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960B1 -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960B1
KR100975960B1 KR1020100008782A KR20100008782A KR100975960B1 KR 100975960 B1 KR100975960 B1 KR 100975960B1 KR 1020100008782 A KR1020100008782 A KR 1020100008782A KR 20100008782 A KR20100008782 A KR 20100008782A KR 100975960 B1 KR100975960 B1 KR 100975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food
intak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홍
Original Assignee
이종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홍 filed Critical 이종홍
Priority to KR102010000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도록 급식소와 중앙 관제 서버를 구비한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은, 학생 고유의 ID 정보를 구비한 학생증;을 포함하되, 상기 급식소는, 배급 음식 중량을 측정하는 음식량 측정부; 음식물 각각의 잔반을 수용하도록 복수 개로 설치되어 있되, 잔반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잔반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 상에 형성되어 투입된 잔반의 중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잔반 중량을 급식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잔반 장치; 상기 식판 안착부/잔반장치의 초입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학생증의 ID 정보를 제공받는 제 1,2 학생증 리더기; 식단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 1,2 학생증 리더기와 연계되어 특정 학생을 기준으로 상기 음식량 측정부와 잔반 장치를 통해 실제 음식 섭취량을 계산하는 섭취량 계산부를 포함한 급식 서버;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학생의 인적 사항을 입력받는 학생 섭취 성향 파악 모듈; 상기 식단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상기 섭취량 계산부의 실제 음석 섭취량의 칼로리와 영양소를 산출하는 영양 상태 분석부와, 상기 학생의 인적 사항 및 학생의 섭취 칼로리와 영양소를 종합 분석하여 학생의 급식 영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생성된 학생 영양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학생 섭취 관리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SCHOOL MEAL MANAGING SYSTEM FOR CONTROLLING STUDENT'S NUTRITIVE CONDITIONS}
본 발명은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식사를 하는 학생 개개인의 식사량 및 섭취 상태를 디테일하게 파악하여 급식을 하는 학생의 영양 상태를 관리 및 제어함으로 학생 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급식을 하는 학교에서 한정된 식사시간과 좁은 장소를 가진 급식 식당에 한꺼번에 많은 학생이 몰리게 됨으로 급식 질서가 저해되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학급별로 효율적으로 급식 순서를 결정하도록 하는 학교 내 급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많은 초등학교는 물론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점심시간에 급식을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학교가 많은바,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식당을 운영하거나 외부 급식업체에 아웃소싱을 주어 학생의 점심식사를 책임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할 것이다.
그런데 학교에서 자체 식당을 운영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수많은 학생들이 동일한 점심시간대에서 학급 수 내지 학생 수에 비하여 턱없이 부족한 공간을 가진 식당에서 식사를 하다 보니 한꺼번에 많은 학생이 몰리게 되고 좀 더 빨리 식사를 하기 위해서 경쟁적으로 식당까지 뛰어가거나 식당 내에서 질서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혼잡스러운 경우가 많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끼리 시비가 붙거나 뛰어다는 과정에서 다치는 경우도 있고 심지어 이러한 번잡스러운 식사를 피해 아예 식사를 하지 않고 매점 등에서 건강에 좋지 않은 인스턴트 식품으로 식사를 대체하는 학생도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학교에서 급식을 할 때 성장기에 있는 학생이 각종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짜임새를 가진 식단이 미리 공개가 되어 있으나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과 같이 아직 자신의 식사량을 해결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은 밥을 잘 챙겨먹지 않는 경우가 많고 또한 편식이 있는 경우 전반적으로 반찬을 고르게 먹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모의 입장에서는 과연 학교에서 자신의 자녀가 식사를 잘 챙겨 먹고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많다.
또한 중고등학교에서도 담임 선생님이나 지도 교사가 자신의 교과 과목이 아니라 식사 문제, 즉 학생들이 제대로 식사를 거르지 않고 있는지 아니면 적합한 식사량을 채우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 특별히 관심을 갖지 않기 때문에 학생의 식사 지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학생은 식사를 거르거나 적게 먹게 될 때 성장에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식사 상태, 특히 최소한의 식사량이라도 체크하거나 관리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현실이다.
국내 특허 제 474654호 '광카드를 이용한 급식 시스템 및 방법'은 우선 학생(직장인 등 포함)에 대한 건강검진을 수행하고 개개인의 영양 상태에 따라 학생 등의 신분 정보가 기록된 광카드를 통해 자동으로 개별 반찬 등을 배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기술은 통일적인 식단을 준비하는 학교에서 학생의 영양 상태에 따라 반찬을 각기 다르게 준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따라 현실성이 극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국내 특허 제 843010호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급식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서는 학생 별로 금지 식품, 권장 식품 리스트를 제공하는 식단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학생이 식단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자신에 적합한 음식을 고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좌석 배분의 효율성을 위해서 좌석의 공실 여부를 파악하도록 하여 공실이 있을 경우 해당 좌석으로 급식을 받은 학생을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 역시 단지 금지식품, 권장식품으로 음식을 구별하여 학생에게 제시하는 정도에 그치고 실제 학생이 해당 음식 또는 권장 식사량을 충분히 섭취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질 뿐 아니라 공석을 안내하여 좌석 배분의 효율성을 갖기는 하나 실제 학교에서 한꺼번에 많은 학생이 식당에 몰릴 경우에는 공석을 안내하여도 식사를 위한 대기 시간이 길어진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모든 학생이 동 시간에 식사를 하여 식당이 혼잡해지거나 식사를 위해 대기하는 불필요한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급별로 식사 시간을 차등 설정하도록 함과 동시에 식당 내에 있는 학생 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해당 학급의 교실에 적합한 식사 시간을 통보해줌으로써 길게 식당 앞에서 줄을 서 있을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실제 학생이 섭취한 식사량과 해당 음식에 포함된 칼로리 및 영양소 성분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급식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학생이 식판에 음식을 담을 때 해당 음식에 대한 기본적인 칼로리 내지 영양소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학생에게 배급된 음식량과 잔반 장치에 버려진 음식량의 차이, 즉 실제 섭취한 개별 음식의 중량을 계산하여 이를 통해 실제 학생이 섭취한 식사량 및 칼로리를 산출함으로써 지속적인 학교 내 학생의 영양 섭취 상태를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양 상태 파악과 제어 기능을 가진 급식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교의 학급 별, 또는 복수 개의 학급을 그룹화하여 학급 별, 그룹 별로 식사 시간을 차등 제어하여 한정된 공간을 가진 급식 식당의 효율적인 관리를 추구하되 적외선 센서를 통한 학생의 식당 출입 상황을 분석하여 식당 내 학생 수가 감소하였을 때 급식 순서를 기다리는 학급 등에 그 사실을 통보해줌으로써 불필요한 식사 대기 시간을 식당 앞에서 갖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급식 순서 제어 및 관리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생의 기본적인 인적사항 및 기호식품 내지 목표 식사량을 미리 학생 별로 제공받아 이를 토대로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영양 상태를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특정 음식을 배급받거나 식판에 직접 담을 때 담겨진 음식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해당 음식량이 학생이 섭취하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즉각적으로 통보함과 동시에 권장된 양을 안내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은, 학생 고유의 ID 정보를 수록한 ID 칩을 구비한 학생증;을 포함하되, 상기 급식소는, 식판을 안착시키도록 형성된 식판 안착부의 음식을 배식 받는 위치 각각에 설치되어 식판 자체 하중을 제외한 배급받은 음식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음식량을 급식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음식량 측정부; 음식물 각각의 잔반을 구분 수용하도록 복수 개로 설치되어 있되, 잔반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잔반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 상에 형성되어 투입된 잔반의 중량을 측정하는 하중 감지 센서와, 측정된 잔반 중량을 급식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잔반 장치; 상기 식판 안착부의 초입에 형성되어 상기 학생증의 ID 칩의 ID 정보를 통해 음식 배급을 받는 학생 정보를 제공받는 제 1 학생증 리더기; 상기 잔반 장치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학생증의 ID 칩의 ID 정보를 통해 잔반을 버리는 학생 정보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상기 잔반 장치의 개폐부를 개방 처리하는 제 2 학생증 리더기; 식단표와 상기 식단표에 표시된 음식의 중량 대비 칼로리와 영양소 포함 정보를 수록한 식단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 1,2 학생증 리더기와 연계되어 특정 학생을 기준으로 상기 음식량 측정부와 잔반 장치를 통해 실제 음식 섭취량을 계산하는 섭취량 계산부를 포함한 급식 서버;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키, 나이, 몸무게, 성별로 이루어진 학생의 인적 사항을 입력받는 학생 섭취 성향 파악 모듈; 상기 식단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상기 섭취량 계산부에서 측정한 섭취량에 대한 칼로리와 영양소 포함 성분량을 산출하는 영양 상태 분석부와, 상기 학생 성향 파악 모듈의 학생의 인적 사항 정보 및 실제 음식 섭취량을 통한 학생의 섭취 칼로리와 영양소를 종합 분석하여 학생의 급식 영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생성된 학생 영양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학생 섭취 관리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식판에 특정 음식이 배식된 시점에 상기 음식량 측정부에서 음식 중량을 측정하고 해당 음식 중량에 포함된 칼로리량과 영양소 포함 성분을 상기 식단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하여 실시간으로 파악한 다음, 상기 음식량에 대한 칼로리 및 영양소 포함 성분량과 상기 학생 영양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비교 처리하여, 상기 학생 영양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학생의 영양 상태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해당 음식량을 특정 학생이 섭취하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알리는 섭취 권장 정보를 생성하는 섭취량 권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급식소는, 상기 음식량 측정부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섭취량 권장부의 섭취 권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로 출력하는 섭취량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급식 순서 및 급식 시간을 학급 별로 결정하여 학급 별 급식 순서 및 시간을 스케줄 처리하는 급식 스케줄 제어부를 포함하는 급식 순서 배정모듈; 상기 급식 순서에 따라 특정 학급 교실에 급식 순서 및 시간을 통보하는 교실 통보부;를 포함한 급식 순서 배정모듈;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교실에는, 상기 급식 순서 배정모듈에서 결정한 급식 순서 정보를 영상 또는 음성 메시지로 출력하는 정보 제공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1) 음식을 배급받기 위하여 식판을 안착시키는 부위에 음식량 측정부를 설치하여 특정 음식에 대한 배급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잔반장치에 버려지는 음식량을 파악하여 실제 학생이 섭취한 개별 또는 전체 섭취 중량을 파악함으로써 이러한 개별 음식에 대한 섭취 중량을 기준으로 칼로리량 내지 섭취 영양소량을 파악하도록 하여 실제 학교에서 식사를 잘 하고 있는지 또는 주기적으로 고른 영양소를 섭취하고 있는지 여부를 부모 또는 학생 자신에게 제공하여 지속적인 학교 내에서 섭취한 음식을 기반으로 한 학생 영양 상태를 디테일하게 체크할 수가 있으며,
2) 잔반 장치에서 특정 학생 별로 버려지는 양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잔반을 줄이게 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한다는 효과를 거둘 수도 있을 뿐 아니라,
3) 학생 개개인에 대한 ID 정보가 내장되어 있는 학생증을 통해 식사량 및 섭취 칼로리량 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4) 학급 별로 정한 급식 순서와 식당 내 식사 인원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해당 급식 순서에 따른 급식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 시간대에 학생이 식당에 한꺼번에 몰려 불필요한 사고가 발생하거나 대기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편안하게 교실에서 대기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고,
5) 실시간으로 학생의 상태에 따라 음식의 권장량를 제시하거나 학생이 담은 음식의 양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생증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급식소에 포함된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급식 서버의 구성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c는 섭취량 안내부에서 표시되는 섭취 권장 안내 도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중앙 관제 서버(200)에 의한 각 학급별(교실별) 급식 순서의 효율적인 배정 제어 및 식당, 즉 급식소(100)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구성과 학생의 음식 섭취량을 파악함에 따라 학생의 식당 출결 관리는 물론 학생 개개인에 대한 섭취 상태(영양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번잡하지 않은 쾌적한 급식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학생 별로 실제 섭취한 음식량을 측정하여 이를 통해 각 음식에 대한 칼로리 및 영양소를 체크 및 지속적 관리를 함으로써 학생의 건강관리에 일조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급식 서버(160) 및 제 1,2 적외선 센서(101,102), 급식부(110), 섭취량 안내부(120), 음식량 측정부(112), 제 1,2 학생증 리더기(130,140) 및 잔반 장치(150)를 구비한 급식소(학생 식당)(100), 학생 섭취 성향 파악 모듈(210)과 학생 섭취 관리모듈(220) 및 급식 순서 배정모듈(230)을 구비한 중앙 관제 서버(200) 및, 정보 제공부(21)를 구비한 교실(20), 학생 ID 정보를 ID 칩(11)을 통해 기록 및 저장한 학생증(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생증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학생증(10)은 학생 고유의 ID 데이터가 저장된 ID 칩(11)을 구비한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바, 사진과 학생의 이름 및 학교 명칭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이 전면부에 표시되어 있는 것은 물론 부가적으로 신용카드와 같은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결제 관리용 바코드 내지 마그네틱 바(magnetic bar)를 일 측 또는 후면에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ID 데이터를 내장한 ID 칩(11)은 후술할 제 1,2 학생증 리더기(130,140)에 학생 고유의 ID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 개개인에 대한 출결 상태는 물론 음식 섭취 상태 및 영양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적 정보를 급식 서버 (160) 내지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제공함과 아울러, 현재 잘 알려진 부가 기능, 예를 들어 도서관 출입 및 도서 대출 기록 기능, 교통카드 기능 등과 같은 편의적인 기능들을 부가할 수도 있어 학생의 편의를 도모한 다용도 카드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급식소에 포함된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급식 서버의 구성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c는 섭취량 안내부에서 표시되는 섭취 권장 안내 도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식소(100)는 학생들이 수업을 받는 교실(20)과 분리되어 있거나 별도 공간 또는 별도 건물에 마련되어 음식을 배급받아 식사를 할 수 있는 식당과 같은 장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급식 식당, 학생 식당과 같거나 유사하다 할 것이다.
즉, 급식소에 입장한 학생이 줄을 서거나 기타 방식으로 음식을 배급받는 급식부에 이르게 되면, 급식부에서는 배식 담당 인원이 학생의 식판에 반찬, 국, 밥 등을 배급해주거나 아니면 각각의 반찬 등이 담겨 있는 급식 용기에서 학생 스스로 음식을 식판에 떠 담을 수 있고, 식판에 음식을 담은 학생은 좌석에 앉아 식사를 하며 식사를 마친 다음에는 남은 음식을 잔반통에 버리고 수저, 젓가락을 별도의 수납부에 투입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 기본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급식소(100)는 알려진 급식소의 기본적 구성에 학생의 출결 관리 및 급식소에 있는 학생 인원 파악, 학생 개개인의 식사량 내지 칼로리(영양소) 섭취량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독특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 1,2 적외선 센서(101,102), 제 1, 2 학생증 리더기(130,140), 음식량 측정부(112)를 포함한 급식부(110), 섭취량 안내부(120), 잔반 장치(150), 급식 서버(160)로 구성되어 있다.
도 3a를 참조하여 좀 더 급식소(100)의 구조를 설명하면, 급식소(100)의 기본적인 구조는 많은 학생들이 급식을 받아 식사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되, 입구에는 제 1 적외선 센서(101)가 설치되어 있고 출구에는 제 2 적외선 센서(102)가 설치되어 있고, 실제 급식이 이루어지는 급식부(110)의 초입 위치에는 제 1 학생증 리더기(1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반찬, 음식을 담거나 배급받을 수 있도록 급식부(110)의 음식 배급 부위 앞 쪽에 급식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식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제공된 부위인 식판 안착부(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식량 측정부(112)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식판 안착부(111)에서 음식량 측정부(112)가 형성된 부위 주변에는 역시 적어도 하나의 섭취량 안내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식사 후 잔반을 버리는 잔반 장치(150) 주변에는 제 2 학생증 리더기(140)가 설치되어 있고, 제 1,2 적외선 센서(101,102) 및 제 1,2 학생증 리더기(130,140)와 연동되는 급식 서버(160)를 구비한다.
우선 상기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급식소(100)의 입구(또는 학생들이 길게 줄을 서게 되는 급식소의 초입 위치)에는 제 1 적외선 센서(101)가 장착되어 있고 급식소(100)의 출구에는 제 2 적외선 센서(102)가 장착되어 있다.
제 1,2 적외선 감지 센서(101,102)는 알려진 바와 같이 적외선에 의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 적외선 감지 센서(101)는 급식소(100)의 입구에서 급식소(100)에 입장하는 학생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고, 제 2 적외선 감지 센서(102)는 급식소(100)의 출구에서 급식소(100)를 나가는 학생을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러한 제 1,2 적외선 센서(101,102)에 의하여 학생의 출입 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할 급식 서버(160)에서 특정 시간 별, 실시간으로 급식소(100) 내에 있는 학생의 수를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2 학생증 리더기(130,140)는 학생이 소지한 학생증(10)이 접촉되거나 근접하였을 때 학생증(10)의 ID 칩(11)을 통하여 제공되는 학생 개개인의 ID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각각의 학생에 대한 식사 참여 상황은 물론 중앙 관제 서버(200)와 연계되어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를 업데이트할 뿐 아니라 학생의 섭취 상태에 대한 조언 내지 안내를 하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되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 1 학생증 리더기(130)는 학생이 음식을 배급받기 위한 급식부(110)의 초입 위치에 위치하여 특정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전제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해당 학생의 식사 출결 상태를 파악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즉, 제 1 학생증 리더기(130)는 특정 학생의 급식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기 때문에 급식소의 입구가 아니라 급식을 받기 직전 장소, 이제 막 급식을 하게 되는 급식부(110)의 초입 위치에 설치되어 특정 학생에 대한 급식 시작 정보를 급식 서버(160)에 알리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급식소(100)의 입구로 입장한 학생이 곧바로 급식을 받는 것이 아니라 줄을 서 있다가 급식부(110)에 이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만일 제 1 학생증 리더기(130)가 급식소(100)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급식 서버(160) 내지 중앙 관제 서버(200)에서 정작 급식을 받는 학생이 누군지 파악하지 못하게 될 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 2 학생증 리더기(140)는 학생이 식사 후 잔반을 버릴 때 잔반 장치(150)와 연계되어 잔반량을 파악하기 이전에 잔반을 버리는 학생의 ID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 및 잔반장치(150)의 개폐부(151)를 작동시키는 제공하는 것으로, 잔반 장치(150)에 다가 선 학생이 우선 학생증(10)을 제 2 학생증 리더기(140)에 근접시켜 학생의 ID 정보를 제 2 학생증 리더기(140)에서 인식하게 한 다음 잔반 장치(150)에 식판에 남겨진 잔반을 버리도록 한다.
급식부(110)는 일반적으로 여러 반찬, 국, 밥 등을 급식받기 위하여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식 인원이 학생의 식판에 정한 양의 반찬 등을 배식하거나 아니면 학생이 직접 반찬을 식판에 담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만, 급식부(110)에는 식판을 안착할 수 있는 식판 안착부(111)가 형성되어 있는바 우리가 음식을 담기 위해 식판을 잠시 올려놓을 수 있는 뷔페식당, 카페테리아 식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판 부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식판 안착부(111)에는 특정 반찬, 밥 등을 담는 각각의 위치 또는 최종적인 음식을 담는 위치에 음식량 측정부(112)가 장착되어 있다.
음식량 측정부(112)는 이미 파악되어 있는 식판 자체 중량의 제외한 순수 음식의 무게, 즉 이제 학생이 막 식판에 담은 음식의 무게를 급식 서버(16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저울 기능과 통신 기능을 겸비한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음식량 측정부(112)는 학생이 섭취하는 특정 반찬의 양(이 경우 특정 반찬을 배식 받는 식판 안착부의 개별 위치에 형성), 또는 학생이 배식 받은 총 식사량(이 경우 배식을 마치게 되는 식판 안착부의 최종 후단 부위)을 측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음식량 측정부(112)는 음식을 배급받은 각각의 위치에 설치되어 각 음식의 정보(예를 들어 배식라인에서 2번째에 있는 음식은 김치와 같이 음식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함)와 함께 특정 음식에 대한 칼로리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거나 아니면 최종적으로 모든 음식을 담은 위치에만 설치되어 특정 음식에 대한 배급량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최소한 전체적인 섭취량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돈가스, 카레라이스, 자장면과 같이 단일 음식에 대한 섭취량 계산으로 칼로리, 영양소 상태를 알 수 있는 음식의 경우에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음식량 측정부(112)는 음식을 모두 배급받게 되는 최종 식판 안착부(111) 위치에는 반드시 설치되어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음식량 측정부(112)가 설치되어 있는 식판 안착부(111)의 주변에는 섭취량 안내부(120)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러한 섭취량 안내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모니터)과 음성 출력부(스피커)를 포함한다.
섭취량 안내부(120)는 상기 음식량 측정부에서 측정한 음식을 후술할 중앙 관제 서버(200)의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와 대조하여 해당 음식량이 학생 본인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에 기록된 특정 기간(예를 들어 1주, 1달)동안의 학교에서 식사를 한 식사량, 섭취 칼로리, 섭취 영양소 등의 기록 자료를 토대로 앞으로 학생이 섭취해야 할 식사 권장량 또는 식판에 담은 음식 또는 음식량이 해당 학생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안내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가령 학생이 특정 음식을 식판에 담았을 때 음식량 측정부(112)에서 이 음식에 대한 중량을 급식 서버(160)에 전송하고 급식 서버(160)는 해당 음식량에 대한 칼로리 정보 및 영양소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음식에 대한 칼로리량, 영양소량 등을 파악할 수가 있고 이러한 정보를 종합하여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전송을 하면 중앙 관제 서버(200)에서는 현재까지 기록된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의 정보(즉, 개인 특유의 섭취 히스토리 및 섭취 상태를 기록한 정보)를 토대로 학생이 보강하여 섭취해야 할 음식량을 안내할 수 있는 기반을 갖게 되는바, 학생이 급식부(110)에서 담은 특정 음식량을 파악하여 현재까지의 학생 섭취 상태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좀 더 해당 음식을 섭취하도록 유도하거나 해당 음식을 덜 쉽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실시간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최종적인 안내 정보는 중앙 관제 서버(200)의 섭취량 권장부(223)에서 생성되고, 섭취량 안내부(120)는 섭취량 권장부(223)에서 생성된 안내 정보를 영상, 음성 메시지 형태로 학생에게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홍길동이라는 학생이 오늘의 메뉴 중 소시지 볶음을 130g 가량 식판에 담았을 경우, 소시지 볶음의 중량만 파악하면 해당 중량 대비 칼로리 및 영양소를 식단 데이터베이스(161)를 포함하고 있는 급식 서버(160) 수준에서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음식량의 섭취 적합도 내지 권장도를 해당 학생의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를 토대로 파악한 다음 이를 통해 섭취 과잉 또는 섭취 적합, 섭취 부족과 같은 수준의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상기 예에서 홍길동이 소시지 볶음을 130g 식판에 담았을 때 후술할 중앙 관제 서버(200)의 섭취 권장부(223)에서 파악된 안내 정보를 전송받은 섭취량 안내부(120)에서는 실시간으로 홍길동에게 해당 소시지 볶음이 섭취 과잉(홍길동이 칼로리 과잉이라 판단한 경우)일 경우 "조금만 덜어 내세요.", 섭취 적합일 경우에는 '좋아요', 섭취 부족일 경우에는 '건강을 위해 더 먹어도 되요'와 같은 안내를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연령별 권장량 표시와 함께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부를 통해 미리 녹음된 음성으로 출력하여 학생이 자신의 섭취 상태를 기준으로 특정 음식을 배급받도록 하는 권장 기준 내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장치(150)는 일반적인 잔반기기와 마찬가지로 잔반을 투입하는 투입구 및 투입된 잔반을 보관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특히 각각의 음식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잔반통을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잔반통에는 버려질 음식의 이름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저장부의 입구 주변에는 투입된 잔반을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개폐 또는 힌지식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151)에는 하중 감지 센서(15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잔반 장치(150) 주변에는 상술한 제 2 학생증 리더기(140)가 설치되어 있어, 특정 학생이 제 2 학생증 리더기(140)에 학생증(10)을 근접시키게 되면 잔반장치(150)의 개폐부(151)가 저장부 입구를 폐쇄하고 해당 학생이 수저와 젓가락을 제외한 잔반(특정 잔반)을 투입구에 투입하면 투입된 잔반이 임시적으로 개폐부(151) 상에 모이게 된다.
개폐부(151) 상에 수용된 잔반은 하중 감지 센서(152)에 의하여 무게가 측정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측정된 잔반량은 해당 학생의 ID 정보와 함께 급식 서버(160)로 전송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잔반 장치(150)는 특정 학생이 버린 잔반의 양을 계산하여 최소한 학생이 섭취한 특정 음식량 또는 당일 음식 총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급식소(100)에 구비되어 있는 급식 서버(160)는 급식소(100)에서 특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2 적외선 센서(101,102) 및 제 1,2 학생증 리더기(130,140)와 연계가 되어 급식소(100)의 상황 및 개별 학생에 대한 급식 상태를 파악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식단 데이터베이스(161), 인원 파악부(162)와 섭취량 계산부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식단 데이터베이스(161)는 매일 제공되는 식단에 포함된 개별 음식의 소개는 물론, 해당 음식에 대한 중량비(예를 들어 '100g 당' 과 같이 특정 중량 기준비)를 기준으로 한 칼로리와 영양소 포함 정보를 수록한 것으로서, 이러한 식단 데이터베이스(161)는 교실(20)에 설치된 정보 제공부(21)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오늘의 음식이 무엇인지 제공될 수 있고 더불어 학생이 식판에 담은 음식의 중량을 통해 학생이 섭취할 또는 섭취한 칼로리 및 영양소를 계산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원 파악부(162)는 특정 시간을 기준으로 급식소 내에 식사를 하는 학생의 수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 1적외선 센서(101)를 통해 측정된 급식소에 입장을 한 학생의 수에서 제 2 적외선 센서(102)로 측정된 급식을 마치고 퇴장한 학생의 수를 제한 수를 산정하는 역할을 하고 이러한 정보는 중앙 관제 서버(200)로 실시간으로 전송이 된다.
섭취량 계산부(163)는 제 1,2 학생증 리더기(130,140)를 통해 파악된 특정 학생을 대상으로 음식량 측정부(112)를 통해 취득한 음식의 양에서 잔반장치(150)를 통해 취득한 잔반의 양을 제하여 실질적으로 학생이 섭취한 음식의 양을 계산하고 이를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 때, 음식량 측정부(112) 및 잔반장치(150)가 각각의 음식을 기준으로 복수 개로서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섭취량 계산부(163)는 특정 음식 별로 학생의 섭취량을 계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학생이 실제 섭취한 음식의 양을 계산하여 중앙 관제 서버(200)에서 학생 별 음식 섭취량에 따른 영양 상태 자료, 즉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를 갱신하거나 학생이 섭취한 음식량에 대한 다양한 통계 자료를 산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 관제 서버(200)는 급식소(100)에 있는 학생 수와 미리 정해진 급식 순서를 기준으로 디테일한 급식 시간대를 결정할 뿐 아니라 학생이 실제 섭취한 음식량과 학생 특성을 통해 학생 고유의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학생 섭취 성향 파악모듈(210), 학생 섭취 관리모듈(220), 급식 순서 배정모듈(240)을 포함한다.
또한 중앙 관제 서버(200)는 학교 홈 페이지 내지 별도의 웹 페이지로 표현되는 웹 브라우저와 연동이 되어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주관적, 객관적인 성향 정보를 입력 및 저장 처리할 수가 있다.
학생 섭취 파악모듈(2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별도로 제공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학생증의 ID 및 비밀번호로 학생 개개인이 접속할 수 있는 상태를 마련한 다음 학생 고유의 객관적 성향(나이, 키 등)과 주관적 성향(기호식품, 좋아하지 않는 식품)을 입력받아 이를 통해 식단에 학생의 기호식품을 반영하거나 학생 고유의 권장 섭취량을 산정하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본사항 입력부(211), 기호 식품 입력부(212), 목표 섭취량 입력부(213)를 포함하고 있다.
기본 사항 입력부(211)는 학생의 나이, 학년, 반, 성별, 키, 몸무게와 같은 학생의 기본적 체력을 판단하기 위한 객관적인 인적사항을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 자료를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 처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객관적 입력 사항은 학생에게 필요한 하루 칼로리량 내지 영양 보충량을 산정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기호 식품 입력부(212)는 학생이 좋아하는 음식 및 앞으로 식단에서 제공되길 요망하는 음식을 기재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학생 기호 식품을 입력한 경우 학생이 기입한 기호식품이 식단에서 제공되는 날짜의 식사 시간대 이전에 학생의 휴대폰에 해당 기호 식품이 제공된다는 정보를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중앙 관제 서버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기호 식품 입력부(212)는 학생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식단에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설문 조사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으며 학생 고유의 주관적인 식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목표 섭취량 입력부(213)는 자신의 신체 상태에 따라 다른 학생보다 더 많이 점심을 먹어야 하거나 다이어트를 이유로 덜 먹어야 함과 동시에 체질적인 이유로 기피해야할 음식이 있는 등의 학생 고유 특이 상황을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에 반영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학생 고유의 특이사항이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에 반영된 경우에는 이러한 특이 사항을 인식하여 학생의 섭취 스타일 내지 섭취 주의 사항 내지 섭취 권장 음식 내지 기피 음식 정보와 같은 부가적인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는 상기 기본사항 입력부(211) 및 목표 섭취량 입력부(213) 등과 같이 학생 고유의 주관적, 객관적 섭취 성향이 반영된 기초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다음 이에 실제 학생이 학교 급식 시 섭취한 음식량을 추가 파라미터로 하여 학생의 섭취 상태, 영양 상태, 영양 부족 내지 과잉 상태, 향후 섭취 방향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산출 및 저장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한 마디로 학생 개개인의 식사 및 영양 상태를 여러 분류에 의하여 구분하여 데이터 처리한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는 상기 학생 섭취 성향 파악모듈(210)을 통해 학생이 입력한 데이터와 후술할 학생 섭취 관리모듈(220)을 통해 실제 학생이 매일 학교에서 섭취한 식사량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다음 작성이 되는 것이고, 시간이 흐르면서 업데이트되는 것이 가능하다.
학생 섭취 관리모듈(220)은 실제 급식소(100)에서 학생이 섭취한 음식 대상 내지 음식량을 파악하여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를 이루는 섭취 과잉/부족, 섭취 칼로리, 목표 칼로리 초과/부족 등의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섭취량 파악부(221), 영양상태 분석부(222), 섭취량 권장부(223)를 포함하고 있다.
섭취량 파악부(221)는 상기 급식 서버(160)에서 일일 학생 섭취량을 파악한 섭취량 계산부(163)를 통해 섭취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식단 데이터베이스(161)를 통해 섭취한 칼로리를 산정하고 상기 학생 섭취 성향모듈(210)의 목표 섭취량 입력부(213)를 통해 학생이 입력한 목표 칼로리량과 실제 섭취 칼로리량을 비교 분석하는 역할을 제공하며, 분석된 칼로리 등의 데이터를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에 날짜별로 저장 처리한다.
이 때, 섭취량 파악부(221)에서는 음식량 측정부(112) 및 잔반장치(150)의 각 배식 음식 별로 설치된 개수에 따라 음식 별로 보다 디테일한 섭취 칼로리를 산정할 수 있고, 학생의 섭취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칼로리 계산을 할 때에는 섭취량 중 실제 음식 비율이 어떻게 되는지를 알 수 없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돈가스, 카레라이스와 같이 섭취한 총 음식량으로 충분히 칼로리 계산이 될 수 있거나 디테일한 음식 별 칼로리를 계산하지 못하더라도 1차적으로 섭취한 음식의 총량이라도 확보할 필요가 있는 배식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가 있다.
영양상태 분석부(222)는 식단 데이터베이스(161)의 음식 별 영양소 포함 정보 및 각 음식별 섭취 칼로리를 통해 학생의 일일, 1주 평균 등과 같은 영양소 섭취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을 하고 이를 학생 또는 부모에게 웹 브라우저를 매개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이러한 영양상태 분석부(222)는 학생의 기호식품, 목표 칼로리, 기본적 인적사항 및 실제 매일 섭취한 음식 대상 및 음식량을 통하여 여러 분류 별(칼로리 별, 영영소 별, 과잉/부족 섭취량 별 등)로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를 구성하는 세부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섭취량 권장부(223)는 상기 급식소(100)의 식판 안착부(111)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상술한 섭취량 안내부(120)에 제공될 섭취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 구성 및 기능은 도 3c를 통해 쉽게 파악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230)를 통해 학생의 특정 영양소 또는 칼로리에 대한 부족 또는 과잉 섭취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특정 음식에 특히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영양소 내지 칼로리를 기준으로 하여 학생이 특정 음식을 배식 받았을 경우 해당 음식의 양을 음식량 측정부(112)를 통해 알 수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해 특정 음식의 중량 정보(음식량 측정부를 통해 파악)와 해당 음식에 대한 칼로리, 영양소 정보(식단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파악) 및 해당 학생의 현재까지 또는 향후 추구해야 하는 평균적인 영양 상태(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파악)를 비교 분석하여 급식부(110) 앞에서 특정 음식을 급식받거나 직접 음식을 식판에 담았을 경우 해당 음식 대상 자체 또는 음식의 중량이 해당 학생의 영양 상태에 적합한지 여부를 적다/충분하다/많다/해당 음식은 바람직하지 않다 등과 같은 메시지로서 표현되는 정보를 새성하여 섭취량 안내부(120)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제공받은 학생은 예를 들어 해당 음식량에 포함된 영양소/칼로리가 부족하다는 정보를 받은 경우 해당 음식을 즉시적으로 더 배급받거나 그 반대의 정보를 제공받은 경우 덜 배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음식 섭취에 대한 세부적인 건강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중앙 관제 서버(200)의 급식 순서 배정모듈(240)은 일반적으로 학생 수에 비하여 한정된 공간을 가지는 급식소에서의 효율적인 급식 상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생 급식 순서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급식 스케줄 제어부(241), 시간대 제어부(242), 인원대 제어부(243), 교실 통보부(244)로 구성되어 있다.
급식 스케줄 제어부(241)는 각 학년, 학급 별로 급식 시간을 조절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후술할 시간대 제어부(242) 및 인원대 제어부(243)에서 세부적으로 설정한 급식 순서 및 시간을 관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시간대 제어부(242)는 일단 특정 학년의 반을 기본 그룹으로 설정하여 각 반 별로 급식 순서를 정하되 예를 들어 3학년 1-2반/2학년 1-2반/1학년 1-2반이 12시부터 식사를 하고, 3학년 3-4반/2학년 3-4반/1학년 3-4반은 12시 20분부터 식사를 시작할 수 있도록 각 학년의 반 별로 특정 시간대를 인터벌로 하여 급식 스케줄을 설정하고 1주일 단위 또는 1달 단위 등의 소정 기간 단위로 그 급식 순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 학년의 모든 학생을 동시간대에 식사를 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10분 또는 20분 단위로 복수 개의 반을 그룹화하여 식사 스케줄을 설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인원대 제어부(243)는 일단 상기 시간대 제어부(242)와 마찬가지로 일정 시간대별로 식사를 할 수 있는 순서를 배정한다는 기본적인 개념은 같으나 시간대 제어부(242)에 의하여 정해진 급식 시간을 디테일하게 미세 변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1차적으로 시간대별로 급식 순서를 학년, 반 별(즉, 교실 별)로 정한 다음 상기 급식 서버(160)의 인원 파악부(162)를 통해 급식소(100) 내의 학생 수를 전송받아 예를 들어 학생 수의 변화율이 증가하는 시점, 즉 한 두 명의 인원수가 증감한 시점이 아니라 인원수/특정 시간(예를 들어 1분 단위) = 학생수 변화율(증감율)이라 가정할 변화율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시점에 후속 순서로 배정된 학생 그룹을 급식소(100)로 보내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러한 인원대 제어부(243)는 미리 결정된 급식 시간대를 기준으로 하되 급식 시간대가 현실적인 급식소 내 잔여 식사 인원수에 따라 약간 전후로 변동될 수 있다는 현실성을 제공하는 특징을 가져 미리 학생들이 급식소(100)에 가서 불필요하게 대기할 시간을 줄이는 역할을 제공한다.
교실 통보부(244)는 교실(20)에 설치된 정보 제공부(21)에 상기 시간대 제어부(242)와 인원대 제어부(243)에서 결정되거나 조절된 급식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실(20)에는 모니터 화면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스피커와 같은 기능을 가진 음성 출력 수단을 구비한 정보 제공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 제공부(21)를 통해서 상기 교실 통보부(244)에서 생성된 급식 시간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데 가령 "오늘 1학년 3반 학생은 12시 30분이 식사 시간입니다." 또는 "오늘 1학년 3반 학생은 12시 30분이 식사시간이었으나 12시 25분으로 재조정되었으니 속히 식당으로 오세요."라는 식의 메시지를 학생들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통하여, 실제 학생이 섭취한 음식량을 측정하여 학생의 지속적인 학교 내에서의 식사량 관리는 물론 섭취 칼로리 등을 파악하여 학생의 지속적인 영양상태를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급식 순서의 현실적인 배정을 통해 불필요한 식사를 위한 대기 시간을 줄이거나 교실에서 편히 식사를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생의 영양 상태 및 급식 순서를 제어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학생증 200: 중앙 관제 서버
11: ID 칩 210: 학생 섭취 성향 파악모듈
20: 교실 211: 기본 사항 입력부
21: 정보 제공부 212: 기호식품 입력부
100: 급식소 213: 목표 섭취량 입력부
101.102: 적외선 센서 220: 학생 섭취 관리모듈
110: 급식부 221: 섭취량 파악부
112: 음식량 측정부 222: 영양상태 분석부
120: 섭취량 안내부 223: 섭취량 권장부
130,140: 학생증 리더기 230: 학생 섭취 상태 데이터베이스
150: 잔반 장치 240: 급식 순서 배정모듈
151: 개폐부 241: 급식 스케줄 제어부
152: 하중 감지 센서 242: 시간대 제어부
160: 급식 서버 243: 인원대 제어부
161: 식단 데이터베이스 244: 교실 통보부
162: 인원 파악부

Claims (6)

  1.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도록 급식소와 중앙 관제 서버를 구비하여 교실과 연동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으로서,
    학생 고유의 ID 정보를 수록한 ID 칩을 구비한 학생증;을 포함하고,
    상기 급식소는,
    식판을 안착시키도록 형성된 식판 안착부의 음식을 배식 받는 위치 각각에 설치되어 식판 자체 하중을 제외한 배급받은 음식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음식량을 급식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음식량 측정부;
    음식물 각각의 잔반을 구분 수용하도록 복수 개로 설치되어 있되, 잔반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잔반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 상에 형성되어 투입된 잔반의 중량을 측정하는 하중 감지 센서와, 측정된 잔반 중량을 급식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잔반 장치;
    상기 식판 안착부의 초입에 형성되어 상기 학생증의 ID 칩의 ID 정보를 통해 음식 배급을 받는 학생 정보를 제공받는 제 1 학생증 리더기;
    상기 잔반 장치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학생증의 ID 칩의 ID 정보를 통해 잔반을 버리는 학생 정보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상기 잔반 장치의 개폐부를 개방 처리하는 제 2 학생증 리더기;
    입구 및 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학생의 출입 인원 상황을 측정하는 제 1,2 적외선 센서;
    식단표와 상기 식단표에 표시된 음식의 중량 대비 칼로리와 영양소 포함 정보를 수록한 식단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 1,2 학생증 리더기와 연계되어 특정 학생을 기준으로 상기 음식량 측정부와 잔반 장치를 통해 실제 음식 섭취량을 계산하는 섭취량 계산부 및, 상기 제 1,2 적외선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통해 급식소 내 실시간 인원수를 파악하는 인원 파악부를 포함한 급식 서버;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키, 나이, 몸무게, 성별로 이루어진 학생의 인적 사항을 입력받는 학생 섭취 성향 파악 모듈;
    상기 식단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상기 섭취량 계산부에서 측정한 섭취량에 대한 칼로리와 영양소 포함 성분량을 산출하는 영양 상태 분석부와, 상기 학생 성향 파악 모듈의 학생의 인적 사항 정보 및 실제 음식 섭취량을 통한 학생의 섭취 칼로리와 영양소를 종합 분석하여 학생의 급식 영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생성된 학생 영양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학생 섭취 관리모듈;
    급식 순서 및 급식 시간을 교실별로 결정하여 교실별 급식 순서 및 시간을 스케줄 처리하는 급식 스케줄 제어부를 포함하는 급식 순서 배정모듈;
    상기 급식 순서에 따라 특정 교실에 급식 순서 및 시간을 통보하는 교실 통보부를 포함한 급식 순서 배정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교실은,
    상기 급식 순서 배정모듈에서 결정한 급식 순서 정보를 영상 또는 음성 메시지로 출력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상기 급식 스케줄 제어부에서 결정된 학급 별 급식 시간 이전의 특정 시간동안 상기 인원 파악부의 급식소 내 실시간 인원수의 감지하여 산출된 실시간 인원수의 증감률에 대한 변화량에 따라 상기 급식 스케줄 제어부에서 정한 해당 학급의 급식 시간을 재조정하는 인원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식판에 특정 음식이 배식된 시점에 상기 음식량 측정부에서 음식 중량을 측정하고 해당 음식 중량에 포함된 칼로리량과 영양소 포함 성분을 상기 식단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하여 실시간으로 파악한 다음, 상기 음식량에 대한 칼로리 및 영양소 포함 성분량과 상기 학생 영양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비교 처리하여, 상기 학생 영양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학생의 영양 상태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해당 음식량을 특정 학생이 섭취하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알리는 섭취 권장 정보를 생성하는 섭취량 권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급식소는,
    상기 음식량 측정부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섭취량 권장부의 섭취 권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로 출력하는 섭취량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의 학생 섭취 성향 파악모듈은,
    일정 기간을 기준으로 한 목표 칼로리량을 입력받는 목표 섭취량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학생 영양 상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목표 섭취량 입력부에서 입력된 학생 개인의 목표 칼로리량을 기준으로 일정 기간 동안 학생의 실제 섭취량에 대한 목표 칼로리량을 달성했는지 여부를 파악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의 학생 섭취 성향 파악모듈은,
    학생 개개인의 기호 식품을 입력받는 기호 식품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기호 식품이 식단으로 제공되는 일자에 해당 학생의 휴대폰에 상기 기호 시품 배식 정보를 문자 메시지 형태로 통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08782A 2010-01-29 2010-01-29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KR100975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782A KR100975960B1 (ko) 2010-01-29 2010-01-29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782A KR100975960B1 (ko) 2010-01-29 2010-01-29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960B1 true KR100975960B1 (ko) 2010-08-18

Family

ID=42759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782A KR100975960B1 (ko) 2010-01-29 2010-01-29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960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940B1 (ko) 2012-07-04 2014-10-13 김영대 쌀을 이용해 생산한 음료를 학교에 납품하기 위한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96049A (ko) * 2016-02-15 2016-08-12 최승혁 전자저울을 이용한 뷔페 관리시스템
KR20160095961A (ko) * 2015-02-04 2016-08-12 최승혁 전자저울을 이용한 뷔페 관리시스템
KR101656331B1 (ko) * 2015-04-10 2016-09-09 성진계장 주식회사 급식 시스템 장치
KR101876147B1 (ko) * 2017-11-30 2018-07-06 김대웅 잔반 감소유도 시스템
KR101901280B1 (ko) * 2018-06-08 2018-09-27 김동완 지문인식을 이용한 학교 음식물 쓰레기 감량 시스템
CN109559003A (zh) * 2017-09-27 2019-04-02 重庆凯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的配餐系统及方法
KR20190054651A (ko) 2017-11-14 2019-05-22 김대훈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190104980A (ko) 2019-09-05 2019-09-11 김대훈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200123069A (ko) 2019-09-05 2020-10-28 김대훈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200126577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누비랩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10071448A (ko) * 2019-12-06 2021-06-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급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급식 관리 방법
EP3862935A1 (en) * 2020-02-04 2021-08-11 Ronny Saul Food waste managing method and system
WO2021156302A1 (en) * 2020-02-04 2021-08-12 Foodoptimize Aps Food waste managing method and system
KR20210150049A (ko) * 2020-06-03 2021-12-10 오승철 스마트 트레이 기반의 개인 섭생 관리 시스템
FR3118827A1 (fr) * 2021-01-12 2022-07-15 Dmcc Procédé et système d’analyse nutritionnelle et de réduction du gaspillage alimentaire
CN116682533A (zh) * 2023-08-03 2023-09-01 北京四海汇智科技有限公司 基于机器学习的肾病患者营养管理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624A (ja) 2003-09-29 2005-04-21 Hitachi Software Eng Co Ltd 飲食店向け注文管理システム
JP2008276472A (ja) 2007-04-27 2008-11-13 Kddi Corp 健康管理システム
JP2009026188A (ja) 2007-07-23 2009-02-05 Shoei Insatsu Kk 食事管理及び薬剤管理のための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9211434A (ja) * 2008-03-04 2009-09-17 Fujitsu Ltd 栄養素摂取量算出方法および栄養素摂取量算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624A (ja) 2003-09-29 2005-04-21 Hitachi Software Eng Co Ltd 飲食店向け注文管理システム
JP2008276472A (ja) 2007-04-27 2008-11-13 Kddi Corp 健康管理システム
JP2009026188A (ja) 2007-07-23 2009-02-05 Shoei Insatsu Kk 食事管理及び薬剤管理のための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9211434A (ja) * 2008-03-04 2009-09-17 Fujitsu Ltd 栄養素摂取量算出方法および栄養素摂取量算出システム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940B1 (ko) 2012-07-04 2014-10-13 김영대 쌀을 이용해 생산한 음료를 학교에 납품하기 위한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95961A (ko) * 2015-02-04 2016-08-12 최승혁 전자저울을 이용한 뷔페 관리시스템
KR101661059B1 (ko) * 2015-02-04 2016-09-29 최승혁 전자저울을 이용한 뷔페 관리시스템
KR101656331B1 (ko) * 2015-04-10 2016-09-09 성진계장 주식회사 급식 시스템 장치
KR20160096049A (ko) * 2016-02-15 2016-08-12 최승혁 전자저울을 이용한 뷔페 관리시스템
KR101721361B1 (ko) 2016-02-15 2017-03-30 최승혁 전자저울을 이용한 뷔페 관리시스템
CN109559003A (zh) * 2017-09-27 2019-04-02 重庆凯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的配餐系统及方法
KR102027275B1 (ko) * 2017-11-14 2019-10-01 김대훈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US11562817B2 (en) 2017-11-14 2023-01-24 Nuvi Labs Co., Ltd. Meal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90054651A (ko) 2017-11-14 2019-05-22 김대훈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WO2019098600A1 (ko) * 2017-11-14 2019-05-23 김대훈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CN111344734A (zh) * 2017-11-14 2020-06-26 金大熏 餐饮服务管理系统及其操作方法
KR101876147B1 (ko) * 2017-11-30 2018-07-06 김대웅 잔반 감소유도 시스템
KR101901280B1 (ko) * 2018-06-08 2018-09-27 김동완 지문인식을 이용한 학교 음식물 쓰레기 감량 시스템
KR20200126577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누비랩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487925B1 (ko) * 2019-04-30 2023-01-12 주식회사 누비랩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190104980A (ko) 2019-09-05 2019-09-11 김대훈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200123069A (ko) 2019-09-05 2020-10-28 김대훈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102329480B1 (ko) * 2019-09-05 2021-11-22 주식회사 누비랩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102309782B1 (ko) * 2019-12-06 2021-10-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급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급식 관리 방법
KR20210071448A (ko) * 2019-12-06 2021-06-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급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급식 관리 방법
WO2021156302A1 (en) * 2020-02-04 2021-08-12 Foodoptimize Aps Food waste managing method and system
EP3862935A1 (en) * 2020-02-04 2021-08-11 Ronny Saul Food waste managing method and system
KR20210150049A (ko) * 2020-06-03 2021-12-10 오승철 스마트 트레이 기반의 개인 섭생 관리 시스템
KR102395631B1 (ko) 2020-06-03 2022-05-06 오승철 스마트 트레이 기반의 개인 섭생 관리 시스템
FR3118827A1 (fr) * 2021-01-12 2022-07-15 Dmcc Procédé et système d’analyse nutritionnelle et de réduction du gaspillage alimentaire
CN116682533A (zh) * 2023-08-03 2023-09-01 北京四海汇智科技有限公司 基于机器学习的肾病患者营养管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960B1 (ko)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Cadario et al. Which healthy eating nudges work best? A meta-analysis of field experiments
Derqui et al. Towards more sustainable food systems. Addressing food waste at school canteens
US109499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centralized customizable operating solution
US7432454B1 (en) Nutrition intake tracker
JP2021503147A (ja) 給食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営方法
KR102606359B1 (ko) 급식관리 시스템
CN106339579B (zh) 一种移动健康与医疗的饮食控制方法
CN110443729A (zh) 点餐系统
Lowndes et al. The meaning of ‘dining’: The social organization of food in long-term care
KR102487925B1 (ko)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140126886A (ko)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식품의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정보 통합 시스템
Strohbehn et al. Impacts of scheduling recess before lunch in elementary schools: A case study approach of plate waste and perceived behaviors
JP2022530263A (ja) 食べ物測定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3032460B (zh) 一种全过程数据分析的食堂点餐备餐系统及数据分析方法
CN108717864A (zh) 一种食品营养成分监管方法、设备及系统
JP7456615B2 (ja) 飲食管理システム、飲食管理方法および飲食管理用プログラム
JP7299054B2 (ja) 被支援者管理制御装置及び被支援者管理制御プログラム
Marissa et al. Analyze of Tanjung Api-Api Ferry Port Service Performance South Sumatera, Indonesia
Bujisic et al. Tipping practices in food and beverage operations: a longitudinal study
JP7376272B2 (ja) 顧客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装置および方法
WO20190834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BEHAVIORAL CUSTOMER DATA
Malefors Food waste in the food service sector
LINDEROVÁ et al. QUALITY ASSESSMENT OF SELECTED RESTAURANT SERVICES USING THE MYSTERY SHOPPING METHOD: CASE STUDY OF PORTUGAL.
Tran et al. Fine Dining Restaurant Framework Development and Surv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