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551B1 - 장애인차량용 보조구 - Google Patents

장애인차량용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551B1
KR100979551B1 KR1020080080287A KR20080080287A KR100979551B1 KR 100979551 B1 KR100979551 B1 KR 100979551B1 KR 1020080080287 A KR1020080080287 A KR 1020080080287A KR 20080080287 A KR20080080287 A KR 20080080287A KR 100979551 B1 KR100979551 B1 KR 10097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at
disabled
auxili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715A (ko
Inventor
정인식
Original Assignee
형제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제테크(주) filed Critical 형제테크(주)
Priority to KR102008008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5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handicappe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시트로부터 분리되어 승강과 회전되는 보조시트를 마련하여 장애인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차량으로부터 승하차할 수 있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시트의 상면과 연속적인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차량시트의 상면으로부터 상승되어 회전가능하며, 쿠션부가 구비되는 보조시트; 및 상기 보조시트와 결합되는 승강축을 선택적으로 상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를 제공한다.
보조시트, 승강수단, 회전수단, 승강축, 지지부

Description

장애인차량용 보조구{apparatus of aid for handicapped preson's car}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차량 승하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장애인이 차량으로부터 승하차할 수 있는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의 경우에는 승용차에 탑승시 차량내부의 시트에 신속하게 탑승이 곤란하다.
그리하여 차량 내부의 시트를 이동시키거나 차량시트를 회전시켜 장애인의 탑승을 보조하는 다양한 장애인차량용 보조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의 통상적인 장애인 차량용 보조장치는 차량시트 전체가 차량 내부에서 회전되거나 차량 외부로 빠져나오는 형태를 이룬다. 또한, 차량시트의 상부가 상승되어 탑승자를 차량시트로부터 들어올려 차량의 외부로 이탈시킴으로써, 차량으로부터 하차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장애인차량용 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차량시트 전체가 이동되어 차량 내부에서 회전되거나 차량 외부로 빠져나오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협소한 차량 내부공간에서 이동 및 회전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었다.
둘째, 승용차 내에서 차량시트 전체가 이동되거나 작동됨으로써, 차량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점유공간의 확대로 인한 차량의 내부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
셋째, 차량시트 전체를 이동해야 하는 구조상의 특징으로 소요부품이 많아지며, 수리시에도 차량시트 전체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넷째, 차량시트 전체가 차량 외부로 돌출시 많은 시간이 소용되며, 또한, 차량의 외부에 차량시트가 돌출되는 공간이 필요하여 차량이 밀집된 공간에서의 사용이 곤란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시트로부터 분리되어 승강과 회전되는 보조시트를 마련하여 장애인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차량으로부터 승하차할 수 있는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시트의 상면과 연속적인 상면을 형성하는 쿠션부가 구비되는 보조시트; 상기 보조시트의 하부에 결합되되, 외주에 나선형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회전구속부가 구비된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의 나선형 나사산 외주와 치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보조시트를 승강시키도록 구비된 구동부재와, 상기 보조시트의 일정높이 상승 후 상기 승강축의 상승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보조시트에 착석한 장애인을 차량도어 측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구속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구속홈부를 포함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 하부에는 상기 보조시트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축과 상기 승강수단이 수용되는 지지부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웜휠과 치합하는 웜기어로 이루어진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차량시트로부터 분리가능한 보조시트에 의해 장애인 탑승자를 상승 및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써, 회전반경의 축소로 인한 차량 내부 점유공간의 축소로 인해 내부 공간의 활용도가 증대된다.
둘째, 차량시트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는 보조시트가 구비됨으로써, 장애인 탑승자가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차량으로부터 승하차할 수 있다.
셋째, 차량시트 전체가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차량시트 내에 장착된 보조시트만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협소한 차량 내부에서 차량높이에 제약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탑승자를 신속하게 차량외부로 승하차시킬 수 있다.
넷째, 승강수단과 더불어 구비되는 회전수단을 장애인 탑승자의 힘만으로도 회전될 수 있는 무동력 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보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보조구는 보조시트(100)와 승강수단(400) 그리고 회전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시트(100)는 차량시트(10)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된 장착부(20)내에 차량시트(10)의 상면과 연속적인 상면을 형성하게 장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시트(100)는 상기 장착부(20)로부터 상승되어 회전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탑승자를 용이하게 차량으로부터 승하차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장착부(20)내에 구비시 일반인 탑승자에게도 동일한 안락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시트(100)는 쿠션부(110)와 베이스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부(110)는 장애인 탑승자의 승차감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차량시트(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20)는 장애인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경도가 높은 금속이나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보조시트(100)를 차량시트(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시켜 장애인 탑승자의 하체를 차량시트(10)의 장착부(20)에서 분리시킨다. 한편, 장애인 탑승자가 차량의 외부로 나오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시트(100)가 회전되어 장애인 탑승자의 신체를 차량의 도어방향으로 향하게 해주면 장애인 탑승자는 보다 수월하게 차량에서 하차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장애인차량용 보조 시트장치는 상기 승강수단(400)과 함께 회전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수단(500)은 상기 승강수단(400)과 연결되어 장애인 탑승자가 하차시 차량시트(10)로부터 상승된 상기 보조시트(100)를 차량도어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탑승시에는 차량도어 방향으로부터 차량실내의 정면방향으로 보조시트(100)를 회전시켜 장애인 탑승자의 승하차를 보조해준다.
한편, 상기 회전수단(500)은 통상의 구동수단에 의해 장애인 탑승자가 작동스위치를 켜면,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된다. 다른 한편, 상기 회전수단(500)은 상기 승강수단(400)의 승강축과 결합된 통상의 베어링부재(122)에 의해 장애인 탑승자의 힘을 이용한 무동력수단에 의해서도 회전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500)에 의해 차량도어 방향으로 장애인 탑승자의 신체가 회전되면 장애인 탑승자는 두 다리를 약간 들어올린 후, 양손을 두 다리 아래로 삽입시켜 깍지를 낀 후, 두 다리를 차량의 바닥으로부터 지면으로 내려놓은 뒤, 구비된 목발이나 지탱수단을 통해 간단히 차량에서 하차가 가능해진다.
더불어, 상기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는 차량시트(10) 내에 장착되되,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하부가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차량시트는 차량 실내에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 역시 차량시트와 더불어 이동가능하도록 차량 바닥면과 고정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는 상기 보조시트(100) 가 차량시트(10)의 장착부(20)로부터 분리되어 상승되면, 상기 보조시트(100)의 쿠션부(110)에 앉아있는 장애인 탑승자의 하체를 차량시트(1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게 된다.
또한, 장애인 탑승자의 하체가 차량시트(10)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보조시트(100)는 차량도어 방향으로 회전수단(500)에 의해 회전된다. 이를 통해, 차량도어 방향으로 장애인 탑승자의 신체가 회전되면, 탑승자는 간편하게 양발을 차량의 외부로 이탈시켜 차량의 외부로 간편하게 하차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차량용 보조구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애인차량용 보조구는 보조시트(100)와 승강수단(400) 및 회전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시트(100)는 상측의 쿠션부(110)와 하측의 베이스부(1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20)의 하측에는 상기 베이스부(120)의 하측 외주면과 면접되어 상기 보조시트(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200)에 의해 상기 보조시트(100)는 차량시트(10)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시트(10)의 중앙부에는 상기 보조시트(100)가 장착되는 장착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20)는 상기 보조시트(100)를 차량시트(10)의 중앙부에 안착시켜준다.
더욱이, 상기 차량시트의 장착부(20)에 안착된 상기 보조시트(100)는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장애인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켜준다. 반면에, 상기 보조시트(100)가 차량시트(10)의 중앙부에서의 고정상태가 불안정해지면, 상기 보조시트(100)는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요동현상을 발생시켜, 상기 보조시트(100)에 앉아있는 탑승자는 보조시트(100)에서 발생되는 불규칙한 진동에 의해 극심한 불쾌감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00) 내에는 상기 승강수단(400)의 일부분인 유압실린더(410)가 내장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10)는 통상적인 유압실린더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실린더축이 인출되거나 인입된다. 이때, 상기 승강축(300)은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실린더축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축이 유압실린더(410)의 외부로 인출시에는 상기 보조시트(100)를 차량시트(10)의 장착부(20)로부터 상측으로 분리시켜 상승시킨다. 반면에, 상기 실린더축이 유압실린더(410)의 내부로 인입시에는 차량시트(10)에서 상승 됐던 상기 보조시트(100)가 차량시트(10)의 장착부(20) 내로 하강되어 상기 장착부(20)에 안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410)는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작동밸브(420)와 연결된다. 상기 유압작동밸브(420)는 작동유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실린더축을 상승하거나 하강시키는 통상의 릴리이프 밸브이다. 또한, 상기 유압작동밸브(420)는 구동부(600)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구동부(600)는 작동유가 저장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서 작동유를 상기 유압작동밸브(420)로 이송시키는 유압모터와 상기 작동유에 압력을 전달하는 어큐뮬레이터 등의 통상의 유압시스템을 이루는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하부에는 가이드축(421)이 연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승강수단(400)인 유압실린더(410)와 승강축(300)에 의해 차량시트(10)에서 분리되어 상부로 돌출된 상기 보조시트(100)는 쿠션부(110)에 앉은 장애인 탑승자의 두 다리를 차량도어 방향으로 회전을 시켜야 된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수단(400)의 하부에는 승강수단(4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수단(500)이 구비되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더불어, 상기 회전수단(500)과 상기 승강수단(400)을 연결하는 매개체도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수단(400)을 형성하는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수단(500)과의 연결 매개체인 가이드축(421)이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축(421)은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하면과 용접결합되거나, 간단한 체결구조를 통해 볼트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축(421)은 상단이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하면과 결합되며, 하단은 상기 회전수단(50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회전수단(500)은 상기 유압실린더(410)를 회전시켜 유압실린더(410)의 실린더축인 상기 승강축(300)을 동시에 회전시켜 상기 보조시트(100)를 차량도어 방향으로 회전시켜준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500)은 회전체(510)와 상기 회전체(510)와 결합된 회전축(5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체(510)는 상부에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하부와 결합된 상기 가이드축(421)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홈부(511)와, 하부에 상기 회전축(520)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회전홈부(512)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홈부(511)는 상기 가이드축(42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된 다. 이때, 상기 가이드축(421)의 하단부는 상기 고정홈부(511)에 나사결합되거나 키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축(421)의 하단부가 상기 회전체(510)의 상면과 용접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홈부(512)에는 상기 회전축(52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된다. 상기 가이드축(421)과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축(520)은 상기 회전홈부(512)에 나사결합이나 키결합 또는 용접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체(510)와 결합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축(421)과 상기 회전체(510) 및 상기 회전축(520)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하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수단(500)은 콘트롤러(800)로부터 회전지령을 인가받은 상기 회전구동부(700)에 의해 상기 회전축(520)에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더불어, 상기 회전축(520)에 의해 상기 회전체(51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체(510)와 가이드축(421)에 의해 연결되어 결합된 상기 유압실린더(410)는 상기 지지부(200) 내에서 회전되며,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회전에 의한 상기 승강축(300)의 회전작용으로 상기 보조시트(100)가 회전된다.
더욱이,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부(200) 내에서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지지부(200)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완충부(2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완충부(220)는 통상의 고무재질이나 부드러운 재질의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진 완충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의 하면에는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회전시 가이드 축(421)의 회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520)의 하부에는 회전축(5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부(70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구동부(700)는 상기 회전축(520)을 통해 상기 회전수단(500)이 상기 보조시트(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동부(700)는 통상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차량 내부의 축전지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충전용 배터리가 내장되어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는 차량시트(10) 외측에 설치된 작동스위치에 의해 상기 콘트롤러(800)에 작동지령이 전가되면, 상기 콘트롤러(800)에 의해 구동부(600)가 구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구동부(600)에 연결된 상기 유압작동밸브(420)가 동작되며, 상기 유압작동밸브(420)는 유압호스를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410)에 작동유를 송출하여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실린더축을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실린더축은 상기 승강축(300)과 동일하므로 상기 승강축(300)에 의해 상기 보조시트(100)가 차량시트의 장착부(20)로부터 분리되어 상승된다.
이때, 상기 보조시트(100)는 상기 유압작동밸브(420)에 의해 일정간격만큼 상측으로 돌출된 후, 상승이 저지된다. 상기 보조시트(100)의 상승이 저지되면, 상기 회전수단(500)에 의해 상기 보조시트(100)는 차량도어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수단(500)에 의해 이루어지는 회전작용을 살펴보면, 콘트롤러(800)에 의해 회전지령이 인가되면, 상기 회전구동부(700)는 상기 회전축(52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520)에 의해 상기 회전체(51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체(510)와 가이드축(421)에 의해 연결된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지지부(200)내에서 회전되며, 상기 유압실린더(410)에 의해 상기 승강축(300)의 회전작용으로 상기 보조시트(100)가 회전된다.
더불어,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하면에 구비된 완충부(220)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410)의 하면과 면접되는 상기 지지부(200) 표면의 마찰력이 감소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시트(100)가 차량도어 방향으로 회전되면, 장애인 탑승자는 목발이나 지팡이 등의 보조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로 신속하게 하차될 수 있다. 물론, 탑승의 경우에는 상기의 동작을 역순으로 작동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는 보조시트(100)와 승강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시트(1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인 상측의 쿠션부(110)와 하측의 베이스부(120)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부(120)의 하측에는 상기 베이스부(120)의 하측면과 면접되어 상기 보조시트(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00)의 중앙부에는 나선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승강축(300)이 체결되는 나사산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이 형성되는 내주홀(230)이 형성되어 승강축(300)을 상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내주홀(23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베어링이 삽입되어 상기 승강축(300)의 상하이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승강축(3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430)와 구동수단(440)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축(300)이 상하유동될때, 상기 지지부(200)의 하면에 의해 구속되지 않도록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재(430)는 웜휠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수단(440)은 웜기어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웜휠과 웜기어로 설명된 부분은 일반기어로도 대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430)는 상기 지지부(200) 내에 수용되어 고정되며, 회전시 상기 지지부(200)내에서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하 양측으로 베어링이 결합된다.
더욱이, 상기 구동수단(440)은 구동부(600)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이때, 상기 구동부(600)의 구동원은 차량 내부의 축전지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재(430)의 하부에는 구속홈부(540)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축(300)의 하부에는 회전구속부(530)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시트(10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속부(530)는 상기 승강축(300)의 관경보다 확대된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구속부(530)는 상기 구동부재(430)에 의해 상승이 저지되며, 구동부재(430)의 하부에서만 상하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430)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구속부(530)를 수용하는 구속홈부(540)가 마련되어 상기 승강축(300)에 의해 상승된 상기 회전구속부(530)를 수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구속부(530)가 상기 구속홈부(540)에 결합되면, 상기 구동부재(430)의 회전력에 의해 상승되던 상기 승강축(300)은 상승이 억제된다. 더불어 상승이 억제된 상기 승강축(300)은 상기 구동부재(4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승강축(300)과 연결된 상기 보조시트(10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구속부(530)에 의해 상기 보조시트(100)에 회전력이 작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구동부재(430)는 상기 구동수단(44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승강축(30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축(300)이 일정간격 상승되면, 승강축(300)의 하부에 마련된 회전구속부(530)가 상기 구속홈부(54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승강축(300)은 더이상 상승되지 못하게 되며, 상기 회전구속부(530)가 상기 구동부재(430)의 구속홈부(540)에 맞물린 상태로 전달받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축(300)의 회전작용에 의해 승강축(300)과 연결된 상기 보조시트(10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된다.
더욱이, 상기 구속홈부(540) 내에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구속 부(530)의 상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요홈부에 상기 결합홈이 결합되어 맞물림으로써, 상기 회전구속부(530)와 상기 구속홈부(540)의 체결력이 보다 향상되며, 상기 구동부재(430)의 회전력이 상기 승강축에 더욱 공고히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축(300)이 체결된 상기 구동부재(430)의 체결홀과 상기 지지부(200)의 내주홀 내에는 윤활제를 충분히 공급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윤활제에 의해 상기 승강축(300)의 상승시 상기 구동부재(430)와 상기 지지부(200) 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시트(100)는 차량시트(10)의 장착부(20) 내에서 상승시 회전됨 없이 수직한 상태로 상승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는 차량시트(10) 외측에 설치된 작동스위치에 의해 상기 콘트롤러(800)에 작동지령이 전가되면, 상기 콘트롤러(800)에 의해 구동부(600)가 구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구동부(600)에 연결된 상기 구동수단(440)이 동작되며, 상기 구동수단(440)은 치합된 상기 구동부재(430)를 회전시키며, 상기 구동부재(430)에 의해 상기 승강축(300)이 상승된다. 이때, 상기 승강축(300)에 의해 상기 보조시트(100)가 차량시트의 장착부(20)로부터 분리되어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시트(100)는 상기 승강축(300)의 하부에 마련된 회전구속부(530)가 상기 구동부재(430)의 구속홈부(540)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승이 저지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시트(100)의 상승이 저지되면, 상기 회전수단(500)에 의해 상기 보조시트(100)는 차량도어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구속부(530)는 상기 구동부재(430)의 구속홈부(540)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부재(43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될때, 상기 회전구속부(530)에 의해 상기 승강축(300)은 회전력을 전달받게 됨으로써, 상기 보조시트(100)를 차량도어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시트(100)가 차량도어쪽으로 회전되면, 장애인 탑승자는 목발이나 지팡이 등의 주변 도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차량 외부로 간편하게 하차가 가능하다. 물론 탑승의 경우에는 상기의 동작을 역순으로 작동시키면 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는 승강수단(400)만 구비되며, 회전수단(500)이 구비됨 없이 장애인 탑승자의 힘만으로 회전될 수 있는 무동력 회전수단에 의해서도 회전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유압실린더(410)와 유압작동밸브(420)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에서처럼 구동부재(430)과 구동수단(440)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구동부(600)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승강축(300)을 상승시켜 상기 보조시트(100)를 차량시트(10)로부터 분리하여 장애인 탑승자를 차량시트(10) 상측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조시트(100)의 베이스부(120) 하면에는 통상의 베어링부재(122)가 결합된 체결부(121)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121)는 승강축(300)의 상측 외주면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베어링부재(122)가 내장되어 상기 베이스부(120)의 하면과 체결된다. 더불어, 상기 지지부(200)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부(121)가 수용되는 체결홈부(2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시트(100)는 차량시트(10)의 장착부(20)에 장착시 상기 장착부(20)의 장착홈(30)에 보조시트(100)의 측부가 면접되어 회전작용이 구속된다. 반면에, 상기 승강수단(400)에 의해 상기 보조시트(100)가 차량시트의 장착부(20)로부터 돌출되어 상승되면, 장애인 탑승자의 힘에 의해서도 상기 체결부(121)에 내장된 베어링부재(1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시트(100)의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장애인 탑승자가 용이하게 하차를 할 수 있다. 물론, 탑승시에는 역순으로 상기 장애인차량용 보조 시트장치를 작동시켜주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100 : 보조시트
200 : 지지부 300 : 승강축
400 : 승강수단 410 : 유압실린더
420 : 유압작동밸브 430 : 구동부재
440 : 구동수단 500 : 회전수단
510 : 회전체 520 : 회전축
530 : 회전구속부 540 : 구속홈부
600 : 구동부 700 : 회전구동부
800 : 콘트롤러

Claims (5)

  1. 차량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시트의 상면과 연속적인 상면을 형성하는 쿠션부가 구비되는 보조시트;
    상기 보조시트의 하부에 결합되되, 외주에 나선형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회전구속부가 구비된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의 나선형 나사산 외주와 치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보조시트를 승강시키도록 구비된 구동부재와, 상기 보조시트의 일정높이 상승 후 상기 승강축의 상승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보조시트에 착석한 장애인을 차량도어 측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구속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구속홈부를 포함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 하부에는 상기 보조시트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축과 상기 승강수단이 수용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웜휠과 치합하는 웜기어로 이루어진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차량용 보조구.
  5. 삭제
KR1020080080287A 2008-08-18 2008-08-18 장애인차량용 보조구 KR10097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287A KR100979551B1 (ko) 2008-08-18 2008-08-18 장애인차량용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287A KR100979551B1 (ko) 2008-08-18 2008-08-18 장애인차량용 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715A KR20100021715A (ko) 2010-02-26
KR100979551B1 true KR100979551B1 (ko) 2010-09-01

Family

ID=4209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287A KR100979551B1 (ko) 2008-08-18 2008-08-18 장애인차량용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7572B (zh) * 2016-08-15 2017-11-03 江阴万事兴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救护车侧向移动平台
KR102107236B1 (ko) * 2018-07-12 2020-05-06 박범준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KR102532336B1 (ko) * 2018-10-23 202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장치
US11654800B2 (en) 2021-05-28 2023-05-23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Easy entrance/exit system for a vehicle
WO2024124025A1 (en) * 2022-12-08 2024-06-13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Vehicle seat device for assistance during entrance and exit of a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242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보조 시트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
KR19990031011U (ko) * 1997-12-30 1999-07-26 양재신 자동차의 리어시트에 설치된 어린이용 보조시트 구조
KR100626399B1 (ko) * 2004-12-14 2006-09-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착탈식 휠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242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보조 시트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
KR19990031011U (ko) * 1997-12-30 1999-07-26 양재신 자동차의 리어시트에 설치된 어린이용 보조시트 구조
KR100626399B1 (ko) * 2004-12-14 2006-09-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착탈식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715A (ko) 201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551B1 (ko) 장애인차량용 보조구
JP5811873B2 (ja) 移乗機
CN103158729B (zh) 上下车用列车踏板及列车
CN214647798U (zh) 腰部及背部全覆盖的车用按摩座椅
KR100694306B1 (ko)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KR100639831B1 (ko) 주차 보조장치
KR20160129986A (ko) 기립 보조장치
JP2006122641A (ja) 車椅子昇降装置
JP2005319280A (ja) 身体障害者車両用リフト装置
JP7497856B2 (ja) 自走式歯科診療椅子
KR102228629B1 (ko)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
CN204501268U (zh) 一种供瘫痪老人洗澡用转运车
JP3726913B1 (ja) 入浴介助装置
WO2013076668A2 (en)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persons with limited mobility and/or wheelchairs and hoisting device for such a lifting device
CN216124700U (zh) 用于代步车的拆装结构和座椅
KR101224837B1 (ko) 선박의 곡블록용 핀지그
CA2397503C (en) Bathtub lift for seniors and the handicapped
KR101039674B1 (ko) 자동차의 휠체어 겸용 운전석 시트 구조
KR101151245B1 (ko) 자동차 시트
KR102499534B1 (ko)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US20030172452A1 (en) Bathtub lift for seniors and the handicapped
KR200392222Y1 (ko) 리프트용 플랫폼의 접이장치
JP7451036B2 (ja) 車両用シートユニット
JP2005279284A (ja) 入浴介助装置
JP2008188138A (ja) 下半身障害者用移動車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