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247B1 -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 - Google Patents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247B1
KR100976247B1 KR1020100027361A KR20100027361A KR100976247B1 KR 100976247 B1 KR100976247 B1 KR 100976247B1 KR 1020100027361 A KR1020100027361 A KR 1020100027361A KR 20100027361 A KR20100027361 A KR 20100027361A KR 100976247 B1 KR100976247 B1 KR 100976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container
main body
open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삼
Original Assignee
이성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삼 filed Critical 이성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247B1/ko
Priority to PCT/KR2010/00954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8146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6Hinged, foldable or pivot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7Gable-top containers
    • B65D5/068Gable-top containers with supplemental means facilitating the opening, e.g. tear lines, tear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65D5/741Spouts for containers having a tubular body
    • B65D5/743Spouts formed by deforming or tearing scored or incised parts of the side-wall of containers
    • B65D5/744Spouts formed by deforming or tearing scored or incised parts of the side-wall of containers combined with swivelling devices having a bottom-wall and two 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음료수, 주류 등을 담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컵이나 팩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펼침이 가능한 음용 주둥이를 구비하고 있어 음용자가 직접 입을 대고 물이나 음료수 등을 마실 때 편리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는 내부 저장공간과 개방 또는 폐쇄된 개구부를 구비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부 주변에 구비되고 펼침부를 갖는 주둥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CASE EQUIPPED WITH UNFOLDING TYPE SPOUT}
본 발명은 물, 음료수, 주류 등을 담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컵이나 팩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펼침이 가능한 음용 주둥이를 구비하고 있어 음용자가 직접 입을 대고 물이나 음료수 등을 마실 때 편리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 상용화된 컵이나 우유팩 등의 용기를 변형하여 편리성을 높이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 제0163442호(1998년09월07일) [포장용기의 개구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유팩 등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삼각 지붕 형상의 상부에 별도로 나사결합식 마개를 구비한 노즐을 도입하였는데,
이러한 특허기술을 이용하면 마시고 남은 음료 등을 보관함에 있어 밀봉성을 높일 수 있고, 따르기에 편리함이 있으나, 직접 음용자가 입을 대고 마시기에는 불편하다.
한편, 특허공개 제2006-0016715호(2006년02월22일) [주름 배출구가 상하로 되어있는 음료용기]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용기 상하부에 주름관 타입의 배출구를 도입한 형태와 관련된 것이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0069370호(1992.12.21) [자바라식 위생 빨대가 장착된 용기]가 있는데,
상기 등록고안은 음료수 등을 용입한 액체 용기의 뚜껑에 천설된 흡입개구부를 밀폐 테이프로 밀폐한 액체 용기의 뚜껑 이면에 자바라식 빨대를 개구부에 관통되게 밀착 고정하여 별도의 컵이 필요 없고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음료수를 마실 수 있게 하고 마시다 남은 잔여분의 보관도 용이하게 한 빨대가 내장된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 및 실용신안 기술은 기존 용기를 개선한 것이 아니라 완전히 대체하는 용기여서 상품성이 떨어지고, 실제 사용시에 편리성이 높은 것 보다는 덮개를 덮어 배출구를 감추고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어 유통에 있어 편리성이 증가되는 장점만이 돋보이는 기술이다.
상기 특허 및 실용신안을 이용하여 음용자가 직접 입을 대고 마시는 경우에는 빨대형 주둥이의 특성상 공기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없어 원활한 음용이 불가능하다는 치명적인 기술의 문제점은 갖고 있으므로 음료수 등을 위한 현실적인 용기로는 부적절하다.
이에 본 발명은 음용자가 직접 입을 대고 물이나 음료수 등을 마실 때 편리하도록 펼침이 가능한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주둥이를 잡아 늘릴 때 최대한 인장이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의 펼침부를 주둥이에 도입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주둥이를 당기는 용도로 사용되는 파지부를 더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우유팩과 같이 폐쇄형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에 적용되는 경우 방수에 문제가 없고 원활한 절취 펼침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우유팩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면서도 위생에 문제가 없는 부착형 주둥이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는
내부 저장공간과 개방 또는 폐쇄된 개구부를 구비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부 주변에 구비되고 펼침부를 갖는 주둥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에서
상기 주둥이의 펼침부는 주름관 형태를 갖고,
상기 주둥이는 당김 용도로 사용되는 파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는 음용자가 직접 입을 대고 물이나 음료수 등을 마실 때 편리하도록 펼침이 가능하며, 또 주둥이를 잡아 늘릴 때 최대한 인장이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의 펼침부를 주둥이에 도입하였으며, 나아가 주둥이를 당기는 용도로 사용되는 파지부를 더 도입하고, 아울러 우유팩과 같이 폐쇄형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에 적용되는 경우 방수에 문제가 없도록 하며, 우유팩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면서도 위생에 문제가 없는 부착형 주둥이를 갖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의 개념을 적용한, 서로 다른 종이컵에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의 개념을 적용한, 서로 다른 팩에 대한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의 개념을 적용한, 부착형 주둥이에 대한 도면.
도 5는 또 다른 부착형 주둥이와 관련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 각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 및 크기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한 측면이 있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C)의 구현예로써 컵, 특히 종이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A] 및 [C]는 주둥이(20)를 펼치기 전의 도면이고, [B] 및 [D]는 주둥이를 펼친 후의 도면이며, [A] 및 [B]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C] 및 [D]는 평면도이며, [E] 및 [F]는 개방형 개구부(11A)를 덮는 뚜껑(3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용기(C)의 본체(10)는 내부 저장공간(13)과 상부에 개방된 개구부(11A)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10) 개구부(11A)의 주변, 특히 음용자가 입으로 물었을 때 편리하도록 일정 두께가 되도록 하면서 보강 역할을 하는 테두리(11a)를 공유하는 형태로 주둥이(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주둥이(20)는 본체(10)와의 경계에 펼침부(21)를 갖는데, 특히 상기 펼침부(21)는 주둥이를 잡아 늘릴 때 최대한 인장이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주둥이(20)는 당김 용도로 사용되는 파지부(23)를 가져 편리성이 증진되는데, 상기 돌출형 파지부(23) 대신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파지부 형태가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개구부(11A)를 테두리(11a)와 일체감을 갖도록 역시 테두리(21a)를 갖는 형태이나, 필요에 따라 주둥이(20) 상부의 테두리는 그대로 본체에 결합된 상태이고, 주둥이만이 뽑힐 수 있는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또 도 1의 [E]에는 본체(10)의 개구부(11A)를 덮는 뚜껑(30)이 구비되어 있는데, 그 하부에는 본체(10)의 테두리(11a)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슬리브(31)가 구비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상기 슬리브에서 연장된 스커트(33)가 구비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주둥이(20)가 스커트 하부에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스커트(33)는 주둥이(20)를 펼친 상태에서도 본체(1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뚜껑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펼쳐진 주둥이와 접촉할 경우 변형이 가능하거나, 주둥이의 펼침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F]에 도시된 뚜껑(30)은 상부 일측에 빨대꽂이(35)구 'X'자 형태로 절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에는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상을 컵 형태로 구현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역시 [A] 및 [C]는 주둥이(20)를 펼치기 전의 도면이고, [B] 및 [D]는 주둥이를 펼친 후의 도면이며, [A] 및 [B]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과 다른 점은 주둥이(20) 하부가 연결부(21b)를 갖는다는 점이다. 또 도 1의 주둥이 윤곽이 정면(도 1 [A] 참조)에서 관찰했을 때 대략 'U자'형상이나, 도 2에서는 부드럽게 주둥이 윤곽이 정면(도 2 [A] 참조)에서 관찰했을 때 대략 'V자'형상을 가져 하부 연결부(21b)가 협소하여 주둥이 펼침 동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펼침부(21)의 주름 역시 상광 하협 형상을 가져 완전히 펼칠 경우 도 2 [B]와 같이 주동이가 기울어진 형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C)의 구현예로써 공지의 우유팩 등을 대체할 수 있는 팩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용기(C)는 모두 폐쇄형 개구부(11B)가 구비되어 있다.
도 3 [A]에서 개구부(11B) 아래 부분의 횡단면이 사각형인 용기(C) 본체(10)의 전면에는 하단에 연결부(21b)가 구비된 주둥이(20)가 장착되어 있으며,
점선으로 표현한 부분은 파지부(23) 잡고 주둥이(20)를 당길 경우 파괴되는 절취선(25)이며, 일점쇄선으로 표현한 부분은 본체(10) 내장되어 주둥이를 당길 경우 함께 당겨지는 연장부(27)에 해당한다. 상기 연장부는 내용물을 마시거나 별도의 컵 등에 따르는 경우 안내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이러한 주둥이(20)는 원형 라인(B)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종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별도 제작하여 용기(C)에 부착하는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B]에 도시된 용기는 파지부(23)가 경사진 상부 개구부(11B) 외벽에 구비되어 있고, 역시 점선으로 표현한 부분은 절취선(25)에 해당한다.
하부의 확대된 원 내에 표시된 도면은 용기 본체 내부 도면으로 수밀성을 위하여 방수막(29)이 구비되며, 방수막(29)은 주둥이(20) 라인을 따라 절취선(29a)을 갖는다.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방수막 절취선(29a)과 점선으로 표시한 주둥이 절취선(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거나, 필요에 따라 일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의 개념을 적용한, 도 3 [A]와는 다른 형태의 부착형 주둥이(20)를 도시하고 있다.
합성수지나 종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 부착형 주둥이(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시된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팩의 폐쇄형 개구부의 경사진 외벽 전체에 해당하는 형상에 대한 것이다.
특히 부착형 주둥이(20) 외곽에는 용기 개구부(또는 본체 자체)와 겹침 접착(또는 융착)이 가능한 접합부(21c)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에는 또 다른 형태의 부착형 주둥이(120)를 구비한 용기(C)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주둥이(120)는 폐쇄형 개구부(11B)를 갖는 용기(C)의 경사진 측벽(15)에 부착되어 있는데,
우측의 확대된 원 내 사시도, 하부 좌측의 결합단면도, 하부 우측의 배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향성과 관련하여 편의상 용기의 저장공간(13) 쪽을 후면이라 하고, 측벽(15) 외측 쪽을 전면으로 정한다)
전면부재(121A), 후면부재(121B), 상기 전후면 부재(121A)(121B) 사이에 배열되는 주름부재(121C), 그리고 본체(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121D)를 포함한다.
상기 주름부재(121C) 및 상기 전후면 부재(121A)(121B)는 하단부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고,
또 상기 주름부재(121C)는 전후면 부재(121A)(121B)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전면부재(121A)를 잡고 벌리면 배출부(120A)를 형성하게 되는데, 주름진 정도는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주름부재'는 단순히 전면부재(121A)가 벌어져 배출부(120A)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면 부재(121A)(121B)를 연결하고 펼침이 가능하고 한 번 접힌 단순 시트 형태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상기 주둥이(120)는 전후면 부재(121A)(121B) 및 주름부재(121C) 상부에 캡이 결합되어 있어 우유팩 등에 주둥이(120)를 도입한 경우 내용물 음용 후 내용물이 남아 있어도 배출부(120A)를 오므려 닫고 캡을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어 위생성이 향상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결합단면도 및 우측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후면 부재(121A)(121B)의 상단 결합부(121a)(121b)에 캡이 결합된다.
또 상기 캡(123)은 분리 용이성과 배출부(120A)의 재폐쇄 편리성, 분실방지를 위하여 연결파지부(123a)를 통하여 전면부재(121A)에 결합되어 있으며,
캡(123) 개방 후 전면부재(121A)측, 특히 연결파지부(123a) 또는 캡을 당기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절취선(121d)(121g)이 파괴되면서 분리부(121h)가 전면부재(121A)와 함께 전방으로 떨어져 나가 용기(C) 본체(10) 내부 저장공간(13)의 내용물이 배출부(120A)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121D)는 본체(10) 내측에 위치하며 그 테두리가 본체(10) 측벽, 특히 개구부(11B) 부근 경사진 측벽(15) 내측에 융착(또는 접착) 되어 결합되며,
내용물의 침투 방지를 위하여 방수막(121G)이 결합부재(121D) 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후면부재(121B)와 상기 결합부재(121D) 사이에는 본체(10) 측벽(15)의 두께 정도의 두께를 갖는 이격부재(121E)가 구비되어 제조 용이성과 외관 미감을 향상시키며, 캡(123)의 결합용이성을 위한 이격거리도 보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격부재(121E)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필요에 따라 이격부재는 생략되고 후면부재(121B)와 결합부재(121D)가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최초 배출구(120A) 개방시 전면부재(121A)를 당기면(특히 캡(123) 분리후 연결파지부(123a) 또는 캡을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결합부재(121D) 및 방수막(121G)의 절취선(121d)(121g)(도 5 하부에 배면도에서 편의상 절취선은 이중의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이 파손되면서
결합부재(121D) 및 방수막(121G)의 절취선(121d)(121g) 내측 부위에 해당하는 분리부(121h)가 전면부재(121A)와 함께 전방으로 떨어져 나가야 하므로
상기 전면부재(121A)는 연결수단에 의하여 분리부(121h)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일례로 도 5(배출부(120a)가 개방된 평면 도면 참조)에서는 연결부재(121F)로 구성하였는데, 특히 도시된 연결부재(121A)는 주름부재(121C)로 인한 전후면 부재(121A)(121B) 사이에 틈(주름 수가 증가하면 틈은 더 벌어지게 된다)을 메우는 충진 역할을 겸하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부재(121F)는 상기 이격부재(121E) 내측까지 연장되고 내부 배출통로의 형상에 맞게 연결부재 보다 높이가 낮은 보조 연결부재(121f)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이격부재(121E)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이 보조 연결부재도 불필요하다. 상기 연결부재(121F)와 보조 연결부재(121f)는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종이 및 합성수지 용기 제조방법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용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용기 10: 본체
11A,11B: 개구부 13: 저장공간
20: 주둥이 21: 펼침부
23: 파지부 25: 절취선
27: 연장부 29: 방수막
30: 뚜껑 31: 슬리브
33: 스커트 35: 빨대 꽂이부

Claims (2)

  1. 내부 저장공간(13)과 개방 또는 폐쇄된 개구부를 구비한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개구부 주변에 구비되고 펼침(21)부를 갖는 주둥이(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둥이(120)의 펼침부(121)는 전면부재(121A), 후면부재(121B), 상기 전후면 부재(121A)(121B) 사이에 배열된 주름부재(121C), 상기 후면부재(121B) 후면에 배열되고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절취선(121d)을 갖는 결합부재(121D)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면부재(121A)(121B) 및 상기 주름부재(121C)의 상부에는 캡(123)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주름부재(121C) 및 상기 전후면 부재(121A)(121B)는 하단부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고,
    내용물의 침투 방지를 위하여 절취선(121g)을 갖는 방수막(121G)이 결합부재(121D) 후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면부재(121B)와 상기 결합부재(121D) 사이에는 이격부재(121E)가 구비되어 있고,

    최초 배출구(120A) 개방시 전면부재(121A)를 당기면 결합부재(121D) 및 방수막(121G)의 절취선(121d)(121g)이 파손되면서 결합부재(121D) 및 방수막(121G)의 절취선(121d)(121g) 내측 부위에 해당하는 분리부(121h)가 전면부재(121A)와 함께 전방으로 떨어져 나가도록
    상기 전면부재(121A)는 연결수단에 의하여 분리부(121h)와 연결되어 있되,
    상기 연결수단은 주름부재(121C)로 인한 전후면 부재(121A)(121B) 사이에 틈을 메우는 충진 역할을 겸하는 판상의 연결부재(121F)이며,
    상기 연결부재(121F)는 상기 이격부재(121E) 내측까지 연장되고 내부 배출통로의 형상에 맞게 연결부재 보다 높이가 낮은 보조 연결부재(121f)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23)은 분리 용이성과 배출부(120A)의 재폐쇄 편리성, 분실방지를 위하여 연결파지부(123a)를 통하여 전면부재(121A)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
KR1020100027361A 2010-01-04 2010-03-26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 KR100976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9547 WO2011081468A2 (ko) 2010-01-04 2010-12-30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070 2010-01-04
KR20100000070 2010-01-04
KR20100004690 2010-01-19
KR1020100004690 2010-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247B1 true KR100976247B1 (ko) 2010-08-18

Family

ID=4275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361A KR100976247B1 (ko) 2010-01-04 2010-03-26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6247B1 (ko)
WO (1) WO201108146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480A (ko) * 2018-08-14 2020-02-24 김영만 빨대가 구비되는 종이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9931U (ko) * 1986-02-28 1987-09-03
JPS6313826U (ko) * 1986-02-28 1988-01-29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9108A (en) * 1980-03-17 1985-07-16 Chlystun Walter K Dispensing container for pressurized fluid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BE1010837A5 (fr) * 1997-01-08 1999-02-02 Son Paul Bec verseur pour boite et canette de differentes.
EP1214249A2 (en) * 2000-03-05 2002-06-19 Jung Min Lee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JP2005162323A (ja) * 2003-12-03 2005-06-23 Kiyoshi Sugimoto 自在注入口
JP3149492U (ja) * 2008-09-18 2009-04-02 エーケー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こぼれない詰め替え用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9931U (ko) * 1986-02-28 1987-09-03
JPS6313826U (ko) * 1986-02-28 1988-01-2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480A (ko) * 2018-08-14 2020-02-24 김영만 빨대가 구비되는 종이컵
KR102134514B1 (ko) * 2018-08-14 2020-07-15 김영만 빨대가 구비되는 종이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468A3 (ko) 2011-12-01
WO2011081468A2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2287B (zh) 包装体、换装方法以及包装体套件
US6431434B1 (en) Individual beverage carton with a straw therein and a method of manufacture
US8851325B1 (en) Lid of disposable beverage cup
US20070029334A1 (en) Beverage containers and accessories with integrated straw
MX2011000916A (es) Tapon resellable para contenedor de bebida plegable.
ES2315856T3 (es) Envase tipo vaso hecho de un material a base de fibra.
CN102892683A (zh) 用于可变形的容器的塑料封闭器
KR20110005550U (ko) 음료수용부가 형성된 음료용기 라벨지
KR100976247B1 (ko) 펼침형 음용 주둥이를 구비한 용기
MX2007010878A (es) Envase de empaquetado, particularmente envase en forma de lata.
KR100864782B1 (ko) 씨리얼과 우유 또는 음료를 함께 먹을 수 있는 우유팩
US20140353182A1 (en) Fitment with spoon
CN218987556U (zh) 一种包装结构
KR101411065B1 (ko)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JP2009220868A (ja) 円筒パウチ
JP2006096421A (ja) 密封容器
CN203652321U (zh) 舌片外翻式饮料罐罐盖以及使用该种罐盖的饮料罐
JP3189452U (ja) フラワーベース
JP3815134B2 (ja) 包装容器
CN211167758U (zh) 一次性饮品杯
MX2007012465A (es) Bolsa tubular con tapa.
JPH06247435A (ja) 飲料容器
JP4999481B2 (ja) ストロー兼備容器
KR200375757Y1 (ko) 빨대를 내장한 음료 저장용 팩.
EP3228556B1 (en) Stopper for brik-type container with air ad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