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370Y1 -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 - Google Patents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370Y1
KR200267370Y1 KR2020010037376U KR20010037376U KR200267370Y1 KR 200267370 Y1 KR200267370 Y1 KR 200267370Y1 KR 2020010037376 U KR2020010037376 U KR 2020010037376U KR 20010037376 U KR20010037376 U KR 20010037376U KR 200267370 Y1 KR200267370 Y1 KR 200267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auxiliary container
cup body
food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백운규
Original Assignee
김진구
백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구, 백운규 filed Critical 김진구
Priority to KR2020010037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3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370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음료 컵의 하단부분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는 보조용기를 마련함으로서,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해당식품과 함께 제공되는 보조식품을 상기 음료 컵의 하단부분에 마련된 보조용기를 분리시켜 이에 상기 보조식품을 담아 찍어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간편함과 위생상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음료수용부를 갖는 컵 본체의 하단부에 보조식품을 담을 수 있는 보조식품수용부가 형성된 보조용기가 상기 컵 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Drink cup have support vessel}
본 고안은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의 하단부에 케찹. 고추장. 설탕 및 각종 소스(이하 "보조식품"이라 함)등을 담을 수 있는 보조용기를 상기 음료 컵의 하단부로부터 필요에 따라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료 컵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크기의 음료수용부(11)를 갖는 컵 본체(10)가 형성되고 그 컵 본체(10)의 상단에는 뚜껑(12)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컵 본체(10)의 하단에는 지면에 안전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음료 컵은 주로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햄버거, 샌드위치, 핫도그, 피자(이하 "해당식품"이라 함) 등을 구입하여 먹을 때에 감자튀김과 같은 간식종류가 같이 나오면서 그와 함께 청량음료나 과일주스 등이 담겨서 나오게 되는 바, 상기 감자튀김 등은 그냥 먹을 수도 있으나 대부분이 소스 즉 보조식품을 찍어 먹을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제공되는 보조식품은 밀폐된 봉지로 제공되게 되고, 그 밀폐된 봉지로 제공되는 보조식품은 특별한 용기가 없기 때문에 상기 컵 본체(1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12)을 열어 이에 상기 봉지로부터 보조식물을 인출한 후 상기 감자튀김 등을 찍어 먹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컵 본체(10)에 뚜껑(12)이 있을 경우에 가능한 것이고, 상기 뚜껑(12)이 존재하지 않는 컵 본체(10)의 경우에는 별도의 용기를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패스트푸드점에서 해당 식품을 담아 제공되는 쟁반의 일 측에 인출해서 찍어먹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방법은 비위생적인 뿐만 아니라 쟁반 주위에 보조식품이 묻기 때문에 매우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 쟁반의 다음 사용을 위하여 물로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음료 컵의 하단부분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는 보조용기를 마련함으로서,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해당식품과 함께 제공되는 보조식품을 상기 음료 컵의 하단부분에 마련된 보조용기를 분리시켜 이에 상기 보조식품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상의 간편함과 위생상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료 컵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음료용 컵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컵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음료 컵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컵 본체 21 : 음료수용부
22 : 결합부 30 : 보조용기
31 : 보조식품수용부 32 : 돌기
33 : 환돌기 34 : 연장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음료수용부를 갖는 컵 본체의 하단부에 보조식품을 담을 수 있는 보조식품수용부가 형성된 보조용기가 상기 컵 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용기의 재질은 컵 본체의 재질과 동일한 종이, 합성수지, 유리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보조용기의 외주면에는 컵 본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환돌기가 적어도 2개 이상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용기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컵 본체의 하단에 끼워 결합되는 연장편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그 연장편의 내부는 보조식품수용부가 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은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바와 같이 음료수용부(21)가 형성된 컵 본체(20)의 하단부에 보조식품을 담을 수 있는 보조식품수용부(31)가 형성된 보조용기(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상기 컵 본체(20)의 구조는, 그 컵 본체(20)의 하단에 보조용기(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컵 본체(20)를 하부로 연장하여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부(22)는 상기 보조용기(30)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깊이(t)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컵 본체(20)의 결합부(22)에 결합되는 보조용기(30)의 구조는, 중앙부에 소정의 너비와 깊이를 갖는 보조식품수용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은 상기 보조용기(30)의 외주면을 보강하는 돌기(32)가 테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32)에는 상기 결합부(22)의 내면과 긴밀한 결속력을 유지하도록 환돌기(3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컵 본체(20)와 보조용기(30)는 상기 컵 본체(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22) 내면에 보조용기(30)의 환돌기(33)가 긴밀히 접촉됨으로 인하여 상호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고, 또 상기 보조용기(30)를 컵 본체(20)의 결합부(22)로부터 빼낼 때에는 보조용기(30)를 끝단을 잡고 잡아당기면 된다.
단 상기 보조용기(30)를 결합부(22)로부터 빼낼 때에는 보조식품을 보조식품수용부(31)에 담고자 할 때이며, 이는 주로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해당식품을 구입하여 먹을 때에 제공되는 감자튀김 등이고, 그 외에도 해당식품을 찍어먹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패스트푸드점이 아닌 일반가게나 간이식당 등에서도 해당식품을먹을 때에 사용 가능하다.
또 본 고안의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의 형태는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난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의 형태와 동일한 것이고, 단지 컵 본체(20)의 결합부와 보조용기(30)의 결합구성만을 달리한 것으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컵 본체(20)의 하부 결합부(22)구조는, 통상적인 컵 본체(20)의 하부구조와 동일한 컵 본체(20)를 하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시킨 것이고, 보조용기(30)의 구조는, 상면 가장자리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컵 본체(30)의 하단에 끼워 결합되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연장편(34)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그 연장편(34)의 내부는 보조식품수용부(31)가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컵 본체(20)의 결합부(22)에 보조용기(30)가 결합될 때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연장편(34)의 외면이 결합부(22)의 내주면과 긴민한 접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하고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되고, 상기 보조용기(30)를 결합부(22)로부터 빼낼 때에는 도 3a 및 도 3b의 보조용기(30) 빼내는 방법과 동일하다.
한편 본 고안의 보조용기(30) 재질은 컵 본체(20)의 재질과 동일한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컵 본체(20)와 보조용기(30)재질을 달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컵 본체(20) 및 보조용기(30)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종이, 합성수지, 유리등이고 그 외의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 본 고안의 보조용기(30)구조는, 도 3a 및 도 3b와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컵 본체의 하부에 필요에 따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컵 본체(20)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23)이 마련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뚜껑(23)이 필요 없는 컵 본체(20)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음료 컵에 보조용기를 마련함으로써,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던 패스트푸드점에서 해당식품을 담아 제공되는 쟁반의 일 측에 보조식품을 인출해서 찍어먹는 비위생적인 방법을 해소함은 물론,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컵 본체로부터 보조용기를 결합한 후에는 그 결합된 보조용기가 컵 본체로부터 안전하고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함으로 인하여 상기 보조용기를 컵 본체로부터 인위적으로 분리하기 전에는 임으로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고, 또 보조용기를 분리할 때에는 보조용기를 잡아당기기만 하면 됨으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으며, 상기 보조용기를 컵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한 후 버리고자 할 때에는 상기 분리된 보조용기를 다시 컵 본체에 결합하여 버릴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음료수용부(21)를 갖는 컵 본체(20)의 하단부에 보조식품을 담을 수 있는 보조식품수용부(31)를 갖는 보조용기(30)가 상기 컵 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의 재질은 컵 본체의 재질과 동일한 종이, 합성수지, 유리 중 어느 하나 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의 외주면에는 컵 본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환돌기(33)가 적어도 2개 이상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컵 본체의 하단에 끼워 결합되는 연장편(34)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그 연장편부의 내부는 보조식품 수용부(31)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
KR2020010037376U 2001-12-04 2001-12-04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 KR200267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376U KR200267370Y1 (ko) 2001-12-04 2001-12-04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376U KR200267370Y1 (ko) 2001-12-04 2001-12-04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370Y1 true KR200267370Y1 (ko) 2002-03-12

Family

ID=7311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376U KR200267370Y1 (ko) 2001-12-04 2001-12-04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3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7538A1 (en) * 2021-03-03 2022-09-09 Close Brandon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and delivery of an item simultaneously with a bever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7538A1 (en) * 2021-03-03 2022-09-09 Close Brandon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and delivery of an item simultaneously with a bever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0637A (en) Combination food container and eating utensil
US5934501A (en) Beverage container for use with drinking cup
US5042712A (en) Combination food container and eating utensil
US5213253A (en) Pocket-container, in particular for taking drinks or other food
US20120168440A1 (en) Sippy cup with snack receptacle in lid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US6060097A (en) Food cup
KR200267370Y1 (ko) 보조용기를 갖는 음료 컵
KR200443066Y1 (ko) 분말 또는 액상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
KR101908849B1 (ko)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KR20170004381U (ko) 분할된 공간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모듈방식의 용기
CN215456091U (zh) 一种便携式食物杯中杯
KR200309337Y1 (ko) 식품 분할 저장용기
KR200223804Y1 (ko) 스푼 부착형 아이스크림 용기
TWM573609U (zh) Container with straw function
GB2355645A (en) Receptacle for maintaining liquid and soild foods separate
KR101945096B1 (ko) 유동형 격리벽이 형성되는 음료수용 용기
JPH0615572U (ja) 飲料用簡易容器
KR200244064Y1 (ko) 차와 스푼이 포함된 일회용 종이컵
KR200402439Y1 (ko) 보조 용기
JPS643422Y2 (ko)
KR20090008896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101813938B1 (ko)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
KR101721177B1 (ko) 식사도구를 포함하는 일회용 용기
KR200356833Y1 (ko) 식품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