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925B1 -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925B1
KR102487925B1 KR1020190050378A KR20190050378A KR102487925B1 KR 102487925 B1 KR102487925 B1 KR 102487925B1 KR 1020190050378 A KR1020190050378 A KR 1020190050378A KR 20190050378 A KR20190050378 A KR 20190050378A KR 102487925 B1 KR102487925 B1 KR 102487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amount
information
leftover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577A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비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비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비랩
Priority to KR1020190050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925B1/ko
Priority to CN202080039179.5A priority patent/CN113874678B/zh
Priority to EP20798930.2A priority patent/EP3964793A4/en
Priority to JP2021564482A priority patent/JP2022530263A/ja
Priority to PCT/KR2020/005762 priority patent/WO2020222561A1/ko
Publication of KR2020012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식대상의 식판을 식사 전후에 촬영하여 배식량, 식사량, 잔반량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각 배식대상들의 관리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배식소에서 발생하는 잔반량을 줄일 수 있고 배식대상 개개인의 비만 위험도, 영양상태, 컨디션 등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group feeding}
본 발명은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학교, 기업, 군대, 관공서, 병원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다수의 인원들에게 배식(급식)하여 식사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이와 같은 배식 방법은 단순하게 인원당 필요한 배식량을 준비하고 배식을 실시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학생들은 배식을 통해 하루 한끼 혹은 두끼를 해결하고, 군인들은 배식을 통해 하루 세끼를 해결하고 있는데, 이러한 배식대상들이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지 못하여 영양 불균형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배식대상들의 배식량, 식사량, 잔반량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면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배식소의 관리, 운영을 용이하게 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한 서비스는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3210호 (2005.08.26)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식대상의 식판을 식사 전후에 촬영하여 배식량, 식사량, 잔반량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각 배식대상들의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은, 배식구에 마련된 배식구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식전식판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배식량을 산출하는 단계; 퇴식구에 마련된 퇴식구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식후식판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잔반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배식량과 잔뱐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식대상의 식사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배식소에 등록된 배식대상들의 배식량, 잔반량 및 식사량을 기반으로 상기 배식소의 운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식소에 등록된 배식대상들의 배식량, 잔반량 및 식사량을 기반으로 각 배식대상들의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식대상의 식판을 식사 전후에 촬영하여 배식량, 식사량, 잔반량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각 배식대상들의 관리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배식소에서 발생하는 잔반량을 줄일 수 있고 배식대상 개개인의 비만 위험도, 영양상태, 컨디션 등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식소에서 사용하는 식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식판 하면에 QR코드가 부착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식구 촬영부가 식전식판을 촬영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식구와 퇴식구에 마련된 음식량 측정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식판 내 하나의 공간에 두 개의 음식이 적층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서버의 관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배식소(배식장소): 학교, 회사, 군대와 같이 단체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배식구: 배식소에서 음식을 배식받는 위치를 의미한다.
퇴식구: 배식소에서 식사를 마친 사람(배식대상)들이 식판(500)을 반납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식소에서 사용하는 식판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식판 하면에 QR코드가 부착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식구 촬영부가 식전식판을 촬영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식구와 퇴식구에 마련된 음식량 측정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컴퓨터는 서버(10) 또는 장치(30)의 구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먼저, 산출부(140)가 배식구에 마련된 배식구 촬영부(50)를 통해 촬영된 식전식판(500)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배식량을 산출한다. (S510단계)
S510 다음으로, 산출부(140)가 퇴식구에 마련된 퇴식구 촬영부(50)를 통해 촬영된 식후식판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잔반량을 산출한다. (S520단계)
S520 다음으로, 산출부(140)가 상기 산출된 배식량과 잔반량을 이용하여 해당 배식대상의 식사량을 산출한다. (S530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은 S510, S520 및 S530단계들을 통해서 컴퓨터가 배식소 내에서 배식을 받고 식사를 하는 배식대상들의 배식량, 식사량, 잔반량을 정확하게 산출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정확하게 산출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운영정보, 관리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운영정보, 관리정보에 대해서 설명하기 이전에 컴퓨터가 어떻게 배식량, 식사량, 잔반량을 산출하게 되는지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배식(급식) 장소에서 배식대상은 도 2와 같은 식판(500)을 이용하여 음식을 배식받고 식사를 하게 된다.
그리고, 배식구에 마련(설치)되어 있는 촬영부(50)가 도 3과 같이 배식대상이 음식을 배식받은 식판(500)을 촬영하여 식전식판(500)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식구 촬영부(50), 퇴식구 촬영부(50)는 스테레오 카메라 및 깊이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제1촬영부(53) 및 제2촬영부(55)를 통해 촬영된 2개의 식전식판(500)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 배식구 촬영부(50)는 제1촬영부(53), 제2촬영부(55)를 포함하고, 퇴식구 촬영부(50)는 제3촬영부(50), 제4촬영부(50)를 포함)
촬영부(50)에 스테레오 카메라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촬영부(50)는 2개의 촬영수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산출부(140)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차이값을 통해서 이미지 데이터의 깊이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깊이 카메라는 3D 스캐너, 3D 센서, ToF(Time of Flight) 카메라, 적외선(IR) 카메라 등과 같이 타겟을 촬영하고 3차원 거리 정보(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30)라면 무엇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1촬영부(53)와 제2촬영부(55)는 식판(500)을 상측에서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식판(500)을 서로 다른 각도로 촬영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배식소의 배식구와 퇴식구에는 도 5와 같은 음식량 측정 장치(3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50)는 음식량 측정 장치(30)에 구비되어, 배식대상이 식판(500)을 음식량 측정 장치(30)의 플레이트(220)에 올려 놓으면 촬영부(50)가 식판(500)을 촬영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식구에 위치한 음식량 측정 장치(30)의 촬영부(50)가 배식구 촬영부(50), 퇴식구에 위치한 음식량 측정 장치(30)의 촬영부(50)가 퇴식구 촬영부(50)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배식대상이 음식을 배식받은 식판(500)을 배식구에 마련된 음식량 측정 장치(30)의 플레이트(220)에 위치시키면, 배식구 촬영부(50)가 이를 촬영하여 식전식판(500) 이미지를 획득한다.
그리고, 배식대상이 식사를 마치고 식판(500)을 퇴식구에 마련된 음식량 측정 장치(30)의 플레이트(220)에 위치시키면, 퇴식구 촬영부(50)를 이를 촬영하여 식후식판 이미지를 획득한다.
S510단계는 하기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출부(120)가 식전식판(500) 이미지 데이터에서 식판(500)의 각 공간(510)에 수용된 음식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식전식판(500) 이미지에는 식판(500)과 음식의 이미지가 함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 이미지 데이터를 식판(500)으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판단부(130)가 촬영부(50)에 포함된 RGB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 또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RGB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식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170)에는 배식장소에서 현재 배식중인 음식 리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판단 단계에서 판단부(130)는 추출부(120)가 추출한 음식 이미지 데이터와 DB의 음식 리스트 정보를 매칭하여 각 음식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단부(130)가 음식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식의 종류를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저장되어 있는 음식 리스트 정보와 매칭하여 각 음식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산출부(140)가 추출된 음식 이미지 데이터의 픽셀별 높이 정보(3차원 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음식의 부피를 산출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식전식판(500) 이미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깊이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50)를 통해 촬영되었기 때문에 음식 이미지 데이터에 픽셀별 높이 정보(3차원 거리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이를 이용하여 각 음식의 부피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보정부(150)가 제1촬영부(53) 및 제2촬영부(55)를 통해 촬영된 2개의 식전식판(500) 이미지를 보정하여 하나의 식전식판(500) 이미지를 생성하고 취합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피 산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컴퓨터는 기본식판(500) 이미지와 식판(500)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510)에 대한 크기, 깊이 및 용량을 포함하는 식판(500)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부피 산출 단계는 보정부(150)가 각 음식이 수용된 공간(510)의 크기, 깊이 및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각 음식의 부피를 보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170)에는 배식장소에서 이용하여 식판(500)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추출된 각 음식의 크기(부피)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식판(500)의 종류에 따라서 각 공간(510)의 깊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보정부(150)가 식판(500) 정보를 이용하면 음식이 쌓인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산출부(140)는 식판(500) 내 특정 공간(510)에 수용된 음식의 종류가 액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액체와 해당 공간(510)이 맞닿는 위치와 해당 공간(510)의 크기, 깊이 및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액체의 부피를 산출할 수 있다.
특정 공간(510)에 '국'과 같은 액체 형태의 음식이 수용되면 필연적으로 '국'과 해당 공간(510)이 일정 높이에서 맞닿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산출부(140)는 이를 이용하여 배식식판(500) 이미지에서 액체 형태의 음식물과 해당 공간(510)이 맞닿는 위치를 인식하고, 해당 공간(510)의 공간(510) 정보(크기, 깊이, 용량)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부피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표기된 'A' 영역에 '국'과 공간(510)이 맞닿는 부분이 표시되어 있으며, 산출부(140)는 이미지 데이터 내 A영역과 같은 부분을 통해 액체와 액체가 수용된 공간(510)이 맞닿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산출부(140)가 상기 산출된 각 음식의 부피 정보와 음식 정보를 이용하여 각 음식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170)는 음식별 부피당 무게를 포함하는 음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음식들은 종류에 따라서 부피당 무게가 다르며, 열량(칼로리)도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식별 부피당 부게를 포함하는 음식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되어 있고, 산출부(140)가 이를 이용하여 음식의 부피 정보로부터 음식의 무게를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70)에는 각 음식별 무게당 칼로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산출부(140)는 무게 산출 단계 다음에, 각 음식의 산출된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식판(500)에 수용된 음식물의 칼로리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담당자 또는 배식대상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S510단계는 인증모듈(160)이 식판(500)을 소지하고 있는 배식대상을 식별하는 단계(S515단계)를 포함한다.
컴퓨터의 인증모듈(160)이 배식대상을 식별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배식대상 식별 단계는 배식대상이 배식을 받기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첫째로, 식별 방법에는 식판(500)과 코드(530)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배식소에서 배식대상은 도 2와 같은 식판(500)을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식판(500)에 개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코드(530)를 부착함으로써, 컴퓨터가 배식대상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배식구 촬영부(50)와 퇴식구 촬영부(50) 또는 코드식별장치(미도시)가 배식대상의 식판(500)에 마련된 코도를 식별하여 식판(500)을 소지한 배식대상을 식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식판(500)의 상면에 코드(530)가 부착 또는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 설치된 배식구 촬영부(50)가 식전식판(500) 이미지를 획득하게 되면 식전식판(500) 이미지에 포함된 코드(530)를 인식하고 배식대상을 인식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는, 도 5와 같은 음식량 측정 장치(30)의 플레이트(220) 위에 배식대상이 식판(500)을 올려놓으면 음식량 측정 장치(30)의 플레이트(220)에 마련되어 있는 코드식별장치(미도시)가 식판(500) 하면의 코드(530)를 식별하여 인증모듈(160)이 배식대상을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음식량 측정 장치(30)의 입력 장치(30)를 통해 배식대상으로부터 인증번호를 입력받아 배식대상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코드(530)는 QR코드(530)(Quick Response Code), 바코드(530), RFID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숫자 또는 문자들의 조합, 도형, 기호의 조합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둘째로, 배식대상의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배식대상의 생체정보는 대표적인 예로 얼굴(안면) 인식, 지문 인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배식구, 퇴식구에 마련된 생체정보인식장치(30)가 식판(500)을 소지한 배식대상의 생체정보를 인식하여 배식대상을 식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정보인식장치(30)가 촬영수단을 포함하여 배식대상의 얼굴을 촬영하고 데이터베이스(170) 내 생체정보와 매칭하여 배식대상을 인식할 수도 있고, 생체정보인식장치(30)가 배식대상의 지문정보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170) 내 생체정보와 매칭하여 배식대상을 인식할 수도 있다.
상술한 생체정보인식장치(30)는 배식구, 퇴식구에 마련되되, 실시예에 따라서 음식량 측정 장치(3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배식대상을 촬영하기 적합한 위치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식대상을 식별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며, 배식소마다 구조와 특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발명의 실시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S520단계는 배식대상이 식사를 마친 후 식판(500)에 남은 잔반량을 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S510단계에서 식전식판(500)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배식량을 산출하는 알고리즘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배식소마다 퇴식구의 구조, 특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S520단계에서 배식대상의 식후식판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에는 하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배식소의 퇴식구에 음식량 측정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음식량 측정 장치(30)의 퇴식구 촬영부(50)가 플레이트(220) 위에 놓여진 배식대상의 식판(500)을 촬영하여 식후식판 이미지를 획득한다.
따라서, 배식대상은 퇴식구의 음식량 측정 장치(30)에 식판(500)을 올려놓고 식후식판 이미지가 촬영되면 식판(500)을 반납하게 된다.
그리고, 컴퓨터가 S510단계와 같이 식후식판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잔반량을 산출하게 된다.
다른 예로, 퇴식구에 음식량 측정 장치(30)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배식대상이 식사를 마친 후에 식판(500)을 반납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경로에 퇴식구 촬영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식대상이 식판(500)을 들고 걸어가는 과정에서 식판(500)을 촬영하고 식후식판 이미지를 획득하기 때문에, 식후식판 이미지 데이터 내 식판(500) 이미지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정부(150)는 식전식판 이미지 또는 식후식판 이미지 내에 식판과 함께 촬영된 노이즈 성분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정부(150)가 식전식판 이미지 또는 식후식판 이미지 데이터 내에서 음식이 아니면서 부피를 가지는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고, 후술하는 음식의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산출된 음식의 부피에서 검출된 노이즈 성분의 부피를 제외하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성분은 음식이 아니면서 부피를 가지는 것으로, 노이즈 성분의 부피로 인해 음식의 부피가 실제보다 더 크게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보정부(150)는 음식의 부피를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 노이즈 성분을 인식하고 산출부(140)에 의해 산출된 음식의 부피에서 해당 노이즈 성분의 부피를 제외시키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이나 수저가 음식이 아니면서 부피를 가지는 노이즈 성분일 수 있으며, 이 밖에 유제품의 뚜껑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은 음식량 측정 장치가 배식소의 배식구, 퇴식구에 마련되어 식전식판 이미지, 식후식판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지만, 배식소의 사정에 따라서 사용자가 식판(500)을 들고 걸어가는 것을 촬영하여 식전식판 이미지, 식후식판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는데, 식판을 들고 있는 손의 이미지 데이터 때문에 음식의 부피 산출에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산출부(140)에 의해 산출된 음식의 부피에서 보정부(150)가 식전식판 이미지, 식후식판 이미지 데이터에서 손과 같은 신체부위의 부피를 제외시키는 보정을 실시함으로써, 음식의 부피 산출 단계에서 정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정부(150)는 빈 식판(500)과 수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학습되어 이미지 내에 수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저에 대한 부피를 제외하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부(150)는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식전식판 이미지, 식후식판 이미지 내에 수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노이즈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산출부(140)에 의해 산출된 음식의 부피에서 수저의 부피를 제외시키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보정부(150)의 구성과 동작들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량 측정 방법은, 배식소에서 음식량 측정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못하고 식판을 소지하고 걸어가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식전식판 이미지, 식후식판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에도 식판의 각도를 수평상태로 보정할 수 있고, 식판과 함께 촬영된 수저, 사용자의 손 등에 대한 부피를 제외하는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차후 단계들이 수행될 때 정확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배식량 산출 단계(S510단계)와 같이, 식후식판 이미지 데이터에서 식판(500)의 각 공간(510)에 수용된 음식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음식의 종류를 판단하고, 추출된 각 음식의 부피를 산출하는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컴퓨터는 배식대상의 잔반량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S520단계 다음으로 산출부(140)는 S510단계에서 산출된 배식량과 S520단계에서 산출된 잔반량을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식사량을 산출한다. (S530단계)
S510 내지 S530단계를 통해서, 컴퓨터는 배식대상이 배식소에서 제공하는 각 음식 메뉴들을 배식받은 양과 먹고 남긴 잔반량, 그리고 섭취한 양(식사량)을 산출함으로써, 배식대상이 밥, 반찬을 얼마나 섭취하였는지, 얼마만큼의 양을 남겼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는 음식량 산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아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산출부(140)는 상기 단계들을 통해 산출된 배식대상의 식사량과 잔반량의 합이 배식량과 일치하는지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불일치하는 경우 산출부(140)는 식사량 또는 잔반량의 합이 배식량과 일치하도록 상기 단계들을 통해 산출된 식사량, 잔반량 및 배식량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70) 기록한다.
또한, 산출부(140)는 상기 단계들을 통해 산출된 배식소 배식대상들의 식사량의 총합과 잔반량의 총합을 합한 것이 배식량의 총합과 일치하는지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불일치하는 경우 산출부(140)는 식사량의 총합과 잔반량의 총합을 합한 것이 배식량의 총합과 일치하도록 상기 단계들을 통해 산출된 식사량의 총합, 잔반량의 총합 및 배식량의 총합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70)에 기록한다.
또한, 산출부(140)는 상기 단계들을 통해 산출된 배식소 배식대상들의 식사량의 총합과 잔반량의 총합이 배식량의 총합과 일치하는지 검증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170)에 기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산출부(140)는 배식소에서 식사하는 배식대상들의 배식량의 총합과 잔반량의 총합의 차이값이 식사량의 총합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또한, 산출부(140)는 배식소에 준비된 음식량의 총합을 배식소에서 발생한 잔반량의 총량, 배식소에서 발생한 잔식량의 총량 및 해당 배식소 배식대상들의 식사량의 총합을 합한 것과 비교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산출부(140)는 배식소에 준비된 음식량의 총합이 배식소에서 발생한 잔반량의 총량, 배식소에서 발생한 잔식량의 총량 및 해당 배식소 배식대상들의 식사량의 총합을 합한 것과 일치하도록 잔반량의 총량, 잔식량의 총량 및 식사량의 총합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식사량을 보정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70)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잔반량은 배식대상에게 배식되어 배식대상이 먹고 남은 음식의 양이고, 잔식량은 배식대상에게 배식되지 않고 남은 음식의 양일 수 있고, 잔식량은 상기 단계들을 통해 산출되거나 별도의 방법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70)에는 배식소에서 매회 배식을 위해 준비한 음식량의 총 무게, 잔식량의 총 부피(무게) 및 잔반량의 총 무게 측정 결과가 저장될 수 있으며, 산출부(140)는 준비한 음식량의 총 부피(무게)를 잔반량의 총 부피(무게), 잔식량의 총 부피(무게) 및 상기 단계들을 통해 산출된 배식소 배식대상들의 식사량의 총합을 합한 것과 비교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산출부(140)는 배식소에 준비된 음식량의 총합이 배식소에서 발생한 잔반량의 총량, 배식소에서 발생한 잔식량의 총량 및 해당 배식소 배식대상들의 식사량의 총합을 합한 것과 일치하도록 상기 단계들을 통해 산출된 배식대상들의 식사량의 총합을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70)에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부(140)가 각종 정보들을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산출/보정으로 인한 정확도를 기록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70)에는 배식소에서 매회 배식을 위해 준비한 음식량의 총 부피(무게)와 잔반량의 총 부피(무게) 측정 결과가 저장될 수 있으며, 산출부(140)는 준비한 음식량의 총 부피(무게)와 잔반량의 총 부피(무게)의 차이값과 상기 단계들을 통해 산출된 배식소 배식대상들의 식사량의 총합을 비교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170)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식소에서 준비한 A 메뉴의 총 부피가 200이고 남은 양이 없이 모두 배식되었다면, 배식대상들에게 배식된 A 메뉴의 부피의 총 합은 200에 근사해야 함)
도 6은 식판(500) 내 하나의 공간(510)에 두 개의 음식이 적층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컴퓨터는 배식량, 잔반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식판(500) 내 하나의 공간(510)에 두 개의 음식이 적층된 경우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아래와 같은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산출부(140)는 식전식판(500) 이미지 또는 식후식판 이미지에서 식판(500) 내 특정 공간(510)에 서로 다른 음식이 적층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한 음식의 이미지 데이터와 산출된 부피 정보, 그리고 해당 공간(510)의 크기, 깊이 및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하측에 위치한 음식의 부피를 산출한다.
도 6 (a)는 배식식판(500)에서 밥이 수용된 공간(510)에 밥 위에 계란 후라이가 적층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b)는 생선이 적층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산출부(140)는 식판(500) 정보와 계란 후라이의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계란 후라이의 크기와 부피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부(140)는 계란 후라이의 크기와 부피 정보를 통해서 해당 간에 수용된 밥의 높이를 예측할 수 있게 되며, 이와 함께 식판(500)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간(510)에 수용된 밥의 부피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 (b)도 마찬가지로, 산출부(140)가 식판(500) 정보와 생선의 이미지를 통해 생선의 크기와 부피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간에 수용된 밥의 부피를 산출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170)에는 다른 음식의 상측에 적층되는 음식들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란 후라이, 생선, 김 등)
또한, 산출부(140)는 식판(500) 내 특정 공간(510)에 수용된 음식의 종류가 액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액체와 해당 공간(510)이 맞닿는 위치와 해당 공간(510)의 크기, 깊이 및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액체의 부피를 산출할 수 있다.
특정 공간(510)에 '국'과 같은 액체 형태의 음식이 수용되면 '국'과 해당 공간(510)이 일정 높이에서 맞닿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산출부(140)는 이를 이용하여 식전식판(500) 이미지 또는 식후식판 이미지에서 액체 형태의 음식물과 해당 공간(510)이 맞닿는 위치를 인식하고, 해당 공간(510)의 공간(510) 정보(크기, 깊이, 용량)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부피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표기된 'A' 영역에 '국'과 공간(510)이 맞닿는 부분이 표시되어 있으며, 산출부(140)는 이미지 데이터 내 A영역과 같은 부분을 통해 액체와 액체가 수용된 공간(510)이 맞닿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출부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부피 인식의 검증 및 신뢰성 증가 방안으로 이미지 학습결과를 이용한 부피 인식 정확도 비교 및 보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양의 빵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시키고 부피가 적고 많음에 대하여 판단을 하게 하고 오차나 노이즈가 발생할 경우 재학습시킴으로써 정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배식의 운영정보를 생성하고, 배식대상들에 대한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S530단계 다음으로, 컴퓨터의 관리부(180)가 배식소에 등록된 배식대상들의 배식량, 잔반량 및 식사량을 기반으로 배식소의 운영정보를 생성한다. (S540단계)
S540단계 다음으로, 컴퓨터의 관리부(180)가 배식소에 등록된 배식대상들의 배식량, 잔반량 및 식사량을 기반으로 각 배식대상들의 관리정보를 생성한다. (S550단계)
S540단계는 배식소에 운영에 도움을 주는 운영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부(180)의 배식량 조절모듈(181)은 배식소에 배식을 위해 마련한 총 배식 준비량과 배식이 완료된 배식대상들의 배식량의 총합, 그리고 잔여 배식대상 인원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잔여 배식대상의 1인당 목표 배식량을 산출하여 배식담당자 디바이스로 제공한다.
이때, 배식담당자는 배식소 내에서 배식대상들에게 직접 배식을 수행하고 있는 담당자를 의미하며, 배식소의 배식담당자 앞에는 배식할 요리들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30)와 같은 배식담당자 디바이스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배식담당자는 배식량 조절모듈(181)이 배식담당자 디스플레이로 잔여 배식대상의 1인당 목표 배식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 이를 이용하여 잔여 배식대상들에 대한 배식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식담당자는 위와 같이 배식소 내에서 배식대상들에게 직접 배식을 수행하는 담당자를 의미할 수도 있고, 배식소를 관리하는 관리자, 혹은 배식소의 영양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잔여 배식대상 수에 비해서 배식 준비량이 많이 남아있다면, 잔여 배식대상들에 대한 1인당 목표 배식량을 상승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잔여 배식대상 수에 비하여 배식 준비량이 부족하다면, 잔여 배식대상들에 대한 1인당 목표 배식량을 감소시켜, 음식이 부족하여 식사를 못하는 인원(배식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운영정보 생성 단계(S540단계)는 배식그룹 관리모듈(183)이 각 배식인원들의 소속을 체킹하고 소속별로 배식량, 잔반량 및 식사량을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소속별 선호음식, 비선호음식, 잔반량, 영양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속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날씨, 요일과 각 소속별 일정 정보와 상기 소속별 정보를 매칭하여 그에 대한 연관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식인원들의 소속이란 회사의 경우 회사, 그룹, 팀 등을 의미할 수 있고, 학교의 경우 학과, 반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군대의 경우 군단, 사단, 연대, 대대, 중대, 소대, 분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소속별 일정 정보는 회사의 경우 분기, 진행중인 프로젝트, 사업을 의미할 수 있고, 학교의 경우 학기, 시험기간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군대의 경우 각종 훈련기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식대상들의 소속에 따라서 선호하는 음식과 비선호하는 음식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소속별 음식 취향을 파악할 수 있고, 차후 배식 메뉴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자는 소속별로 잔반량과 영양상태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날씨, 요일과 각 소속별 일정 정보를 소속별 정보와 매칭하여 연관성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관리자는 날씨, 요일에 따라서 배식대상들의 식욕이나 음식 취향 변화를 체크할 수 있게 되고, 군대의 경우 각종 훈련 일정에 따라서 군인들의 식사량 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관리자는 이와 같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군 소속과 훈련 일정에 따라서 배식메뉴와 배식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훈련 일정을 소화하는 군인들에게 적합한 배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운영정보 생성 단계(S540단계)는 배식소별로 배식량이 유사한데 반해 잔반량의 차이가 일정량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관리부가 잔반량이 적은 배식소가 식재료의 등급과 조리 방법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배식소의 식재료 수급정보와 음식의 조리 방법을 다른 배식소의 배식담당자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곳 혹은 그 이상의 배식소들에서 음식 메뉴와 배식량이 유사한데 반해, 잔반량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였다면 잔반량이 적은 배식소는 식재료의 등급이 높고 조리 방법이 우수하고, 잔반량이 많은 배식소는 식재료의 등급이 낮고 조리 방법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부가 잔반량이 적게 발생한 배식소의 식재료 수급정보와 음식의 조리 방법을 다른 배식소의 배식담당자 디바이스로 제공함으로써, 배식소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관리정보 생성 단계(S550단계)는 배식대상 관리모듈(185)이 각 배식대상의 신체정보, 배식량, 잔반량 및 식사량을 이용하여, 각 배식대상의 선호음식, 비선호음식, 평균 잔반량, 영양상태, 평균 식사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상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배식대상 관리모듈(185)이 상기 대상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배식대상의 체력관리 정보, 비만위험도를 산출하고, 다이어트 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배식대상의 식사량이 일정시간동안 일정량 이하로 감소되거나, 잔반량이 일정시간동안 일정량 이상으로 증가되는 경우 해당 배식대상을 주의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군인들은 규칙적인 생활과 일정을 소화하기 때문에 꾸준하게 영양상태를 공급받아야 하고, 개인적인 문제가 있지 않다면 대부분의 경우 일정 식사량을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개인적인 문제가 발생하여 의욕이 떨어지고 컨디션이 난조한 경우 식사량에서 이것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개개인의 문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배식대상 관리모듈(185)은 다이어트 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배식대상의 식사량이 일정시간동안 일정량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해당 배식대상에게 문제가 발생하여 식욕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배식대상을 주의대상으로 설정한다.
또한, 배식대상 관리모듈(185)은 다이어트 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배식대상의 잔반량이 일정시간동안 일정량 이상으로 증가되는 경우, 해당 배식대상이 배식을 하는 음식량은 종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입맛이 떨어져서 식사량이 줄어 잔반량이 늘어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배식대상을 주의대상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배식대상 관리모듈(185)이 배식대상 개개인을 관리하고,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의심되는 배식대상을 주의대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군대와 같은 장소에서 관심병사와 같은 인원들에게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위험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자가 상담을 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배식대상 관리모듈(185)은 배식대상들 각각의 영양상태와 평균 식사량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대상별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관리자는 이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소속별 특징과 상태는 물론 개개인의 특징과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운영정보 생성 단계(S540단계)는 배식대상들의 평균 선호음식, 비선호음식, 식사량을 산출하고, 배식메뉴 추천모듈(187)이 이를 이용하여 배식소의 하나 이상의 추천메뉴와 배식 준비량을 도출하여 배식담당자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루에도 최소 1, 2회 이상씩 배식이 진행되는 배식소에서 매일매일 배식대상들의 취향과 영양상태를 고려하여 배식메뉴를 정하는 것은 배식담당자에게 아주 까다로운 업무이다.
심지어는 영양상태를 고려하면 배식대상들의 취향(선호음식)과 맞지 않아 많은 잔반(음식물 쓰레기)이 발생하고, 배식대상들의 취향에 맞추다 보면 영양상태를 맞추는 것이 힘들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배식메뉴 추천모듈(187)은 배식대상들의 평균 선호음식, 비선호음식, 음식메뉴별 식사량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추천메뉴와 함께 배식 준비량을 도출하여 제공함으로써, 배식담당자, 관리자가 배식소를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서,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170)에는 음식별 관련도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A, B, C의 음식이 관련도가 높고 해당 배식소의 배식대상들이 B 음식을 선호할 경우 A와 C 음식 또한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배식메뉴 추천모듈(187)은 아래에서 설명할 음식 메뉴의 선호도 정보, 맛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추천메뉴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관리부(180)의 배식메뉴 평가모듈(189)은 배식량, 잔반량 및 식사량을 기반으로 운영정보 및 관리정보를 생성하되, 배식된 음식들 각각의 배식량 변화량과 잔반량 변화량을 이용하여 각 음식 메뉴의 선호도 및 배식된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170)에는 배식소에서 배식하는 음식의 배식량에 대한 기준치가 저장되어 있다. 배식대상은 배식을 받으면서 음식의 외형이나 냄새 등을 통해 맛이 있어 보이는 경우 배식량을 늘리거나 반대의 경우 배식량을 줄이게 되며, 식사를 하면서 맛이 없는 음식의 경우 해당 음식을 많이 남기게 된다.
상술한 구성은 이와 같은 특징을 이용하여 점수를 평가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와 같은 기준들로 인해 판단하게 된다.
첫째로, 배식메뉴 평가모듈(189)은 특정 음식의 배식량이 기준치보다 많고 잔반량이 기준치보다 적은 경우, 해당 음식 메뉴의 선호도를 상승시키고, 배식된 해당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를 상승시킨다.
이 경우, 배식자(배식대상)들이 배식받는 과정에서 음식을 육안으로 보고 본인이 선호하는 음식이기 때문에 해당 음식의 배식량을 증가시켰고, 식사를 진행하면서도 맛이 있다고 판단하여 해당 음식을 모두 섭취하거나 적게 남긴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식메뉴 평가모듈(189)이 해당 음식 메뉴에 대한 선호점수를 높게 평가하고, 배식된 해당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 또한 높게 평가하여 식재료 선택이나 음식의 조리가 제대로 이루어졌다고 평가하게 된다.
둘째로, 배식메뉴 평가모듈(189)은 특정 음식의 배식량이 기준치보다 많고 잔반량이 기준치보다 많은 경우, 해당 음식 메뉴의 선호도를 상승시키고 배식된 해당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를 하락시킨다.
이 경우, 배식자들이 배식받는 과정에서 음식을 육안으로 보고 본인이 선호하는 음식이기 때문에 해당 음식의 배식량을 증가시켰지만, 식사를 진행하면서 본인이 생각한 맛과 다르거나 맛이 없다고 판단하여 해당 음식을 많이 남겨 잔반량이 기준보다 많은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식메뉴 평가모듈(189)이 해당 음식 메뉴에 대한 선호점수는 상승시키되, 배식된 해당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는 낮게 평가하여 식재료 선택이나 음식의 조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고 평가하게 된다.
셋째로, 배식메뉴 평가모듈(189)은 특정 음식의 배식량이 기준치보다 적고 잔반량이 기준치보다 적은 경우, 해당 음식 매뉴의 선호도를 하락시키고 배식된 해당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를 상승시킨다.
이 경우, 배식자들이 배식받는 과정에서 음식을 육안으로 보고 본인이 선호하지 않는 음식이기 때문에 해당 음식의 배식량을 감소시켰지만, 식사를 진행하면서 의외로 맛이 있다고 판단하여 해당 음식을 모두 섭취하거나 적게 남긴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식메뉴 평가모듈(189)이 해당 음식 메뉴에 대한 선호점수를 낮게 평가하되, 배식된 해당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는 높게 평가하여 해당 음식은 배식자들이 선호하지는 않지만, 식재료 선택이나 음식의 조리가 제대로 이루어져 배식자들이 만족하였다고 평가하게 된다.
넷째로, 배식메뉴 평가모듈(189)은 특정 음식의 배식량이 기준치보다 적고 잔반량이 기준치보다 많은 경우, 해당 음식 메뉴의 선호도를 하락시키고 배식된 해당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를 하락시킨다.
이 경우, 배식자들이 배식받는 과정에서 음식을 육안으로 보고 본인이 선호하지 않는 음식이기 때문에 해당 음식의 배식량을 감소시켰고, 식사를 진행하면서도 맛이 없다고 판단하여 해당 음식을 많이 남겨 잔반량이 기준보다 많은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식메뉴 평가모듈(189)이 해당 음식 메뉴에 대한 선호점수를 낮게 평가하고, 배식된 해당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 또한 낮게 평가하여 해당 음식은 배식자들이 선호하는 음식도 아니고, 식재료 선택이나 음식의 조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고 평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식메뉴 평가모듈(189)의 구성으로 인하여, 배식담당자는 각 음식 메뉴들에 대한 배식대상들의 선호도(선호점수), 음식의 맛 평가점수를 통해 배식대상들을 위한 배식메뉴와 식자재 등을 준비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음식 조리 과정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관리부(180)의 배식대상 관리모듈(185)은 배식대상들의 식사량을 기반으로 각 배식대상이 섭취한 영양정보를 생성하고, 일정시간 주기로 생성된 영양정보를 기반으로 영양섭취 현황 정보를 도출하여 제공한다.
이때, 배식대상 관리모듈(185)는 도출된 정보를 배식대상의 단말, 배식대상의 보호자의 단말, 배식대상의 관리자의 단말, 배식소 관리자의 단말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관리부(180)는 배식대상들의 식사량, 식습관 정보를 이용하여 영양상태를 개선시키고, 잔반량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부(180)는 배식대상의 식사량, 잔반량을 기반으로 각 배식대상의 영양정보 및 식습관 정보를 파악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도출된 각 배식대상의 영양상태 및 잔반량 변화에 따라서 리워드 또는 패널티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부(180)는 배식대상의 음식별 잔반량과 식사량을 기반으로 각 배식대상이 고른 영양섭취와 올바른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해서 파악하고, 배식 때마다 이전 기록과 비교하여 영양상태가 개선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배식대상에게 포상, 포인트와 같은 리워드를 제공하고, 영양상태가 개선되지 않거나 악화되었다고 판단되면 벌과 같은 패널티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관리부(180)는 배식때마다 각 배식대상의 잔반량을 저장하고 모니터링하여 특정 배식대상의 잔반량이 감소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배식대상에게 리워드를 제공하고, 잔반량이 감소되지 않거나 증가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배식대상에게 벌과 같은 패널티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각 배식대상의 영양정보, 식습관 정보를 파악하고 행동변화에 따라서 리워드 또는 패널티를 제공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배식대상이 편식하지 않고 골고루 영양섭취를 하도록 유도하고, 음식물 쓰레기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예를 들어, 관리부(180)의 배식대상 관리모듈(185)은 촬영부(50)를 통해 획득된 배식대상(학생)의 식전식판(500) 이미지, 식후식판 이미지를 배식대상 보호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배식대상의 보호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진을 확인하여 배식대상이 제대로 식사를 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학생들의 경우 성장을 위해서 영양상태가 골고루 충분하게 섭취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학생의 부모 혹은 보호자에게 해당 학생의 영양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배식대상 관리모듈(185)은 학생들 각각의 신체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아 관리하고, 신체정보와 학교 일정 등을 고려하여 학생별 기초 대사량과 필요한 영양소 등에 대한 정보를 도출한다.
그리고, 배식대상 관리모듈(185)은 학생들의 배식메뉴와 식사량 데이터, 기초대사량을 기반으로 영양상태, 식습관을 판단하게 된다.
배식대상 관리모듈(185)은 이와 같이 확보 및 판단된 정보들을 배식대상 보호자 단말로 제공함과 동시에, 각 학생들의 영양상태와 식습관을 통해 해당 학생이 집에서 섭취하면 좋은 추천메뉴를 도출하고, 상황에 따라서 영양제를 추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A 학생의 식습관과 영양상태 평가 결과 비타민 A, D가 부족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비타민 A, D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메뉴를 추천메뉴로 도출하고, 비타민 A, D의 결핍 정도가 심각하다고 판단되면 영양제를 추천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서버(10)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서버(10)는 수신부(110), 추출부(120), 판단부(130), 산출부(140), 보정부(150), 인증모듈(160), 데이터베이스(170), 관리부(180), 통신부(190)를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10)는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촬영부(50)를 통해 촬영된 식전식판(500) 이미지, 식후식판 이미지를 수신한다.
추출부(120)는 식전식판(500) 이미지 데이터, 식후식판 이미지 데이터에서 식판(500)의 각 공간(510)에 수용된 음식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한다.
판단부(130)는 추출된 음식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각 음식의 종류를 판단한다.
산출부(140)는 추출된 음식 이미지 데이터의 픽셀별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각 음식의 부피를 산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산출부(140)는 배식구에 마련된 배식구 촬영부(50)를 통해 촬영된 식전식판(500)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배식량을 산출하고, 퇴식구에 마련된 퇴식구 촬영부(50)를 통해 촬영된 식후식판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잔반량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배식량과 잔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식대상의 식사량을 산출한다.
데이터베이스(170)는 기본식판(500) 이미지와 식판(500)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510)에 대한 크기, 깊이 및 용량을 포함하는 식판(500) 정보와, 음식별 부피당 무게를 포함하는 음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통신부(190)는 배식소에 설치되어 있는 촬영부(50)로부터 촬영된 식전식판(500) 이미지, 식후식판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을 수행하며, 서버(10)에서 산출하여 생성된 각종 정보들을 배식자, 담당자, 관리자, 배식대상의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관리부(180)는 배식소에 등록된 배식대상들의 배식량, 잔반량 및 식사량을 기반으로 배식소의 운영정보를 생성하고, 배식소에 등록된 배식대상들의 배식량, 잔반량 및 식사량을 기반으로 각 배식대상들의 관리정보를 생성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과 발명의 카테고리만 다를 뿐, 동일한 내용이므로 중복되는 설명, 예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서버 30: 장치
50: 촬영부 53: 제1촬영부
55: 제2촬영부 110: 수신부
120: 추출부 130: 판단부
140: 산출부 150: 보정부
160: 인증모듈 170: 데이터베이스
190: 통신부 220: 플레이트
240: 디스플레이부 500: 식판
510: 공간 530: 코드

Claims (14)

  1.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배식대상 관리 및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배식구에 마련된 배식구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식전식판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배식량을 산출하는 단계;
    퇴식구에 마련된 퇴식구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식후식판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잔반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배식량과 잔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식대상의 섭취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배식소에 등록된 배식대상들의 배식량, 잔반량 및 섭취량을 기반으로 상기 배식소의 운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식소에 등록된 배식대상들의 배식량, 잔반량 및 섭취량을 기반으로 각 배식대상들의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식소의 운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배식된 음식들 각각의 배식량을 이용하여 음식 메뉴의 선호도를 평가하고,
    배식된 음식들 각각의 섭취량 또는 잔반량을 이용하여 배식된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를 평가하고,
    맛 평가점수에 기반하여 해당 음식에 대한 식재료 품질 또는 조리 방법의 적합성을 판단하되,
    해당 음식의 선호도는 해당 음식의 배식량의 크기에 비례하고,
    해당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는 해당 음식의 섭취량의 크기에 비례하거나 해당 음식의 잔반량의 크기에 반비례하고,
    상기 컴퓨터는,
    해당 음식에 대하여 배식량의 차이가 없는 복수의 배식소의 맛 평가점수를 비교하여, 맛 평가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배식소의 해당 음식의 식재료에 대한 정보 또는 조리 방법을 배식담당자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운영정보 생성 단계는,
    각 배식인원들의 소속을 체킹하고 소속별로 배식량, 잔반량 및 섭취량을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소속별 선호음식, 비선호음식, 잔반량, 영양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속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날씨, 요일과 각 소속별 일정 정보와 상기 소속별 정보를 매칭하여 그에 대한 연관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배식소의 하나 이상의 추천 메뉴과 배식 준비량이 도출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식량 산출 단계는,
    배식대상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단계는,
    상기 배식구 촬영부와 퇴식구 촬영부 또는 코드식별장치가 상기 배식대상의 식판에 마련된 코드를 식별하여 식판을 소지한 배식대상을 식별하거나,
    생체정보인식장치가 상기 식판을 소지한 배식대상의 생체정보를 인식하여 배식대상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배식소에 배식을 위해 마련한 총 배식 준비량과 배식이 완료된 배식대상들의 배식량의 총합, 그리고 잔여 배식대상 인원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잔여 배식대상의 1인당 목표 배식량을 산출하여 배식담당자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 생성 단계는,
    각 배식대상의 신체정보, 배식량, 잔반량 및 섭취량을 이용하여, 각 배식대상의 선호음식, 비선호음식, 평균 잔반량, 영양상태, 평균 섭취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상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배식대상의 체력관리 정보, 비만위험도를 산출하고, 다이어트 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배식대상의 섭취량이 일정시간동안 일정량 이하로 감소되거나, 잔반량이 일정시간동안 일정량 이상으로 증가되는 경우 해당 배식대상을 주의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배식대상들의 평균 선호음식, 비선호음식, 섭취량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배식소의 하나 이상의 추천메뉴과 배식 준비량을 도출하여 배식담당자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식대상들의 섭취량을 기반으로 각 배식대상이 섭취한 영양정보를 생성하고, 일정시간 주기로 상기 생성된 영양정보를 기반으로 식습관 정보 및 영양섭취 현황 정보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식대상의 섭취량, 잔반량을 기반으로 각 배식대상의 영양정보 및 식습관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출된 각 배식대상의 영양상태 및 잔반량 변화에 따라서 리워드 또는 패널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식량 산출 단계는,
    보정부가 상기 식전식판 이미지 데이터 내에서 음식이 아니면서 부피를 가지는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고, 산출되는 음식의 부피에서 검출된 노이즈 성분의 부피를 제외하는 보정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산출부가 배식소에 준비된 음식량의 총합을 배식소에서 발생한 잔반량으로서 잔반량의 총량, 배식소에서 발생한 잔식량의 총량 및 해당 배식소 배식대상들의 섭취량으로서 식사량의 총합을 합한 것과 비교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산출부는 배식소에 준비된 음식량의 총합이 배식소에서 발생한 잔반량으로서 잔반량의 총량, 배식소에서 발생한 잔식량의 총량 및 해당 배식소 배식대상들의 섭취량으로서 식사량의 총합을 합한 것과 일치하도록 섭취량으로서 식사량의 총합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산출부가 배식소 배식대상들의 배식량으로서 배식량의 총합과 잔반량으로서 잔반량의 총합의 차이값이 섭취량으로서 식사량의 총합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산출부는 배식소 배식대상들의 배식량으로서 배식량의 총합과 잔반량으로서 잔반량의 총합의 차이값이 섭취량으로서 식사량의 총합과 일치하도록 섭취량으로서 식사량의 총합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서버에 있어서,
    배식구에 마련된 배식구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식전식판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배식량을 산출하고, 퇴식구에 마련된 퇴식구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식후식판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식대상의 잔반량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배식량과 잔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식대상의 섭취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배식소에 등록된 배식대상들의 배식량, 잔반량 및 섭취량을 기반으로 상기 배식소의 운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식소에 등록된 배식대상들의 배식량, 잔반량 및 섭취량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각 배식대상들의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배식소의 운영정보를 생성할 때,
    배식된 음식들 각각의 배식량을 이용하여 음식 메뉴의 선호도를 평가하고,
    배식된 음식들 각각의 섭취량 또는 잔반량을 이용하여 배식된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를 평가하고,
    맛 평가점수에 기반하여 해당 음식에 대한 식재료 품질 또는 조리 방법의 적합성을 판단하되,
    해당 음식의 선호도는 해당 음식의 배식량의 크기에 비례하고,
    해당 음식 자체의 맛 평가점수는 해당 음식의 섭취량의 크기에 비례하거나 해당 음식의 잔반량의 크기에 반비례하고,
    상기 서버는,
    해당 음식에 대하여 배식량의 차이가 없는 복수의 배식소의 맛 평가점수를 비교하여, 맛 평가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배식소의 해당 음식의 식재료에 대한 정보 또는 조리 방법을 배식담당자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배식소의 운영정보를 생성할 때,
    각 배식인원들의 소속을 체킹하고 소속별로 배식량, 잔반량 및 섭취량을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소속별 선호음식, 비선호음식, 잔반량, 영양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속별 정보를 생성하고,
    날씨, 요일과 각 소속별 일정 정보와 상기 소속별 정보를 매칭하여 그에 대한 연관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연관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배식소의 하나 이상의 추천 메뉴과 배식 준비량이 도출되는 것인, 서버.
  14.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제3항, 제5항,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90050378A 2019-04-29 2019-04-30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487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78A KR102487925B1 (ko) 2019-04-30 2019-04-30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CN202080039179.5A CN113874678B (zh) 2019-04-29 2020-04-29 食物测量方法、装置及程序
EP20798930.2A EP3964793A4 (en) 2019-04-29 2020-04-29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MEASURING FOODS
JP2021564482A JP2022530263A (ja) 2019-04-29 2020-04-29 食べ物測定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PCT/KR2020/005762 WO2020222561A1 (ko) 2019-04-29 2020-04-29 음식 측정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378A KR102487925B1 (ko) 2019-04-30 2019-04-30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77A KR20200126577A (ko) 2020-11-09
KR102487925B1 true KR102487925B1 (ko) 2023-01-12

Family

ID=7342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378A KR102487925B1 (ko) 2019-04-29 2019-04-30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9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139B1 (ko) * 2022-02-15 2022-10-11 주식회사 사공사파운드 Ai 이미지 분석 기술을 활용한 잔여 음식물 패턴분석 시스템
KR102510810B1 (ko) * 2022-03-18 2023-03-16 주식회사 조이네트웍스 음식 잔량 비전 이미지에 기초한 고객 관리 시스템
KR102701373B1 (ko) * 2022-08-16 2024-08-30 배진희 식당에서 반납되는 잔반 무게에 따른 포인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707096B1 (ko) * 2022-08-19 2024-09-19 김보별 음식물 잔반 관리가 가능한 급식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4105A (ja) * 2007-02-19 2008-09-04 Shikoku Chuboki Seizo Kk 自動食事摂取量計測システム及び自動食事摂取量計測方法
KR100975960B1 (ko) * 2010-01-29 2010-08-18 이종홍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JP2018528545A (ja) * 2015-09-09 2018-09-27 フィット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Fitly Inc. 食物画像認識を用いた栄養分析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3348A (ja) * 1998-01-08 1999-07-30 Fujitsu Ltd 給食所要量予測装置
KR100524572B1 (ko) 2004-01-30 2005-10-31 주식회사 카스 식사량 계량 장치
KR100911646B1 (ko) * 2005-11-09 2009-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당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4105A (ja) * 2007-02-19 2008-09-04 Shikoku Chuboki Seizo Kk 自動食事摂取量計測システム及び自動食事摂取量計測方法
KR100975960B1 (ko) * 2010-01-29 2010-08-18 이종홍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JP2018528545A (ja) * 2015-09-09 2018-09-27 フィット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Fitly Inc. 食物画像認識を用いた栄養分析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77A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925B1 (ko)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JP7494439B2 (ja) 給食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営方法
KR102606359B1 (ko) 급식관리 시스템
US9314206B2 (en) Diet and calories measurements and control
US20150347520A1 (en) Using crowdsourcing consensus to determine nutritional content of foods depicted in an image
EP3964793A1 (en) Food measurement method, device, and program
JP2015510646A5 (ko)
KR102326540B1 (ko) 음식 영상을 이용한 영양관리 및 질병관리 방법
KR20240123777A (ko) 음식 측정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471775B1 (ko) 음식량 측정 방법, 장치, 서버 및 프로그램
CN112329866A (zh) 一种餐厅智能健康点餐系统及方法
US20220222844A1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measuring food
KR102488997B1 (ko) 휴대용 장치를 이용한 음식량 측정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190104980A (ko)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US120639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foodservice with instant feedback
US202301782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odservice with iot-based dietary tracking
KR102329480B1 (ko)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MacIntyre et al. Measuring dietary intake
CN114581265B (zh) 一种就餐人员食用喜好分析系统及方法
CN117764573A (zh) 一种图像识别菜品后订单结算收银方法
AKPA Food Weight Estimation Based on Image Processing for Dietary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