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747B1 -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747B1
KR100977747B1 KR1020080015171A KR20080015171A KR100977747B1 KR 100977747 B1 KR100977747 B1 KR 100977747B1 KR 1020080015171 A KR1020080015171 A KR 1020080015171A KR 20080015171 A KR20080015171 A KR 20080015171A KR 100977747 B1 KR100977747 B1 KR 100977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apillary tube
capillary
tub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972A (ko
Inventor
유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번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번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번디
Priority to KR1020080015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747B1/ko
Priority to CN2008100866668A priority patent/CN101515182B/zh
Publication of KR2009008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01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23/02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 Gasket Seal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세관의 가공성 및 내식성이 향상된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은 스틸관의 연성이 증가되도록 a1~a2℃로 가열되어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A단계, 810~830℃로 재가열되고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B단계 및 c1~c2℃로 일정시간 동안 냉각되는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물성변환공정이 진행되는 단계; 부식이 방지되도록 물성변환공정을 거친 스틸관의 외측면에 내식성 도금층이 도금되도록 하여 모세관을 형성하는 단계; 모세관이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의 일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단계; 모세관에 충진되는 작동유체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내부 공간 부피가 변하도록 모세관과 연통되게 케이싱의 내측에 가변부가 구비되는 단계; 케이싱에 모세관의 외측으로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돌출형성되고, 돌출부의 상측 형상에 대응되도록 저면에 형성된 홈부가 돌출부의 상측에 안치되도록 함으로써 링 형상의 제1접합물질이 구비되는 단계; 그리고 제1접합물질이 녹아 돌출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 균일하게 분배되어 흘러내려 케이싱을 관통하는 모세관의 관통부와, 케이싱에 밀착되는 가변부의 단부가 동시에 접합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온도조절장치, 모세관, 스틸, 내식성, 밸로우즈

Description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ostat}
본 발명은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세관의 가공성 및 내식성이 향상된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나 냉·온수기 등과 같은 냉난방 시스템에는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온도조절장치는 모세관과 밸로우즈의 내측에 팽창가스가 충진되고, 상기 팽창가스가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함으로써 상기 밸로우즈의 형상을 변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밸로우즈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연동되는 레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점(接點)이 이루어지게 되어 압축기 등의 장치를 작동시켜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세관은 상기 온도조절장치가 설치되는 장치의 공간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밴딩 등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가공성이 우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식성 또한 요구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세관의 가공성 및 내식성이 향상된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틸관의 연성이 증가되도록 a1~a2℃로 가열되어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A단계, 810~830℃로 재가열되고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B단계 및 c1~c2℃로 일정시간 동안 냉각되는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물성변환공정이 진행되는 단계; 부식이 방지되도록 상기 물성변환공정을 거친 상기 스틸관의 외측면에 내식성 도금층이 도금되도록 하여 모세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세관이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의 일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단계; 상기 모세관에 충진되는 작동유체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내부 공간 부피가 변하도록 상기 모세관과 연통되게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가변부가 구비되는 단계; 상기 케이싱에 상기 모세관의 외측으로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측 형상에 대응되도록 저면에 형성된 홈부가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안치되도록 함으로써 링 형상의 제1접합물질이 구비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접합물질이 녹아 상기 돌출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 균일하게 분배되어 흘러내려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는 상기 모세관의 관통부와, 상기 케이싱에 밀착되는 상기 가변부의 단부가 동시에 접합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발공정과 물성변환공정을 거쳐 가공에 적합한 연신율, 인장강도 그리고 항복강도를 부여함으로써, 소구경의 지름을 갖는 모세관을 스틸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격이 비싼 동 재질의 모세관을 안정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둘째,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모세관의 외면에 내식성 도금층을 형성함으로써 상용에 적용될 수 있는 우수한 내식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동 재질의 모세관을 대체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모세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모세관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모세관의 기계적 성질을 나타낸 표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내식성 도금층의 내식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접합 및 밀봉 부분에 대한 누설압 측정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케이싱(10), 감지부(20), 가변부(30) 그리고 접점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20)는 몸체를 형성하는 상기 케이싱(10)의 일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되, 내부에는 온도에 따라 팽창·수축되는 작동유체가 충진되는 모세관(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는 상기 모세관(21)과 연통되어 상기 모세관(21)에 충진된 작동유체의 팽창·수축에 따라 내부 공간 부피가 변하는 가변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상이 변형되는 상기 가변부(30)에 연동되어 상기 접점부(40)는 선택적으로 접점되어 전기가 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세관(21)은 연신율이 증가되도록 물성변환공정을 거친 스틸 재질의 스틸관(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가격이 비싼 종래의 동 재질의 모세관을 스틸 재질의 모세관으로 대체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또한, 상기 스틸관(22)의 외측면에는 내식성 도금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 를 통해, 상기 모세관(21)이 종래의 동 재질로 이루어진 모세관 수준의 내식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히,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10)에는 감지부(2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감지부(20)는 상기 케이싱(10)의 일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모세관(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세관(21)은 관을 형성하는 스틸관(22)과, 상기 스틸관(22)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틸관(22)의 외측면에 도금되는 내식성 도금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틸관(22)은 스틸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스틸관(22)은 지름이 4mm 이상인 관이 인발공정을 통해 지름 2mm, 두께 0.5mm인 관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발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상기 스틸관(22)의 지름 및 두께는 ±0.02mm의 오차 허용 범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인발공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물성변환공정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물성변환공정은 열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신율이 향상되도록 어닐링(annealing)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성변환공정은 A단계, B단계 그리고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단계 B단계 C단계
승온 유지 승온 유지 감온
a1~a2
35~45분
a1~a2
45~55분
b1~b2
25~35분
b1~b2
115~125분
c1~c2
355~365분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A단계는 인발공정을 거친 상기 스틸관(22)이 충분한 온도와 시간에서 가열되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스틸관(22)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열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틸관(22)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열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는 a1~a2℃가 되도록 35~45분 동안 승온하여, a1~a2℃의 상태로 45~55분 동안 유지하는 조건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를 거친 상기 스틸관(22)이 소정의 온도와 시간에서 재가열되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스틸관(22)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재열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스틸관(22)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재열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는 b1~b2℃가 되도록 25~35분 동안 승온하고, b1~b2℃의 상태로 115~125분 동안 유지하는 조건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C단계는 355~365분 동안에 c1~c2℃의 온도범위에 도달될 수 있도록 냉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B단계 유지온도(℃) 인장강도(kg/㎟) 항복강도(kg/㎟) 연신율(%) 경도(Hv)
z1 30.2 18.3 36.5 97.2
z2 28.8 17.2 38.2 95.3
z3 27.1 11.5 39.2 90.0
z4 24.6 8.5 39.7 88.1
z5 24.2 10.5 38.5 90.1
표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물성변환공정을 거친 상기 스틸관(22)은 상기 B단계의 유지온도가 z3~z5인 경우 38.5~39.7%의 연신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범위의 연신율은 인발공정을 거친 일반 스틸 재질의 연신율 2.5% 보다 현저하게 향상된 값일 뿐만 아니라, 상기 모세관(21)과 동일한 지름과 두께로 형성된 동(銅) 재질의 모세관 연신율 37.8%보다 우수하다.
또한, 상기 B단계의 유지온도가 z3~z5인 경우의 인장강도는 24.2~27.1kg/㎟로서, 인발공정을 거친 스틸 재질의 인장강도 43.9kg/㎟ 보다는 작으나, 상기 모세관(21)과 동일한 지름과 두께로 형성된 동 재질의 모세관 인장강도 22.3kg/㎟ 보다 우수하였다.
그리고, 상기 B단계의 유지온도가 z3~z5인 경우의 항복강도는 인발공정을 거친 스틸 재질의 항복강도 42.6kg/㎟ 보다는 낮은 8.5~11.5kg/㎟의 항복강도를 가지나, 상기 모세관(21)과 동일한 지름과 두께로 형성된 동 재질의 모세관의 항복강도인 5.5kg/㎟ 보다는 우수한 항복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스틸관(22)은 상기 모세관(21)과 동일한 지름과 두께로 형성된 동 재질의 모세관 경도 Hv70.9보다는 높지만, 인발공정을 거친 일반 스틸 재질의 경도 Hv149.3 보다 낮은 Hv88.1~90.1의 경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상기 B단계에서의 승온 및 유지 시의 온도범위 b1~b2℃는 z3~z5℃의 범위임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z3~z5은 810~830℃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C단계의 냉각시에는 질소 가스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진공도는 10-5~10-3Tor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틸관(22)은 종래의 동 재질의 모세관에 대응되는 지름(예를 들면, 2mm)과 두께(예를 들면, 0.5mm)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향상된 인장강도와 항복강도 그리고 연신율을 가지면서도 경도가 상용으로 사용가능한 수준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연신율이 동 재질의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오히려 향상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가공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종래의 가공성의 문제로 인하여 동 재질이 사용되던 분야(예를 들면, 소구경의 모세관)에서 스틸 재질로의 대체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어 경제성의 향상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틸관(22)의 내식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스틸관(22)의 외면에는 내식성 도금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식성 도금층은 아연(Zn), 주석(Sn), 구리(Cu), 알루미늄(Al) 중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도금층(71)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금층(71)이 이루어진 후, 3가 크롬(Cr3 +)으로 크로메이팅 처리된 Cr3 +층(73)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금층(71)의 두께는 12~13㎛의 범위를 이룸이 바람직하고, 상기 Cr3 +층(73)의 두께는 1㎛ 이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도금층(71, 73)의 두께는 상기 모세관(21)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평균 8개의 위치에서 각각 측정한 값의 평균치로 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식성 도금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모세관(21)은 인장강도가 30.9kg/㎟로, 상기 물성변환공정 후의 인장강도인 24.2~27.1kg/㎟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상기 모세관(21)의 항복강도는 15.8kg/㎟로, 상기 물성변환공정 후의 항복강도인 8.5~11.5kg/㎟보다 개선되었다.
특히, 경도는 Hv78.7로, 상기 물성변환공정 후의 경도인 Hv88.1~90.1보다 감소하였고, 연신율은 39.9%로 상기 물성변환공정 후의 연신율인 38.5~39.7%보다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상기 모세관(21)은 동 재질로 이루어진 모세관보다 우수한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도가 낮고 특히, 연신율이 개선되어 가공성이 향상되어 상용에 적합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모세관(21)은 염수(鹽水)를 연속적으로 분무하여 백청 및 적청의 유무를 확인하는 시험(SST)에서, 120시간의 경과 후에 백청이 발생 되었는데, 이는 72시간 이내에는 백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기준을 만족하는 것이다.
그리고, 적청은 288시간 경과 후에 발생 되었는데, 이 또한, 240시간 이내에는 적청이 발생되지 않아야 하는 기준을 만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적청은 스틸에 녹이 발생된 상태를 의미하며, 백청은 스틸의 부식이 아닌 백색의 아연(상기 내식성 도금층이 아연의 성분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경우)의 색이 변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염수는 5중량%의 소금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모세관(21)은 기준 이상의 개선된 내식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적청은 스틸에 녹이 발생된 상태를 의미함으로써 내식성능의 판단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데, 상기 도금층(71)의 두께에 따른 내식성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금층 두께(㎛) 백청발생 시점(시간 후) 적청발생 시점(시간 후)
8 72 192
10 72 218
13 72 288
15 72 320
20 72 407
25 72 480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40시간 이내에 적청이 발생되지 않아야 하는 기준을 만족하는 도금층의 두께는 13㎛ 이상일 때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도금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적청 발생 시점 또한 증가함을 알 수 있지만,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도금층의 두께는 12~13㎛임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SST에서 24시간은 1 cycle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이때, 1 cycle은 실제의 약 1년의 시간에 대응되는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식성 도금층이 240시간 이내에 적청이 발생되지 않았다는 것은 실제로는 약 10년 동안 적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식성 도금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모세관(21)은 상기 모세관(21)이 설치되는 장치의 내구수명이 약 10년 정도로 가정될 경우, 상기 장치의 내구수명 이상의 수명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용에 적합한 충분한 내식성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내식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도금층(71)과 Cr3 +층(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내식성 도금층의 외측에는 나노(nano) 수지가 더 코팅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인발공정, 물성변환공정 그리고 내식성 도금층 형성공정을 통해 형성된 상기 모세관(21)은 적절한 길이로 절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세관(21)은 상기 케이싱(10)의 일측을 관통하여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을 관통한 상기 모세관(21)의 양측에는 상기 케이싱(10)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가압되는 코킹(caulking) 공정을 통해 상부플랜지부(26)와 하부플랜지부(2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26,27)는 Ø3.6~3.8mm의 범위로 확관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상기 플랜지부(26,27)는 상기 케이싱(10)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는 속이 빈 형상의 가변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변부(30)는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모세관(21)의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변부(30)는 주름진 밸로우즈(bellows)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랜지부(26)와 상기 가변부(30)의 단부는 후술할 제1접합물질에 의해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면에 접합되어 기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세관(21)과 상기 가변부(30)의 내측에는 온도에 따라 팽창 수축하는 작동유체(예를 들면, 헬륨(He) 또는 프레온계 냉매(R134a) 등)가 충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일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상기 모세관(21)에서, 상기 케이싱(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모세관(21)의 일단부(23)는 밀봉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세관(21)의 일단부(23)는 밀봉물질이 저장되는 밀봉물질 탱크(미도시)에 담기어져 상기 밀봉물질에 의해 신속하게 밀봉(sealing)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모세관(21)과 상기 가변부(30)의 내측에는 상기 작동유체가 누출됨이 없이 봉입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 4는 밀봉물질의 성분 구성비에 따른 밀봉 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성분 구성비(%) 밀봉
호환성
밀봉작업온도
(℃)
밀봉시간
(초/10개,1회)
누설량
(개/10개)
유해물질 제한지침(RoHS)에 따른 제한 물질
스틸
비교예 Ag:α,Sn:β × 280 80 0 없음
실시예1 Ag:α1,Sn:β1,Bi:γ1 × 285 작업불가 10 없음
실시예2 Ag:α2,Sn:β2,Bi:γ2 × 290 작업불가 8 없음
실시예3 Ag:α3,Sn:β3,Bi:γ3 × 295 작업불가 6 없음
실시예4 Ag:α4,Sn:β4,Bi:γ4 × 300 210 1 없음
실시예5 Ag:α5,Sn:β5,Bi:γ5 320 85 0 없음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5는 스틸 재질에 대한 밀봉 호환성이 있고, 밀봉후 밀봉부위에서의 누설이 발생하는 않았으며, 밀봉시간이 85초로서 비교예의 밀봉시간 80초에 상당하였다.
따라서, 실시예5의 성분 구성비로 이루어지는 상기 밀봉물질은 상기 모세관(21)의 일단부가 효과적으로 밀봉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5의 성분 구성비 α5는 2~4, β5는 51~60 그리고 γ5는 35~45 임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봉물질은 중량%로, 은(Ag): 2~4%, 주석(Sn): 51~60% 그리고 비스무트(Bi): 35~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통해, 상기 밀봉물질은 스틸 재질에 대한 밀봉 호환성이 있으므로, 상기 모세관(21)의 일단부는 누설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신속한 밀봉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밀봉물질과, 상기 상부플랜지부(26) 및 상기 가변부(30)의 단부(32)에 적용되는 상기 제1접합물질은 유해물질 제한지침(RoHS)에 따른 제한 물질인 납(Pb), 카드뮴(Cd), 수은(Hg), 6가 크롬(Cr6 +)과 브롬계 난연제인 Polybrominated biphenyls(PBBs) 및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PBDEs)가 함유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합 및 밀봉된 상기 모세관(21)과 가변부(30)는 항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방치되어 봉입된 상기 작동유체의 누설유무를 확인하는 공정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입된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모세관(21)이 온도를 감지하는 장소(예를 들면, 냉동실 등)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체의 팽창으로 인해 상기 가변부(30)의 형상도 변형되어 지는데, 이때, 상기 가변부(30)가 밸로우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변부(30)는 상측으로 팽창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부(30)의 상측에 위치된 레버(50)는 상기 가변부(30)에 의해 상방향으로 가압되어 회전부(5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50)의 타측에 구비된 푸쉬바(60)는 상기 레버(50)에 연동되어 일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그리고, 일방향으로 밀리는 상기 푸쉬바(60)에 의해 접점부(40)에서는 선택적으로 전기 접점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점부(40)는 가동접점(42)과 고정접점(45) 그리고 탄성부재(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푸쉬바(60)에 의해 탄성부재(47)가 변형되면서 상기 가동접점(42)이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접점(45)에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접점(45)과 가동접점(42)이 접속하게 되어 전기가 통하게 됨에 따라, 온도를 낮추기 위한 기기(예를 들면, 압축기 등)가 작동하게 되면 냉동사이클이 작동하게 되어 상기 모세관(21)이 온도를 감지하는 장소의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세관(21)이 온도를 감지하는 장소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모세관(21) 내부의 작동유체가 수축하게 되어 상기 가변부(30)도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50)와 상기 푸쉬바(60)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면서 접속되었던 상기 가동접점(42)과 고정접점(45)이 단속되면서 전류가 차단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온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세관(21)에는 감지 튜브(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튜브(29)와 상기 모세관(21)의 연결부위는 제2접합물질에 의하여 접합처리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접합물질은 상기 제1접합물질과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접합물질은 상기 밀봉물질과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튜브(29)는 상기 모세관(21)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감지부(20)와 상기 가변부(30)에 충진되는 상기 작동유체 양이 더욱 증가될 수 있으므로, 보다 민감한 온도감지가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감지 튜브(29)는 알루미늄 재질 및 스틸 재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튜브(29)가 스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감지 튜브의 외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내식성 도금층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과 상기 상부플랜지부(26)의 접합부, 상기 케이싱(10)과 상기 가변부(30)의 접합부, 상기 모세관(21)과 상기 감지 튜브(29)의 접합부 및 상기 모세관(21)의 일단부(23)에 이루어진 밀봉부에서는 고압의 질소 가스를 15kg/㎠의 압력으로 20초간 유지한 상태에서 질소의 누설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상기 감지 튜브(29)는 220.8kg/㎠의 압력에서 300초 이내에는 파열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150kg/㎠ 이하의 압력에서 300초 이내에 파열이 이루어져서는 안 되는 동(銅) 재질 규격을 만족하는 것이며, 동 재질로 이루어진 감지 튜브가 281.5kg/㎠의 압력에서 300초 이내에 파열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거의 상응하는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세관(21)과 감지 튜브(29)는 종래의 동 재질로 이루어진 모세관과 감지튜브의 기밀성과 파열압에 상응하는 성능을 가짐으로써, 상용으로 사용 가능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제1접합물질이 녹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제1접합물질이 녹아 가변부와 감지부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면과,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상기 상부플랜지부(26)와 상기 가변부(30)의 단부(32) 사이에는 링 형상의 제1접합물질(8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접합물질(80)에 열풍 또는 가스 열을 가하여 상기 제1접합물질(80)이 녹으면서 상기 상부플랜지부(26)와 상기 가변부(30)의 단부(32)가 접합(90)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상부플랜지부(26)와 상기 가변부(30)의 단부(32)에 대한 접합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 공정이 간소화되고 생산성도 향상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제1접합물질이 녹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제1접합물질이 녹아 가변부와 감지부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에서는 전술한 제1접합물질이 안치되는 케이싱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도조절장치에서 케이싱(110)에는 제1접합물질(18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접합물질(180)의 하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15)의 상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홈부(185)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홈부(185)는 상기 돌출부(115)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1접합물질(180)은 상기 돌출부(115)의 상측에 용이하게 안치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접합물질(180)에 열풍 또는 가스 열을 가하여 상기 제1접합물질(180)이 녹으면, 녹은 제1접합물질이 상기 돌출부(115)의 양측으로 흘러내리게 되어 상부플랜지부(126)와 상기 가변부(30)의 단부(32)가 접합(190)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접합물질(180)은 상기 홈부(185)의 형성 위치에 따라 상기 돌출부(115)의 내·외측으로 흐르는 제1접합물질의 양이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조절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모세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모세관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모세관의 기계적 성질을 나타낸 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내식성 도금층의 내식성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접합 및 밀봉 부분에 대한 누설압 측정 결과를 나타낸 표.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제1접합물질이 녹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제1접합물질이 녹아 가변부와 감지부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제1접합물질이 녹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의 제1접합물질이 녹아 가변부와 감지부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 케이싱 20: 감지부
21: 모세관 22: 스틸관
26,126: 상부플랜지부 29: 감지 튜브
30: 가변부 40: 접점부
71: 도금층 73: Cr3 +
80,180: 제1접합물질 115: 돌출부
185: 홈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스틸관의 연성이 증가되도록 a1~a2℃로 가열되어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A단계, 810~830℃로 재가열되고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B단계 및 c1~c2℃로 일정시간 동안 냉각되는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물성변환공정이 진행되는 단계;
    부식이 방지되도록 상기 물성변환공정을 거친 상기 스틸관의 외측면에 내식성 도금층이 도금되도록 하여 모세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세관이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의 일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단계;
    상기 모세관에 충진되는 작동유체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내부 공간 부피가 변하도록 상기 모세관과 연통되게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가변부가 구비되는 단계;
    상기 케이싱에 상기 모세관의 외측으로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측 형상에 대응되도록 저면에 형성된 홈부가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안치되도록 함으로써 링 형상의 제1접합물질이 구비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접합물질이 녹아 상기 돌출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 균일하게 분배되어 흘러내려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는 상기 모세관의 관통부와, 상기 케이싱에 밀착되는 상기 가변부의 단부가 동시에 접합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80015171A 2008-02-20 2008-02-20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 KR100977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171A KR100977747B1 (ko) 2008-02-20 2008-02-20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
CN2008100866668A CN101515182B (zh) 2008-02-20 2008-03-20 恒温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171A KR100977747B1 (ko) 2008-02-20 2008-02-20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972A KR20090089972A (ko) 2009-08-25
KR100977747B1 true KR100977747B1 (ko) 2010-08-24

Family

ID=4103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171A KR100977747B1 (ko) 2008-02-20 2008-02-20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7747B1 (ko)
CN (1) CN1015151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1564A (zh) * 2010-12-28 2011-07-13 平顶山市联立机电有限公司 温控器用膜盒的恒温恒压充气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2849B (zh) * 2010-12-27 2015-05-20 阿塞里克股份有限公司 在家用电器中使用的恒温器
CN114899042B (zh) * 2022-05-31 2023-06-27 无锡市润业电器有限公司 一种复位高精准的液涨式温控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4977A (ja) 1981-10-30 1983-05-06 Hitachi Ltd 温度調節ダンパ−装置
KR860000586A (ko) * 1984-06-15 1986-01-29 허신구 2단 조절 가능한 온도 조절기
KR200201651Y1 (ko) 1999-05-26 2000-11-01 주식회사레인보 대용량 자동온도조절기
KR20070065887A (ko) * 2004-09-24 2007-06-25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리미티드 열 교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4977A (ja) 1981-10-30 1983-05-06 Hitachi Ltd 温度調節ダンパ−装置
KR860000586A (ko) * 1984-06-15 1986-01-29 허신구 2단 조절 가능한 온도 조절기
KR200201651Y1 (ko) 1999-05-26 2000-11-01 주식회사레인보 대용량 자동온도조절기
KR20070065887A (ko) * 2004-09-24 2007-06-25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리미티드 열 교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1564A (zh) * 2010-12-28 2011-07-13 平顶山市联立机电有限公司 温控器用膜盒的恒温恒压充气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5182B (zh) 2011-07-06
CN101515182A (zh) 2009-08-26
KR20090089972A (ko)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49560B (zh) 一种真空玻璃封接方法及真空玻璃产品
KR100977747B1 (ko) 온도조절장치의 제조방법
JP4874422B2 (ja) サクションパイプ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EP2552613B1 (en) Seamless composite metal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117468A (ko) 진공 단열 유리(vig) 유닛에 이용되는 프릿, 및/또는 관련 방법
US20180259226A1 (en) Air conditioner
WO2015155826A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JP6299029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TWI787330B (zh) 熱管及熱管的製造方法
EP3376138B1 (en) Air conditioner
KR20140023476A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동합금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035711A1 (en) Cooling Apparatus Comprising Metal Tubes Connected Through Soldered Lap Joints
KR20130017856A (ko)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143700A1 (zh) 制冷阀部件、制冷阀及其制造方法
EP3645821A1 (en) Gasket and sealing sytem for a vig unit production
US8957327B2 (en) Feed-through assembly
KR200270457Y1 (ko)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JP2017133808A (ja) 冷凍装置
KR200231170Y1 (ko) 강관으로된 토출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US20230400246A1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044760A1 (ja) 水熱交換器、水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773326B1 (ko) 천이 액상 확산 접합을 위한 열 교환기용 플레이트
JP2005325856A (ja) 高圧流体用制御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31171Y1 (ko) 강관으로 된 흡입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KR20130017040A (ko) 변속기 오일쿨러용 다층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