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065B1 -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065B1
KR101411065B1 KR1020120077852A KR20120077852A KR101411065B1 KR 101411065 B1 KR101411065 B1 KR 101411065B1 KR 1020120077852 A KR1020120077852 A KR 1020120077852A KR 20120077852 A KR20120077852 A KR 20120077852A KR 101411065 B1 KR101411065 B1 KR 101411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pack
clip member
tube
adhesive portion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810A (ko
Inventor
최준혁
Original Assignee
최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혁 filed Critical 최준혁
Priority to KR102012007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06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대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를 뜯어 형성되는 음료수취구에 빨대를 고정시키고 빨대가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음료수취구의 나머지 부분을 밀폐시켜 음용 중에 실수로 우유를 엎지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를 수용하여 접착부의 양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하향 개구된 제1 결합홈이 아랫면에 형성된 클립부재, 상기 제1 결합홈의 양 끝단이 위치한 클립부재의 좌우 끝단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제1 결합홈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단에 형성된 하향 개구된 제2 결합홈 및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는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의 측면 모서리와 이에 인접한 하단 모서리 일부를 감싸는 L형 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립부재가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의 좌우 끝단을 제2 결합홈과 L형 고정부로 감싸는 2개의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클립부재에 상하로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되고 이를 통해 우유팩 내부로 연장되는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Straw clips sealing a open milk carton}
본 발명은 빨대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를 뜯어 형성되는 음료수취구에 빨대를 고정시키고 빨대가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음료수취구의 나머지 부분을 밀폐시켜 음용 중에 실수로 우유를 엎지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우유 제품의 대부분은 방수처리 된 종이로 제작된 우유팩에 포장된다. 이러한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에는 개봉 가능하도록 접착하여 밀봉한 음료수취구가 구비되어 있는데, 먼저 접착된 부분을 떼어내고 미리 정의된 접힘선을 따라 양쪽으로 접은 후에 미리 정의된 방향으로 힘을 가해주면 음료수취구가 개방되어 우유팩 내부에 담긴 우유를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우유는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에게 특히 중요한 식품으로서, 아이들에게 우유를 줄 때에는 우유팩의 음료수취구를 개방하고 빨대를 꽂아주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아이들에게는 우유가 든 우유팩을 들 수 있는 근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음료수취구가 커서 입 옆으로 우유를 흘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우유팩의 음료수취구에 빨대를 꽂아서 아이들에게 주면 대부분의 아이들은 우유를 조금 마시다가 빨대를 빼내어 장난을 치기도 하고, 그런 와중에 우유를 소파 또는 카펫이나 차 안에 엎지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614호 스트로우 컵에 게시된 것처럼 용기본체 위에 개폐 가능한 개폐뚜껑이 구성되고 개폐뚜껑의 일측부에 빨대가 결합 설치되어 빨대를 통해 용기본체 내에 내장되는 음료를 흡입하여 마실 수 있는 이유식 컵을 사용하였으나, 세척이 용이하지 않으며 기존의 우유팩을 그대로 활용할 수 없는 등의 사용상 불편함으로 인해 아이가 일정 나이 이상이 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고, 이유식 컵 자체의 부피가 상당하기 때문에 아이를 동반한 외출 중에 이를 휴대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우유팩을 그대로 사용하여 음용하고 남은 우유를 우유팩에 저장한 채로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면 밀봉이 되지 않아 다른 음식물의 냄새가 배거나 냉장고 안에서 우유가 엎질러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료수취구를 다시 접어 폐쇄한 후에 냉장고에 보관하였으나 위생적이지 못하고 음료수취구를 효과적으로 밀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이팩의 상단 봉입부 개방 후 개방 부위를 차폐 사용하는 봉입부 잠금장치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1358호에 게시되어 있으나, 이는 음용하고 남은 우유를 우유팩에 저장한 상태 그대로 냉장고에 보관할 때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우유를 음용할 때에도 빨대를 고정하고 우유를 엎지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본 발명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빨대를 아이들이 쉽게 뺄 수 없도록 우유팩의 음료수취구에 고정시켜 아이들이 빨대를 뽑아 장난치는 것을 예방하고, 빨대 구멍을 제외한 음료수취구를 밀봉하여 우유팩이 흔들리거나 넘어져도 우유를 소파 또는 카펫이나 차 안에 엎지르지 않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빨대 고정클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우유팩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간편하고, 부피가 작아서 외출 중에 휴대하기 간편한 빨대 고정클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용하고 남은 우유를 우유팩에 저장한 채로 냉장고에 보관하여도 다른 음식물의 냄새가 배거나 냉장고 안에서 우유가 새지 않는 빨대 고정클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제 해결 수단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를 수용하여 접착부의 양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하향 개구된 제1 결합홈이 아랫면에 형성된 클립부재, 상기 제1 결합홈의 양 끝단이 위치한 클립부재의 좌우 끝단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제1 결합홈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단에 형성된 하향 개구된 제2 결합홈 및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는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의 측면 모서리와 이에 인접한 하단 모서리 일부를 감싸는 L형 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립부재가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의 좌우 끝단을 제2 결합홈과 L형 고정부로 감싸는 2개의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클립부재에 상하로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되고 이를 통해 우유팩 내부로 연장되는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제1 실시예에서 상기 클립부재의 좌우 끝단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클립부재의 좌우 측면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제2 실시예에서 상기 클립부재의 좌우 끝단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1 결합홈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제1 결합홈 내부로 제2 결합홈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튜브는 상기 클립부재에 상하로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된 제1 튜브, 상기 제1 튜브의 하단 개구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 튜브의 내부 공간으로 이어지는 구멍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에 이어지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의 하단 개구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2 튜브의 내부 공간으로 이어지는 구멍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무게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튜브는 제1 튜브의 내부 직경이 일회용 빨대의 외부 직경과 동일 유사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튜브는 상기 클립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제1 튜브를 감싸면서 클립부재의 윗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튜브실링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빨대를 클립부재에 일체로 결합시켜 우유팩에 고정함으로서 아이들이 우유팩에서 빨대를 쉽게 분리할 수 없게 하고, 빨대가 삽입된 부분을 제외한 음료수취구의 나머지 부분을 클립부재의 제1 결합홈에 의해 밀봉하고 클립부재가 우유팩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재로 추가 고정시킴으로서 우유팩이 흔들리거나 넘어져도 우유를 소파 또는 카펫이나 차 안에 엎지를 위험이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립부재에 이탈방지부재를 좌우로 슬라이딩 또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함함으로서 이탈방지부재를 좌우로 벌리거나 위로 올린 상태에서 클립부재를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에 직접 대는 부분인 제1 튜브는 클립부재에 일체로 결합시키고 연결구를 통해 제2 튜브로 연장시켜 사용함으로서 분리하여 세척이 용이하고, 제2 튜브의 끝에 무게추를 달아서 우유팩을 기울이면 제2 튜브가 무게추에 의해 남은 우유가 고인 위치로 기울어져서 남은 우유의 마지막 한 방울까지 음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튜브의 내부 직경을 일회용 빨대의 외부 직경과 동일하게 함으로서 집에서는 위생적인 제2 튜브를 그대로 사용하는 한편 야외에서는 제2 튜브, 연결구 및 무게추를 별도로 소지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일회용 빨대를 제1 튜브에 꽂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용하고 남은 우유를 냉장보관을 할 때는 제1 튜브의 상단 개구부에 튜브실링캡을 씌워 밀폐시켜 보관함으로서 다른 음식물의 냄새가 배거나 냉장고 안에서 우유가 넘어져 엎질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우유팩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간편하고, 부피가 작아서 외출 중에 휴대하기 편리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을 우유팩에 장착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을 이탈방지부재가 좌우로 벌려진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5의 C-C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의 이탈방지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을 우유팩에 장착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10)은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에 결합되는 클립부재(100), 상기 클립부재의 좌우 양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클립부재가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2개의 이탈방지부재(200) 및 상기 클립부재에 상하로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튜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우유팩(20)은 시장에서 유통되는 일반적인 우유팩 구조로서 상단이 개구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사각 기둥의 형상을 가지고 내부 공간에는 우유를 저장하며 개구된 상단을 접착하여 포장된다. 상기 우유팩(20)의 상단 접착부의 측면은 좌우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좌우 양단 하단 아래로는 삼각뿔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며, 손가락을 삼각뿔 형상의 공간에 넣어 상단 접착부의 일부를 떼어내고 미리 정의된 접힘선을 따라 양쪽으로 접은 후에 미리 정의된 방향으로 힘을 가해주면 우유팩의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음료수취구가 만들어진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으면 상, 하, 좌, 우는 도 1에 도시된 빨대 고정클립을 바라보았을 때의 상, 하, 좌, 우의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상기 클립부재(100)의 아랫면에는 하향 개구된 제1 결합홈(11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결합홈(110)은 클립부재 본체 아랫면의 좌측 끝단에서 우측 끝단에 이르는 구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홈(110)의 입구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가 용이하게 삽입되고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 하단에서 연결되는 우유팩의 경사진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결합홈(110)의 내부 측면에는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에 밀착되도록 고정돌기(120)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100)는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가 다양한 두께를 가지더라도 제1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클립부재의 제1 결합홈에 고정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클립부재 전체가 아닌 고정돌기만을 탄성 재질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부재(200)는 클립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 끝단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클립부재의 제1 결합홈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이탈방지부재 본체의 아랫면에 형성된 하향 개구된 제2 결합홈(210) 및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는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의 측면 모서리와 이에 인접한 하단 모서리 일부를 감싸는 L형 고정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 결합의 자세한 구성은 공지된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결합홈(210)은 제1 결합홈과 마찬가지로 테이퍼 형상의 입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결합홈(210)의 내부 측면에는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형 고정부(220)는 제2 결합홈의 제1 결합홈과 인접한 곳과 반대쪽 끝단에 일체로 연결된 연직 방향의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에 수평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판은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 좌우 끝단 아래에 형성되는 우유팩의 삼각뿔 형상의 공간에 삽입되어 우유팩에 밀착될 수 있도록 중앙이 상향 만곡 된 ∧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300)는 제1 튜브(310), 연결구(320), 제2 튜브(330) 및 무게추(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튜브(310)는 제1 결합홈을 통해 클립부재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클립부재 본체에 상하로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되고, 상하가 개구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튜브(310)는 일회용 빨대를 끼울 수 있도록 일회용 빨대의 외부 직경과 동일한 내부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제1 튜브의 내부 공간의 상단에는 일회용 빨대가 상단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형 단면의 십자형틀(350)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320)는 제1 튜브의 하단 개구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 튜브의 내부 공간으로 이어지는 구멍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 튜브(330)는 연결구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에 이어지도록 상하가 개구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튜브(330)는 제1 튜브에 비해 휨 변형이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제1 튜브보다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게추(340)는 제2 튜브의 하단 개구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2 튜브의 내부 공간으로 이어지는 구멍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튜브(300)는 제1 튜브의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도록 클립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제1 튜브를 감싸면서 클립부재의 윗면에 결합되는 튜브실링캡(3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실링캡(360)은 뒤집어 놓은 컵 형상을 가지고, 상기 클립부재 본체 윗면에는 제1 튜브 주위로 돌출 형성된 고리 모양의 돌출턱이 구비되어 튜브실링캡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튜브실링캡(360)은 튜브 외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튜브실링캡(360)은 제1 튜브를 통해 우유가 역류되는지 여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첫 번째 그림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우유팩(20)의 상단 접착부 일부를 떼어내어 음료수취구를 개방하고, 개방된 음료수취구를 통해 튜브(300)를 우유팩의 내부로 삽입한다.
도 4의 두 번째 그림에 도시된 것처럼, 음료수취구를 통해 튜브(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우유팩(20)의 상단 접착부를 접어서 폐쇄하고, 클립부재(100)의 제1 결합홈(110)에 우유팩(20)의 상단 접착부를 삽입하여 클립부재(100)와 우유팩(20)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재(200)는 위로 올린 상태를 유지하여야 보다 수월하게 제1 결합홈(110)에 우유팩(20)을 삽입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의 세 번째 또는 네 번째 그림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이탈방지부재(200)를 아래로 회동시켜 제2 결합홈(210)에 우유팩(20)의 상단 접착부 좌우 끝단을 삽입하고 L형 고정부(220)로 우유팩(20)의 상단 접착부 좌우 끝단의 측면모서리와 이에 인접한 하단 모서리 일부를 감싸줌으로서 빨대 고정클립(10)과 우유팩(20)의 결합을 완료한다.
상기 우유팩(20) 내부의 우유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제1 튜브(310)의 클립부재 본체 상부로 돌출된 부분을 입에 대고 우유를 흡입하면 된다. 상기 제2 튜브(330)는 우유팩 내부에 우유가 얼마 남지 않아 기울여 마시는 경우에 무게추(340)에 의해 휘어져서 남은 우유 한 방울까지 음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우유팩(20) 내부의 우유를 음용한 후 남은 우유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제1 튜브(310)를 감싸고 클립부재(100) 본체의 윗면에 형성된 돌출턱에 결합되는 튜브실링캡(360)을 결합하여 우유팩 내부를 완전 밀봉하여 냉장 보관한다.
상기 우유팩(20) 내부의 우유를 모두 음용한 후에는 이탈방지부재(200)를 위로 올리고 클립부재를 들어 올려 클립부재의 제1 결합홈(110)에서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를 분리함으로서 우유팩(20)에서 분리하고, 상기 제1 튜브(310)에서 일회용 빨대 또는 연결구(320)를 분리함으로서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제1 튜브(310)의 넓은 직경은 세척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을 이탈방지부재가 좌우로 벌려진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5의 C-C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의 이탈방지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10)은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에 결합되는 클립부재(100), 상기 클립부재의 좌우 양단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클립부재가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2개의 이탈방지부재(200) 및 상기 클립부재에 상하로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튜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2 실시예에서의 각 구성의 도면부호는 제1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구성의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상기 클립부재(100)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결합홈(110)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1 결합홈(110)은 제2 결합홈이 형성된 이탈방지부재 본체가 클립부재의 좌우 양단에 위치한 제1 결합홈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부재 본체의 단면 외측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내측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110)는 클립부재의 좌우 양단에 위치한 제1 결합홈의 개방된 측면 상단에서 하향 돌출된 가이드돌기(130)를 구비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부재(200)는 클립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 끝단에 위치한 제1 결합홈의 개방된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결합홈(210) 및 L형 고정부(220)를 구비하는 외에 이탈방지부재 본체 윗면에 상향 개구된 가이드홈(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40)은 이탈방지부재의 클립부재로의 삽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제2 결합홈과 평행하게 이탈방지부재의 윗면에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의 가이드돌기(130)와 협력하여 이탈방지부재의 슬라이딩 결합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240)은 이탈방지부재가 슬라이딩 중에 클립부재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클립부재 방향의 가이드홈의 끝단에 돌출 형성되어 클립부재의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25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 고정클립(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클립부재(100)의 제1 결합홈(110)에 우유팩(20)의 상단 접착부를 삽입하여 클립부재(100)와 우유팩(20)을 결합시킬 때, 제1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부재를 위로 올린 상태에서 제1 결합홈에 우유팩을 삽입 결합시키는 반면, 제2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부재(200)를 좌우로 벌린 상태에서 제1 결합홈(110)에 우유팩(20)을 삽입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제1 결합홈(110)에 우유팩(20)의 상단 접착부를 삽입 결합한 후에는, 제1 실시예에서는 힌지에 의해 이탈방지부재를 아래로 회동시켜 제2 결합홈과 L형 고정부를 우유팩에 추가 결합하여 빨대 고정클립과 우유팩의 결합을 완료하는 반면, 제2 실시예에서는 클립부재의 가이드돌기(130)와 이탈방지부재의 가이드홈(240)에 의해 이탈방지부재를 수평으로 슬라이딩시켜 제2 결합홈(210)과 L형 고정부(220)를 우유팩에 추가 결합하여 빨대 고정클립(10)과 우유팩(20)의 결합을 완료한다.
또한, 상기 우유팩(20) 내부의 우유를 모두 음용한 후에는, 제1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부재를 위로 올리고 클립부재를 들어 올려 클립부재의 제1 결합홈에서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를 분리함으로서 빨대 고정클립을 우유팩에서 분리하는 반면, 제2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부재(200)를 좌우로 벌리고 클립부재를 들어 올려 클립부재의 제1 결합홈(110)에서 우유팩(20)의 상단 접착부를 분리함으로서 빨대 고정클립(10)을 우유팩(20)에서 분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빨대 고정클립
20 : 우유팩
100 : 클립부재
110 : 제1 결합홈
120 : 고정돌기
130 : 가이드돌기
200 : 이탈방지부재
210 : 제2 결합홈
220 : L형 고정부
230 : 고정돌기
240 : 가이드홈
250 : 걸림턱
300 : 튜브
310 : 제1 튜브
320 : 연결구
330 : 제2 튜브
340 : 무게추
350 : 십자형틀
360 : 튜브실링캡

Claims (6)

  1.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를 수용하여 접착부의 양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하향 개구된 제1 결합홈이 아랫면에 형성되고, 우유의 음용을 위해 상기 우유팩 내부로 빨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홈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부재; 및
    상기 클립부재의 좌우 양 쪽에 결합되면서, 상기 클립부재가 결합되는 영역의 좌우 양 쪽에 있는 우유팩 상단 접착부의 양 측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클립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2개의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제 1결합홈의 내부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우우팩의 상단 접착부 양 측면으로의 밀착력을 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여, 빨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부재가 우유팩 상단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힘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 1결합홈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향 개구되어 하단에 형성된 제2 결합홈과, 상기 제 2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는 우유팩의 상단 잡착부의 측면 모서리와 이에 인접한 하단 모서리 일부를 감싸는 L형 고정부, 및 상기 제 2결합홈의 내부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 양 측면으로의 밀착력을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클립부재가 결합되는 영역의 좌우 양 쪽에 있는 우유팩 상단 접착부의 좌우 끝단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클립부재의 좌우 끝단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클립부재의 좌우 측면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클립부재의 좌우 끝단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1 결합홈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제1 결합홈 내부로 제2 결합홈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는 우유팩 상단 접착부의 두께 변화나,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 일부를 떼어내어 개방되는 음료수취구에 삽입된 빨대에 의한 우유팩 상단 접착부의 두께 증가시에도 우유팩 상단 접착부에의 밀착력을 유지하고, 우유팩 상단 접착부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홈의 내부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는, 우유팩 상단 접착부의 두께 변화나, 우유팩의 상단 접착부 일부를 떼어내어 개방되는 음료수취구에 삽입된 빨대에 의한 우유팩 상단 접착부의 두께 증가시에도 우유팩 상단 접착부에의 밀착력을 유지하고, 우유팩 상단 접착부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홈에 일체로 결합되고 이를 통하여 우유팩 내부로 연장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튜브는,
    상기 클립부재에 상하로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된 제1 튜브;
    상기 제1 튜브의 하단 개구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 튜브의 내부 공간으로 이어지는 구멍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에 이어지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튜브;
    상기 제2 튜브의 하단 개구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2 튜브의 내부 공간으로 이어지는 구멍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무게추; 및
    상기 클립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제1 튜브를 감싸면서 클립부재의 윗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튜브실링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KR1020120077852A 2012-07-17 2012-07-17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KR101411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52A KR101411065B1 (ko) 2012-07-17 2012-07-17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52A KR101411065B1 (ko) 2012-07-17 2012-07-17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810A KR20140010810A (ko) 2014-01-27
KR101411065B1 true KR101411065B1 (ko) 2014-06-25

Family

ID=5014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852A KR101411065B1 (ko) 2012-07-17 2012-07-17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633B1 (ko) * 2015-09-15 2017-01-23 최준혁 팩클립
KR102557972B1 (ko) * 2022-12-13 2023-07-21 주식회사 이도패키지 종이팩 상부 마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158Y1 (ko) * 2020-08-19 2022-03-16 강혁조 빨대 이탈 방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744U (ko) * 1997-10-22 1998-03-30
US20020166990A1 (en) 2001-05-11 2002-11-14 Shih-Sheng Yang Integral soft and hard plastic nozzle
KR20120001358U (ko) * 2010-08-18 2012-02-28 김혜선 종이팩용 봉입부 잠금장치
KR20120002445U (ko) * 2010-09-30 2012-04-09 서만길 빨대 고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744U (ko) * 1997-10-22 1998-03-30
US20020166990A1 (en) 2001-05-11 2002-11-14 Shih-Sheng Yang Integral soft and hard plastic nozzle
KR20120001358U (ko) * 2010-08-18 2012-02-28 김혜선 종이팩용 봉입부 잠금장치
KR20120002445U (ko) * 2010-09-30 2012-04-09 서만길 빨대 고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633B1 (ko) * 2015-09-15 2017-01-23 최준혁 팩클립
WO2017048036A1 (ko) * 2015-09-15 2017-03-23 최준혁 팩클립
KR102557972B1 (ko) * 2022-12-13 2023-07-21 주식회사 이도패키지 종이팩 상부 마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810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2139B2 (ja) 飲料容器用の蓋および煎じ出しユニット
RU2345939C2 (ru) Крышка, в частност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одноразового стаканчика
AU2003200504B2 (en) Infusion package
KR101411065B1 (ko)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US11548696B2 (en) Lid for a container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KR101641534B1 (ko) 손잡이를 구비한 접이식 컵
RU2374158C2 (ru) Заварочный узел
KR20140001528U (ko) 혼합수단이 내장된 포장박스
JP3569895B2 (ja) 包装袋
KR200446685Y1 (ko) 컵뚜껑
KR20150044658A (ko) 빨대와 물품을 보관하는 덮개가 구비된 젤리용기
KR101415626B1 (ko)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KR100705457B1 (ko) 면봉 저장용기
KR100718599B1 (ko) 소스수용구조를 갖는 위생적인 튀김수용용기
JP3123900U (ja) 蓋スライド開閉型惣菜容器
CN210126714U (zh) 一种烹饪用料外包装盒
JP5507203B2 (ja) カップ型容器
FR2854881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de sachet d'infusion
KR200184997Y1 (ko) 일회용 스푼이 삽입된 인스턴트 식품의 포장봉지
CN210126713U (zh) 一种烹饪用料包装结构
KR101850041B1 (ko) 밀폐 가능한 종이팩
KR200267370Y1 (ko)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
KR20030020688A (ko) 빨대가 내장된 스탠딩 용기
JP3182915U (ja) 紙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