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301B1 -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301B1
KR100976301B1 KR1020087009458A KR20087009458A KR100976301B1 KR 100976301 B1 KR100976301 B1 KR 100976301B1 KR 1020087009458 A KR1020087009458 A KR 1020087009458A KR 20087009458 A KR20087009458 A KR 20087009458A KR 100976301 B1 KR100976301 B1 KR 100976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reception
receivers
base station
control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306A (ko
Inventor
나오토 이시이
이진석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 H04L49/555Erro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2Details of sliding window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이동국이 패킷 수신의 기회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수신 처리를 계속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여 버린다는 사태를 회피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일정한 제어 주기로 송신기간과 송신 정지 기간을 반복하는 기지국과, 일정한 제어 주기로 수신기간과 수신 정지 기간을 반복하는 이동국(안테나, 송수신 공용기, 수신부, 유저 데이터 분리부, 패킷 송신 판정부, 수신기간 판정부, 패킷 수신 판정부, 신호 합성부)을 구비한다. 이동국은, 수신기간과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수신 결과를 기지국에 통지하고, 기지국의 송신기간의 시작에 맞추어서 수신기간을 시작하여 패킷을 수신한다. 그 수신기간중에 모든 패킷을 올바르게 수신할 수 없는 경우는, 해당 수신기간을 제어 주기 내에서 소정 기간만큼 연장한다. 또한, 이동국은, 해당 수신기간중에 모든 패킷을 올바르게 수신하면, 수신 정지 기간으로 이행하여 수신을 정지한다.
Figure R1020087009458
이동 통신 시스템,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POWER-SAVING TRANSMISSION RECEPTION METHOD USED IN TH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패킷의 수신 상황에 따라 패킷 수신기간과 패킷 수신 정지 기간의 비율을 변경하여 이동국의 전력절약화를 도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이동국은, 그 동작 가능 시간이 수신 동작이나 회로 규모에 의해 좌우된다. 이 관점에서 이동국의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수신하여야 할 데이터가 있을 때만 수신 회로를 동작시키고, 수신하여야 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수신 회로를 정지하는 간헐 수신은, 유효한 기술이다.
예를 들면, 제 1의 종래 기술로서, 음성을 패킷에 의해 통신하는 VoIP(Voice over IP)와 같이 거의 일정 주기로 데이터가 송신되는 트래픽에 대한 이동국의 간헐 수신에 관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에 의해, IEEE802.16e로서 표준화가 진행되어 있는 방법이 있다(비특허 문헌 1 참조).
이 방식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기능을 정지하고 있는 기 간을 슬립 윈도우(Sleep Window), 대기 기간을 리스닝 윈도우(Listening Window)라고 부르고, 양자를 교대로 반복한다. 여기서, 리스닝 윈도우와 슬립 윈도우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고정된 시간이다. 이 방식에 의하면, 리스닝 윈도우와 슬립 윈도우의 반복의 단위인 양 기간의 합계를 제어 주기로 하여, 그 제어 주기로 이동국의 간헐 수신이 제어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슬립 윈도우와 리스닝 윈도우를 이용한 간헐 수신 방식에 의하면, 우선, 기지국 또는 이동국이 간헐 수신 시작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 후, 기지국은, 이동국에 슬립 윈도우를 시작하는 프레임 번호를 통지하여 간헐 수신을 시작한다. 간헐 수신을 시작 후, 리스닝 윈도우의 기간중에, 기지국은 이동국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동국은 그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슬립 윈도우의 기간중에, 기지국은 이동국에의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고, 이동국은 그 데이터의 수신을 정지한다.
또한, 제 2의 종래 기술로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표준화가 행하여지고 있는 고속 하행 패킷 방식(HSDPA :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에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수신 방법도 검토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방식에 의하면, 기지국이 상태 갱신 프레임마다 패킷의 수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갱신 정보를 송신하고, 이동국은, 상태 갱신 정보가 수신 가능한 것을 확인한 경우에, 패킷의 수신 동작을 행한다. 또는, 이동국은, 상태 갱신 정보가 통신로의 오류 등에 의해 올바르게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패킷의 수신 동작을 행한다. 한편, 이동국은, 상태 갱신 정보가 수신 불가인 것을 확인한 경우는, 패킷의 수신 동작을 정지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종래 기술에서는, 어느것이나, 이동국은 데이터를 수신 후, 데이터가 오류 없이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기지국에 통지하는 HARQ(Hybrid Automatic ReQuest)가 적용되어 있다. HARQ에 의하면,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재발송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발송 제어에 의한 전송 효율을 높게 하고 있다.
또한, 제 3의 종래 기술로서, 휴대형 단말 내의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이에 의하면, 송신이 있는 경우에 수신기간을 연장하고, 송신이 없어지면 수신 정지 상태로 하고 있다.
또한, 제 4의 종래 기술로서, 수신 시작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수신기간의 짧은 간헐 동작을 행하고, 수신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소비 전력을 필요한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이에 의하면, 수신기간 연장이 정상이 아닌(不正常)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 것에 의거하여 간헐 동작의 주기를 연장하고, 수신기간 연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의거하여 간헐 동작의 주기를 단축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4-14705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4-234667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평10-210563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 IEEE P802.16e/D9, 2005년 6월, pp. 164-170
그러나, 전술한 제 1의 종래 기술과 같이 일정한 제어 주기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트래픽에 대해 고정된 수신기간과 고정된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는 방식에서는, 수신기간중에 데이터가 전부 송신되어 버린 경우에도 수신기간으로부터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이동국은 패킷 수신기간중에 모든 패킷의 수신이 완료하여도, 기지국으로부터 패킷 수신 정지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패킷 수신기간을 계속하기 때문에, 패킷 수신의 기회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수신 처리를 계속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여 버린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간헐 수신의 방식을 HARQ 등의 재발송 제어를 행하는 통신 방식에 적용하면, 수신기간중에 재발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제어 주기의 수신기간까지 재발송이 지연되게 된다. 특히 음성 통신과 같은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트래픽인 경우에는, 요구 조건을 만족할 수 없어서 패킷이 파기됨에 의해 QoS(Quality of Service)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제 2의 종래 기술에서는, 수신 정지 상태로의 천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지를 받을 필요가 있어서, 상태 갱신 정보가 잘못된 경우는 수신 상태가 계속되기 때문에 수신 정지 상태로의 천이가 늦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제 3의 종래 기술에서도, 수신 정지 상태로 이행할 때에, 이행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있고, 이 메시지가 잘못된 경우는 수신 상태가 계속되기 때문에 수신 정지 상태로의 천이가 늦어진다. 또한, 전술한 제 4의 종래 기술은, 간헐 수신의 제어 주기 그 자체를 변경하는 것이므로, 전술한 제 1의 종래 기술과 같이 간헐 수신의 제어 주기가 일정한 것을 전제로 하는 것에는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HARQ와 같은 재발송 제어를 행하여, 일정한 제어 주기로 패킷의 수신기간과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는 패킷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어 주기 내에서 패킷의 수신기간에 대한 수신 정지 기간의 비율을 길게 하여 이동국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전력절약 송수신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는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 무선 회선이 설정되는 이동국을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송신을 정지하는 패킷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이동국에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상기 패킷의 수신을 행하는 패킷 수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통지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송신기간을 연장하면서, 상기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재발송 수단을 가지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의 패킷 송신기간의 시작에 맞추어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시작하여 상기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 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수신한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수신기간 연장 수단과, 상기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간 연장 수단은, 상기 패킷을 잘못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소정 시간만큼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수단을 가져도 좋다. 또한, 상기 수신기간 연장 수단은, 연장 후의 상기 패킷 수신기간이 소정의 수신기간보다도 짧은 경우에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더욱 연장하는 수단을 가져도 좋다. 또한, 상기 패킷 수신 정지 수단은,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올바르게 수신된 것을 통지하고,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수신한 패킷이 전부 올바르게 수신된 때에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 수신을 정지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은, 소정 서비스에 의한 패킷 통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소정 서비스 이외의 서비스에 의한 패킷 통신시에, 상기 패킷 송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할 때에 상기 이동국에 패킷 수신 정지 통지 신호를 통지하는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소정 서비스 이외의 서비스에 의한 패킷 통신시에, 상기 패킷 수신 정지 통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 수신을 정지하는 수단을 또한 가져도 좋다. 상기 소정 서비스에 의한 패킷 통신은, 리얼타임 통신이라도 좋다. 상기 소정 서비스 이외의 서비스에 의한 패킷 통신은, 비(非)리얼타임 통신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은, 상기 제어 주기가 일정한 조건으로 소정의 최소 수신기간과 소정의 최대 수신기간 사이에서 동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대 수신기간은, 상기 제어 기간 이하인 것이 알맞다.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은,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송신을 정지하는 패킷 송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이동국에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서,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송신기간을 연장하면서, 상기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재발송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국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의 수신을 행하는 패킷 수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보내 오는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통지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의 패킷 송신기간의 시작에 맞추어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 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수신한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수신기간 연장 수단과, 상기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력절약 수신 방법은,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무선 회선을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송신을 정지하는 패킷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이동국에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의 수신을 행하는 패킷 수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통지하는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송신기간을 연장하면서, 상기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상기 기지국의 패킷 송신기간의 시작에 맞추어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수신한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의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송신을 정지하는 패킷 송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이동국에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지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송신기간을 연장하면서, 상기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의 수신을 행하는 패킷 수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보내 오는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통지하는 이동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의 패킷 송신기간의 시작에 맞추어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수신한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프로그램은,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송신을 정지하는 패킷 송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이동국에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지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에,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송신기간을 연장하면서, 상기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프로그램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의 수신을 행하는 패킷 수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보내 오는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통지하는 이동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에, 상기 기지국의 패킷 송신기간의 시작에 맞추어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수신한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한 제어 주기로 패킷의 수신기간과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는 패킷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어 주기 내에서 패킷의 수신기간에 대한 수신 정지 기간을 길게 하여 이동국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전력절약 송수신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2에서의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5는 도 3에서의 이동국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6의 A 및 B는 소정의 시작 타이밍으로 이동국의 간헐 수신을 위한 제어 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의 A 내지 D는 패킷 수신 기간의 연장 상태를 나타내는 개락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도 8에서의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1은 도 9에서의 이동국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2는 종래예의 리스닝 윈도우와, 슬립 윈도우를 이용한 간헐 수신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지국
2 : 이동국
3 : 무선 회선
11, 21 : 안테나
12, 22 : 송수신 공용기
13, 23 : 수신부
14, 24 : 유저 데이터 분리부
15 : 패킷 송신 제어부
16 : 신호 생성부
17, 29 : 송신부
18, 30 : 호출 제어부
25 : 패킷 수신 판정부
26 : 수신기간 판정부
27 : 패킷 제어 신호 생성부
28 : 신호 합성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의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것이고, 기지국(1)과 이동국(2)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1)과 이동국(2) 사이에는, 패킷 통신에 의해 유저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회선(3)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무선 회로(3)에 의한 패킷 통신의 액세스 방식은, 어느 타입이라도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등이 채용된다. 이동국(2)은, 휴대 전화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1 Assistant) 등의 휴대형 단말이나, 차량탑재 모니터 등의 이동체 단말로 구성된다.
도 2은, 도 1에 도시하는 기지국(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기지국(1)은, 안테나(11)와, 안테나(11)에 접속되는 송수신 공용기(DUP : Duplexer)(12)와, DUP(12)에 접속되는 수신부(13) 및 송신부(17)와, 수신부(13)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유저 데이터 분리부(14)를 구비한다. 또한, 이 기지 국(1)은, 유저 데이터 분리부(14)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패킷 송신 제어부(15)와, 패킷 송신 제어부(15)의 출력측 및 송신부(17)의 입력측에 접속되는 신호 생성부(16)를 포함한다.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공지인 기술의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부(13)는, 이동국(2)으로부터 무선 회선(3)을 통하여 보내 오는 신호를 안테나(11)와 송수신 공용기(12)를 통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신호를 유저 데이터 분리부(14)에 출력한다.
유저 데이터 분리부(14)는, 수신부(1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유저 데이터와 제어 신호로 분리하고, 유저 데이터를 유저 데이터 출력부(도시 생략)에, 제어 정보를 패킷 송신 제어부(15)에 출력한다.
패킷 송신 제어부(15)는, 유저 데이터 분리부(14)에 의해 분리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 송신한 패킷의 수신 상황을 신호 생성부(16)에 통지한다. 또한, 후술하는 제어 주기를 이용한 이동국(2)의 간헐 수신 상태에서는,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신규 데이터 또는 재발송 데이터)의 송신(또는 재발송)이 가능한 기간인지의 여부를, 한 예로서는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인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한지의 여부의 정보도 아울러서 신호 생성부(16)에 통지한다.
신호 생성부(16)는, 패킷 송신 제어부(15)로부터 수취한 정보에 의거하여, 패킷의 송신 가부와 재발송의 유무를 결정하고, 그 결과에 의해 패킷의 송신이 가능하면, 유저 데이터 입력부(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된 유저 데이터를 송신부(17)에 출력한다. 이로써, 송신부(17)는, 유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패킷을 송수신 공용 부(12)를 통하여 안테나(11)로부터 송신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이동국(2)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이동국(2)은, 안테나(21)와, 안테나(21)에 접속되는 송수신 공용부(DUP)(22)와, DUP(22)에 접속되는 수신부(23) 및 송신부(29)와, 수신부(23)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유저 데이터 분리부(24)를 구비한다. 이에 더하여, 이 이동국(2)은, 유저 데이터 분리부(24)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패킷 수신 판정부(25)와, 패킷 수신 판정부(25)의 출력측 및 수신부(23)의 입력측에 접속되는 수신기간 판정부(26)와, 패킷 수신 판정부(25)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패킷 제어 신호 생성부(27)를 갖는다. 또한, 이 이동국(2)은, 수신기간 판정부(26) 및 패킷 제어 신호 생성부(27)의 출력측 및 송신부(29)의 입력측에 접속되는 신호 합성부(28)를 포함한다.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공지인 기술의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부(23)는, 기지국(1)으로부터 무선 회선(3)을 통하여 보내 오는 신호를 안테나(21)와 송수신 공용부(22)를 통용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 신호를 유저 데이터 분리부(24)에 출력한다.
유저 데이터 분리부(24)는, 수신부(2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유저 데이터와 제어 신호로 분리하고, 그 중의 유저 데이터를 유저 데이터 출력부(도시 생략)에, 제어 정보를 패킷 수신 판정부(25)에 각각 출력한다.
패킷 수신 판정부(25)는, 유저 데이터 분리부(24)에 의해 분리된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 유저 데이터를 올바르게 수신하였는지의 여 부를, 한 예로서 후술하는 에러 검출 기능에 의해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수신기간 판정부(26)와 패킷 제어 신호 생성부(27)에 통지한다.
수신기간 판정부(26)는, 입력된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지의 여부를, 한 예로서는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수신부(23)와 신호 합성부(28)에 통지한다.
패킷 제어 신호 생성부(27)는, 수신기간 판정부(26)로부터 입력된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패킷의 수신 확인 신호(수신 결과 통지 신호)를 생성하고, 그 패킷 수신 확인 신호를 신호 합성부(28)에 통지한다.
신호 합성부(28)는, 패킷 제어 신호 생성부(27)로부터의 패킷 수신 확인 신호와, 유저 데이터 입력부(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된 유저 데이터를 합성하고, 그 합성된 신호를, 수신기간 판정부(26)에 의한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송신부(29)에 출력한다. 이로써, 송신부(29)는, 패킷 수신 확인 신호와 유저 데이터가 합성된 패킷을 송수신 공용부(22)를 통용하여 안테나(21)로부터 송신한다. 여기서는, 패킷 수신 확인 신호와 유저 데이터를 합성하여 보내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양자를 합성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보내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기지국(1) 및 이동국(2)의 각 부분이 갖고 있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에 실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어 컴퓨터에 받아들여져도 좋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어 컴퓨터에 받아들여져도 좋다.
도 4는, 기지국(1)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5는, 이동국(2) 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실시의 형태는, 송신기간과 송신 정지 기간, 또는 수신기간과 수신 정지 기간에 제어 주기가 있는 점에서 전술한 제 1의 종래 기술과 같다. 이 때문에, 기지국(1)과 이동국(2)의 제어 주기의 시작 타이밍은 상호간에 이미 알고 있다고 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기지국(1)의 동작부터 설명한다. 또한, 이 동작은, 한 예로서 기지국(1)의 각 부분이 갖고 있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기지국(1) 내의 컴퓨터가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프로그램에 대응하는)의 명령을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이 예에서는, 제어 프로그램은 ROM(Read only Memory) 등의 기록 매체에 미리 격납되고, 그 명령이 동작시에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된다.
기지국(1)은, 전력절약 모드(간헐 수신 상태)의 시작에 즈음하여,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시작 타이밍(ta)에서 이동국(2)의 간헐 수신을 위한 제어 주기(Ta)를 시작하고, 그 제어 주기(Ta)에 의한 송신을 시작한다. 이 경우, 기지국(1)은, 일정한 제어 주기(Ta)로 이동국(2)에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기간(Ta1)과 패킷 송신을 정지하는 패킷 송신 정지 기간(Ta2)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패킷 송신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 주기(Ta)는, 패킷 송신기간(Ta1)과 패킷 송신 정지 기간(Ta2)의 반복의 단위인 양 기간(Ta1, Ta2)의 합계(Ta1+Ta2)가 된다. 이 제어 주기(Ta)는, 동작중은 일정한 채로 변경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제어 주기(Ta) 내의 패킷 송신기간(Ta1)과 패킷 송신 정지 기간(Ta2)의 비율은, 동작중에 하기하는 바와 같이 동적(動的)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주기(Ta)에 의한 패킷의 송신 제어는, 주로 패킷 송신 제어부(15) 및 신호 생성부(16)의 각 동작으로 행하여진다.
도 4에서, 기지국(1)은, 소정의 시작 타이밍(ta)에서 제어 주기(Ta)를 시작(단계 S101) 후, 미리 결정된 이동국(2)의 패킷 수신기간(Tb1)의 최소치(후술 참조)에 상당하는 최소 수신기간(Tbmin)(후술 참조)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2). 이 판단은, 주로 패킷 송신 제어부(15)의 동작으로 행하여진다. 최소 수신기간(Tbmin)은, 예를 들면 이동국(2)과의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패킷 수신기간(Tb1)의 최소치가 사용된다. 이 최소치는, 예를 들면 패킷 송신 제어부(15) 내의 메모리(도시 생략)에 보존된다.
상기 단계 S102에 판단에 의해, YES(최소 수신기간(Tbmin) 내이다)라고 판단되면, 송신하여야 할 패킷(재발송 패킷 또는 신규 패킷)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3). 이 판단은, 신호 생성부(16)에서 행하여진다. 그 결과, 송신하여야 할 패킷이 검출된 경우에는(단계 S103 : YES), 신호 생성부(16)로부터 송신부(17), DUP(12), 안테나(11)를 통하여, 해당하는 패킷을 송신하고(단계 S104), 상기 단계 S102로 되돌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송신하여야 할 패킷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03 : N0), 상기 단계 S102로 되돌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뒤이어, 상기한 최소 수신기간(Tbmin)이 경과하고, 상기 단계 102에서 N0(최소 수신기간(Tbmin) 내가 아니다)라고 판단되면, 기지국(1)은, 그 후에 재발송 패킷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05). 재발송 패킷의 유무는, 이동국(2)으로부터 보내 오는 패킷 수신 확인 신호에 의거하여 판단된다. 이 단계 S105의 판단은, 주로 신호 생성부(16)의 동작으로 행하여진다.
이로써, 재발송 패킷이 있으면(단계 S105 : YES), 이동국(2)의 패킷 수신기간(Tb1)(후술 참조)이 연장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6). 패킷 수신기간(Tb1)의 연장 가부의 판단은,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이동국(2)의 최대 수신기간(Tbmax)(후술 참조)을 비교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 경우, 최대 수신기간(Tbmax) 내에 있으면, 패킷 수신기간(Tb1)의 연장이 가능하다고 하고, 최대 수신기간(Tbmax)을 초과하고 있으면, 그 연장이 불가라고 한다. 최대 수신기간(Tbmax)은, 예를 들면 이동국(2)과의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패킷 수신기간(Tb1)의 최대치가 사용된다. 이 최대치는, 예를 들면 패킷 송신 제어부(15) 내의 메모리(도시 생략)에 보존된다. 이 단계 S106의 판단은, 주로 패킷 송신 제어부(15)의 동작으로 행하여진다.
상기 단계 106의 판단에 의해, 이동국(2)의 패킷 수신기간(Tb1)의 연장이 가능한 경우(단계 S106 : YES), 단계 S104로 이행하여, 신호 생성부(16)로부터 송신부(17), DUP(12), 안테나(11)를 통하여, 해당하는 재발송 패킷을 송신한다. 이 동안, 제어 주기(Ta) 내의 패킷 송신기간(Ta1)은 연장 및 갱신된다. 패킷 송신기간(Ta1)의 연장은, 예를 들면 최대 수신기간(Tbmax)에 도달할 때까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계 105의 판단에 의해, 재발송 패킷이 없는 경우(단계 S105 : N0), 또는 상기 단계 105의 판단에 의해, 이동국(2)의 패킷 수신기간(Tb1)의 연장을 할 수 없게 된 경우(단계 S106 : N0)에는, 제어 주기(Ta)를 패킷 송신기간(Ta1)으로부터 패킷 송신 정지 기간(Ta2)으로 천이시키고, 패킷의 송신을 정지한다. 패킷 송신의 정지는, 이 이후 그 패킷 송신 정지 기간(Ta2)이 종료할 때까지의 동안, 즉 금회의 제어 주기(Ta)가 종료할 때까지의 동안, 계속된다(단계 S107). 이 동안의 처리는, 주로 패킷 송신 제어부(15) 및 신호 생성부(16)의 동작으로 행하여진다.
상기 단계 S107에 의한 제어 주기(Ta)의 종료 후, 전력절약 모드를 종료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8). 이 판단은, 패킷 송신 제어부(15)의 동작으로 행하여진다. 그 결과, 전력절약 모드를 종료하지 않는 경우는(단계 S108 : N0), 상기 단계 S101로 되돌아와, 다음의 제어 주기(Ta)를 시작하고,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전력절약 모드를 종료하는 경우는(단계 S108 : YES), 제어 주기(Ta)에 의한 송신을 종료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이동국(2)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이 동작은, 한 예로서 이동국(2)의 각 부분이 가지고 있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이동국(2) 내의 컴퓨터가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본 발명에 의한 이동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프로그램에 대응하는)의 명령을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이 예에서는, 제어 프로그램은 ROM 등의 기록 매체에 미리 격납되고, 그 명령이 동작시에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된다.
이동국(2)은, 기지국(1)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전력절약 모드의 시작에 즈음하여, 전술한 기지국(1)의 패킷 송신기간(Ta1)의 시작 타이밍(ta)에 맞춘 소정의 시작 타이밍(tb)에서 간헐 수신의 제어 주기(Tb)를 시작하고, 그 제어 주기(Tb)에 의한 수신을 시작한다. 이 경우, 이동국(2)은,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정한 제어 주기(Tb)로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기간(Tb1)과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기간(Tb2)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패킷 수신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간헐 수신의 제어 주기(Tb)는, 패킷 수신기간(Tb1)과 패킷 수신 정지 기간(Tb2)의 반복의 단위인 양 기간(Tb1, Tb2)의 합계(Tbl+Tb2)가 된다. 이 제어 주기(Tb)는, 동작중은 일정한 채로 변경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제어 주기(Tb) 내의 패킷 수신기간(Tb1)과 패킷 수신 정지 기간(Tb2)의 비율은, 동작중에 하기하는 바와 같이 동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주기(Tb)를 이용한 패킷의 수신 제어는, 주로 패킷 수신 판정부(25), 수신기간 판정부(26), 패킷 제어 신호 생성부(27), 신호 합성부(28), 및 수신부(23)의 각 동작으로 행하여진다.
도 5에서, 이동국(2)은, 소정의 시작 타이밍(tb)에서 제어 주기(Tb)를 시작하면(단계 S201), 그 제어 주기(Tb) 내의 패킷 수신기간(Tb1)을 미리 결정된 최소치인 최소 수신기간(Tbmin)으로 설정한다(단계 S202). 최소 수신기간(Tbmin)의 설정치는, 예를 들면 수신기간 판정부(26) 내의 메모리(도시 생략)에 보존된다.
뒤이어, 이동국(2)은, 설정된 패킷 수신기간(Tb1)인 최소 수신기간(Tbmin)중에 기지국(1)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패킷을, 안테나(21), DUP(22), 수신부(23)를 통하여 수신하고, 그 최소 수신기간(Tbmin)의 종료시에, 수신한 패킷이 전부 올바르게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03). 이 확인은, 주로 패킷 수신 판정부(25) 및 수신기간 판정부(26)의 각 동작으로 행하여진다. 이 중, 수신한 패킷이 전부 올바르게 수신하였는지의 여부의 확인은, 한 예로서 기지의 에러 검출 기 능에 의해, 수신한 패킷에 에러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 경우, 수신한 패킷에 에러가 없다고 검출된 때에, 패킷을 올바르게 수신하였다고 판정하고, 수신한 패킷에 에러가 있다고 검출된 때에, 패킷을 올바르게 수신하지 않은, 즉 패킷을 잘못 수신하였다고 판정한다.
그 결과, 모든 패킷을 올바르게 수신하고 있은 경우는(단계 S203 : YES), 제어 주기(Tb)를 패킷 수신기간(Tb1)으로부터 패킷 수신 정지 기간(Tb2)으로 천이시키고, 패킷의 수신을 정지한다. 패킷 수신의 정지는, 이 이후 그 패킷 수신 정지 기간(Tb2)이 종료할 때까지의 동안, 즉 금회의 제어 주기(Tb)가 종료할 때까지의 동안, 계속된다(단계 S204). 이 동안의 처리는, 주로 수신기간 판정부(26) 및 수신부(23)의 각 동작으로 행하여진다.
한편,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패킷이 있는 경우는(단계 S203 : N0), 패킷 수신기간(Tb1)을 연장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5). 패킷 수신기간(Tb1)의 연장 가부의 판단은,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최대 수신기간(Tbmax)과 비교하면 좋다. 이 경우, 최대 수신기간(Tbmax)은 제어 주기(Tb)를 초과하지 않는 값이면 좋다. 이 단계 S205의 판단은, 주로 수신기간 판정부(26)의 동작으로 행하여진다.
뒤이어, 상기 단계 205의 판단에 의해, 패킷 수신기간(Tb1)을 연장 가능한 경우는(단계 S205 : YES), 패킷 수신기간(Tb1)을 연장하여 갱신한다(단계 S206). 패킷 수신기간(Tb1)의 갱신은, 예를 들면 수신기간 판정부(26) 내의 메모리(도시 생ㄷ략)에 보존되어 있는 최소 수신기간(Tbmin)의 설정치를 갱신함으로써 행하여진 다.
뒤이어, 갱신된 패킷 수신기간(Tb1)중에, 안테나(21), DUP(22), 수신부(23)를 통하여, 기지국(1)으로부터 보내 오는 모든 재발송 패킷을 올바르게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07). 이 확인은, 주로 수신기간 판정부(26)의 동작으로 행하여진다.
그 결과, 갱신된 패킷 수신기간(Tb1)중에 모든 재발송 패킷을 올바르게 수신한 경우는(단계 S207 : YES), 제어 주기(Tb)를 패킷 수신기간(Tb1)으로부터 수신 정지 기간(Tb2)으로 천이시키고, 패킷의 수신을 정지한다. 패킷 수신의 정지는, 이 이후 그 패킷 수신 정지 기간(Tb2)이 종료할 때까지의 동안, 즉 금회의 제어 주기(Tb)를 경과할 때까지 사이, 계속된다(단계 S204). 이 동안의 처리는, 주로 수신기간 판정부(26) 및 수신부(23)의 각 동작으로 행하여진다.
한편, 갱신된 패킷 수신기간(Tb1)중에 모든 재발송 패킷을 올바르게 수신하지 않은 경우는(단계 S207 : N0), 상기 단계 205로 되돌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에서 갱신된 패킷 수신기간(Tb1)을 더욱 연장하여 갱신한다.
도 7의 (a) 내지 도 7의 (d)는, 패킷 수신기간(Tb1)의 연장의 양상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도 7의 (a)의 예에서는, 패킷 수신기간(Tb1)은, 제어 주기(Tb)의 시작 타이밍(t0)에서 시작하고, 최소 수신기간(Tbmin)의 종료시(t1)에서 종료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7의 (b)의 예에서는, 패킷 수신기간(Tb1)은, 제어 주기(Tb)의 시작 타이밍(t0)에서 시작하고, 최소 수신기간(Tbmin)의 종료 시점(t1)보다 연장된 연장 시점(t2)에서 종료하고 있다. 또한, 도 7의 (c)의 예에서는, 패킷 수신기간(Tb1)은, 제어 주기(Tb)의 시작 타이밍(t0)에서 시작하고, 연장 시점(t2)보다도 더욱 연장된 연장 시점(t3)에서 종료하고 있다. 또한, 도 7의 (d)의 예에서는, 패킷 수신기간(Tb1)은, 제어 주기(Tb)의 시작 타이밍(t0)에서 시작하고, 최대 수신기간(Tbmax)의 종료시(t4)에서 종료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패킷 수신기간(Tb1)의 연장은, 제어 주기(Tb) 내에서, 최소 수신기간(Tbmax)과 최대 수신기간(Tbmax) 사이에서 동적으로 갱신된다. 또한, 도 7의 (d)의 예에서는, 최대 수신기간(Tbmax)은, 설명의 사정 상, 제어 주기(Tb)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최대로 제어 주기(Tb)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상기 단계 204에 의한 제어 주기(Tb)의 종료 후, 전력절약 모드를 종료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8). 그 결과, 전력절약 모드를 종료하지 않은 경우는(단계 S208 : N0), 상기 단계 S101로 되돌아와, 다음의 제어 주기(Tb)에 의한 수신을 시작하고,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전력절약 모드를 종료하는 경우는, 제어 주기(Tb)에 의한 수신을 종료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이동국(2)은, 간헐 수신의 제어 주기(Tb)의 시작에 즈음하여, 최소 수신기간(Tbmin)중에 수신한 모든 패킷을 올바르게 데이터를 수신하였으면, 최소 수신기간(Tbmin)의 종료시에 자동적으로 패킷 수신기간(Tb1)으로부터 패킷 수신 정지 기간(Tb2)으로 천이시키고, 패킷의 수신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국(2)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명시적인 지시 신호(수신 정지 통지 신호)를 받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수신 정지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국(2)은, 최소 수신기간(Tbmin)을 경과 후의 제어 주기(Tb) 내에서의 패킷 수신기간(Tb1)의 연장 기간 내라도, 모든 패킷의 수신이 성공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으로부터의 명시적인 지시 신호를 받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수신 정지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국(2)은,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 정지 통지 신호를 받을 필요가 없어지고, 수신 정지 통지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도 정지할 수 있다. 이로써, 패킷 수신의 기회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수신 처리를 계속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여 버린다는 사태를 대폭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수신 정지 통지 신호를 받는 경우에 통지 신호가 잘못되면 패킷 수신기간(Tb1)이 계속되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신 정지 통지 신호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잘못된 통지 신호에 의해 패킷 수신기간(Tb1)이 계속된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일정한 제어 주기(Tb) 내에서 패킷 수신기간(Tb1)에 대해 패킷 수신 정지 기간(Tb2)을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소비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의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9는, 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전술한 도 2에 도시하는 기지국의 구성에 호출 제어부(18)가 추가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9는, 전술한 도 3에 도시하는 이동국의 구성에 호출 제어부(30)가 추가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같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하는 기지국(1)에서, 호출 제어부(18)는, 통신하는 서비스에 의해 이동국(2)에 수신 정지 신호를 송신하는지의 여부의 송신 유무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1)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서비스를 판정하고(단계 S301), 통신 서비스가 VoIP와 같은 리얼타임 통신을 행하는 것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이동국(2)의 간헐 수신의 동작을 행하기 위해, 수신 정지 신호는 송신하지 않는다(단계 S302). 한편, 통신 서비스가 FTP(File Transfer Protocol)나 Web 브라우징 등과 같은 비(非)리얼타임 통신을 행하는 것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동국(2)의 간헐 수신의 동작을 행하지 않고, 이동국(2)으로부터의 수신 확인 신호에 의해 이동국(2)이 수신한 것을 확인 후에 수신 정지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303).
한편, 도 9에 도시하는 이동국(2)에서, 호출 제어부(30)는, 통신 서비스에 의해 수신부(23)의 동작을 전환한다. 예를 들면, 호출 제어부(3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서비스를 판정하고(단계 S401), 통신 서비스가 VoIP와 같은 리얼타임 통신을 행하는 것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수신 정지 신호의 통지를 받지 않고 전술한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간헐 수신의 동작을 실행시킨다(단계 S402). 한편, 통신 서비스가 FTP나 Web 브라우징 등과 같은 비리얼타임 통신을 행하는 것에 해당하는 경우는, 간헐 수신의 동작을 행하지 않고, 기지국(1)으로부터의 수신 정지 신호를 수신 후에 수신 정지 상태로 천이시킨다(단계 S403).
상기한 기지국(1) 및 이동국(2)의 각 동작은, 통신 서비스에 의해 동작이 전환되는데, 통신 서비스의 설정이나 비리얼타임 통신의 경우의 동작은 공지인 기술을 사용하고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이 경우, 비리얼타임 통신에서는, 데이터의 송신 주기는 일정하지가 않기 때문에, 이동국이 자동적으로 수신 정지 상태로 천이하면, 본래 정지하면 않되는 타이밍에서 수신이 정지됨에 의해 지연이 커질가능성이 있어서, 스루풋 등의 특성에의 영향이 크다. 따라서 비리얼타임 통신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대해 수신 정지 통지를 행할 것이 필요해진다. 한편으로, 리얼타임 통신에서는, 거의 일정한 주기로 데이터가 송신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 내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면 그 후는 수신 정지하여도 특성에의 영향은 없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수신 정지 통지는 반드시는 필요하지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비리얼타임 통신에는 자동 정지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스루풋 저하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리얼타임 통신에 적용함으로써, 비리얼타임 통신에 적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자동적으로 수신 정지함에 의해 수신 정지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는 효과가 특히 커진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지국과 이동국의 양쪽에 호출 제어부를 마련한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기지국과 이동국의 어느 한쪽에 호출 제어부를 마련한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서비스가 비리얼타임 통신일 때에 간헐 수신의 동작을 행하지 않고, 리얼타임 통신일 때에 간헐 수신의 동작을 행하고, 비 리얼타임 통신과 리얼타임 통신에서 제어를 바꾸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특정한 통신 서비스에 대해 간헐 수신의 동작을 행하고, 그 밖의 통신 서비스에 대해 간헐 수신의 동작을 행하지 않는, 통신 서비스의 나눔 방식으로 제어를 바꾸는 것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신 서비스가 우선도가 높은 통신인 경우와, 우선도가 낮은 통신인 경우로 제어를 바꾸는 등도 가능하다. 이 경우, 통신 서비스가 우선도가 높은 통신이면, 상기한 비리얼타임 통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간헐 수신의 동작을 행하지 않고, 통신 서비스가 우선도가 낮은 통신이라면, 상기한 리얼타임 통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간헐 수신의 동작을 행하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의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대표적으로 예시한 상술한 각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 내용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양태로 변형, 변경할 수 있고, 이들의 변형예나 변경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그것들에 이용하는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및 전력절약 송수신 프로그램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패킷의 수신 상황에 따라 패킷 수신기간과 패킷 수신 정지 기간의 비율을 변경하여 이동국의 전력절약화를 도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그것들에 이용하는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및 전력절약 송수신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 다.

Claims (16)

  1.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 무선 회선이 설정되는 이동국을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송신을 정지하는 패킷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이동국에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상기 패킷의 수신을 행하는 패킷 수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통지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송신기간을 연장하면서, 상기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재발송 수단을 가지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의 패킷 송신기간의 시작에 맞추어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시작하여 상기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 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수신한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수신기간 연장 수단과, 상기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신기간 연장 수단은, 상기 패킷을 잘못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소정 시간만큼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수단과, 연장 후의 상기 패킷 수신기간이 소정의 수신기간보다도 짧은 경우에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더욱 연장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수신 정지 수단은,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올바르게 수신된 것을 통지하고,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수신한 패킷이 전부 올바르게 수신된 때에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 수신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은, 소정 서비스에 의한 패킷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소정 서비스 이외의 서비스에 의한 패킷 통신시에, 상기 패킷 송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할 때에 상기 이동국에 패킷 수신 정지 통지 신호를 통지하는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소정 서비스 이외의 서비스에 의한 패킷 통신시에, 상기 패킷 수신 정지 통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 수신을 정지하는 수단을 또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서비스에 의한 패킷 통신은, 리얼타임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은, 상기 제어 주기가 일정한 조건으로 소정의 최소 수신기간과 소정의 최대 수신기간 사이에서 동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수신기간은, 상기 제어 기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0. 삭제
  11.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의 수신을 행하는 패킷 수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보내 오는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통지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의 패킷 송신기간의 시작에 맞추어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 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수신한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수신기간 연장 수단과,
    상기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신기간 연장 수단은, 상기 패킷을 잘못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소정 시간만큼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수단과, 연장 후의 상기 패킷 수신기간이 소정의 수신기간보다도 짧은 경우에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더욱 연장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2.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무선 회선을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송신을 정지하는 패킷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이동국에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의 수신을 행하는 패킷 수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통지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수신 결과 통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송신기간을 연장하면서, 상기 재발송 패킷을 송신하고,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의 패킷 송신기간의 시작에 맞추어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수신한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고;
    상기 이동국이, 상기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며,
    상기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을 잘못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어 기간 내에서 소정 시간만큼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단계와,
    연장 후의 상기 패킷 수신기간이 소정의 수신기간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더욱 연장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13. 삭제
  14. 이동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의 수신을 행하는 패킷 수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보내 오는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통지하고,
    상기 기지국의 패킷 송신기간의 시작에 맞추어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수신한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고,
    상기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며,
    상기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을 잘못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어 기간 내에서 소정 시간만큼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고,
    연장 후의 상기 패킷 수신기간이 소정의 수신기간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더욱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15. 삭제
  16. 이동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무선 회선을 이용한 패킷 통신시에, 소정의 제어 주기로 패킷의 수신을 행하는 패킷 수신기간과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패킷 수신 정지 기간을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보내 오는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수신 결과 통지 신호로서 통지하고,
    상기 기지국의 패킷 송신기간의 시작에 맞추어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패킷 수신기간에 수신한 패킷에 대한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상기 패킷 수신기간으로부터 상기 패킷 수신 정지 기간으로 전환하여 상기 패킷의 수신을 정지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을 잘못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어 기간 내에서 소정 시간만큼 상기 패킷 수신기간을 연장하는 단계와,
    연장 후의 상기 패킷 수신기간이 소정의 수신기간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제어 주기 내에서 더욱 연장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전력절약 송수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087009458A 2005-10-28 2006-10-26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KR100976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14502 2005-10-28
JP2005314502 2005-10-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791A Division KR101126474B1 (ko) 2005-10-28 2006-10-26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KR1020107005793A Division KR101118368B1 (ko) 2005-10-28 2006-10-26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의 통신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306A KR20080057306A (ko) 2008-06-24
KR100976301B1 true KR100976301B1 (ko) 2010-08-16

Family

ID=3796780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458A KR100976301B1 (ko) 2005-10-28 2006-10-26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KR1020107005791A KR101126474B1 (ko) 2005-10-28 2006-10-26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KR1020107005793A KR101118368B1 (ko) 2005-10-28 2006-10-26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의 통신 방법 및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791A KR101126474B1 (ko) 2005-10-28 2006-10-26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 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KR1020107005793A KR101118368B1 (ko) 2005-10-28 2006-10-26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의 통신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7) US8130685B2 (ko)
EP (6) EP1942587B1 (ko)
JP (4) JP4450072B2 (ko)
KR (3) KR100976301B1 (ko)
CN (2) CN101297505B (ko)
WO (1) WO2007049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893A (ja) * 1993-08-13 1995-02-28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開傘補助具
KR100976301B1 (ko) * 2005-10-28 2010-08-1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US8238281B2 (en) 2007-04-27 2012-08-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saving power in a wireless user terminal
AU2007354841B2 (en) * 2007-06-15 2011-11-24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emi-persistent and dynamic scheduling and discontinuous reception control
JP2009044581A (ja) * 2007-08-10 2009-02-26 Fujitsu Ltd 通信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
JP4718595B2 (ja) * 2007-12-27 2011-07-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装置
JP4827268B2 (ja) * 2008-01-31 2011-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処理方法、処理装置、基地局装置
US9237523B2 (en) * 2008-07-07 2016-01-12 Mediatek Inc. Method of establishing sleep mode operation for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KR20100006110A (ko) * 2008-07-08 2010-0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망에서의 전력 소모 방지 방법
JP5072778B2 (ja) * 2008-09-02 2012-11-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基地局、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CN101730206A (zh) * 2008-11-03 2010-06-0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移动通信终端接收下行数据的控制方法和移动通信终端
US8224370B2 (en) * 2009-07-10 2012-07-17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a communication system in a motor vehicle
US9247499B2 (en) * 2009-12-09 2016-01-26 Lg Electronics Inc. Power saving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17966B1 (ko) * 2010-03-09 2012-02-15 김대영 모바일 통지 시스템
JP5300785B2 (ja) * 2010-05-17 2013-09-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2010202A (ja) 2010-06-25 2012-01-12 Sony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
JP4878651B1 (ja) * 2010-09-17 2012-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2063648A1 (ja) * 2010-11-10 2012-05-18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5895199B2 (ja) 2010-12-28 2016-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装置
US9301251B2 (en) * 2011-07-05 2016-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base station initiated energy savings within an associated user equipment
WO2013084331A1 (ja) * 2011-12-08 2013-06-13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無線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752059B2 (ja) * 2012-01-16 2015-07-2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
JP5821668B2 (ja) * 2012-02-01 2015-11-24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018016B1 (ko) * 2012-03-06 2019-09-0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의 절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5808719B2 (ja) * 2012-08-30 2015-11-1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US9338819B2 (en) * 2013-05-29 2016-05-10 Medtronic Minimed, Inc. Variable data usage personal medical system and method
JP5677532B2 (ja) * 2013-08-08 2015-02-25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4168267A (ja) * 2014-04-21 2014-09-11 Fujitsu Ltd 通信装置
WO2016152683A1 (ja) 2015-03-20 2016-09-29 株式会社 東芝 無線通信用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6152686A1 (ja) 2015-03-20 2016-09-29 株式会社 東芝 無線通信用集積回路
JP6164270B2 (ja) * 2015-10-14 2017-07-1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
US20170188305A1 (en) * 2015-12-28 2017-06-29 Kabushiki Kaisha Toshib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7018827B2 (ja) * 2018-06-13 2022-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車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0582A (ja) * 2001-10-01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間欠通信方法及び間欠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4907B2 (ja) 1993-12-02 1998-10-2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機及び伝送装置
JPH0998131A (ja) 1995-10-03 1997-04-08 Kokusai Electric Co Ltd チャンネル走査制御方法および携帯電話機
JP3629077B2 (ja) 1995-12-08 2005-03-1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システム用基地局および間欠電源投入型移動局
US6236674B1 (en) * 1996-02-23 2001-05-22 Teletransactions, Inc. Transceiver control with sleep mode operation
JPH10210563A (ja) 1997-01-21 1998-08-07 Omron Corp 受信機
US6240083B1 (en) * 1997-02-25 2001-05-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 combined contention and reservation mode access
JPH1155324A (ja) * 1997-07-31 1999-02-26 Fujitsu Ltd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の通信システム
GB2369963A (en) * 2000-12-11 2002-06-12 Motorola Inc Battery saving in a radio communication unit
JP2002271380A (ja) * 2001-03-13 2002-09-2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
US7283482B2 (en) * 2001-08-14 2007-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vers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886795B2 (ja) * 2001-12-10 2007-02-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通信基地局
GB0205236D0 (en) * 2002-03-06 2002-04-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DK1404043T3 (da) * 2002-09-26 2008-02-18 Vkr Holding As Fremgangsmåde til styring af driften af mindst en sender og/eller en modtager, kommunikationssystem og anvendelse af en sådan fremgangsmåde eller et sådant system
JP4013729B2 (ja) 2002-10-24 2007-11-2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基地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パケット通信方法
US7340615B2 (en) 2003-01-31 2008-03-0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in network interface modules
JP2005026862A (ja) 2003-06-30 2005-01-27 Sony Corp 無線端末管理方法及び基地局、並びに無線端末管理プログラム
US20050157671A1 (en) * 2003-11-27 2005-07-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data retreiving method
US20060029024A1 (en) * 2004-08-05 2006-02-09 Guang Zeng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onservation in wireless stations
CN1738442A (zh) * 2004-08-10 2006-02-22 日本电气株式会社 用于工作在压缩模式下的无线通信网络的方法和装置
JP4482433B2 (ja) * 2004-11-19 2010-06-16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KR100976301B1 (ko) * 2005-10-28 2010-08-1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US9042248B2 (en) * 2009-10-02 2015-05-26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terminals, radio base stations,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10555368B2 (en) * 2015-11-19 2020-0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tive period of a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0582A (ja) * 2001-10-01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間欠通信方法及び間欠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73275B2 (ja) 2012-02-08
EP1942587B1 (en) 2013-10-23
EP2541997B1 (en) 2017-04-05
EP3193544A1 (en) 2017-07-19
US20210105231A1 (en) 2021-04-08
US10700999B2 (en) 2020-06-30
US20130301506A1 (en) 2013-11-14
JP2009213175A (ja) 2009-09-17
US9432935B2 (en) 2016-08-30
KR101126474B1 (ko) 2012-03-29
US20160337268A1 (en) 2016-11-17
EP1942587A4 (en) 2012-10-10
JP4462453B2 (ja) 2010-05-12
US20190089652A1 (en) 2019-03-21
US20090161587A1 (en) 2009-06-25
US8130685B2 (en) 2012-03-06
EP2541996A1 (en) 2013-01-02
EP3651507B1 (en) 2021-12-22
CN101297505B (zh) 2013-04-17
CN102917447A (zh) 2013-02-06
US20120163193A1 (en) 2012-06-28
EP1942587A1 (en) 2008-07-09
WO2007049698A1 (ja) 2007-05-03
KR101118368B1 (ko) 2012-03-14
JP2009219156A (ja) 2009-09-24
US20200267097A1 (en) 2020-08-20
JP5249141B2 (ja) 2013-07-31
KR20100044263A (ko) 2010-04-29
EP3451746B1 (en) 2019-12-18
KR20100043280A (ko) 2010-04-28
JP2009135980A (ja) 2009-06-18
EP3193544B1 (en) 2018-11-28
EP2541996B1 (en) 2017-04-05
US8514727B2 (en) 2013-08-20
EP2541997A1 (en) 2013-01-02
KR20080057306A (ko) 2008-06-24
JPWO2007049698A1 (ja) 2009-04-30
EP3651507A1 (en) 2020-05-13
US10164915B2 (en) 2018-12-25
US11489790B2 (en) 2022-11-01
CN102917447B (zh) 2015-07-29
EP3451746A1 (en) 2019-03-06
US10904166B2 (en) 2021-01-26
CN101297505A (zh) 2008-10-29
JP4450072B2 (ja)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30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것들에 이용되는전력절약 송수신 방법
US20190182773A1 (en) Data transmission mechanism of time-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ifferent radio communication standards
CN117730567A (zh) 用于执行侧链路drx的系统和方法
CN102263586A (zh) 一种发送数据帧的方法、系统和装置
CN116349311A (zh) 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