72)의 단부에 불가사리의 배출방향('가'방향)과 반대되는 방향('나'방향)으로 열풍을 제공하는 버너(300)를 설치함으로써, 증기 및 냄새가 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제1건조관(62)으로부터 제2건조관(72)측으로 낙하되는 분쇄된 불가사리 및 제2건조관(72)내의 불가사리의 건조를 보다 더 신속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투입호퍼 11... 투입구
12... 배출구 13... 경사면
14... 제1 모터 15... 투입스크류
17... 연결부 20... 제1 이송부
21... 제1 이송관 22... 제1 이송컨베이어
23... 제1 이송모터 30... 가이드관
40... 분쇄기 41... 분쇄부
411... 분쇄축 412... 분쇄날
412a... 제1 분쇄날 412b... 제2 분쇄날
50... 제2 이송부 51... 제2 이송관
52... 제2 이송스크류 53... 제2 이송모터
60... 제1 건조기 61... 제1 챔버
62... 제1 건조관 63... 제3 이송스크류
64... 제1 공급부 65.. 제1 배출부
70... 제2 건조기 71... 제2 챔버
72... 제2 건조관 73... 제4 이송스크류
74... 제2 공급부 75... 제2 배출부
80... 집진 및 악취제거 장치 81... 결합부
90... 제2 이송컨베이어 100... 장력조절부
101... 제1 축 102... 제2 축
103... 지지브라켓 104... 가이드브라켓
105... 가압부 110... 투명창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불가사리가 투입되는 투입구(11)와 배출되는 배출구(12)를 가지며, 하면이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배출구(12)의 상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투입스크류(15)를 갖는 투입호퍼(10);
    일단이 상기 배출구(12)에 연결되고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이송관(21)과, 상기 제1 이송관(21)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불가사리를 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제1이송모터(23)를 갖는 제1이송부(20);
    상기 배출구(12)와 제1이송관(21)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17);
    상기 제1이송관(21)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관(30);
    상기 가이드관(3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불가사리를 분쇄하는 분쇄기(40);
    상기 분쇄기(40)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가 수집되는 제2이송관(51)과, 상기 제2이송관(51)의 내부에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스크류(52)와, 상기 제2이송스크류(52)를 구동하는 제2이송모터(53)를 갖는 제2이송부(50);
    열풍이 공급되는 제1챔버(61)와, 상기 제1챔버(61) 내에 일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그 일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2이송부(50)로부터 분쇄된 불가사리가 공급되는 제1건조관(62)으로 구성되는 제1건조기(60);
    열풍이 공급되는 제2챔버(71)와, 상기 제2챔버(71) 내에 일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그 일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건조관(62)의 타단부로부터 1차 건조된 불가사리가 공급되고 그 타단부를 통하여 건조된 불가사리가 배출되는 제2건조관(72)으로 구성되는 제2건조기(70);
    그 중간이 상기 제1건조관(62)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제2건조관(72)의 일단부와 연결되어서 상기 제1건조관(62)으로부터 제2건조관(72)으로 불가사리가 공급되게 하며, 그 상단부가 개방되는 공급 및 배출통(200);
    상기 공급 및 배출통(200)의 개방된 상단부와 연결되어서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악취 및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80);
    상기 불가사리가 배출되는 상기 제2건조관(72)의 단부측에 상기 불가사리의 배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열풍을 공급시켜서, 상기 제2건조관(72)내의 불가사리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수분,악취 및 먼지를 상기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80)측으로 송출시키는 버너(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관(72)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그 양단부가 고정물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되는 제2건조관(72)의 내벽면에 붙은 분쇄된 불가사리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4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KR1020110005175A 2011-01-18 2011-01-18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KR101090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175A KR101090021B1 (ko) 2011-01-18 2011-01-18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175A KR101090021B1 (ko) 2011-01-18 2011-01-18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021B1 true KR101090021B1 (ko) 2011-12-05

Family

ID=4550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175A KR101090021B1 (ko) 2011-01-18 2011-01-18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0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02B1 (ko) * 2013-07-12 2015-06-04 나병관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KR20160021515A (ko) 2014-08-18 2016-02-26 신영연 불가사리와 유용미생물효소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양계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의 장치
KR20210132959A (ko) 2020-04-28 2021-11-05 최종원 밀폐식 불가사리 미분말 제조장치
KR102418885B1 (ko) * 2021-12-09 2022-07-08 대한민국 조사료 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조사료 건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6814A (ja) 2001-05-14 2002-11-26 Kanedai Watanabe:Kk 水産系廃棄物処理装置
KR100996719B1 (ko) * 2010-05-20 2010-11-25 정영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6814A (ja) 2001-05-14 2002-11-26 Kanedai Watanabe:Kk 水産系廃棄物処理装置
KR100996719B1 (ko) * 2010-05-20 2010-11-25 정영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02B1 (ko) * 2013-07-12 2015-06-04 나병관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KR20160021515A (ko) 2014-08-18 2016-02-26 신영연 불가사리와 유용미생물효소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양계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의 장치
KR20210132959A (ko) 2020-04-28 2021-11-05 최종원 밀폐식 불가사리 미분말 제조장치
KR102418885B1 (ko) * 2021-12-09 2022-07-08 대한민국 조사료 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조사료 건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100B1 (ko) 폐가축 처리 시스템
KR10168620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WO2009093639A1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1090021B1 (ko)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8212790A (ja) 廃棄物の処理システムおよび処理装置
CN210995775U (zh) 一种畜牧养殖区的垃圾处理装置
JP2004154624A (ja) 防臭型異物分別機
KR1008114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96719B1 (ko)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KR20060056295A (ko)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3379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15081A (ko) 불가사리 건조장치
JP2000085968A (ja) 粕類輸送システム
CN207138491U (zh) 餐厨垃圾处理设备
KR20160131464A (ko)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KR201600394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 및 분쇄기
KR20160035909A (ko) 갑각류 처리시스템
KR0144585B1 (ko) 음식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200438863Y1 (ko)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제거 장치
CN111992570A (zh) 大型厨余垃圾处理器
KR101286856B1 (ko) 음식물처리기의 이송부재 및 이를 이용한 멸균 건조장치
JP4718028B2 (ja) 生ごみ処理設備における生ごみ供給装置
KR10031165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33555A (ko) 이물질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