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719B1 -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719B1
KR100996719B1 KR1020100047660A KR20100047660A KR100996719B1 KR 100996719 B1 KR100996719 B1 KR 100996719B1 KR 1020100047660 A KR1020100047660 A KR 1020100047660A KR 20100047660 A KR20100047660 A KR 20100047660A KR 100996719 B1 KR100996719 B1 KR 100996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fish
blade
grinding
disposed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회
정영미
Original Assignee
정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미 filed Critical 정영미
Priority to KR102010004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8Use of auxiliary physical effects, e.g. ultrasonics, irradiation, for disintegrating
    • B02C19/186Use of cold or heat f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는 불가사리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하면이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투입스크류를 갖는 투입호퍼; 상기 배출구로부터 연장되는 제1 이송관과, 상기 제1 이송관의 내부에 상기 불가사리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스크류와, 상기 제1 이송스크류를 구동하는 제1 이송모터를 갖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관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불가사리를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가 수집되는 제2 이송관과, 상기 제2 이송관의 내부에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스크류와, 상기 제2 이송스크류를 구동하는 제2 이송모터를 갖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회동가능하며 회동시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건조관과, 상기 건조관과 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히터를 갖는 건조기; 및 상기 제2 이송관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악취및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Apparatus for grinding and drying starfish}
본 발명은 불가사리를 자원화하도록 분쇄 및 건조하는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불가사리에 의한 어민 피해가 빈번히 접수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어민 피해액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불가사리는 주로 전복, 가리비, 바지락 등 조개류를 먹이로 하므로 어민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불가사리를 토벌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 불가사리의 토벌은 소각처리하거나 매립처리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소각처리 및 매립처리시 상당한 비용이 들고 환경오염을 야기하므로 그 한계가 있다. 특히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2호에 의해 매립이 금지되고 있으므로 실효적인 대처방안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 불가사리는 농작물의 성장속도를 촉진하여 비료로 사용시 효과적이며, 불가사리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으로 건강보조용 칼슘제로 개발 가능하며, 기능성 보조식품으로 활용가능하며, 축산사료로도 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불가사리를 소각 또는 매립처리하는 것에서 벗어나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불가사리를 비료, 사료, 기능성보조식품 등으로 활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수집된 불가사리를 분쇄 및 건조시키는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는, 불가사리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하면이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투입스크류를 갖는 투입호퍼; 상기 배출구로부터 연장되는 제1 이송관과, 상기 제1 이송관의 내부에 상기 불가사리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스크류와, 상기 제1 이송스크류를 구동하는 제1 이송모터를 갖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관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불가사리를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가 수집되는 제2 이송관과, 상기 제2 이송관의 내부에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스크류와, 상기 제2 이송스크류를 구동하는 제2 이송모터를 갖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회동가능하며 회동시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건조관과, 상기 건조관과 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히터를 갖는 건조기; 및 상기 제2 이송관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악취및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기는, 제1 축 상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며 제1 톱니부가 형성된 제1 분쇄날과, 상기 제1 분쇄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쇄날과 같은 속도로 회전하며 제2 톱니부가 형성된 제2 분쇄날을 갖는 제1 분쇄부와; 상기 제1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축 상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고 제3 톱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분쇄날과 맞물려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분쇄날과, 상기 제3 분쇄날 사이에 배치되고 제4 톱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분쇄날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4 분쇄날을 갖는 제2 분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3,4 톱니부에는 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파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는 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3 분쇄날의 회전시, 상기 제1 톱니부의 파지돌기는 상기 제3 톱니부의 파지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3 톱니부의 파지돌기는 상기 제1 톱니부의 파지홈에 끼워지며, 상기 제2,4 분쇄날의 회전시, 상기 제2 톱니부의 파지돌기는 상기 제4 톱니부의 파지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4 톱니부의 파지돌기는 상기 제2 톱니부의 파지홈에 끼워지며, 상기 제1 분쇄날의 제1 톱니부와 상기 제2 분쇄날의 제2 톱니부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분쇄날의 제3 톱니부와 상기 제4 분쇄날의 제4 톱니부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건조관은 그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나선형의 이송날개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날개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1 날개와 상기 제1 날개의 맞은편에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2 날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날개의 길이는 상기 제2 날개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날개 및 제2 날개를 연결하는 가상선은 나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투입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불가사리를 커팅하는 커팅기가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그 외주면을 관통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흘러나온 물이 수집되는 물받이가 구비되며, 상기 커팅기는, 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전축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원판형의 제1 커팅날을 갖는 제1 커팅부와,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회전축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 커팅날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판형의 제2 커팅날을 갖는 제2 커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커팅날은 상기 제1 커팅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과의 거리는 상기 제1 커팅날의 반경과 상기 제2 커팅날의 반경의 합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 장치는, 종래 소각 또는 매립에 의해 처리된 불가사리를 자원화할 수 있도록 한다. 불가사리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건조장치를 거친 후, 비료, 사료, 기능성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소각 또는 매립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소각 또는 매립에 의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며, 불가사리의 자원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분쇄기에 의해 비교적 단단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불가사리를 효과적으로 분쇄한다. 상기 분쇄기는 제1,2 분쇄날과, 상기 제1 분쇄날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3 분쇄날, 상기 제2 분쇄날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4 분쇄날을 구비한다.
따라서, 불가사리는 제1,3 분쇄날이 맞물릴 때와, 제2,4 분쇄날이 맞물릴 때 분쇄된다. 또한 제1,2 분쇄날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제3,4 분쇄날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므로, 제1,2 분쇄날의 인접면과 제3,4 분쇄날의 인접면에서 분쇄가 이루어져 불가사리를 효과적으로 분쇄한다.
또한, 분쇄 후,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에 의해 불가사리에 포함된 악취 및 먼지가 제거되므로, 비료, 사료, 기능성식품 등으로 가공할 때 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의 단면도,
도2는 분쇄기의 제1 분쇄부의 사시도,
도3은 분쇄기의 정면도,
도4는 건조관의 내부사시도,
도5는 배출관의 사시도,
도6은 커팅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는 투입호퍼(10), 제1 이송부(20), 가이드관(30), 분쇄기(40), 제2 이송부(50), 건조기(60), 및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7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호퍼(10)는 수집된 불가사리가 투입되는 공간으로, 불가사리가 투입되는 투입구(11)와 투입된 불가사리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호퍼(10)의 하면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경사진 경사면(13)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구(12)의 상측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투입스크류(15)가 배치된다. 상기 투입스크류(15)는 제1 모터(14)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투입스크류(15)는 상기 투입호퍼(10) 내에 수용된 불가사리를 배출구(12)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이송부(20)는,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 불가사리를 분쇄기(40) 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 이송부(20)는 제1 이송관(21)과, 제1 이송스크류(22)와, 제1 이송모터(2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이송관(21)은 상기 배출구(12)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송관(21)은 상기 배출구(12)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기울어져 연장된다.
상기 제1 이송스크류(22)는 상기 제1 이송관(21) 내부에 배치되어 불가사리를 제1 이송관(21)을 따라 상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 이송모터(23)는 상기 제1 이송스크류(22)를 구동시킨다.
상기 가이드관(30)은 상기 제1 이송관(21)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이송스크류(22)에 의해 상기 제1 이송관(21)의 일단부로 이송된 불가사리는 상기 가이드관(30)을 따라 그 자중에 의해 낙하한다.
상기 분쇄기(40)는 불가사리를 분쇄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관(3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분쇄기(40)는 제1 분쇄부(41)와 제2 분쇄부(42)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기(40)는 제2 모터(43)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는다.
도2는 분쇄기(40)의 제1 분쇄부(41)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제1 분쇄부(41) 및 제2 분쇄부(42)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분쇄부(41)는 제1 축(41a) 상에 배치된 제1 분쇄날(411)과 제2 분쇄날(4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분쇄날(411)은 제1 축(41a) 상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고, 제1 톱니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분쇄날(412)은 상기 제1 분쇄날(41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쇄날(411)과 같은 속도로 회전하며 제2 톱니부(4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분쇄부(42)는 제2 축(42a) 상에 배치된 제3 분쇄날(421)과 제4 분쇄날(42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축(42a)은 상기 제1 축(41a)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3 분쇄날(421)은 제2 축(42a) 상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고 제3 톱니부(423)가 형성된다. 상기 제3 분쇄날(421)은 상기 제1 분쇄날(411)과 맞물려 제1 분쇄날(411)과 동일한 속도로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4 분쇄날(422)은 상기 제3 분쇄날(421) 사이에 배치되고 제4 톱니부(4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 분쇄날(422)은 상기 제2 분쇄날(412)과 맞물려 상기 제2 분쇄날(412)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따라서 상기 제3 분쇄날(421)과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제1,2,3,4 톱니부(413,416,423,424)에의 일면에는 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파지돌기(414)가 형성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는 파지홈(4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3 분쇄날(411,421)이 서로 맞물려 회전될 때, 상기 제1 톱니부(413)의 파지돌기(414)는 상기 제3 톱니부(423)의 파지홈(415)에 끼워지고, 상기 제3 톱니부(423)의 파지돌기(414)는 상기 제1 톱니부(413)의 파지홈(415)에 끼워진다. 상기 제1 분쇄날(411) 및 상기 제3 분쇄날(421)이 서로 맞물릴 때, 불가사리가 파지돌기(414) 및 파지홈(415)에 의해 파지되어 펀칭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4 분쇄날(412,422)이 서로 맞물려 회전될 때, 상기 제2 톱니부(416)의 파지돌기(414)는 상기 제4 톱니부(424)의 파지홈(415)에 끼워지고, 상기 제4 톱니부(424)의 파지돌기(414)는 상기 제2 톱니부(416)의 파지홈(415)에 끼워진다. 상기 제2 분쇄날(412) 및 상기 제4 분쇄날(422)이 서로 맞물린 때 또한, 불가사리가 파지돌기(414) 및 파지홈(415)에 의해 파지되어 펀칭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분쇄날(411) 및 상기 제2 분쇄날(412)은 서로 교번적으로 반복 배치되고, 서로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제1 분쇄날(411)에 맞물리는 제3 분쇄날(421)과 상기 제2 분쇄날(412)에 맞물리는 제4 분쇄날(422) 또한 서로 교번적으로 반복배치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분쇄날(411)의 제1 톱니부(413)와 상기 제2 분쇄날(412)의 제2 톱니부(416)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분쇄날(421)의 제3 톱니부(423)와 상기 제4 분쇄날(422)의 제4 톱니부(424)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따라서, 불가사리는 제1,3 분쇄날(411,421)에 의해 파지되어 제1,3 분쇄날(411,421)이 맞물릴 때 분쇄되고, 또한 상기 제2,4 분쇄날(412,422)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제2,4 분쇄날(412,422)이 맞물릴 때 분쇄된다.
또한, 인접된 제1,2 톱니부(413,416)는 서로 어긋나 있고, 제3,4 톱니부(423,424)는 서로 어긋나 있으므로, 제1 분쇄날(411)과 제2 분쇄날(412)의 인접면에서 분쇄되고, 제3 분쇄날(421)과 제4 분쇄날(422)의 인접면에서 분쇄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3 분쇄날(411,421)에 의한 펀칭효과 및 상기 제2,4 분쇄날(412,422)에 의한 펀칭효과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불가사리가 분쇄되게 된다. 상기 분쇄기(40)에 의해 불가사리는 1~2cm 정도의 크기로 분쇄된다.
상기 제2 이송부(50)는 상기 분쇄기(40)에 의해 분쇄된 불가사리를 건조기(60) 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2 이송부(50)는 제2 이송관(51), 제2 이송스크류(52), 제2 이송모터(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이송관(51)은 상기 분쇄기(40)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쇄기(40)로부터 분쇄된 불가사리는 분쇄기(40)의 하측으로 낙하하여 제2 이송관(51)에 수집된다.
상기 제2 이송스크류(52)는 분쇄된 불가사리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2 이송모터(53)는 상기 제2 이송스크류(52)를 구동시킨다.
상기 건조기(60)는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건조기(60)는 챔버(61), 건조관(62), 및 히터(63)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61)는 상기 제2 이송부(50)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건조관(62)은 상기 챔버(61) 내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 모터(64)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히터(63)는 상기 건조관(62)과 챔버(61) 사이에 배치되며, 건조관(62)을 통해 이송되는 분쇄 불가사리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히터(63)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건조관(62)은 그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나선형의 이송날개(621)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날개(621)는 복수의 제1 날개(622)와, 복수의 제2 날개(623)를 포함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날개(622)는 건조관(62)의 내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된다. 상기 제2 날개(623)는 상기 제1 날개(622)과 마주하여 그 맞은편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 날개(622)의 길이는 상기 제2 날개(623)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1 날개(622)와 상기 제2 날개(623)를 연결하는 가상선은 나선을 이룬다. 즉, 이송날개(621)는 상기 건조관(62)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제1 날개(622)와 제2 날개(623)가 교대로 반복적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건조관(62)의 내주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내주면으부터 돌출된 걸림턱(62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턱(624)은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날개(622)의 사이, 및 서로 이격된 상기 제2 날개(623)의 사이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된다.
상기 걸림턱(624)은 상기 건조관(62)이 회전되면서 분쇄 불가사리가 일방향으로 이송될 때 그 분쇄 불가사리를 이송날개(621)와 함께 섞어주게 된다. 따라서, 이송날개(621)에 의해 불가사리가 원할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70)는 상기 제2 이송관(51)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쇄된 불가사리가 건조기(60) 내로 투입되기 전에, 불가사리에 포함된 악취 및 먼지는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70)에 의해 흡입되어 제거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는, 커팅기(80) 및 물받이(90)가 더 구비되고, 배출구(12)의 외주면에는 배출공(121)이 형성된다.
상기 커팅기(80)는 상기 투입호퍼(10)로부터 배출되는 불가사리를 1차적으로 커팅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배출공(121)은 상기 커팅기(80)에 의해 커팅된 불가사리가 함유한 수분을 배출구(12)의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12)의 하측에는 상기 배출공(121)을 통하여 흘러나온 물이 수집되는 물받이(90)가 구비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기(80)는 제1 커팅부(83)와 제2 커팅부(8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팅부(83)는 제1 회전축(81)과 제1 커팅날(81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축(81)은 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커팅날(811)은 상기 제1 회전축(81)에 서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커팅날(811)은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커팅부(84)는 제2 회전축(82)과 제2 커팅날(82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회전축(82)은 상기 제1 회전축(81)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커팅날(821)은 상기 제2 회전축(82)에 서로 이격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커팅날(821)은 상기 제1 커팅날(811)과 마찬가지로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커팅날(821)은 상기 제1 커팅날(81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회전축(81) 및 상기 제2 회전축(82)과의 거리(D)는 상기 제1 커팅날(811)의 반경 과 상기 제2 커팅날(821)의 반경의 합보다 작다. 즉 상기 제1 커팅날(811)과 제2 커팅날(821)의 일부면은 평면도 상에서 중첩된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는 불가사리의 자원화를 가능케 한다. 종래 매립 또는 소각처리에 의해 불가사리를 처리하는 것에 비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는 단단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불가사리를 제1,2 분쇄부(41,42)의 상호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쇄한다.
또한, 집집 및 악취제거장치에 의해 먼지 및 악취가 제거되므로, 분쇄된 불가사리를 기능성식품, 비료, 사료 등으로 가공시 그 가공품의 품질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건조기(60)를 통과할 때, 이송날개(621) 및 걸림턱(624)에 의해 분쇄 불가사리가 서로 섞이게 되므로, 히터(63)의 열이 분쇄 불가사리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건조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투입호퍼 11... 투입구
12... 배출구 121... 배출공
13... 경사면 14... 제1 모터
15... 투입스크류 20... 제1 이송부
21... 제1 이송관 22... 제1 이송스크류
23... 제1 이송모터 30... 가이드관
40... 분쇄기 41... 제1 분쇄부
42... 제2 분쇄부 43... 제2 모터
411... 제1 분쇄날 412... 제2 분쇄날
421... 제3 분쇄날 422... 제4 분쇄날
414... 파지돌기 415... 파지홈
50... 제2 이송부 51... 제2 이송관
52... 제2 이송스크류 53... 제2 이송모터
60... 건조기 61... 챔버
62... 건조관 63... 히터
621... 이송날개 622.. 제1 날개
623... 제2 날개 624... 걸림턱
70... 집진 및 악취제거 장치 80... 커팅기
81... 제1 회전축 82... 제2 회전축
811... 제1 커팅날 821... 제2 커팅날

Claims (4)

  1. 불가사리가 투입되는 투입구(11)와 배출되는 배출구(12)를 가지며, 하면이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배출구(12)의 상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투입스크류(15)를 갖는 투입호퍼(10);
    상기 배출구(12)로부터 연장되는 제1 이송관(21)과, 상기 제1 이송관(21)의 내부에 상기 불가사리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스크류(22)와, 상기 제1 이송스크류(22)를 구동하는 제1 이송모터(23)를 갖는 제1 이송부(20);
    상기 제1 이송관(21)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관(30);
    상기 가이드관(3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불가사리를 분쇄하는 분쇄기(40);
    상기 분쇄기(40)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가 수집되는 제2 이송관(51)과, 상기 제2 이송관(51)의 내부에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스크류(52)와, 상기 제2 이송스크류(52)를 구동하는 제2 이송모터(53)를 갖는 제2 이송부(50);
    상기 제2 이송부(5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챔버(61)와, 상기 챔버(61) 내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회동가능하며 회동시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건조관(62)과, 상기 건조관(62)과 챔버(61) 사이에 배치되는 히터(63)를 갖는 건조기(60); 및
    상기 제2 이송관(51)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쇄된 불가사리에 포함된 악취 및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집진 및 악취제거장치(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40)는, 제1 축(41a) 상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제1 톱니부(413)가 형성된 제1 분쇄날(411)과, 상기 제1 분쇄날(41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쇄날(411)과 같은 속도로 회전하며 제2 톱니부(416)가 형성된 제2 분쇄날(412)을 갖는 제1 분쇄부(41)와; 상기 제1 축(41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축(42a) 상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고 제3 톱니부(423)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분쇄날(411)과 맞물려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분쇄날(421)과, 상기 제3 분쇄날(421) 사이에 배치되고 제4 톱니부(424)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분쇄날(412)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4 분쇄날(422)을 갖는 제2 분쇄부(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3,4 톱니부(413,416,423,424)에는 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파지돌기(414)가 형성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는 파지홈(415)이 형성되며,
    상기 제1,3 분쇄날(411,421)의 회전시, 상기 제1 톱니부(413)의 파지돌기(414)는 상기 제3 톱니부(423)의 파지홈(415)에 끼워지고, 상기 제3 톱니부(423)의 파지돌기(414)는 상기 제1 톱니부(413)의 파지홈(415)에 끼워지며,
    상기 제2,4 분쇄날(412,421)의 회전시, 상기 제2 톱니부(416)의 파지돌기(414)는 상기 제4 톱니부(424)의 파지홈(415)에 끼워지고, 상기 제4 톱니부(424)의 파지돌기(414)는 상기 제2 톱니부(416)의 파지홈(415)에 끼워지며,
    상기 제1 분쇄날(411)의 제1 톱니부(413)와 상기 제2 분쇄날(412)의 제2 톱니부(416)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분쇄날(421)의 제3 톱니부(423)와 상기 제4 분쇄날(422)의 제4 톱니부(424)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관(62)은 그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나선형의 이송날개(621)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날개(621)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1 날개(622)와 상기 제1 날개(622)의 맞은편에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제2 날개(6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날개(622)의 길이는 상기 제2 날개(623)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날개(622) 및 제2 날개(623)를 연결하는 가상선은 나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호퍼(1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불가사리를 커팅하는 커팅기(80)가 상기 배출구(12)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12)에는 그 외주면을 관통하는 배출공(121)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의 하측에는 상기 배출공(121)을 통하여 흘러나온 물이 수집되는 물받이(90)가 구비되며,
    상기 커팅기(80)는, 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전축(81)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원판형의 제1 커팅날(811)을 갖는 제1 커팅부(83)와, 상기 제1 회전축(8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회전축(82)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 커팅날(811)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판형의 제2 커팅날(821)을 갖는 제2 커팅부(8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커팅날(821)은 상기 제1 커팅날(81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축(81) 및 상기 제2 회전축(82)과의 거리는 상기 제1 커팅날(811)의 반경과 상기 제2 커팅날(821)의 반경의 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KR1020100047660A 2010-05-20 2010-05-20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KR100996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660A KR100996719B1 (ko) 2010-05-20 2010-05-20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660A KR100996719B1 (ko) 2010-05-20 2010-05-20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719B1 true KR100996719B1 (ko) 2010-11-25

Family

ID=4341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660A KR100996719B1 (ko) 2010-05-20 2010-05-20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7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021B1 (ko) * 2011-01-18 2011-12-05 나병관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CN104383995A (zh) * 2014-10-10 2015-03-04 广西南宁北部湾现代农业有限公司 茉莉花杆粉碎为有机食用菌生产原料的方法及设备
CN110280364A (zh) * 2019-07-18 2019-09-27 马鞍山纽盟知识产权管理服务有限公司 一种高效磨粉机
CN112044517A (zh) * 2020-08-27 2020-12-08 高晨博 一种环境工程用具有除尘结构的固体废弃物处理设备
KR20210132959A (ko) 2020-04-28 2021-11-05 최종원 밀폐식 불가사리 미분말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669B1 (ko) 1998-04-28 2001-03-02 김영주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2007307472A (ja) 2006-05-18 2007-11-29 Tetsuo Tachibana 破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669B1 (ko) 1998-04-28 2001-03-02 김영주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2007307472A (ja) 2006-05-18 2007-11-29 Tetsuo Tachibana 破砕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021B1 (ko) * 2011-01-18 2011-12-05 나병관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CN104383995A (zh) * 2014-10-10 2015-03-04 广西南宁北部湾现代农业有限公司 茉莉花杆粉碎为有机食用菌生产原料的方法及设备
CN110280364A (zh) * 2019-07-18 2019-09-27 马鞍山纽盟知识产权管理服务有限公司 一种高效磨粉机
KR20210132959A (ko) 2020-04-28 2021-11-05 최종원 밀폐식 불가사리 미분말 제조장치
CN112044517A (zh) * 2020-08-27 2020-12-08 高晨博 一种环境工程用具有除尘结构的固体废弃物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719B1 (ko)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JP5325425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1744700B1 (ko)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폐기물 처리시스템
JP5576254B2 (ja) 破砕選別装置
KR10187705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KR101546899B1 (ko) 건고추 분쇄 장치
KR100892308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탈수장치
KR101599989B1 (ko) 슬러지 발효 건조장치
JP2004154624A (ja) 防臭型異物分別機
KR101607094B1 (ko) 유압전단식 분쇄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7005671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12106185A (ja) 廃棄物の破砕分別装置
KR101204601B1 (ko) 폐사 어류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생산장치
KR101675756B1 (ko) 상이한 방향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090021B1 (ko)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87417A (ko) 목재 파쇄기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2779149U (zh) 一种餐厨垃圾除杂制浆一体机
CN108855478A (zh) 餐厨垃圾处理装置
KR101539626B1 (ko) 폐사 또는 살처분된 가축 슬러리의 분쇄장치
JP4718028B2 (ja) 生ごみ処理設備における生ごみ供給装置
KR200365107Y1 (ko) 다용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083791B1 (ko)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용 이송장치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