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856A -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856A
KR20130017856A KR1020110080539A KR20110080539A KR20130017856A KR 20130017856 A KR20130017856 A KR 20130017856A KR 1020110080539 A KR1020110080539 A KR 1020110080539A KR 20110080539 A KR20110080539 A KR 20110080539A KR 20130017856 A KR20130017856 A KR 2013001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alloy
alloy material
pipe
conductivity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167B1 (ko
Inventor
신중현
이범재
황인엽
곽원신
김도현
홍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풍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풍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풍산
Priority to KR102011008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167B1/ko
Priority to JP2011277381A priority patent/JP2013040397A/ja
Priority to CN2011104450390A priority patent/CN102925739A/zh
Publication of KR2013001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05 내지 0.25 중량% 철(Fe), 0.01 내지 0.05 중량%의 망간(Mn), 0.015 내지 0.07 중량%의 인(P), 잔부(殘部)의 구리(Cu)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철(Fe)과 인(P)의 중량비(Fe/P)가 0.75 내지 6.0인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0.05 내지 0.25 중량%의 철(Fe), 0.01 내지 0.05 중량%의 망간(Mn), 0.015 내지 0.07 중량%의 인(P), 및 잔부(殘部)의 구리(Cu)를 포함하고, 철(Fe)와 인(P)의 중량비(Fe/P)가 0.75 내지 6.0가 되도록 빌렛을 주조하는 단계; 상기 빌렛을 열간압출하여 소관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열간압출된 소관을 냉간관압연하여 관재를 수득하는 단계(냉간관압연단계); 상기 냉간관압연된 관재를 냉간인발하는 단계; 상기 냉간인발된 관재를 코일 형태로 감는 단계(레벨와인딩단계); 및 상기 코일 형태로 감긴 관재를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 및 이의 제조 방법{COPPER ALLOY MATERIAL FOR PIPE OF HIGH STRENGTH AND HIGH CONDUCTIVITY AND THE METHOD FOR PRODUCTION SAME}
본 발명은 구리, 철, 망간 및 인을 포함하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탕기, 공조기, 냉동기, 냉장고 등의 배관설비 및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소재로 열전도성이 뛰어난 구리 또는 동합금재가 주로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열전도성, 가공성, 내열성 및 납땜성이 우수한 인탈산동(C1220)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한편, 최근 급탕기, 에어컨, 냉장고 등의 배관설비 및 열교환기에서 열매체 가스로서 사용되던 프레온 가스는 오존층 파괴로 인해 그 사용이 엄격하게 규제되고, 대신 친환경 냉매(CO2 가스 등)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열매체로서 이러한 친환경 냉매를 사용하는 경우의 응축 압력이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2배 이상 높다. 따라서, 배관설비 및 열교환기에서 사용되는 파이프가 프레온 가스 대체 친환경 냉매의 사용으로 인해 증가된 응축 압력을 견디기 위해서는, 상기 파이프의 두께를 더욱 두껍게 하거나, 또는 상기 파이프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 파이프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전체 내압 전열 용기의 중량이 증가되므로, 총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상술한 파이프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구조상의 이유 및 진동 방지를 위해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부재도 강도를 높여야 하므로, 이에 대한 제조 비용도 추가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파이프 제조시 드로잉 가공의 가공량도 많아지게 되므로, 이 또한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된다.
현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87005호에서는 고강도 동합금관으로서 구리, 주석, 코발트, 인, 아연, 니켈 등을 포함하는 동합금관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동합금관은 연신율이 낮아서 열교환기용 파이프로 사용하기에는 가공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강도 및 고전도성을 가지고, 동시에 가공성도 양호한 동합금재와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는 0.05 내지 0.25 중량%의 철(Fe), 0.01 내지 0.05 중량%의 망간(Mn), 0.015 내지 0.07 중량%의 인(P), 잔부(殘部)인 구리(Cu)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Fe)과 인(P)의 중량비(Fe/P)는 0.75 내지 6.0이다. 상기 동합금재는 295MPa 이상의 인장강도, 35% 이상의 연신율 및 81% IACS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의 제조방법은, 0.05 내지 0.25 중량%의 철(Fe), 0.01 내지 0.05 중량%의 망간(Mn), 0.015 내지 0.07 중량%의 인(P), 및 잔부(殘部)의 구리(Cu)를 포함하고, 상기 철(Fe)와 인(P)의 중량비(Fe/P)가 0.75 내지 6.0가 되도록 빌렛을 주조하는 단계(주조 단계); 상기 빌렛을 열간압출하여 소관을 수득하는 단계(열간압출단계); 상기 열간압출된 소관을 냉간관압연하여 관재를 수득하는 단계(냉간관압연단계); 상기 냉간관압연된 관재를 냉간인발하는 단계(냉간인발단계); 상기 냉간인발된 관재를 코일 형태로 감는 단계(레벨와인딩단계); 및 상기 코일 형태로 감긴 관재를 열처리하는 단계(열처리단계)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파이프용 동합금재는 295MPa 이상의 인장 강도, 35% 이상의 연신율 및 81% IACS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이프용 동합금재는 강도 및 전도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이프용 동합금재는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파이프용 동합금재의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동합금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2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각 시료의 확관 시험 결과이다.
도 3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각 시료의 부식 시험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각 시료의 조직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는 0.05 내지 0.25중량% 철(Fe), 0.01 내지 0.05중량%의 망간(Mn), 0.015 내지 0.07중량%의 인(P), 잔부(殘部)의 구리(Cu)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Fe)과 인(P)의 중량비(Fe/P)는 0.75 내지 6.0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에서, 철(Fe)은 Fe-P계 등의 미세한 분산입자의 석출물을 형성하여, 동합금재의 강도나 도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합금재에서 철은 0.05 내지 0.25중량% 범위로 포함된다. 철이 0.0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미세한 석출물 분산입자가 부족하여 충분한 강도 및 도전성을 확보할 수 없다. 반면에 철이 0.25중량%를 넘게 되면, 석출되는 분산입자의 조대화되어 최종 생성되는 생성물의 강도와 굽힘 가공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에서, 망간(Mn)은 열간 가공성의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합금재에서 망간은 0.01 내지 0.05중량% 범위로 포함된다. 망간의 함유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열간 가공성이 얻어지지 않고, 0.05중량%를 넘게 되면 조대한 정출물이나 산화물이 생성되어 굽힘 가공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도전성의 저하도 심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에서, 인(P)은 탈산 작용뿐만 아니라, 철과 미세한 석출물을 형성하여 동합금의 강도나 도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합금재에서 인은 0.01 내지 0.07중량% 범위로 포함된다. 인이 0.01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면, 미세한 석출물 입자가 부족하여 충분한 강도 및 도전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인의 함유량이 0.07중량%를 초과하면, Fe-P 석출 입자가 조대화됨에 따라 강도나 굽힘 가공성이 저하되고 열간 가공성도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에서 구리(Cu)는 잔부량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에는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이 극미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에서, Fe와 P의 질량비는 0.75 내지 6.0이다. 상기 Fe와 P의 질량비(Fe/P)가 0.75 미만인 경우에는 과잉된 P가 Cu 매트릭스 중에 용해되어, 최종 동합금재의 전도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반면에, 상기 Fe와 P의 질량비(Fe/P)가 6.0을 넘을 경우, 남는 과량의 Fe가 조질의 단체 Fe 입자로 생성되어, 최종 동합금재의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Fe와 P의 질량비(Fe/P)는 0.75 내지 6.0의 범위이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는 295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열매체로서 프레온 가스 대신에 친환경 냉매를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이프용 동합금재로 제조되는 내압 전열 용기 등은 동합금재의 인장강도가 295MPa 이상이므로, 친환경 냉매의 응축 압력을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이프용 동합금재는 81% IACS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이프용 동합금재는 기존 급탕기, 공조기, 냉동기, 냉장고 등의 배관설비 및 열교환기에서 사용되는 파이프와 같은 내압 전열 용기의 소재로서 사용하는 인탈산동을 대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동합금재는 35%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이프용 동합금재는 우수한 굽힘성,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고, 금속관을 압입 확관하였을 때 소성변형에 대한 능력 개선에 적합하다.
기존의 열교환기용 동합금재에서 인장강도를 높게 개선시키는 경우 전기전도도 및 연신율이 저하되고, 전기전도도 또는 연신율을 개선시키면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등 인장강도와 전기전도도 및 연신율은 동시에 개선하기 어려운 특징이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용 동합금재의 구성과 구성성분의 함량 범위를 제어함으로써, 고강도 고전도성이며 가공성도 우수한 동합금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동합금재는 0.05 내지 0.25 중량%의 철(Fe), 0.01 내지 0.05 중량%의 망간(Mn), 0.015 내지 0.07 중량%의 인(P), 잔부(殘部)의 구리(Cu)로 빌렛을 주조하는 단계(주조단계)(S100); 상기 수득된 빌렛을 열간압출하여 소관을 수득하는 단계(열간압출단계)(S200); 상기 열간압출된 소관을 냉간관압연하여 관재를 수득하는 단계(냉간관압연단계)(S300); 상기 냉간관압연된 관재를 냉간인발하는 단계(냉간인발단곗)(S400); 상기 냉간인발된 관재를 코일 형태로 감는 단계(레벨와인딩단계)(S500); 및 상기 코일 형태로 감긴 관재를 열처리하는 단계(열처리단계)(S600)로 제조된다.
상기 주조 단계(S100)에서, 빌렛은 0.05 내지 0.25 중량%의 철(Fe), 0.01 내지 0.05 중량%의 망간(Mn), 0.015 내지 0.07 중량%의 인(P), 잔부(殘部)의 구리(Cu)를 용융하여 주조한다. 상기 빌렛 주조 단계에서,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이 극미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빌렛은 용도에 따라 적절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대략 Φ207 내지 Φ280 정도의 원통(파이프)으로 전기로에서 반연속 주조를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주조 단계에서, 주조 온도는 대략 1100 내지 1350℃이고, 주조 속도는 대략 100mm/min 내지 150mm/min이다.
그 후 전 단계에서 수득된 빌렛은 열간 압출된다(S200). 상기 열간 압출 단계(S200)는 앞선 단계에서 수득되는 주조된 빌렛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대략 770℃ 내지 900 ℃ 범위에서 실시된다. 상기 온도 범위 미만인 경우 재결정 온도 미만의 영역으로서 특히 재료의 표면이 내면보다 온도가 낮은 경우는 중앙부의 변위로 형성된 전단영역이 경계면 안쪽에 생기므로 파이핑(압출결함)이 생기고, 상기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종종 재결정이 일어나며, 미세한 결정립 구조가 형성되는 영역을 벗어나므로 과대 성장 등의 비정상 결정립이 생기고, 가로 단면 조직에서 고리(ring) 모양으로 조대한 결정이 생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는 앞선 단계에서 수득되는 주조된 빌렛을 대략 640L 내지 800L의 길이로 절단하여 약 90% 정도의 압출비율로 감소시키기 위해 대략 900℃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하여 Φ120 내지 Φ130의 외경에 12t 내지 15t의 두께로 관재(파이프)를 제조한다.
이후 냉간관압연단계(S300)가 실시된다. 상기 냉간관압연단계(S300)는 앞선 단계에서 수득되는 관재를 대략 Φ35 내지 Φ90의 외경과 2.8t 내지 3.1t의 두께로 관압연하여 수득된다. 이때 공급 속도는 9.52 mm/stroke 내지 11.2mm/stroke 정도이다.
그 후, 앞 단계에서 수득되는 생성물은 냉간인발된다(S400). 상기 냉간인발단계(S40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할로우(Hallow), 플러그, 플로팅 플러그, 맨드렐 인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냉간인발단계는 앞선 단계에서 수득되는 관재를 대략 Φ4 내지 Φ22.2의 외경과 0.25t 내지 0.41t의 두께로 관 압연한다.
다음으로 레벨와인딩단계(S500)가 실시된다. 상기 레벨와인딩단계(S500)는 상기 수득된 냉간 인발된 관재를 세척, 교정, ECT 검사, 결함부 마크 실시 후 드럼에 감는 과정으로, 라인 스피드(Line speed)는 350m/min 내지 500m/min이 효과적이다. 상기 단계를 통하여 다수 회의 인발과정에 따라 불균일한 곡률을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열처리 단계(S600)가 실시된다. 상기 열처리 단계(S600)는 가공경화에 따른 강도가 향상된 동합금의 인장강도, 연신율, 전기전도도 등의 특징을 제어하기 위해 450℃ 내지 650℃ 범위에서 3시간 내지 6시간 실시한다. 동관(동합금재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내면에 가공유가 남아 있으면 냉매 회로 고장을 일으키거나, 냉매를 변질시키므로 소둔 과정에서 질소와 수소가 적절히 혼합된 불활성 가스를 투입하여 잔류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는 과정(purging)을 거치며, 잔유량은 0.1mg/m 이하로 관리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르는 고강도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로 제조되는 동합금관(파이프)을 하기 표 1에 개시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0.05 중량%의 Fe, 0.05 중량%의 Mn, 0.015 중량%의 P 및 잔부량의 구리로 전기로에서 반연속 주조로 빌렛을 수득하였다(S100). 상기 수득된 빌렛을 640L의 길이로 절단한 후, 800℃에서 열간압출하여 Φ120의 외경에 15t의 두께의 관재를 수득하였다(S200). 이어서, 상기 관재를 냉간압연하여 Φ58의 외경과 2.8t의 두께의 관을 수득하였다(S300). 그 후, 수득되는 냉간압연된 관을 플로팅 플러그 인발 방법으로 Φ9.52의 외경과 0.3t에서 0.45t의 두께로 관 압연하였다(S400). 상기 인발된 관재를 코일방식으로 다시 감았다(S500). 이어서, 수득된 생성물을 600℃에서 질소 95%와 수소 5%의 분위기 하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S600). 최종 수득된 동합금관을 9.52ΦX0.3tX30l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시료 1).
실시예 2 내지 4
빌렛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동합금관을 제조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각각 차례대로 시료 2 내지 4).
비교예 1 내지 4
빌렛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동합금관을 제조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각각 차례대로 시료 5 내지 8).
비교예 5 및 6
인탈산동(C1220)을 사용하여 표 1에 기재된 규격 및 성분을 갖는 동합금관을 제조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각각 차례대로 시료 9 및 10).
구분 시료 규격(mm)
(외경X두께)
성분(중량%)
Cu Fe P Mn
실시예 1 1 9.52ΦX0.3t Bal. 0.05 0.015 0.05
실시예 2 2 9.52ΦX0.3t Bal. 0.08 0.04 0.03
실시예 3 3 9.52ΦX0.3t Bal. 0.14 0.037 0.02
실시예 4 4 9.52ΦX0.3t Bal. 0.25 0.07 0.01
비교예 1 동합금 5 9.52ΦX0.3t Bal. 0.05 - -
비교예 2 6 9.52ΦX0.3t Bal. 0.15 - 0.08
비교예 3 7 9.52ΦX0.3t Bal. 0.35 0.1 0.03
비교예 4 8 9.52ΦX0.3t Bal. 0.08 0.03 -
비교예 5 인탈산동
(C1220)
9 9.52ΦX0.3t Bal. 0.025 - -
비교예 6 10 9.52ΦX0.35t Bal. 0.026 - -
Bal. = Balance, 잔부량
상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수득된 시편으로 인장강도(TS, tensile strength), 연신율(El, elongation), 전기전도도(EC, electric conductivity), 확관시험(expand test), 내압시험(pressure test), 부식시험(corrosion test)을 실시하여 각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KS B 0802에 따라, 열 및 전기전도성 관련된 전기전도도는 KS D 0240에 따라, 확관시험은 KS B ISO 8493에 따라, 내압시험은 KS B 6730에 따라, 부식시험은 KS D 9502에 따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시험은 제조된 동합금관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고, 연신율은 가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었으며, 전기전도도는 동합금관의 전도성 측정을 위해 사용되며, 이는 또한 열교환기의 전도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확관시험은 원형단면의 금속관을 압입 확관하였을 때 소성변형에 대한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내압시험은 동합금 관의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시험으로서 응축압력이 높은 냉매를 열매체로서 사용했을 경우 견딜 수 있는 압력을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구분 시료
번호
TS
(MPa)
El
(%)
EC
(%IACS)
확관시험
(X1.4배)
내압시험
DP대비(%)
부식시험
실시예 1 1 295 38 86 120 양호
실시예 2 2 297 37 82 120 양호
실시예 3 3 298 36 83 125 양호
실시예 4 4 301 35 81 127 양호
비교예 1 5 260 41 88 105 양호
비교예 2 6 280 34 75 110 양호
비교예 3 7 315 33 80 X 130 양호
비교예 4 8 290 38 84 120 양호
비교예 5 9 240 43 83 100 양호
비교예 6 10 245 43 82 120 양호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시료 1 내지 4는,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시료 5 내지 10와 달리 인장강도, 도전성 및 연신율 등의 모든 항목에서 골고루 양호한 결과를 수득하였다.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시료 5 내지 10은 상기 수행된 시험 중에서 특정 시험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수득하더라도, 다른 시험에서 기준에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교예 3에 따르는 시료 7의 경우, 인장강도 및 내압시험에서는 양호한 결과를 수득하였으나, 연신율이 낮고, 확관시험에서 터짐 현상이 관찰되었다.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시료 1 내지 4는 내압시험에서 모두 120% 이상의 우수한 내압성을 나타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동합금재는 기존의 파이프용 동합금재에서 양립하기 힘든 특성인 인장강도와 전기전도도 및 연신율이 동시에 일정 수준 이상의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동합금재로 제조된 동합금관은 내압 시험에서 우수한 내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친환경 냉매의 사용에도 적합한 배관설비 및 열교환기용 파이프에 매우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이프용 동합금재는, 그 제조 방법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2회 이상 열처리를 필요로 했던 제조 공정과 달리 단 1회의 열처리만 수행하였음에도 높은 인장강도 및 전기전도도와 우수한 가공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Claims (4)

  1. 0.05 내지 0.25 중량% 철(Fe), 0.01 내지 0.05 중량%의 망간(Mn), 0.015 내지 0.07 중량%의 인(P), 잔부(殘部)인 구리(Cu)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Fe)과 인(P)의 중량비(Fe/P)는 0.75내지 6.0인 파이프용 동합금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합금재는 295MPa 이상의 인장강도, 35% 이상의 연신율, 및 81%IACS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것인 파이프용 동합금재.
  3. 0.05 내지 0.25 중량% 철(Fe)과, 0.01 내지 0.05 중량%의 망간(Mn), 0.015 내지 0.07 중량%의 인(P), 및 잔부(殘部)의 구리(Cu)를 철(Fe)와 인(P)의 중량비(Fe/P)가 0.75내지 6.0가 되도록 빌렛을 주조하는 단계,
    상기 빌렛을 열간압출하여 소관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열간압출된 소관을 냉간관압연하여 관재를 수득하는 단계(냉간관압연단계),
    상기 냉간관압연된 관재를 냉간인발하는 단계,
    상기 냉간인발된 관재를 코일 형태로 감는 단계, 및
    상기 코일 형태로 감긴 관재를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로 이루어지는 파이프용 동합금재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합금재는 295MPa 이상의 인장강도, 35% 이상의 연신율, 및 81% IACS 이상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것인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의 제조방법.
KR1020110080539A 2011-08-12 2011-08-12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10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539A KR101310167B1 (ko) 2011-08-12 2011-08-12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1277381A JP2013040397A (ja) 2011-08-12 2011-12-19 高強度及び高伝導性のパイプ用銅合金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1104450390A CN102925739A (zh) 2011-08-12 2011-12-27 具有高强度和高电导率的用于管件的铜合金材料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539A KR101310167B1 (ko) 2011-08-12 2011-08-12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856A true KR20130017856A (ko) 2013-02-20
KR101310167B1 KR101310167B1 (ko) 2013-09-24

Family

ID=4764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539A KR101310167B1 (ko) 2011-08-12 2011-08-12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040397A (ko)
KR (1) KR101310167B1 (ko)
CN (1) CN1029257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2851B (zh) * 2013-11-08 2015-10-28 浙江八达铜业有限公司 铜合金及其制造方法
CN114085978A (zh) * 2021-10-15 2022-02-25 福建捷思金属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耐受超高压力的制冷系统用铜铁合金管件及制备方法
CN114807671B (zh) * 2022-06-14 2022-09-30 西安理工大学 一种热挤压和冷锻制备高强度、高耐磨铜硼合金的方法
CN115505767A (zh) * 2022-09-27 2022-12-23 江苏隆达超合金股份有限公司 高塑性BFe10-1-1白铜管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3057B2 (ja) * 1974-05-20 1983-11-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導電性銅基合金
JPH06192773A (ja) * 1992-10-27 1994-07-12 Kobe Steel Ltd 耐食性銅合金管
JP2000328157A (ja) 1999-05-13 2000-11-28 Kobe Steel Ltd 曲げ加工性が優れた銅合金板
JP2001280877A (ja) * 2000-03-30 2001-10-10 Kobe Steel Ltd 熱交換器用伝熱管及び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DE10308779B8 (de) * 2003-02-28 2012-07-05 Wieland-Werke Ag Bleifreie Kupferlegierung und deren Verwendung
JP4459067B2 (ja) * 2005-01-21 2010-04-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高導電性銅合金
JP4629080B2 (ja) * 2007-11-05 2011-02-09 株式会社コベルコ マテリアル銅管 熱交換器用銅合金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40397A (ja) 2013-02-28
CN102925739A (zh) 2013-02-13
KR101310167B1 (ko) 201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9080B2 (ja) 熱交換器用銅合金管
JP4694527B2 (ja) 耐熱高強度熱交換器用銅合金管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4079026A1 (ja) 耐熱性銅合金材
KR101773319B1 (ko) 초고내식성 알루미늄 합금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열교환기 배관
KR101310167B1 (ko) 고강도 및 고전도성 파이프용 동합금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5534777B2 (ja) 銅合金継目無管
JP5111922B2 (ja) 熱交換器用銅合金管
KR20140023476A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동합금관 및 이의 제조방법
JP5078368B2 (ja) 熱交換器用銅合金管の製造方法
TWI608110B (zh) 傳熱管用銅合金無縫管
EP3521463B1 (en) Highly corrosion-resistant copper pip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for and use thereof
KR102214230B1 (ko) 열전도도 및 파괴강도가 우수한 열교환기용 구리 합금관 및 그 제조방법
JP6541583B2 (ja) 銅合金材料及び銅合金管
WO2018061277A1 (ja) 高耐食性銅管
KR101627919B1 (ko) 열교환기용 인탈산 구리관
KR20120004683A (ko) 고강도 고열전도성의 컨덴서 튜브용 알루미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JP2017036468A (ja) 銅合金管
KR101198324B1 (ko) 고강도 고열전도성의 컨덴서 튜브용 알루미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JP2017036467A (ja) 銅合金管
JP6244213B2 (ja) 熱交換器用銅管
KR102261090B1 (ko) 고내식성 열교환기 배관 및 이의 제조방법
JP6360363B2 (ja) 銅合金管
JP2014109040A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製造方法、クロス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及びクロス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WO2013157461A1 (ja) 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レベルワウンドコイルの製造方法、クロス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及びクロス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16180170A (ja) 銅合金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