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938B1 -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 - Google Patents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938B1
KR101813938B1 KR1020160021718A KR20160021718A KR101813938B1 KR 101813938 B1 KR101813938 B1 KR 101813938B1 KR 1020160021718 A KR1020160021718 A KR 1020160021718A KR 20160021718 A KR20160021718 A KR 20160021718A KR 101813938 B1 KR101813938 B1 KR 101813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ell
food
main contain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538A (ko
Inventor
윤승희
김경우
Original Assignee
윤승희
김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희, 김경우 filed Critical 윤승희
Priority to KR102016002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93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ice-c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에 관한 것으로, 분쇄얼음이 수용되는 메인용기(100)와; 상기 메인용기(100) 상부 개구부에 고정결합되고, 고명이 수용되는 고명셀(220)이 다수 형성되는 고명용기(200)와; 상기 고명용기(200) 상부를 마감하여 외부이물질 유입이나 고명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탈부착가능하게 기밀결합되는 커버(300);로 형성되어 메인음식과 고명을 분리수용하고, 분리수용된 고명을 간단하게 누름개방이나 절단개방을 통해 메인음식과 희석하여 섭취가 가능하도록 포장함으로서 이동간의 음식이 희석되거나 음식의 형태변형이 없고, 음식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으며,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팥빙수 용기 이외에 고명이 첨가되는 다양한 음식의 포장이 가능하여 범용사용이 가능하고, 포장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Garnish separate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팥빙수를 구성하는 팥, 시럽 등과 같은 고명과 분쇄된 얼음을 분리수용하여 이동시 고명과 얼음이 희석되지 않고 이동이 가능하며, 소비자가 고명과 분쇄얼음이 희석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로 제공이 가능하고, 소비자가 사용시 고명을 선택적으로 분쇄된 얼음과 희석하여 팥빙수를 맛볼 수 있는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3가지 의식주(衣食住)가 필수요건이다. 그 중 생명과 즉결된 것으로 식(食)이 상당한 삶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이는 현재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다양한 음식문화의 형성을 가져오게 하였다.
최근의 음식문화는 산업혁명과 빠른 소비패턴 등으로 패스트푸드와 같은 빠르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이 널리 보급되고 있고, 최근에는 다양한 음식을 포장하여 가정이나 야외에서 쉽게 패스트푸드 이외의 음식을 맛볼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음식을 구매하여 매장이 아닌 가정이나 야외에서 섭취를 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포장해야 하는 것이 필수이다. 이러한 포장기술은 최근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음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음식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조리된 상태의 음식그대로 하나의 포장재에 포장을 하거나, 각각의 음식을 별도로 포장하여 사용되고 있는 바, 전자의 경우에는 음식이 이동과정에서 희석되거나 흐트러져 음식 본연의 맛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각각의 포장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포장 부피가 커져 이동의 불편함이 따를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포장재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일예로 커피숍이나 까페 등에서 판매되는 팥빙수와 같은 경우를 보면 팥빙수는 여름철에 주로 섭취하는 음식으로 분쇄얼음위에 팥과 과일, 연유 등의 당류 등을 담아 분쇄얼음과 고명을 함께 섞어 섭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팥빙수는 하나의 용기에 분쇄얼음을 수용하여 고명을 올려놓아 제공하는 특성상 통상 매장에서 테이크아웃(takeout)으로 포장을 하게 되면 이동과정에서 얼음과 고명이 서로 섞여 제품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고, 고명이 섞여 있음으로 인해 분쇄얼음이 빠르게 녹아 사실상 별도의 온도유지를 위한 드라이아이스 등을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제품의 맞을 올바르게 느끼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팥빙수 이외에 한국음식의 특성상 국물이 포함된 음식이 많아 이를 포장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국을 포장하고, 다른 반찬이나 국에 들어가는 고명을 별도 용기에 수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포장부피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5197호, 공개일자 2015년 03월 10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메인음식과 고명을 분리수용하고, 분리수용된 고명을 간단하게 누름개방이나 절단개방을 통해 메인음식과 희석하여 섭취가 가능하도록 포장함으로서 이동간의 음식이 희석되거나 음식의 형태변형이 없고, 음식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으며,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팥빙수 용기 이외에 고명이 첨가되는 다양한 음식의 포장이 가능하여 범용사용이 가능하고, 포장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는 분쇄얼음이 수용되는 메인용기(100)와; 상기 메인용기(100) 상부 개구부에 고정결합되고, 고명이 수용되는 고명셀(220)이 다수 형성되는 고명용기(200)와; 상기 고명용기(200) 상부를 마감하여 외부이물질 유입이나 고명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탈부착가능하게 기밀결합되는 커버(3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명용기(200)는 상기 메인용기(100) 상부에 대응형성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으로 수저 또는 빨대가 메인용기내로 출입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된 개구공(210)과; 상기 개구공(210) 둘레를 따라 공간이 방사상으로 다수 분리되어 관통형성된 고명셀(220)과; 상기 고명셀(220) 하부 내측에서 상기 개구공(210)측으로 수평연장형성되고, 외측끝단 하부면에서 상측으로 요입형성된 끼움홈(232)이 형성되며, 관통형성된 상기 고명셀(220) 하부측으로 선회절곡되는 결합고정편(230)과; 상기 고명셀(220) 하부 외측에 수평연장형성되고, 외측끝단 하부면측에서 하향으로 돌출형성된 끼움돌기(242)가 형성되며, 상기 고명셀(220) 하부측에 선회절곡된 결합고정편(230)의 끼움홈(232)에 상기 끼움돌기(242)가 대응중첩되어 끼움결합되도록 선회절곡되어 상기 고명셀(220) 하부를 막음하여 고명이 고명셀(220)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막음유도편(2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명용기(200)는 상기 메인용기(100) 상부에 대응형성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으로 수저 또는 빨대가 메인용기내로 출입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된 개구공(210)과; 상기 개구공(210) 둘레를 따라 공간이 방사상으로 다수 분리되어 관통형성된 고명셀(220)과; 상기 고명셀(220) 하부를 막음하도록 상기 고명셀 둘레를 따라 열접착 또는 초음파접착되는 차단막(250);으로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메인음식과 고명을 분리수용하고, 분리수용된 고명을 간단하게 누름개방이나 절단개방을 통해 메인음식과 희석하여 섭취가 가능하도록 포장함으로서 이동간의 음식이 희석되거나 음식의 형태변형이 없고, 음식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으며,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팥빙수 용기 이외에 고명이 첨가되는 다양한 음식의 포장이 가능하여 범용사용이 가능하고, 포장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는 분쇄얼음인 메인음식과 분쇄얼음에 올려지는 팥, 연유 등의 고명이 분리수용되어 포장이 가능하도록 함과, 분리수용된 고명을 수용된 부분으로부터 별도로 덜어내지 않아도 소비자가 간단히 누름개방 또는 절단개방을 통해 고명이 수용된 공간으로부터 분쇄얼음이 수용된 메인용기로 낙하되어 혼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용기(100), 고명용기(200), 커버(300)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용기(100)는 분쇄얼음이 수용되는 것으로, 통상의 용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분쇄얼음이 수용된다라고 표현하였지만 음식의 종류에 따라 국물류가 될 수도 있고, 밥이나 면과 같은 류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고명용기(200)는 팥빙수를 만들어 섭취하기 위한 고명이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용기(100) 상부 개구부에 고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명용기(200)는 메인용기 상부에 외력의 작용없이는 이탈되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고명용기(200)는 상기 메인용기(100) 상부에 대응형성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메인용기(100)의 형상이 바뀌게 되면 고명용기(200)의 형상도 변경된다. 상기 고명용기(200)는 개구공(210), 고명셀(220), 결합고정편(230), 막음유도편(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구공(210)은 중앙으로 수저 또는 빨대가 메인용기내로 출입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공(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명이 후술되는 고명셀로부터 메인용기로 낙하되면 메인음식인 분쇄얼음과 팥, 연유 등과 같은 고명을 서로 희석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고명용기(200)를 제거한 후, 희석할 수도 있으나, 희석과정에서 고명이 외부로 튀거나 유출되는 문제 또는 분쇄얼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고명용기가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모두 희석이 된 후, 고명용기(200)를 메인용기(100)로부터 제거하여 음식을 섭취하면 음식희석과정에서의 음식노출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명셀(220)은 각각의 고명이 별도로 수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전술한 상기 개구공(210) 둘레를 따라 공간이 방사상으로 다수 분리되어 관통형성된다. 즉, 상기 고명셀(220)은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있어 상부측으로는 고명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하부측으로는 수용된 고명이 낙하되어 메인용기로 수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고명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된 하부측을 막음처리하여야 한다. 이에 후술되는 결합고정편(230)과 막음유도편(240)에 의해 고명셀(220)의 개방된 하부를 막음하게 된다.
상기 결합고정편(230)은 후술되는 막음유도편(240)과 중첩결합되어 고명셀(220) 하부를 막음함으로써, 고명이 고명셀(220) 상부로 투입되어 고명셀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후술되는 막음유도편(240) 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선회개방시, 고명의 내측 낙하에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결합고정편(230)은 고명셀(220) 하부 내측에서 상기 개구공(210)측으로 수평연장형성되고, 외측끝단 하부면에서 상측으로 요입형성된 끼움홈(232)이 형성되며, 관통형성된 상기 고명셀(220) 하부측으로 선회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고정편(230)은 고명셀(220) 내부에 수용된 고명의 낙하시에는 다시 개구공(210)측으로 선회되어 개방된다.
상기 막음유도편(24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고정편(230)과 상호결합되어 고명셀(220)의 하부를 막음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결합고정편(230)보다는 길게 형성되고, 고명의 낙하시 고명셀(220)의 외측으로 선회작동되되, 상기 결합고정편(230)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막음유도편(240)이 메인용기 내측으로 경사지게 선회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고명의 메인용기(100)측으로의 낙하를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막음유도편(240)은 상기 고명셀(220) 하부 외측에 수평연장형성되고, 외측끝단 하부면측에서 하향으로 돌출형성된 끼움돌기(242)가 형성되며, 상기 고명셀(220) 하부측에 선회절곡된 결합고정편(230)의 끼움홈(232)에 상기 끼움돌기(242)가 대응중첩되어 끼움결합되도록 선회절곡되어 상기 고명셀(220) 하부를 막음하여 고명이 고명셀(220)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명용기(200)의 고명셀(220) 하부를 전술한 결합고정편(230)과 막음유도편(240)으로 막음하도록 형성하지 않고, 상기 고명셀 하부 둘레와 고명셀간의 분리격벽의 하부면을 차단막(250)에 의해 열접착 또는 초음파접착되도록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고명용기(200) 상부를 마감하여 외부이물질 유입이나 고명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탈부착가능하게 기밀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300)는 상기 고명용기(200)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용기(100) 상부 개구부에 고명용기(200)를 끼움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명용기(200)의 각각의 고명셀(220) 내외측에 형성된 결합고정편(230)과 막음유도편(240)을 고명셀(220) 통공된 하부측으로 선회시켜 결합하되, 결합고정편(230)을 먼저 선회시켜 고명셀(220) 하부측으로 위치하고, 이후 막음유도편(240)을 고명셀(220) 하부측으로 선회시켜 결합고정편(230) 하측으로 막음유도편(240)의 끼움돌기(242)가 결합고정편(230)의 끼움홈(232)에 끼움결합한다.
다음으로, 고명을 각각의 고명셀(220)에 수용시킨 후, 커버(300)를 상기 고명용기(200) 상측으로 결합하여 이동간에 메인음식와 고명이 섞이지 않고 이동이 가능하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가 음식을 섞어 섭취하기 위해서 커버(300)를 열게되면 각각의 고명셀(220)의 상부가 개방되게 되고, 고명셀(220) 상부를 통해 수저나 별도의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도구를 통해 각각의 고명셀(220) 하부측으로 외력을 발생하여 밀어낸다.
다음으로, 도구에 의해 고명셀(220) 하부가 밀리면 결합고정편(230)과 막음유도편(240)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고명셀(220) 내부에 수용된 고명이 메인용기(100) 내로 낙하된다. 이때, 막음유도편(240)은 끼움돌기(242)가 형성된 끝단측이 메인용기(100) 내측으로 하향선회됨에 따라 고명셀(220)에 수용된 고명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메인용기(100) 내로 낙하투입이 가능하다.
이후, 소비자는 고명이 고명셀(220)로부터 낙하투입되면 개구공(210)을 통해 도구를 이용하여 메인음식와 고명을 섞는다. 이때, 고명용기(200)는 메인용기(100)로부터 제거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메인음식와 고명을 섞는 과정에서 음식이 외부로 튀는 것을 고명용기(200)가 방지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음식을 다 섞고 난 후,, 고명용기(200)를 메인용기(100)로부터 제거한 후, 음식을 섭취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250)을 고명용기(220) 하부에 열접착 또는 초음파접착을 할 경우에는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하나 고명이 메인용기(100)로 낙하투입시 고명셀(220) 하부 개방을 도구에 의해 외력을 발생하여 찢어지게 함으로써 고명셀(220) 하부를 개방하여 고명이 낙하투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차단막(250)을 통한 고명용기 하부의 막음은 액상의 고명을 수용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팥빙수에 실시예를 제시하였으나 다양한 음식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자명한 것이고, 이를 통해 소비자가 음식을 포장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음식이 섞이거나 모양이 변형되는 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를 보다 발전적으로 적용할 경우 고명셀(220)을 고명만을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맛에 대한 미각의 차이를 고려하여 소금 등의 기초양념을 단계별로 고명셀(220)에 수용하여 자신의 입맛에 맞는 적절한 음식의 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도 동일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는 다양한 음식을 적용하여 응용이 가능하고, 사용방법에 있어서도 고명의 분리수용 이외에 음식의 간조절 등으로 응용이 가능하며, 메인음식과 고명을 분리수용하고, 분리수용된 고명을 간단하게 누름개방이나 절단개방을 통해 메인음식과 희석하여 섭취가 가능하도록 포장함으로서 이동간의 음식이 희석되거나 음식의 형태변형이 없고, 음식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으며, 보다 위생적이고, 범용사용이 가능하고, 포장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메인용기 200 : 고명용기
210 : 개구공 220 : 고명셀
230 : 결합고정편 232 : 끼움홈
240 : 막음유도편 242 : 끼움돌기
250 : 차단막 300 : 커버

Claims (3)

  1. 삭제
  2. 분쇄얼음이 수용되는 메인용기(100)와; 상기 메인용기(100) 상부 개구부에 고정결합되고, 고명이 수용되는 고명셀(220)이 다수 형성되는 고명용기(200)와; 상기 고명용기(200) 상부를 마감하여 외부이물질 유입이나 고명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탈부착가능하게 기밀결합되는 커버(300);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명용기(200)는 상기 메인용기(100) 상부에 대응형성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으로 수저 또는 빨대가 메인용기내로 출입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된 개구공(210)과; 상기 개구공(210) 둘레를 따라 공간이 방사상으로 다수 분리되어 관통형성된 고명셀(220)과; 상기 고명셀(220) 하부 내측에서 상기 개구공(210)측으로 수평연장형성되고, 외측끝단 하부면에서 상측으로 요입형성된 끼움홈(232)이 형성되며, 관통형성된 상기 고명셀(220) 하부측으로 선회절곡되는 결합고정편(230)과; 상기 고명셀(220) 하부 외측에 수평연장형성되고, 외측끝단 하부면측에서 하향으로 돌출형성된 끼움돌기(242)가 형성되며, 상기 고명셀(220) 하부측에 선회절곡된 결합고정편(230)의 끼움홈(232)에 상기 끼움돌기(242)가 대응중첩되어 끼움결합되도록 선회절곡되어 상기 고명셀(220) 하부를 막음하여 고명이 고명셀(220)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막음유도편(2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
  3. 삭제
KR1020160021718A 2016-02-24 2016-02-24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 KR101813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718A KR101813938B1 (ko) 2016-02-24 2016-02-24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718A KR101813938B1 (ko) 2016-02-24 2016-02-24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38A KR20170099538A (ko) 2017-09-01
KR101813938B1 true KR101813938B1 (ko) 2018-01-02

Family

ID=5992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718A KR101813938B1 (ko) 2016-02-24 2016-02-24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9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180A (ja) 2000-12-19 2002-06-26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食品包装体及び食品の押し出し方法
KR101417382B1 (ko) * 2012-10-31 2014-07-10 김영주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180A (ja) 2000-12-19 2002-06-26 Snow Brand Milk Prod Co Ltd 食品包装体及び食品の押し出し方法
KR101417382B1 (ko) * 2012-10-31 2014-07-10 김영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38A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7975B2 (ja) 調理済み食品のための使い捨てパッケージ
KR101649585B1 (ko) 접이식 식판
WO2015052276A1 (en) Two compartiment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a two component beverage
KR100850876B1 (ko) 딸기 포장용기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JP5618658B2 (ja) 食材用容器
KR101813938B1 (ko) 고명이 분리수용되는 팥빙수 용기
JP2005224261A (ja) 飲用具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20140001528U (ko) 혼합수단이 내장된 포장박스
JP2017226448A (ja) 容器
KR101907061B1 (ko) 캡의 조립 및 분해가 안전하고 용이한 음료용기
KR200443066Y1 (ko) 분말 또는 액상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
KR20170004381U (ko) 분할된 공간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모듈방식의 용기
KR20160016063A (ko) 일회용 다기 세트
KR101971896B1 (ko)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KR101415626B1 (ko)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KR102190969B1 (ko) 식품 포장용기
KR101775614B1 (ko) 포장 용기
KR200487454Y1 (ko) 즉석 식품 포장 세트
EP3269662B1 (en) A food container
KR200475108Y1 (ko) 포개어서 복수개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
KR20170053602A (ko) 음식물 용기
KR200309337Y1 (ko) 식품 분할 저장용기
KR20100127160A (ko) 소스수용부가 형성된 음식물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