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805B1 -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805B1
KR100981805B1 KR1020040029453A KR20040029453A KR100981805B1 KR 100981805 B1 KR100981805 B1 KR 100981805B1 KR 1020040029453 A KR1020040029453 A KR 1020040029453A KR 20040029453 A KR20040029453 A KR 20040029453A KR 100981805 B1 KR100981805 B1 KR 10098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module
inclined surface
side frame
assembly structur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145A (ko
Inventor
차용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805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을 바디(body)에 결합시키는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프론트 엔드 모듈(100)의 캐리어(carrier)(110) 후부(後部)에 설치되며, 단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에는 기다란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와; 바디(200)의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210) 전부(前部)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의 단부 경사면과 맞추어지는 기다란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와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가 서로 경사지게 맞닿은 후, 미끄러지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프론트 엔드 모듈을 바디에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볼팅 위치를 맞추는 작업도 용이하며, 이에 따라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생산성도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40029453
프론트 엔드 모듈, FEM, 사이드 프레임, 캐리어, 품질

Description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Frame Assembly Structure of Front End Module of a Car}
도 1은, 통상적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부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결합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종단면도와 경사면의 상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110... 캐리어(carrier)
120...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
121... 돌기
삭제
210...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
220...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
221... 홈
삭제
본 발명은 차량의 전면에 장착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을 사이드 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이란, 자동차 앞 부분에 결합되는 조립체로서, 캐리어(carrier)(11)에 헤드램프(12), 공조장치 모듈(13)과, 범퍼(14) 등의 여러 단품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헤드램프 서포트패널(support panel)(21), 라디에이터 어퍼패널(upper panel)(22), 라디에이터 로우어패널(lower panel)(24), 범퍼 서포트(23) 등에, 헤드램프(12), 공조장치 모듈(13), 및 범퍼(14) 등이 함께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프론트 엔드 모듈은, 자동차 바디(body)에 조립할 때 쉽고 정교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캐리어의 치수 안정성도 유지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엔드 모듈을 바디의 사 이드 프레임(19)에 조립할 경우, 로봇 암(robot arm)에 설치된 가이드 핀(guide pin)이 캐리어의 일 부분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어올리고, 이를 사이드 프레임(19)에 근접시킨 후, 작업자가 프론트 엔드 모듈을 사이드 프레임(19)에 직접 대고 결합부(18)끼리 잘 일치시킨 다음, 볼팅에 의해 결합하게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조립하는 방식은, 작업자에 의한 공수가 많이 소요되어 생산 주기가 길어지고, 볼팅부위를 맞추는 작업 자체에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확한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소정의 배치로부터 약간의 어긋남이 발생될 경우에는, 후드(hood)와 펜더(fender) 사이에 갭(gap)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갭은 자동차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정밀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 엔드 모듈을 바디에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작업공수를 줄여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을 자동차 바디(body)에 결합시키는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carrier) 후부(後部)에 설치되며,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에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와;
상기 바디의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 전부(前部)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의 단부 경사면과 맞추어지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의 자체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 형성된 돌기 또는 홈은, 경사면의 상부 에지(edge)로부터 아래쪽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의 자체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의 경사면 각도와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220)의 경사면 각도는, 상호 이동방향에 대하여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을 바디(body)에 결합시키는 조립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0)의 캐리어(carrier)(110) 후부(後部)에는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의 단부에는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122)에는 기다란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22)에는 상기 기다란 돌기(121) 대신 기다란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디의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210) 전부(前部)에는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2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220)는,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의 단부 경사면(122)과 맞추어지고, 그 경사면(122)의 돌기(121)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기다란 홈(221)이 형성된 경사면(222)을 가진다. 상기 경사면(222)에는 기다란 홈(221) 대신 기다란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경사면(122)(222)에 형성된 돌기 또는 홈은, 경사면의 상부 에지(edge)로부터 아래쪽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의 경사면(122) 각도와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220)의 경사면(222) 각도는, 상호 이동방향에 대하여 40∼50°인 것이 좋다. 이는, 2개의 경사면(122)(222)이 맞닿을 때, 설치와 미끄럼이 동시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는, 캐리어(carrier)(110) 후부(後部)에 설치된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와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220)가 상호 접근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호 접근중에,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와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220)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각 경사면(122)(222)에 형성된 돌기와 홈이, 경사면의 상부 에지(edge)로부터 아래쪽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일단 맞닿게 한 후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b)에는 접근하던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와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220)가 맞닿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상태는 경사면(122)(222)의 홈과 돌기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는 아니다.
도 5(c)에는, 경사면이 상대이동함으로써,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와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220)의 중심축이 일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경사면에 형성된 상보적인 홈과 돌기가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다.
도 5(d)에는, 마지막으로 볼팅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경사면(122)(222)끼리 볼트결합해야 하므로, 테이퍼 와셔를 외면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볼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와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가 서로 경사지게 맞닿은 후, 미끄러지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프론트 엔드 모듈을 바디에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볼팅 위치를 맞추는 작업도 용이하며, 이에 따라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생산성도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하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므로, 후드와 펜더 사이의 치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100)을 자동차 바디(body)에 결합시키는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0)의 캐리어(carrier)(110) 후부(後部)에 설치되며,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에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와;
    상기 바디의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210) 전부(前部)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의 단부 경사면과 맞추어지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 형성된 돌기 또는 홈은, 경사면의 상부 에지(edge)로부터 아래쪽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 장착부(120)의 경사면 각도와 사이드 프레임 장착부(220)의 경사면 각도는, 상호 이동방향에 대하여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
KR1020040029453A 2004-04-28 2004-04-28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 KR100981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453A KR100981805B1 (ko) 2004-04-28 2004-04-28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453A KR100981805B1 (ko) 2004-04-28 2004-04-28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145A KR20050104145A (ko) 2005-11-02
KR100981805B1 true KR100981805B1 (ko) 2010-09-13

Family

ID=3728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453A KR100981805B1 (ko) 2004-04-28 2004-04-28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8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142A (ja) * 1994-09-26 1996-04-09 Suzuki Motor Corp スプラッシュガード取付構造
KR100324399B1 (ko) 1999-11-26 2002-02-16 류정열 차체의 후부구조
JP2002096701A (ja) 2000-09-22 2002-04-02 Calsonic Kansei Corp バンパーステー支持構造
JP2003312275A (ja) 2002-04-23 2003-11-06 Toyota Motor Corp 車両の組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142A (ja) * 1994-09-26 1996-04-09 Suzuki Motor Corp スプラッシュガード取付構造
KR100324399B1 (ko) 1999-11-26 2002-02-16 류정열 차체의 후부구조
JP2002096701A (ja) 2000-09-22 2002-04-02 Calsonic Kansei Corp バンパーステー支持構造
JP2003312275A (ja) 2002-04-23 2003-11-06 Toyota Motor Corp 車両の組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145A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7629B2 (en) Method for mounting a front-end module and a front headlamp on a body of a passenger car and holding arrangement for holding a front headlamp on a front-end module
JP3843968B2 (ja) ヘッドランプの車体位置決め方法および車体位置決め構造
CN102897221B (zh) 车身结构
JP3765254B2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組付方法および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組付装置
KR101220384B1 (ko) 차량용 후드패널 지그장치
KR101360066B1 (ko) 차량용 패널 지그장치
CN212579987U (zh) 车辆前端模块连接结构和车辆
US20100007176A1 (en) Fixture for a headlight unit,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front unit
KR100981805B1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
JP4099644B2 (ja) フロントバンパ取付構造
JP3937740B2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取付装置および取付方法
KR100482601B1 (ko) 프레임리스 도어 글라스 조정장치
JP4797512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4978540B2 (ja) 車両のランプユニット取付け構造
US8245382B2 (en) Method of mounting on a motor vehicle an underbody structural element and a technical front end the method including pivoting the technical front end using a connecting mechanism that connects the technical front end to the under body element
JP2002220014A (ja) 自動車のバンパー構造
JP3941446B2 (ja) 車体前部構造
KR20170062922A (ko) 차량 부품 조립용 지그 및 상기 지그의 장착 방법
JP2010023686A5 (ko)
CN113815749B (zh) 一种汽车车头总成的安装方法
CN218907129U (zh) 车顶侧装饰件总成以及车辆
CN219562175U (zh) 一种车梁夹持装置
JPH11263147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CN210499139U (zh) 汽车背门装配设备
CN220764218U (zh) 一种汽车前部组件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