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541B1 -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동박적층판 - Google Patents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동박적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541B1
KR100979541B1 KR1020080069273A KR20080069273A KR100979541B1 KR 100979541 B1 KR100979541 B1 KR 100979541B1 KR 1020080069273 A KR1020080069273 A KR 1020080069273A KR 20080069273 A KR20080069273 A KR 20080069273A KR 100979541 B1 KR100979541 B1 KR 100979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prepreg
organic solvent
polymer resin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685A (ko
Inventor
류정걸
손경진
박정환
박호식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541B1/ko
Priority to JP2009108737A priority patent/JP4972123B2/ja
Publication of KR2010000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1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 C08J5/24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using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박적층판에 관한 것이다. 층상형 실리케이트(Silicate)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고분자 수지, 상기 고분자 수지 내에 함침된 유리 섬유 및 상기 고분자 수지 내에 함침된 필러(Filler)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를 이용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동박적층판을 제조할 수 있다.
프리프레그, 동박적층판, 클레이

Description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박적층판{Prepreg, Method for MANUFACURING prepreg and copper clad lamin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박적층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전자 및 항공 우주산업과 같은 첨단산업이 고도화로 발전함에 따라서 전자기기 내부에 사용되는 회로기판의 고기능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 메모리 혹은 연산장치의 패키징에 있어서 경박단소를 추구하여 기판의 고밀도화, 패턴의 미세화 또는 박판화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콘덴서와 같은 수동소자 또는 예를 들어 집적회로와 같은 능동소자의 임베디드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패키지의 형태도 칩이 스텍되는 3차원의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반도체 페키지가 경박단소화, 고기능화 및 다기능화가 되어짐에 따라 실장률 증가로 인한 칩 스텍의 증가에 따라 기존 소재를 적용한 회로기판으로는 요구되는 신뢰성에 만족되기 힘들며 2차칩의 실장시 칩과 기판 간의 열팽창성의 차이로 인해 크랙 등의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멀티스텍패키지 및 패키지온패키지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기판의 고질적인 불량을 해결하고 고성능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그 동안 칩과 유사한 수준의 열팽창 특성을 가지면서 실장 수 휨의 특성이 우수한 회로 기판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것보다 우선시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원소재가 되는 동박적층판 혹은 프리프레그와 같은 기판소재의 개선 및 저열팽창 특성을 가지는 필러 등을 포함한 재료의 개발이다.
이러한 원소재 개발의 단점은 기존 원자재의 구성성분인 고분자 수지와 필러 그리고 유리섬유 등의 변형을 통한 개선으로 인해 결국 가격의 상승을 초래하고 기존 자재에 비해 더욱 강직해진 유리섬유와 다량의 필러 함유로 인해 가공성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어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나노 사이즈의 점토성 클레이를 이용하여 전술한 문제가 없는 열적 또는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며 높은 내열성을 가짐으로써 열적 안정성 또한 향상시킨 동박적층판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박적층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층상형 실리케이트(Silicate)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Clay)를 증류수 내에 함침하고 초음파를 가진함으로써 상기 클레이를 상기 증류수 내에 층상구조가 박리된 상태로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클레이가 분산된 증류수를 밀링(Milling)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클레이를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함침하고 초음파를 가진함으로써 상기 건조된 클레이를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클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된 혼합물과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여 프리프레그 제조용 수지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프리프레그 제조용 수지 혼합물에 유리섬유를 함침 건조시켜 프리프레그(Pre-preg)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층상형 실리케이트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는 천연 점토류 또는 필로실리케이트류(Phyllosilic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는 20kHz 내지 100kHz의 진동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링 및 건조 단계는 60℃ 내지 80℃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는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및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TH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용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된 클레이와 비극성 유기 용매의 부피비는 1:5 내지 1:20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클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된 혼합물을 상기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클 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된 혼합물은 40 내지 45 중량%, 상기 고분자 수지는 55 내지 60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얻어진 프리프레그 내에서, 상기 층상형 실리케이트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와 상기 고분자 수지의 중량비는 1 : 99 내지 20 : 8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층상형 실리케이트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고분자 수지, 상기 고분자 수지 내에 함침된 유리 섬유 및 상기 고분자 수지 내에 함침된 필러(Filler)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층상형 실리케이트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는 천연 점토류 또는 필로실리케이트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층상형 실리케이트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와 상기 고분자 수지의 중량비가 1 : 99 내지 20 : 8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프리프레그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박적층판을 이용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동박적층판을 제조할 수 있 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박적층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를 제조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1의 순서대로 각 단계를 설명한다.
먼저, 층상형 실리케이트(Silicate)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를 증류수 내에 함침하며, 상기 클레이를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클레이가 함침된 증류수에 초음파를 가진 한다(S101). 층상형 실리케이트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는 천연 점토류 또는 필로실리케이트류(Phyllosilicat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헥토라이트(Hectorilte), 운모(Mica), 질석(Vermiculite), 스멕타이트(Smectite) 등 일 수 있다. 상술된 클레이는 물질 자체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점토의 층간 화학적 이온교환반응에 의해 변형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음파는 1 내지 10MHz의 진동수를 가지는 고주파 영역의 초음파 와 20kHz 내지 100kHz의 진동수를 가지는 저주파 영역의 초음파가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주파 영역의 초음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고강도 초음파라 한다.
전술된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는 층상형 구조이며 이를 증류수에 함침시키는 경우 흡습하여 분산되지 않는다. 이 때 증류수에 고강도 초음파를 가진하게 되면 증류수 내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는 균일하게 분산한다.
층상형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의 경우, 층간 결합력이 강하여 일반적인 기계적 힘이나 화학적 힘에 의해서 쉽게 박리되지 않는다. 또한 층상형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는 흡습에 의해 뭉쳐지기 쉽다.
고강도 초음파가 액상의 매질 내에 가진되면 클레이 분자들은 반복적인 압축 및 팽창을 주기적으로 하며, 그 결과 분자들의 거리가 증가하여 동공이 형성된다. 동공의 크기가 일정 이상이 되면 동공이 파괴되는데, 이 때 순간적으로 고온 및 고압의 조건이 형성되어 화학적인 반응 활성이 생길 수 있다.
고강도 고에너지의 초음파 진동에 의해 덩어리 상태로 뭉쳐져 있는 클레이는 효과적으로 분쇄되며, 층간의 결합력이 감소되어 클레이가 재응집 되지 못하며 박리되어 분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클레이가 분산되는 액상의 매질은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매질 속에서의 분산능력, 클레이 층간에 존재하는 이온과 매질의 이온교환능력 및 친화성을 고려하여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알코올류가 매질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와 같은 점토성 광물은 균일하게 박리되어 분산되어 있다고 하여도 단위무게당 표면적이 넓고 수분 및 양분의 보유력이 강하기 때문에 이후 밀링(Milling) 및 건조하는 단계(S102)가 없다면 재응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레이가 분산된 포함하는 증류수를 밀링 및 건조함으로써 흡습제거와 동시에 층간박리된 클레이의 입자 균일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밀링 및 건조 단계(S102)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볼 밀링 오븐(Ball Milling Oven)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밀링 및 건조 단계는 연마(Grinding) 및 분쇄(Pulverizing)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평균 입자의 크기를 100 μm 미만에서 수십 μm 미만까지 감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밀링 및 건조 단계를 통하여 건조된 클레이를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함침하며, 밀링 및 건조된 클레이를 분산시키기 위해 클레이가 포함된 유기 용매에 초음파를 가진시킬 수 있다(S103).
이 때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비극성 유기 용매로서,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및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TH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유기 용매 외에 다양한 유기 용매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고강도 초음파를 가진함으로써, 이미 충분히 층간 구조가 박리된 형태로 분 산되어 있는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가 유기 용매 내에서 다시 뭉치지 않고 충분히 분산된 박리 형태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유기 용매 내에 클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된 혼합물을 슬러리(Slurry)라고 한다.
슬러리(Slurry)를 형성하는 경우, 밀링 및 건조된 클레이와 유기 용매의 부피비는 1:5 내지 1:20 범위일 수 있다.
유기 용매의 비율이 상기 범위보다 적을 경우는 클레이 자체의 응집성으로 인해 교반이 되지 않으며 초음파 가진으로 인해 점도가 급격히 높아지게 된다.
또한, 유기 용매의 비율이 상기 범위보다 많을 경우는 클레이의 분산적인 측면에서는 좋으나, 농도가 너무 묽어져서 나노 클레이의 층간 분리라는 측면에서는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프리프레그나 동박적층판 제조시 표면상에 줄무늬와 같은 외관성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클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된 혼합물을 고분자 수지(Resin)와 혼합하여 프리프레그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S104). 이때 사용하는 고분자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열적 안정성 또는 기계적 특성 등을 위하여 필러(Filler)가 100 내지 150 phr 범위로 분산된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클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된 유기용매 혼합물(즉, 슬러리)과 고분자 수지와의 혼합물은 프리프레그를 제조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로서, 이중 클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된 유기용매 혼합물(즉, 슬러리)이 40 내지 45 중량%이며 상기 고분자 수지가 55 내지 60 중량%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리프레그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프리프레그를 제조하는 경우 얻어진 프리프레그 내에서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나노사이즈의 클레이와 고분자 수지의 중량비는 1 : 99 내지 20 : 80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상기 중량비는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리프레그 내의 클레이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 클레이의 분산은 유리하나 프리프레그의 물성 향상 측면에서 불리하며, 클레이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물성 향상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충격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프리프레그 제조용 수지 혼합물에 유리섬유를 함침 건조시킴으로써 저열팽창성의 프리프레그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프레그에는 유리섬유가 함침되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에서는 유리섬유가 함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층상형 실리케이트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201)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고분자 수지, 상기 고분자 수지 내에 함침된 유리 섬유(202) 및 상기 고분자 수지 내에 함침된 필러(Filler, 203)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가 제공되며, 이와 같은 프리프레그의 양면 또는 일 측면에 동박(204)을 적층하여 동박적층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2 참조)
층상형 실리케이트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를 포함하는 저열팽창성 프리프레그 또는 동박적층판은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드릴작업시 비트의 파손이나 마모가 감소하게 되며, 스루홀의 벽면의 가공이 매끄럽지 못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도금부의 크랙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점토성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환경 친 화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층상형 실리케이트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는 천연 점토 또는 필로실리케이트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몬트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운모, 질석, 스멕타이트 등 일 수 있다. 상술된 클레이는 물질자체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점토의 층간 화학적 이온교환반응에 의해 변형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열적 안정성 또는 기계적 특성 등을 위한 필러(Filler, 203)가 100 내지 150 phr 범위로 분산된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층상형 실리케이트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와 고분자 수지의 중량비는 1 : 99 내지 20 :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상기 중량비는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클레이의 양이 적을 경우 클레이의 분산은 유리하나 물성 향상 측면에서 불리하며, 클레이의 양이 증가할수록 물성 향상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충격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상기 프리프레그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1.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동박적층판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동박적층판은, 용매가 45중량% 포함되어 있는 에폭시계의 열경화성 수지 1000g에 나노 클레이 7.5phr을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유리섬유를 수지 내에 함침한 후, 잔여 용매의 추출을 위해 용매의 비등점 수준인 170 내지 180℃에서 충분히 건조시켰다. 이 후 3um 동박을 상,하로 적층하여 최종두께 60 및 100um 동박 적층판을 제조하였다. 열팽창계수(CTE)와 모듈러스의 측정은 TA Instrument사(社)의 Q400EM과 Q800을 이용하여 IPC-TM-650을 참조하여 측정하였다. 동적 역학적 거동분석(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의 경우는 30℃에서 5분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후 300℃까지 3℃/min의 속도로 측정 하였다. 열기계분석(Thermo Mechanical Analysis, TMA)의 경우는 30℃에서 2분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후 250도까지 10℃/min의 속도로 승온한 뒤 2분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온도를 유지하는 과정은 샘플에 남아있는 열이력을 없애기 위함이었다. 이후 다시 30도까지 10℃/min의 속도로 온도를 떨어뜨린 후 다시 300도까지 10℃/min의 속도로 승온한 뒤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측정을 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나노 클레이 및 실리카 필러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동박적층판
나노 클레이 및 실리카 필러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동박적층판은 실리카 필러가 포함된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 1000g에 나노 클레이 25phr 및 50phr의 두 가지 조건으로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용매의 양은 열경화성 수지량의 45중량%정도가 유지되게 하였다. 열경화성 수지 1000g 내에는 실리카 필러가 55 내지 65중량% 함유되었다. 유리섬유를 수지 내에 함침한 후, 잔여 용매의 추출을 위하여 용매의 비등점 수준인 170 내지 180℃에서 충분히 건조를 시켰다. 이 후 3um 동박을 상,하로 적층하여 최종두께 60 및 100um 짜리 동박 적층판을 제조하였다. 측정 방법 및 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예. 실리카 필러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동박적층판
실리카 필러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동박적층판의 경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스미토모 베클라이트사, 두산, LG 3개사의 자재를 사용하였다. 스미토모 베클라이트의 ELC-4785GS제품은 약 50~60중량%정도의 실리카 필러를 함유하고 있으며 유리섬유는 통상적인 E-Glass를 사용하여 제조된 제품이며, 두산의 DS-7409HGB(L)의 경우는 약 55~65중량%정도의 실리카 필러를 함유하고 있으며 유리섬유는 통상적인 E-Glass를 사용하였으며, LG의 LGP-500LC제품의 경우, 약 55~60중량%의 실리카 필러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리섬유는 통상적인 E-Glass를 사용하여 제조된 실제품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표 1]
두께
(um)
유리전이온도
Tg
(℃, DMA)
열팽창계수CTE
(ppm/℃)
모듈러스
Storage
Modulus (GPa)
고분자수지+실리카필러(180phr) 60 255 12~13 20
100 252 12 21
고분자수지+나노클레이(7.5phr) 60 260 13.8 19
100 258 13.2 18
고분자 수지
+ 실리카필러
+ 나노클레이
180phr+5phr 60 265 11.8 18
100 267 11.17 19
150phr+2.5phr 60 260 10.3 24
100 262 9.8 25
120phr+2.5phr 60 260 11.64 21
100 261 11.26 22
아래 [표 2]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스미토모 베클라이트, 두산, LG화학의 제품과 상기 실시예와의 물성 비교표이다. 고분자 수지, 실리카 필러 및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스텍이 5이상인 경우에도 비트의 파손도에 대해 안정하였으며 홀 정확도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표 2]
제조사 ELC-4785GS DS-7409HGB(L) LGP-500LC 고분자수지+실리카필러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저열팽창계수의 동박적층판
두께
(Thickness, mm)
0.06T 0.1T 0.06T 0.1T 0.06T 0.1T 0.06T 0.1T
스텍(Stacks) 6 5 4 6 5 4 6 5 4 6 5 4 6 5 4 6 5 4 6 5 4 6 5 4
비트의
파손방지
(Bit Broken)
X X O X X O X X O X X O O O O X O O O O O X O O
홀 정확도
(Hole Accuracy)
X X X X X X X X O X X X X X O X X O X O O X O O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를 포함하는 동박적층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클레이
102 : 유리섬유
103 : 필러
104 : 동박

Claims (14)

  1. 층상형 실리케이트(Silicate)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Clay)를 증류수 내에 함침하고 초음파를 가진함으로써 상기 클레이를 상기 증류수 내에 층상구조가 박리된 상태로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클레이가 분산된 증류수를 밀링(Milling)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클레이를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함침하고 초음파를 가진함으로써 상기 건조된 클레이를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클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된 혼합물과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여 프리프레그 제조용 수지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프리프레그 제조용 수지 혼합물에 유리섬유를 함침 건조시켜 프리프레그(Pre-preg)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형 실리케이트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는 천연 점토류 또는 필로실리케이트류(Phyllosilicate)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레이를 증류수 내에 층상구조가 박리된 상태로 분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클레이를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에서 가진되는 초음파는 20kHz 내지 100kHz의 진동수를 가지는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및 건조 단계는 60℃ 내지 80℃ 온도에서 수행되는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는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및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TH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용매인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클레이와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의 부피비는 1:5 내지 1:20 인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인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클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된 혼합물을 상기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 내에 클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된 혼합물은 40 내지 45 중량%, 상기 고분자 수지는 55 내지 60 중량%로 혼합되는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얻어진 프리프레그 내에서, 상기 층상형 실리케이트 구조의 나노 사이즈의 클레이와 상기 고분자 수지의 중량비는 1 : 99 내지 20 : 80 인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80069273A 2008-07-16 2008-07-16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동박적층판 KR100979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273A KR100979541B1 (ko) 2008-07-16 2008-07-16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동박적층판
JP2009108737A JP4972123B2 (ja) 2008-07-16 2009-04-28 プリプレグ、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回路基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273A KR100979541B1 (ko) 2008-07-16 2008-07-16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동박적층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685A KR20100008685A (ko) 2010-01-26
KR100979541B1 true KR100979541B1 (ko) 2010-09-02

Family

ID=4173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273A KR100979541B1 (ko) 2008-07-16 2008-07-16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동박적층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972123B2 (ko)
KR (1) KR100979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800A2 (en) * 2012-07-30 2014-02-06 Rich Group Kimyevi Maddeler Insaat Sanayi Ve Ticaret Limited Sirketi Green technology line for production of clay micro- and nanoparticles and their functional polymer nanohybrids for nanoengineering and nanomedicine applications
KR20140035623A (ko) * 2012-09-14 2014-03-24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절연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절연층으로 포함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8140A1 (en) 2000-09-18 2002-05-16 Dana David E. Glass fiber coating for inhibiting conductive anodic filament formation in electronic supports
KR20020061016A (ko) * 1999-12-30 2002-07-20 휘립프스피트로오리암캄파니 유기 금속 촉매 조성물
US20020123285A1 (en) 2000-02-22 2002-09-05 Dana David E. Electronic support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pertures in electronic suppor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513A (ja) * 2001-01-26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積層板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
JP2007525581A (ja) * 2004-02-28 2007-09-06 コリア ユニバーシティ インダストリアル アンド アカデミック コラボレイ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クレイ−ポリウレタンナノ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476646B2 (ja) * 2004-03-03 2010-06-09 株式会社東芝 高電圧機器用の絶縁樹脂組成物、絶縁材料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絶縁構造体
KR100601091B1 (ko) * 2004-05-11 2006-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동박적층판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101256792B1 (ko) * 2005-07-20 2013-04-19 에이전시 포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앤드 리서치 전기 전도성 경화성 수지
JP5363841B2 (ja) * 2008-03-28 2013-12-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ポキシ系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硬化体、シート状成形体、積層板および多層積層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016A (ko) * 1999-12-30 2002-07-20 휘립프스피트로오리암캄파니 유기 금속 촉매 조성물
US20020123285A1 (en) 2000-02-22 2002-09-05 Dana David E. Electronic support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pertures in electronic supports
US20020058140A1 (en) 2000-09-18 2002-05-16 Dana David E. Glass fiber coating for inhibiting conductive anodic filament formation in electronic suppor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Adv Eng Ma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24437A (ja) 2010-02-04
KR20100008685A (ko) 2010-01-26
JP4972123B2 (ja)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1631B2 (ja) 積層体、積層板、多層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及び積層板の製造方法
JP4782870B2 (ja) 硬化体、シート状成形体、積層板及び多層積層板
JP4477627B2 (ja) 銅箔積層板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TWI228388B (en) Prepreg and laminate
TWI555448B (zh) Laminated body, laminated board, multilayer laminated board, printed circuit board, and laminated board manufacturing method (2)
CN106536635B (zh) 树脂组合物、预浸料、覆金属箔层叠板和印刷电路板
WO2003066741A1 (fr) Composition de resine
JP6023474B2 (ja) 熱伝導性絶縁シート、金属ベース基板及び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200950632A (en) A multilayered circuit board, insulating sheet, and semiconductor package by use of a multilayered circuit board
CN101029166A (zh) 热固性树脂组合物、b阶化树脂膜以及多层积层基板
JP5547032B2 (ja) 熱伝導性樹脂組成物、樹脂シート、プリプレグ、金属積層板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US20150094403A1 (en) Surface-modified inorganic fill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oxy resin composition and insulating film including the same
WO2010070890A1 (ja) プリプレグ及びその製造方法とこ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CN102504332A (zh) 无机填充物及含该无机填充物的电学材料
KR100979541B1 (ko) 프리프레그, 프리프레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동박적층판
TW201334643A (zh) 積層體、積層板、多層積層板、印刷線路板、及積層板之製造方法(四)
Bacigalupe et al. Greener adhesives based on UF/soy protein reinforced with montmorillonite clay for wood particleboard
JP6981256B2 (ja) Frp前駆体、積層板、金属張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4120689A (ja) 積層体、積層板、多層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積層板の製造方法
KR102059824B1 (ko) 광경화성 절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US20050287714A1 (en) Enhancing epoxy strength using kaolin filler
JP6322887B2 (ja) 積層体、積層板、多層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積層板の製造方法
TWI551632B (zh) 預浸材、覆金屬層積板、印刷配線板、多層印刷配線板
KR20240062840A (ko) 복합 필러
JP4858359B2 (ja) プリプレグ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