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899B1 - 건고추 분쇄 장치 - Google Patents

건고추 분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899B1
KR101546899B1 KR1020150031379A KR20150031379A KR101546899B1 KR 101546899 B1 KR101546899 B1 KR 101546899B1 KR 1020150031379 A KR1020150031379 A KR 1020150031379A KR 20150031379 A KR20150031379 A KR 20150031379A KR 101546899 B1 KR101546899 B1 KR 101546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pepper
gear
gears
sun gea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광식
김은숙
남승화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경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경
Priority to KR102015003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0Disintegrating by 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고추 분쇄 장치는 그 내부에 절단부에서 잘라진 건고추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한편 그 저면에는 상기 수용된 건고추가 배출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차에 치합되는 복수 개의 위성기어와, 상기 복수 개의 위성기어의 치차에 치합되는 인터널 링기어와, 상기 복수 개의 위성기어의 회전축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위성기어 사이의 견격을 유지시키는 캐리어와, 상기 선기어에 대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링기어를 고정하는 바닥판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선기어 및 위성기어의 저면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링기어와 바닥판 사이에는 복수 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분쇄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분쇄부를 통해 건고추를 잘게 찢어내어 고추 내부 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도록 함으로써 이제까지 기계적 절단 과정으로 만들어진 고추 가루에서 부족하게 느껴졌던 고추 고유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고추 분쇄 장치{Grinding machine for making dried red pepper powder}
본 발명은 건고추 분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적인 맷돌 방식을 응용한 분쇄부를 통해 건고추를 잘게 찢어내어 고추 내부 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도록 함으로써 이제까지 기계적 절단 과정으로 만들어진 고추 가루에서 부족하게 느껴졌던 고추 고유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고추 분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추는 한국인이 애용하는 향신료로서 각종 양념에 사용하는 작물이며, 생으로 사용하는 것은 물론 건조시킨 후 가루로 만들어 얼큰한 음식을 만들기 위한 양념재료나 또는 고추장을 담는데 첨가하여 사용한다.
고추가루를 대량으로 만들기 위해 각종 분쇄 장치를 사용하는 기술이 널리 개발되어 왔는데,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분쇄 장치는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 또는 분쇄날이 달린 한 쌍의 롤러 안으로 건고추를 투입하여 기계적인 절단력을 통해 고추를 잘게 분쇄하며, 이러한 과정을 원하는 입도(粒度)의 고추가루를 얻을 때까지 몇 차례 반복하는 것이다(특허문헌 1).
그러나, 기계적인 절단력으로만 고추가루를 만들게 되면 절단면이 예리하기 때문에 건고추를 찢거나 으깨어 만들 때보다 고추 내부 성분이 덜 추출되기 때문에 고추 고유의 풍미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절구통 안에 투입된 고추를 전동으로 구동되는 공이로 찧어서 고추 내부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도록 만드는 기술도 소개되고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전동식 방아 장치는 절구와 공이가 서로 충돌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소음과 충격이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더욱이 절구통 안에 투입된 고추를 가루로 만들기까지는 더 이상 고추를 투입하지 못하고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신속하게 고추가루를 만들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51557호 (2013.02.21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118156호 (2013.10.2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통적인 맷돌 방식을 응용한 분쇄부를 통해 건고추를 잘게 찢어내어 고추 내부 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도록 함으로써 이제까지 기계적 절단 과정으로 만들어진 고추 가루에서 부족하게 느껴졌던 고추 고유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고추 분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맷돌 방식의 분쇄부에서 고추가루를 만드는 과정에서 일부 생기는 뭉친 고추가루를 효과적으로 풀 수 있고, 분쇄 과정에서 혼입되는 미량의 금속가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건고추 분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고추 분쇄 장치는, 건고추가 투입되는 호퍼가 상측에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각각 복수의 절단날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절단 롤러를 복수 개 구비하며, 상기 각 절단 롤러는 그 일단에 구비된 기어가 상호 치합되어 제1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되고, 상기 각 절단 롤러는 인접한 절단 롤러의 절단날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상호 인접한 절단날 사이에 작용하는 절단력으로 상기 건고추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내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잘라진 건고추가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유도하는 슈트와, 상기 슈트의 말단과 연결되어 그 내부에는 상기 잘라진 건고추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한편 그 저면에는 상기 수용된 건고추가 배출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차에 치합되는 복수 개의 위성기어와, 상기 복수 개의 위성기어의 치차에 치합되는 인터널 링기어와, 상기 복수 개의 위성기어의 회전축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위성기어 사이의 견격을 유지시키는 캐리어와, 상기 선기어에 대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링기어를 고정하는 바닥판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선기어 및 위성기어의 저면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링기어와 바닥판 사이에는 복수 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분쇄부;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쇄된 건고추가 비자성체인 이송관으로 날아 들어가도록 바람을 불어내는 송풍 팬;과,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동된 상기 분쇄된 건고추를 저장하는 수납부; 및 상기 이송관의 외측을 따라 설치된 전자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위성기어의 상면은 원뿔 또는 각뿔 형태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관은 상기 수납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이송관 입구의 상측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는 상기 이송관 입구로부터 하향 경사진 경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는 전면의 높이방향으로 그 중간지점에 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부를 회동시켰을 때 상기 수납부의 전면이 하향 경사져서 그 내부에 저장된 분쇄된 건고추가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고추 분쇄 장치에 구비된 분쇄부는 자전하면서 공전하는 유성기어가 절단부에서 잘라진 건고추를 연속적으로 빠르게 고추가루로 분쇄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맷돌은 물론 전동식 방아장치에 비해 매우 효과적으로 고추가루를 만들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쇄부에서 만들어진 고추가루가 내부 성분의 추출에 의해 일부 뭉치더라도 송풍 팬의 강한 바람으로 날려서 수납부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충분히 풀리게 되며, 또한 고추가루를 바람에 날려 충분히 흩트림으로써 고추가루 사이에 묻혀 있는 금속가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고추 분쇄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분쇄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절개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건고추 분쇄 장치에서 수납부가 힌지부를 기점으로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또한 도면을 참조할 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이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고추 분쇄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고추 분쇄 장치(10)는 건고추의 일련의 분쇄과정을 따라 크게 나누어 절단부(100), 분쇄부(200), 송풍 팬(300), 수납부(400)로 이루어진다.
절단부(100)는 맨 처음에 건고추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내는 부분으로서, 건고추가 투입되는 호퍼(110)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호퍼(110)의 아래쪽에는 그 외주연에 각각 복수의 절단날(12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절단 롤러(120)가 복수 개 구비된다.
복수 개의 절단 롤러(120) 각각은 그 일단에 구비된 기어가 상호 치합되어 제1 구동모터(130)에 의해 연동되며, 각 절단 롤러(120)는 인접한 절단 롤러(120)의 절단날(122)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상호 인접한 절단날(122) 사이에 절단력이 작용하여 호퍼(110)를 통해 투입된 건고추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낸다.
참고로 복수 개의 절단 롤러(120)는 모두 기어로 연동되기 때문에 건고추를 아래로 당기면서 절단하는 한 쌍의 절단 롤러(120) 옆에는 반대로 회전하는 절단 롤러(120)가 생기지만, 반대로 회전하는 절단 롤러(120)에서 밀려나온 건고추는 바로 옆의 절단 작용을 하는 절단 롤러(120)로 들어가기 때문에 절단 작업에 별다른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위와 같은 절단부(100)는 특허문헌 1을 포함하는 다수의 선행기술을 통해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와 같이 회전하는 롤러를 통해 건고추를 절단하는 구조라면 절단날(122)이 없는 롤러인 경우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절단부(100)를 통해 소정의 크기로 잘라진 건고추는 슈트(210)를 통해 이동하여 분쇄부(200)로 이송되는데, 본 발명의 분쇄부(200)는 전통적인 맷돌 방식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한 것으로서 일종의 유성기어 구조를 접목시킨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가진 분쇄부(200)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절단부(100)를 통해 잘라진 건고추가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유도하는 슈트(210)의 말단에는 그 내부에 이송된 건고추 단편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한편 그 저면에는 수용된 건고추가 배출되는 관통구(222)가 형성된 선기어(220)가 연결된다.
그리고, 복수 개, 예를 들면 도시된 것과 같이 3개의 위성기어(230)는 선기어(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차 및 선기어(220)와 위성기어(230)를 모두 감싸는 원형의 인터널 링기어(2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치차에 동시에 치합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위성기어(230)에 각각 형성된 회전축(262)에는 그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되면서 위성기어(230) 사이의 견격을 유지시키는 캐리어(250)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선기어(220)가 회전하게 되면 복수 개의 위성기어(230)는 자전을 하는 동시에 선기어(220)의 외주면과 인터널 링기어(240)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게 된다.
또한, 선기어(220)와 위성기어(230)의 저면과 마주보는 바닥판(260)은 선기어(220)에 대한 회전축(262)이 돌출되도록 구비하는 한편 인터널 링기어(240)를 고정시키는데, 여기서 인터널 링기어(240)와 바닥판(260)을 연결하는 원주면을 따라서는 복수 개의 배출구(28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열된 선기어(220)와 위성기어(230)의 저면 및 이와 대면하는 바닥판(26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27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판(260)에 구비된 회전축(262)을 매개로 선기어(220)와 제2 구동모터(264)가 연결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분쇄부(200)에 의하면, 절단부(100)를 통해 잘라진 건고추가 슈트(210)를 통해 선기어(220)의 내부 수용 공간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제2 구동모터(264)가 구동되어 선기어(220)가 자전을 하면 그 저면의 관통구(222)를 통해 배출되는 건고추 절편은 바닥판(260)의 돌기(270)에 의해 으깨지면서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또한 이에 따라 건고추 절편은 계속적으로 관통구(222)로 배출된다.
선기어(220)의 외측으로 밀려나간 건고추 절편은 다시금 위성기어(230) 및 바닥판(260)에 구비된 돌기(270)에 의해 더욱 작게 으깨어져 가루로 바뀌게 되는데, 특히 위성기어(230)는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분쇄작용은 더욱 배가되어 건고추 절편은 신속하게 고추가루로 완성된다.
그리고, 위성기어(230)의 외측까지 밀려난 완성된 고추가루는 인터널 링기어(240)와 바닥판(260) 사이에 마련된 복수 개의 배출구(280)를 통해 밖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분쇄부(200)는 단순히 두 개의 판이 맞닿아 회전하는 일반적인 맷돌 방식이 아니라 자전하는 중심의 선기어(220) 및 그 외주를 자전하면서 공전하는 위성기어(230)의 복합적인 회전운동을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좁은 마찰면적에서도 충분히 효과적인 분쇄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위성기어(230)의 상면을 원뿔 또는 각뿔 형태로 돌출되도록 만들 수도 있는데, 이는 선기어(220)의 바깥으로 배출된 건고추 절편이 위성기어(230)의 상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분쇄부(200)에서 완성된 고추가루는 배출구(280)를 통해 낙하하면서 송풍 팬(300)의 강한 바람을 만나 송풍 팬(300)의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 구비된 이송관(310)으로 날아 들어가고, 이송관(310)으로 들어간 고추가루는 최종적으로 이송관(310)과 연통된 수납부(400)에 저장된다.
여기서 분쇄부(200)에서 완성된 고추가루를 바로 저장하는 대신 밑으로 떨어뜨리는 가운데 송풍 팬(300)으로 불어서 수납부(400)에 저장시키는 것은 두 가지 목적에서다.
첫째는, 분쇄부(200)에서 으깨어 만들어지는 고추가루는 고추 내부 성분이 풍부하게 추출되어 그 풍미가 향상되지만, 추출된 성분으로 인해 고추가루가 뭉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뭉친 상태 그대로 쌓으면 더 큰 덩어리로 뭉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저장하기 전에 미리 풀어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낙하하는 고추가루에 강한 바람을 작용시켜 뭉친 가루를 푸는 동시에 바람에 의한 건조 효과를 통해 수납부(400)에 쌓인 후에도 잘 뭉치지 않도록 하였다.
둘째는, 절단부(100)와 파쇄부는 작동 중에 기계적 마찰을 동반하기 때문에 금속 부품의 마모에 의해 생성된 미량의 금속가루가 고추가루에 혼입될 수 있어 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금속가루는 수납통 안에 들어있는 자석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고추가루 사이사이에 혼입된 금속가루를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자력이 강한 자석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송풍 팬(300)으로 고추가루를 날려 이송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는데, 이송관(310)을 비자성체 재질로 구성하는 한편 이송관(310)의 외측을 따라 전자석(320)을 설치함으로써 금속가루가 혼입된 고추가루가 넓게 퍼져 날아가는 도중에 자연스레 노출되는 금속가루를 전자석(320)을 이용하여 이송관(310) 내벽에 묶어둠으로써 금속가루가 제거되도록 하였다.
또한, 영구자석이 아닌 전자석(320)을 이용한 것은 고추가루 분쇄 작업이 모두 끝나면 수납부(400)를 비우고 난 후 전자석(320)의 자력을 끊고 송풍 팬(300)으로 바람을 불어냄으로써 포집된 금속가루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수납부(400)로 연통된 이송관(310)은 수납부(400)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만들어 고추가루보다 무거운 금속가루가 중력의 영향을 받아 좀 더 느리게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석(320)에 좀더 효과적으로 달라붙도록 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이송관(310) 입구의 상측과 배출구(280) 사이에는 이송관(310) 입구로부터 하향 경사진 경사판(330)을 구비하여 송풍 팬(300)에 의해 날아가는 고추가루가 분쇄부(200) 쪽으로 다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는 힌지 회동하는 수납부(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수납부(400)는 전면의 높이방향으로 그 중간지점에 수납부(400)의 전면을 기준으로 앞뒤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힌지부(41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수납부(400)의 위를 잡고 앞으로 회동시키면 수납부(400)가 힌지부(410)를 기점으로 회동함으로써 전면이 하향 경사지게 되고, 이렇게 되면 수납부(400)의 전면이 마치 미끄럼틀과 같은 역할을 하여 수납부(400) 내부에 저장된 분쇄된 건고추가 미끄러져 내려와 손쉽게 고추가루를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시형태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건고추 분쇄 장치 100: 절단부
110: 호퍼 120: 절단 롤러
122: 절단날 130: 제1 구동모터
200: 분쇄부 210: 슈트
220: 선기어 222: 관통구
230: 위성기어 240: 인터널 링기어
250: 캐리어 260: 바닥판
262: 회전축 264: 제2 구동모터
270: 돌기 280: 배출구
300: 송풍 팬 310: 이송관
320: 전자석 330: 경사판
400: 수납부 410: 힌지부

Claims (4)

  1. 건고추가 투입되는 호퍼가 상측에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각각 복수의 절단날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절단 롤러를 복수 개 구비하며, 상기 각 절단 롤러는 그 일단에 구비된 기어가 상호 치합되어 제1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되고, 상기 각 절단 롤러는 인접한 절단 롤러의 절단날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상호 인접한 절단날 사이에 작용하는 절단력으로 상기 건고추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내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잘라진 건고추가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유도하는 슈트와, 상기 슈트의 말단과 연결되어 그 내부에는 상기 잘라진 건고추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한편 그 저면에는 상기 수용된 건고추가 배출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차에 치합되는 복수 개의 위성기어와, 상기 복수 개의 위성기어의 치차에 치합되는 인터널 링기어와, 상기 복수 개의 위성기어의 회전축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위성기어 사이의 견격을 유지시키는 캐리어와, 상기 선기어에 대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링기어를 고정하는 바닥판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선기어 및 위성기어의 저면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링기어와 바닥판 사이에는 복수 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분쇄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쇄된 건고추가 비자성체인 이송관으로 날아 들어가도록 바람을 불어내는 송풍 팬;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동된 상기 분쇄된 건고추를 저장하는 수납부; 및
    상기 이송관의 외측을 따라 설치된 전자석;
    을 포함하는 건고추 분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기어의 상면은 원뿔 또는 각뿔 형태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분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상기 수납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이송관 입구의 상측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는 상기 이송관 입구로부터 하향 경사진 경사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분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전면의 높이방향으로 그 중간지점에 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부를 회동시켰을 때 상기 수납부의 전면이 하향 경사져서 그 내부에 저장된 분쇄된 건고추가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분쇄 장치.
KR1020150031379A 2015-03-06 2015-03-06 건고추 분쇄 장치 KR101546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379A KR101546899B1 (ko) 2015-03-06 2015-03-06 건고추 분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379A KR101546899B1 (ko) 2015-03-06 2015-03-06 건고추 분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899B1 true KR101546899B1 (ko) 2015-08-24

Family

ID=5406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379A KR101546899B1 (ko) 2015-03-06 2015-03-06 건고추 분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8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657A (zh) * 2018-06-30 2018-11-02 胡兴旺 一种可减少浪费的蒜泥制造筛选设备
CN108993227A (zh) * 2018-07-25 2018-12-14 林春芬 一种带有多个研磨结构的化工原料混合装置
CN110813481A (zh) * 2019-11-26 2020-02-21 金华开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富含铁铜混合物土壤铁铜高效提纯分离设备
CN114526603A (zh) * 2022-02-11 2022-05-24 苏州华超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用金属材料熔炼装置
CN114558691A (zh) * 2022-02-28 2022-05-31 安徽省瀚海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粉体材料加工的气流磨装置及其加工方法
CN116809395A (zh) * 2023-08-31 2023-09-29 西昌学院 一种气流式沙石筛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74B1 (ko) * 2009-06-26 2010-01-15 박금자 고추분쇄기
JP2010131214A (ja) 2008-12-05 2010-06-17 Emura Tekkosho:Kk 納豆撹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1214A (ja) 2008-12-05 2010-06-17 Emura Tekkosho:Kk 納豆撹拌装置
KR100936974B1 (ko) * 2009-06-26 2010-01-15 박금자 고추분쇄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657A (zh) * 2018-06-30 2018-11-02 胡兴旺 一种可减少浪费的蒜泥制造筛选设备
CN108993227A (zh) * 2018-07-25 2018-12-14 林春芬 一种带有多个研磨结构的化工原料混合装置
CN110813481A (zh) * 2019-11-26 2020-02-21 金华开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富含铁铜混合物土壤铁铜高效提纯分离设备
CN114526603A (zh) * 2022-02-11 2022-05-24 苏州华超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用金属材料熔炼装置
CN114558691A (zh) * 2022-02-28 2022-05-31 安徽省瀚海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粉体材料加工的气流磨装置及其加工方法
CN114558691B (zh) * 2022-02-28 2024-05-14 安徽省瀚海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粉体材料加工的气流磨装置及其加工方法
CN116809395A (zh) * 2023-08-31 2023-09-29 西昌学院 一种气流式沙石筛分装置
CN116809395B (zh) * 2023-08-31 2023-11-07 西昌学院 一种气流式沙石筛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899B1 (ko) 건고추 분쇄 장치
KR101586465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1586464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EP2664261A1 (en) Grinder
CN110250543A (zh) 一种畜牧饲料综合处理设备
CN110523511A (zh) 一种旧砂干法再生的多级破碎装置
JP2009262120A (ja) 破砕機
JP5686579B2 (ja) 破砕分別装置及び破砕分別方法
KR100783133B1 (ko) 고추씨 분리 겸용 고추 분쇄기
KR20120006052U (ko) 수평형 고추분쇄기
CN103752385A (zh) 塑料粉碎机
CN108748799A (zh) 一种橡胶粉碎装置
KR102083439B1 (ko) 분말전용 풍력 탈철장치
CN105903531A (zh) 一种切割粉碎机构
KR102085362B1 (ko) 폐각 분쇄 장치
CN106269122B (zh) 一种猪饲料连续自动粉碎机
CN104028350A (zh) 易拉罐废壳处理机构
CN109894194A (zh) 一种可筛选式粉碎机
KR101535760B1 (ko) 두채류 부산물 분쇄기
CN107537643A (zh) 一种自动进料的摆动切碎机
KR20180085472A (ko) 착즙기
KR20130051557A (ko) 수평형 고추분쇄기
US2963229A (en) Garbage grinder feeder
CN203663934U (zh) 一种多功能垃圾处理器
CN205216955U (zh) 用于面粉的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