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171Y1 - 강관으로 된 흡입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 Google Patents

강관으로 된 흡입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171Y1
KR200231171Y1 KR2020010002495U KR20010002495U KR200231171Y1 KR 200231171 Y1 KR200231171 Y1 KR 200231171Y1 KR 2020010002495 U KR2020010002495 U KR 2020010002495U KR 20010002495 U KR20010002495 U KR 20010002495U KR 200231171 Y1 KR200231171 Y1 KR 200231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ccumulator
copper
suctio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산업
Priority to KR2020010002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1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171Y1/ko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냉동설비의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틸로 제작되어진 어큐뮬레이터의 흡입부로 접합되어지는 흡입관이 강관을 사용함으로서 접합성을 우수하게 하고, 이러한 강관에 니켈코팅층을 형성하여 동관과의 연결이 용이하게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스틸로 제작되어지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의 흡입부에 연결되는 것은 동관으로 되는 연결관의 연결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동관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동관으로된 흡입관이 금속을되 어큐뮬레이터의 흡입부와 접합될 경우에는 용융점이 다르기 때문에 동관이 비교적 높은 온도(섭씨 약 1050도 정도)에 노출되어짐으로서 쉽게 연질화되고 열 변형되어 기밀유지가 곤란하며 냉매의 누설이 일어나거나 관 표면으로 산화가 일어남으로서 산화 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흡입관을 강관으로 사용하고, 강관의 외부 표면에는 동관과의 용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니켈코팅층을 형성하여 연결관인 동관과의 접합성을 높이고 강관을 사용함으로 어큐뮬레이터의 연결부와의 접합성을 우수하게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냉동설비용

Description

강관으로 된 흡입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A accumulator of cooling equipment with suction tube is made of steel pipe}
본 고안은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의 흡입부로 접합되는 흡입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관인 흡입관을 스틸인 흡입부와 접합할 경우에 브레이징 접합이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행하여짐으로 인하여 동관인 흡입관이 쉽게 연질화되고 열변형되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관으로 사용하고, 강관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에 배관을 위한 연결관의 접합시 동관으로 되어 있는 연결관과의 용이한 접합을 위하여 강관인 흡입관의 외부 표면에 니켈 코팅층을 형성하여 접합성 및 기밀성을 개선하여 냉매의 누출을 방지하고 원가 절감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냉동설비에 이용되는 배관은 가공성이 우수한 동관 또는 강관을 사용하였으나 강관은 표면 처리가 좋지 못하고 녹이 나며 열전도율이 동관에 비하여 좋지 못하기 때문에 동관의 사용이 주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동관은 비교적 고가일 뿐만 아니라 동관을 사용하여 배관을 행할 경우에는 관의 연장을 위해서나 강재로 제조되는 압축기 등의 냉동 부품에 접속되어지는 부위로는 순환되는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동합금용접부재(BCuP) 등의 용접재를 사용하여 인두나 토치 등으로 녹여 붙이는 브레이징 접합법(Torch Brazing)이 사용되는데 이 경우 모재인 동관이 비교적 높은 온도(섭씨 약 1050도 정도)에 노출되어짐으로서 연질화되고 쉽게 열변형됨으로서 접속 결합부위의 기밀 유지가 곤란하여 냉매의 누설이 발생되고 열에 노출되어진 동관의 표면으로는 급속한 산화가 진행됨으로서 산화녹 발생의 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강재로 제작되어지는 어큐뮬레이터의 흡입부에 연결되는 흡입관도 연결관과의 연결을 위하여 통상 동관을 사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즉 흡입관(10)은 어큐뮤레이터(100) 상단으로 마련된 흡입부(120)에 접합된 후 순환되는 냉매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용접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흡입관은 냉매의 순혼으 위하여 동관으로 되는 연결관과의 연결을 위하여 동관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동관으로 구성된 흡입관(10)은 비교적 고가이고, 또한 스틸로 제작된어큐뮬레이터와는 용접성이 떨어지게 됨에도 연결관과의 연결을 위하여 동관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흡입관과 어큐뮬레이터의 흡입부와의 접합부위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인동합금용접재(BCuP)를 토치 불꽃 등으로 녹여 붙이는 브레이징 접합방법으로 기밀되어지나 높은 온도(섭씨 약 1,050도)에 노출된 동관이 쉽게 연화되고 열변형됨으로서 기밀도 유지가 곤란하여 순환되어지는 냉매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흡입관을 어큐뮬레이터와 동일한 강관을 사용하고, 상기 강관에 니켈코팅층을 형성함으로서 동관인 연결관과의 연결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어큐뮤레이터 흡입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어큐뮤레이터 흡입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흡입관 12 : 코팅층
14 : 확관부
100 : 어큐뮬레이터 120 : 흡입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스틸인 어큐뮬레이터의 흡입부로 접합되는 흡입관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0)을 강관을 사용하고 강관의 외부 표면에는 니켈코팅층을 형성하여 동관인 연결관과의 연결과 스틸인 어큐뮬레이터의 흡입부와의 접합성을 향상시킨 구성이다.
상기 흡입관(10)의 외면에는 표면경도를 높이고 접합성의 향상을 위해 무전해 니켈 코팅을 행함으로서 코팅층(14)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입관(10)의 내면으로 형성되는 코팅층(14)은 접합부위 일부로 국한되어질 수도 있고 관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무전해로 행하여지는 니켈코팅층(14)은 모재에 내열성과 열전도성, 용접성, 납땜성 및 변색 등을 방지하는 열적 특성이 부가됨으로서 니켈코팅층(14)을 가지는 강관으로 이루어진 흡입관(10)은 접속 결합시 행해지는 브레이징 접합으로 인한 모재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접합성을 향상시켜 냉매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무전해 니켈 코팅층(14)은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해에 의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균일하고 후박한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는 무전해 코팅 방법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도금 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코팅층(14)을 이루는 니켈은 이와 동등한 접합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리 또는 복합은 등을 사용하여 피복되어질 수도 있으나 현재로서는 비교적 저렴한 니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흡입관(10)은 스틸로 되는 어큐뮤레이터 흡입부에 소정 깊이로 삽입된 후 그 경계 부위는 인동합금용접부재(BCuP)를 사용하여 브레이징 접합된다.
브레이징 접합시의 어큐뮤레이터(100)와 흡입관(10)은 코팅층(14)에 의해 접합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기밀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고온에 노출되어도 열변형의우려가 적은 강재의 관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접합 후에도 냉매가 누설될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행하여진 어큐뮤레이터 흡입관은 증발기에서 증발 기화된 냉매를 어큐뮤레이터로 이송하는 흡입관의 재질을 비교적 저렴한 강재로 구성함으로서 제작 단가를 낮추고 동관에서 발생되는 산화녹을 예방함으로서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어큐뮤레이터 흡입관에 의하면 용접성의 향상으로 냉매 누설의 우려가 없고 동관에 대체하여 저렴한 강관의 사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와 냉매 누설 방지를 위한 용접 또는 브레이징 접합작업에 의한 모재의 열변형을 최소화하고 접합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스틸로 제작되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의 흡입부에 용접되는 동관의 흡입관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을 강관으로 사용하고 강관의 외부표면에는 니켈코팅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으로 된 흡입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0)의 외부표면에 코팅된 니켈코팅층을 무전해 니켈코팅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으로 된 흡입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KR2020010002495U 2001-02-02 2001-02-02 강관으로 된 흡입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KR200231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495U KR200231171Y1 (ko) 2001-02-02 2001-02-02 강관으로 된 흡입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495U KR200231171Y1 (ko) 2001-02-02 2001-02-02 강관으로 된 흡입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171Y1 true KR200231171Y1 (ko) 2001-07-19

Family

ID=7306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495U KR200231171Y1 (ko) 2001-02-02 2001-02-02 강관으로 된 흡입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1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6834A (ko) 구리 및 철강 복합관, 이의 제조방법, 이의 응용 및 용접 구조물
RU2008145100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холодильной плиты дл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печи и получаемая холодильная плита
JP2009535801A (ja) サセプタ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サセプタ
CN102128323B (zh) 一种铜铝复合管与铜管的连接结构的焊接方法
JP2005262248A (ja) 銅管とアルミニウム管の接合体、該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冷凍回路
JP5633205B2 (ja) アルミニウム管と銅管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構造ならびにこの接合構造を有する熱交換器
KR200231171Y1 (ko) 강관으로 된 흡입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KR20140040228A (ko) 밀폐형 컴프레서를 위한 커넥터
JP2012000645A (ja) アルミニウム管と銅管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構造ならびにこの接合構造を有する熱交換器
CN104588964A (zh) 异种金属管材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664799B (zh) 铜钢复合构件的感应熔铸连接方法
KR100973123B1 (ko) 방열어셈블리
US20080035711A1 (en) Cooling Apparatus Comprising Metal Tubes Connected Through Soldered Lap Joints
JP2004132556A (ja) 水冷導体及びその製作方法
KR200238352Y1 (ko) 내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강재의 연결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압축기
KR200231170Y1 (ko) 강관으로된 토출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KR100581129B1 (ko) 알루미늄 리브를 가지는 강철 튜브를 연결하기 위한 공정
CN104874909A (zh) 石英复合陶瓷与铁镍合金的液相扩散连接方法
KR200270457Y1 (ko)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KR200228142Y1 (ko) 강관으로된 토출관을 갖는 냉동설비용 압축기
KR20140049820A (ko) 열교환용 인아웃렛 파이프의 고정구조
CN104668686A (zh) 一种低温钎焊刀具的方法
KR101608493B1 (ko) 어큐뮬레이터의 튜브 연결구조
KR20080079473A (ko) 스테인 리스 스틸 파이프와 연결구의 브레이징 용접 방법
US20130248585A1 (en) Braz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