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980A -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980A
KR20190104980A KR1020190109848A KR20190109848A KR20190104980A KR 20190104980 A KR20190104980 A KR 20190104980A KR 1020190109848 A KR1020190109848 A KR 1020190109848A KR 20190109848 A KR20190109848 A KR 20190109848A KR 20190104980 A KR20190104980 A KR 20190104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eal
plate
image
sc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김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훈 filed Critical 김대훈
Priority to KR102019010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4980A/ko
Publication of KR20190104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980A/ko
Priority to KR1020200137172A priority patent/KR10232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식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급식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및 이와 관련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급식에서 발생하는 잔반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캐너 장치를 이용하여 급식대상자인 사용자와 식전 및 식후 식판을 식별하여 급식량 및 잔반량을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들의 잔반정보 및 이와 연계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자신의 식습관, 영양상태 등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 스스로 잔반을 줄이려는 시도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MANAGEMENT SYSTEM OF CAFETERIA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급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급식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및 이와 관련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급식에서 발생하는 잔반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학교, 기업 및 기타 단체급식소에서 식사를 배급받는 학생, 직장인 또는 급식대상자들은 동일한 식당 내에서 한끼 이상을 해결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특히, 학생들은 주말을 제외한 일주일의 대부분의 점심을 학교내 급식소를 이용하게 되는데,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에게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초등학교 저학년과 같이 아직 자신의 식사량을 해결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은 밥을 잘 챙겨먹지 않는 경우가 많고 또한 편식이 있는 경우 전반적으로 반찬을 고르게 먹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대로 된 영향섭취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이는 고학년이라 하더라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부모들은 자녀들의 편식에 대한 관리감독의 요구가 상당하다고 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식습관과 관련하여, 식사속도, 식사량, 잔반 습관 등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또한, 기업의 카페테리아를 자주 이용하는 직장인들도 자신의 식습관을 확인하여 관리하고자 하며, 급식제도를 운영하는 병원 등에서도 간호사들이 입원환자의 음식 섭취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나, 현재 정확한 데이터 기반의 식습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75960호(공고일자: 2010.08.1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학교, 기업 및 병원 등에서 단체 급식을 제공하는 급식소에서 급식대상자에게 잔반량에 따라, 관련된 섭취정보 등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은, 인식코드를 스캐닝하여 식판을 식별하고, 급식대상인 사용자에게 제공된 식사전 식판에 대한 식전영상을 획득하는 식전 스캐너; 인식코드를 스캐닝하여 식판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식사후 식판을 스캐닝하여 식별된 식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식사후 식판에 대한 식후영상을 획득하는 식후 스캐너; 및 상기 식전 스캐너 및 식후 스캐너를 제어하여 획득된 식사전후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섭취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식전 스캐너 및 식후 스캐너와 연결되어 획득된 스캐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제어부와, 상기 장치 제어부가 수신한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섭취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식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서 식판을 인식하고, 상기 식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서 식판 내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한다.
또한, 급식대상인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가 식판 내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식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계학습을 위한 복수의 음식물 관련 학습영상에 대한 지식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된 학습영상과 비교함으로써 각 구역별 영상 인식결과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영상 처리부가 식판 내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식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계학습을 위한 복수의 음식물 관련 학습영상에 대한 지식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된 학습영상과 비교함으로써 영상 인식결과와 미리 정해진 메뉴를 매칭시켜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식단표를 생성하는 식단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급식소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메뉴는 상기 식단표를 참조하여 도출되는 것이다.
또한, 식판 내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한 후, 상기 영상 처리부가 식판 내 음식물의 부피를 계산하기 전, 상기 영상 처리부가, 온도, 색상, 형태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경계면을 따라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별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재료를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가 식판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식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서, 식판 내 밥, 국, 반찬 또는 그릇이 각각 담기는 구역들을 식판에 형성된 경계면을 통해 구획하고, 식판의 방향을 인식하여 음식물이 담기는 구역을 확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가 식판 내 음식물의 부피를 계산하는 것은, 상기 식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깊이값을 이용하여 음식물 경계면 내에 높이를 추출하고, 경계면과 높이를 이용하여 부피를 계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식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서 식판을 인식하고, 상기 식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서 식판 상의 음식물의 경계면을 따라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식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식판 내 영역별 음식물의 부피를 계산하고, 음식물을 분류하고 식전 음식물과 매칭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가 식판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식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서, 식판상의 음식물의 경계면을 따라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영상 처리부가 음식물을 분류하고 식전 음식물과 매칭하는 것은, 기계학습을 위한 지식 데이터 베이스의 학습영상을 이용하여 메뉴 내 재료를 인식하고, 산출된 부피량에 기초하여 메뉴별 및 재료별 잔반량을 계산함으로써 잔반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캐너 장치를 이용하여 급식대상자인 사용자와 식전 및 식후 식판을 식별하여 급식량 및 잔반량을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들의 섭취정보 및 이와 연계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자신의 식습관, 영양상태 등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 스스로 잔반을 줄이려는 시도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급식대상자 뿐만 아니라, 급식소 관리자, 영양사 등이 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잔반정보 등을 활용하여 각 급식대상자들의 영양 섭취정보 뿐 아니라, 음식성향 및 식사행태 등을 파악할 수 있고, 그 결과를 급식에 반영하여 식사의 질을 개선하고, 잔반 축소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급식소의 구성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관리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급식소 관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관리서버의 구성부 중, 영상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잔반정보 생성을 위한 영상 분석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스캐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및 "...모듈(Modul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 등의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급식소의 구성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은 급식대상인 사용자의 ID카드를 스캐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제1 스캐너(100), 인식코드를 스캐닝하여 식판을 식별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된 식사전 식판에 대한 식전영상을 획득하는 제2 스캐너(110), 식사후 식판을 스캐닝하여 식별된 식판을 통해 사용자의 식사후 식판에 대한 식후영상을 획득하는 제3 스캐너(120)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스캐너를 제어하여 획득된 식사전후 영상에 기초하여 섭취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은 학교의 구내식당의 다수에게 배식을 제공하는 소정의 급식소(1)에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스캐닝 장치 및 이와 연결되며 표시수단을 갖는 관리서버(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캐너(100)는 급식대상자인 식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ID카드를 스캐닝하고 그 결과를 관리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서버(200)가 저장된 개인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가 급식대상자임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ID카드는 학생증, 명찰 및 사원증일 수 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ID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안면인식 기법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등교 또는 출근 시스템과 연계하여, 출근시 매일 해당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는 추후 급식진행을 위한 식별시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비전인식 기술을 이용한 시스템의 외관, 즉 얼굴, 신발, 의상 또는 헤어 형태 등을 비전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를 식별시 그 정확도는 개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또는, 스캐닝 방식이 아닌,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사용자를 인식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2 스캐너(110)는 배식구를 통한 음식이 담긴 식사전 식판(6)을 스캐닝하고 그 영상을 관리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식사전 식판(6)의 일측에 형성된 인식코드도 함께 스캐닝함에 따라, 그 정보를 수신한 관리서버(200)는 각 식판들을 구별하고, 각 식판에 담긴 음식의 양 즉, 사용자별 급식량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인식코드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3 스캐너(120)는 퇴식구를 통해 잔반을 처리하기 전, 잔반이 담긴 식사후 식판(7)을 스캐닝하고 그 영상을 관리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식사후 식판(7)의 인식코드를 스캐닝함에 따라, 그 정보를 수신한 관리서버(200)는 해당 식판(7)의 사용자와 사용자별 잔반량을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이후 관리서버(200)는 급식량 및 잔반량에 기초하여 잔반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섭취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관리서버(200)는 급식소(1)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급식소(1)의 출구부근에 설치될 수 있고, 탑재된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각 사용자별 생성된 섭취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 스캐너(100 ~ 130)들과 연결될 수 있고, 스캐너(100 ~ 130)들부터 전송되는 ID카드 스캐닝 결과, 식판 인식결과 및 식사전후 식판에 대한 영상 등을 통해, 해당 사용자와 그의 섭취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에서는 각 사용자별 섭취정보를 스캐너를 통해 획득한 영상에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정량화하고 이를 수치, 텍스트 및 그래프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서버(200)의 구성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은 급식소에 설치되며, 사용자를 확인하고, 식사 전후 식판에 대하여 스캐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급식량 및 잔반량을 획득하며, 이에 기초하여 섭취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연계된 각종 영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자신의 식습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관리서버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관리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관리서버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리서버(200)는 사용자별 잔반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0), 사용자를 급식대상자로 등록하고, 등록된 사용자들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양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관리부(220), 급식소를 등록하고, 등록된 급식소의 운영과 관련된 운영정보를 제공하는 급식소 관리부(230), 제1 내지 제3 스캐너와 연결되어 획득된 스캐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제어부(240), 장치 제어부(240)가 수신한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하여 잔반정보 및 섭취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250)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급식소의 운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관리서버(200)에서 각 사용자 별로 생성한 섭취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식사를 완료한 사용자는 식판 반납 이후 급식소에서 떠나기 전, 출구에 배치된 관리서버(200)의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된 자신에 대한 섭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10)는 타 구성부들과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별도의 장소에 위치한 관리서버(200)의 본체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잔반정보를 표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관리서버(200)에서 디스플레이부(210)가 생략되며, 사용자들은 소지한 모바일 단말 또는 전자메일을 통해 전술한 잔반정보를 제공받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220)는 급식대상자의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급식관리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미리 관리서버(200)에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하며, 스캐너로부터 전송되는 ID카드의 인식결과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급식대상자로서 등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220)는 등록된 사용자에 대하여 식습관 및 영양상태와 관련된 영양정보를 관리 및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부(22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급식소 관리부(230)는 본 발명의 급식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급식소에 대한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급식소 관리기능으로는 급식소의 최대배식가능 인원, 소속된 영양사와 관련된 정보와, 일, 주 및 월단위의 식단에 대한 정보 등을 생성, 갱신, 삭제 및 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시스템 운영자 권한을 갖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장치 제어부(240)는 관리서버(200)와 연결된 스캐너의 제어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스캐너와 연결되어 그로부터 사용자 및 식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장치 제어부(240)는 소정의 통신모듈 및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각 스캐너와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50)는 스캐너로부터 수신한 식사전후 식판에 대한 영상을 영상처리 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별 급식량 및 잔반량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섭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260)는 관리서버(200)의 각 구성부들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개인정보, 급식소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260)에는 관리서버(200)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설정값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200)는 사용자에 잔반정보를 제공하는 주요기능에도 수익발생을 위한 부가기능을 더 제공하는 광고 관리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광고 관리부(270)는 데이터 베이스(260)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개인의 선호를 고려한 식품, 섭취 영양 성분을 고려한 건강 보조 식품, 식습관 분석을 통한 의료기기 및 개인의 선호를 반영한 식당 및 메뉴 등에 관한 광고를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관리부(270)가 제공하는 기능은 급식관리 시스템 운영자의 수익모델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생되는 수익모델로서, 식단 관리 프로그램 및 섭취 정보, 영양 정보, 질병 확률 및 특화된 건강 상식 및 반찬에 대한 레시피 제공 등의 '프리미엄 서비스'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광고 관리부(270)는 공익적 기능으로서, 사용자에게 식사전 잔반 축소에 대한 홍보 또는 경각심을 높이기 위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급식소에 방문한 사용자들에게 잔반량 감소시 환경보호의 효과가 있다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은 연결된 복수의 스캐너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고 잔반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급식소 사용자들이 자신의 식습관, 일 예로서, 선호하는 식재료, 맛, 평균 식사량, 속도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부 중, 발명의 주요기능을 구현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급식소 관리부와, 영상 처리부에 대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급식소 관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관리서버의 구성부 중, 영상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리서버의 사용자 관리부(220)는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응하는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모듈들은 급식대상자에 한정하여 시스템내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ID카드를 이용하여 시스템내 등록여부를 확인하거나, 등록된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개인정보 처리모듈(221), 각종 정보를 참조하여 개인의 식습관을 판단하는 식습관 판단모듈(222) 및, 현재 각 사용자별 영상상태를 산출하는 영상상태 추정모듈(223)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정보 처리모듈(221)은 본 발명의 급식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시스템 운영자는 급식대상자에 대한 이름, 연락처 및 주소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고, 개인정보 처리모듈은 그 계정마다 사용자의 식습관, 선호음식, 알레르기 보유유무, 현재 영양상태 등을 입력받아 개인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식습관 판단모듈(222)은 사용자의 급식내역에 대응하여 각 사용자에 대한 식습관을 판단하고 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급식소 이용시, 식습관 판단모듈(222)은 매회 급식내역에 따라 각 급식시 제공된 음식의 종류, 식사시간 및 잔반량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식습관을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식습관 판단결과는 개인정보에 반영될 수 있다.
영양상태 추정모듈(223)은 사용자의 급식내역에 대응하여 각 사용자의 현재 영양상태를 추정하고 이를 영양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영양상태 추정모듈(223)은 사용자가 일정기간 내 급식소를 이용한 내역 및, 이용시 생성된 잔반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및 음식량을 산출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영양상태를 분석하여 영양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영양정보는 식습관 정보와 더불어 개인정보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리서버의 급식소 관리부(230)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시스템에 설치되는 장소인 급식소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급식소 관리모듈(231)과, 그 급식소에 납품되는 식재료에 대한 검수와 관련된 절차를 진행하는 식재료 검수모듈(232)과, 매주 단위의 식단 스켸줄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단 생성모듈(233)을 포함할 수 있다.
급식소 관리모듈(231)은 본 발명의 급식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급식소에 대한 정보 관리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급식소의 최대배식가능 인원 및 소속된 영양사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 갱신 및 삭제할 수 있다.
식재료 검수모듈(232)은 급식소에 납품되는 식재료에 대한 검수 절차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급식소에는 일 단위로 조리를 위한 식재료들이 납품될 수 있고, 급식소에 소속된 영양사들은 식재료 수령, 검수 및 창고적재의 절차진행에 따른 과정을 관리서버에 입력 및 추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재료 검수모듈(232)이 제공하는 기능은 영양사 권한을 가진 계정에만 제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식단 생성모듈(233)은 시스템에 등록된 영양사들이 급식소에서 배급하는 음식에 대한 식단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영양사들은 매월초 일주일 단위로 급식자들의 영양상태를 고려하여 식단을 만들고 식단 생성모듈(233)이 제공하는 UI를 통해 식단을 입력하여 식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식단정보는 일주일 단위로 관리서버(200) 및 이와 연결된 웹 사이트 등에 게시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은 급식소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캐너를 통해 사용자의 ID카드를 스캐닝하여 급식대상자임을 식별할 뿐만 아니라, 식사 전후 식판을 스캐닝하여 급식량 및 잔반량을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잔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캐너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 대하여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보다 정확한 섭취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는 상기의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리서버에 포함되는 영상 처리부(250)는 식사후 식판을 촬영한 식후영상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모듈(251), 저장된 영상 저장소(253)로부터 상기 식전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식후영상과 비교하는 비교모듈(252), 비교모듈(252)에 의한 비교결과에 따라 잔반정보를 생성하는 잔반 추정모듈(254) 및 상기 잔반정보에 대응하여 수치, 텍스트 또는 그래프의 형태의 섭취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섭취정보 생성모듈(25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모듈(251)은 스캐너로부터 식사전후 식판을 촬영한 영상을 비교를 위해 일정 크기로 변환 및 노이즈를 제거하여 영상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식전영상은 영상 저장소에 식별된 식판별로 저장될 수 있고, 이후 식후영상이 입력되면 전처리후 비교모듈(252)에 제공하게 된다.
비교모듈(252)은 전처리된 식전영상과 식후영상을 수치화하여 비교할 수 있다. 영상을 계조값을 갖는 복수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교모듈(252)은 각 화소의 계조값의 차를 계산하여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저장소(253)는 전처리된 식전영상을 식판별로 저장할 수 있고, 비교모듈(252)의 요청에 따라 식후영상에 대응하는 식전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저장소(253)에 저장된 영상들은 비교절차가 수행되거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잔반 추정모듈(254)은 식전영상과 식후영상에 대응하여 급식량 및 잔반량을 판단하고, 이의 차 연산을 통해 잔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스캐너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서 회색 또는 백색에 대응하며 영상의 각 측단과 연결되는 부분을 식판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판단될 수 있고, 비교모듈은 식전영상 대비 식후영상에서 회색 또는 백색영역의 증가면적에 따라 잔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잔반 추정모듈(254)은 영상에 기초하여 밥의 부피, 국의 높이, 반찬의 부피의 감소량을 추정하거나, 영상 전체의 밝기분포를 히스토그램화하고, 두 히스토그램의 차에 따라 음식물의 변동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섭취정보 생성모듈(255)은 잔반 추정모듈(254)에 의해 산출된 잔반정보에 따라, 수치, 텍스트 및 그래프 형태의 자료인 섭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섭취정보는 개인정보에 누적 기록될 수 있고, 관리서버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250)는 변동정도 추정시 그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보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정모듈(256)은 각 스캐너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값을 입력받고, 잔반 추정모듈(254)에 변동정도에 센싱값을 일정비율로 반영하여 잔반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즉, 보정모듈(256)은 스캐너에는 온도센서 및 로드셀과 같은 무게감지센서가 탑재될 수 있고, 감지된 식판의 온도 및 무게를 활용하여 보정값을 생성함으로써 잔반정보를 보정하게 된다.
일 예로서, 식사전후 식판의 온도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 특히 국 같은 음식의 섭취가 거의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식사전후 식판의 무게차이가 크지 않는 경우, 식사량이 매우 적은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식사에 포함된 국, 밥, 반찬의 종류를 인식하는 데 있어서, 김치의 경우 30°이상을 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판단 기준에서 제외하거나, 국의 경우 40°이하의 경우를 제외하는 것과 같이 판단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정모듈(256)은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서값에 대하여 다양한 경우의 수가 설정됨에 따라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급식대상자 및 급식소에 대한 관리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급식대상자들에게 잔반량및 음식 섭취량에 따른 섭취정보, 그리고, 이에 따른 섭취 영양성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전술한 본 발명의 급식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복수의 스캐너 및 관리서버와, 이들을 구성하는 구성부가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제1 내지 제3 스캐너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급식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으로서, 급식대상인 사용자의 ID카드를 스캐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S100), 식사전 식판의 인식코드를 스캐닝하여 식판을 식별하고, 사용자의 식판에 대한 식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10), 식사후 식판을 스캐닝하여 식별된 식판을 통해 사용자의 식판에 대한 식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20) 및, 획득된 식전영상 및 식후영상에 기초하여 전반정보를 산출하고, 잔반정보에 대응하는 섭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식대상인 사용자의 ID카드를 스캐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S100)는 급식소에 설치된 제1 스캐너가 사용자가 제시한 ID카드를 스캐닝하여 그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관리서버가 해당 ID카드의 사용자가 급식대상자임을 식별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식사전 식판의 인식코드를 스캐닝하여 식판을 식별하고, 사용자의 식판에 대한 식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10)는 정상 사용자 즉, 급식대상자로 식별된 사용자가 식판을 골라 배식을 받으면, 제2 스캐너가 그 식판에 구비된 인식코드를 스캐닝하는 동시에, 식판에 담긴 음식을 스캐닝 하여 식사전 식판 영상을 생성하고, 그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서버가 인식코드 스캐닝 결과에 따라 해당 식판을 식별하고, 식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식전영상은 관리서버의 영상 처리부에 의해 영상 처리되어 급식량을 산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식사후 식판을 스캐닝하여 식별된 식판을 통해 사용자의 식판에 대한 식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20)는 식판별로 관리서버의 영상 처리부가 식사후 식판에 대한 영상인 식후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식후영상은 잔반량을 산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후, 획득된 식전영상 및 식후영상에 기초하여 잔반정보를 산출하고, 잔반정보에 대응하는 섭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0)는 상기 S110 단계 및 S120 단계에서 산출한 급식량 및 잔반량의 차를 통해 실제 식사량에 대응하는 잔반정보 및 섭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특히, S130 단계에서는 영상 처리부가 급식량과 잔반량의 차에 따라 잔반정보를 산출함에 따라, 이러한 잔반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실제 식사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잔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량에 대한 섭취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수치, 텍스트 및 그래프 등의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용한 섭취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S130 단계 이후, 식사에 따른 섭취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섭취정보에 대응하여 쿠폰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에 따라, 섭취정보를 통해 이용자의 정확한 섭취량을 판단할 수 있으며, 그 섭취량에 대한 섭취정보를 이용자에게 공급하여 칼로리 및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잔반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혜택으로서 커피 쿠폰 보상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급식 공급자에게는 이용자들의 정확하고 구체적인 선호 음식 및 음식별 섭취량을 알려 급식의 질을 개선하고 잔반을 줄이기 위한 개선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식판의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에 따라 각 급식대상자들이 실제 식사량에 따른 섭취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섭취정보를 직접 확인하여 자신의 식습관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에서 급식제공 전후 잔반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단계에서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영상 처리부 및 그의 비교모듈이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의 잔반정보 생성을 위한 영상 분석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식판을 인식하는 단계(S200)로서, 영상 처리부의 비교모듈이 스캐너가 촬영한 배식이 완료된 식판을 인식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식판내 밥, 국, 반찬 및 그릇이 각각 담기는 구역들을 식판에 형성된 경계면을 통해 구획하고, 식판의 방향을 인식하여 음식물이 담기는 구역을 확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식판상의 음식물을 분류하는 단계(S210)는 비교모듈이 식판내 구획된 구역별로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로서, 이미지 센서 즉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계학습을 위한 복수의 음식물 관련 학습영상에 대한 지식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된 학습영상과 비교함으로써 각 구역별 영상 인식결과와 해당일의 메뉴를 매칭시켜 음식물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매칭 성공률이 80 % 초과인 경우 즉시 결과를 영상 저장소에 저장하고, 80 % 이하인 경우 정의되지 않는 음식으로 분류하여 영상 저장소에 저장하게 된다.
음식물의 경계면을 따라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220)는 구역별로 음식물의 경계면을 정확하게 설정해 주는 단계이다. 이때, 온도, 색상 및 형태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식판 내 음식물 중, 샐러드와 김치 사이를 정확하게 나누는 음식물 경계면을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영역별로 메뉴에 따라 재료를 인식하는 단계(S230)는 구역별 메뉴가 인식된 상태에서 음식물 경계면이 설정됨에 따라, 음식물 경계면이 이루는 영역 내 음식물을 이루는 재료를 식별하는 단계이다.
일 예로서, 제1 구역부터 제5 구역까지 구획된 식판에 대하여, 제1 구역에 샐러드가 담긴다고 가정하면, 제1 구역의 샐러드를 이루는 재료인 양배추, 브로콜리, 오이 및 당근 등을 각각 식별한다. 이러한 S230 단계에서도 기계 학습 및 영상 비교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역에 동일한 양의 샐러드가 담긴다고 가정한다 하더라도 식판별로 인식되는 재료의 양을 다를 수 있다.
이어서, 음식물의 부피를 계산하는 단계(S240)는 스캐너에 포함된 3D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음식별 경계면을 기준으로 각 음식별 부피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3D 센서는 피사체에 대한 깊이값(depth)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식물 경계면 내에 높이를 추출하고, 경계면과 높이를 이용하여 부피를 산출함으로써 음식물의 양을 계산하게 된다.
전술한 단계들에 따라, 영상 처리부는 획득한 식전영상을 저장하고, 이후 식사가 완료된 식판을 재 촬영한 식후영상을 이용하여 잔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식판을 인식하는 단계(S300)로서, 영상 처리부의 비교모듈이 스캐너가 촬영한 배식이 완료된 식판을 인식하고, 식판 경계면을 따라 구역을 확정하는 단계이다.
식판상의 음식물의 경계면을 따라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310)는 구역별로 음식물의 경계면을 정확하게 설정해 주는 단계이다.
이어서, 영역별 음식물의 부피를 계산하는 단계(S320)는 음식별 경계면을 기준으로 스캐너에 포함된 3D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정보에 따라 각 음식별 부피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S320 단계에서, 비교 모듈은 부피가 식전영상과 대비하여 음식물의 양이 5 % 이하로 판단되면 해당 구역의 메뉴 잔반량을 0 %로 간주하여 타 구역에 대한 음식물의 부피량을 산출하고, 음식물의 양이 5 % 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하의 S330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음식물을 분류하고 식전 음식물과 매칭하는 단계(S330)는 기계 학습을 위한 지식 데이터 베이스의 학습영상을 이용하여 메뉴내 재료를 인식하고, 상기 S310 단계 및 S320 단계에서 산출된 부피량에 기초하여 메뉴별 및 재료별 잔반량을 계산함으로써 잔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한편, 전술한 급식 시스템 운영방법에서 섭취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식사전후 식판을 스캐닝하여 음식의 양을 파악함으로써 급식량, 잔반량 등을 획득하게 되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스캐너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식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스캐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120)는 몸체(121), 몸체(121)의 일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지지부(122), 지지부(122)의 상부로 결합되며 상기 식판이 안착되는 거치대(123), 몸체(121)의 일측으로 거치대(123)의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식판(7)상의 음식을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12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21)는 스캐너(120)의 외관을 이루며, 급식소의 배식구 근처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몸체(121)의 일측으로 소정높이로는 지지부(122)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22)는 측방 일정길이로 돌출되고, 위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22)는 상부로 배치되는 거치대(123)를 하부에서 지지하게 된다.
거치대(123)는 식사 전후 식판이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대(123)는 식판이 후술하는 스테레오 카메라(124)의 렌즈와 대향되도록 지지부(122)의 상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거치대(123)의 하부는, 지지부(122)상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로드셀(125)에 의해 지지 및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로드셀(125)은 거치대(123) 및 그 상부로 안착되는 식판(7)의 무게를 감지하고 이를 관리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23)의 일측에는 상부에 안착된 식판의 온도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고, 이러한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는 관리서버에 전송되어 전술한 무게와 더불어 현재 식판에 담긴 음식의 무게 및 온도를 측정하여 관리 서버에 의해 급식량, 잔반량 또는 변동정도를 산출하는 데 보정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124)는 몸체(121)상에 설치되되, 지지부(122)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거치대(123)상의 식판(7)의 전 영역이 스캐닝 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테레오 카메라(124)는 렌즈가 거치대(123)를 대향 하도록 설치되며, 식사 전후의 식판을 각각 촬영하여 식전식판 영상 및 식후식판영상을 관리서버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 : 급식소 3 : ID카드
6, 7 : 식사전,후 식판 100 ~ 120 : 제1 내지 제3 스캐너
200 : 관리서버 210 : 디스플레이부
220 : 사용자 관리부 230 : 급식소 관리부
240 : 장치 관리부 250 : 영상 처리부
260 : 데이터 베이스 270 : 광고 관리부

Claims (10)

  1. 인식코드를 스캐닝하여 식판을 식별하고, 급식대상인 사용자에게 제공된 식사전 식판에 대한 식전영상을 획득하는 식전 스캐너;
    인식코드를 스캐닝하여 식판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식사후 식판을 스캐닝하여 식별된 식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식사후 식판에 대한 식후영상을 획득하는 식후 스캐너; 및
    상기 식전 스캐너 및 식후 스캐너를 제어하여 획득된 식사전후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섭취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식전 스캐너 및 식후 스캐너와 연결되어 획득된 스캐닝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제어부와,
    상기 장치 제어부가 수신한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섭취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식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서 식판을 인식하고,
    상기 식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서 식판 내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하고,
    식판 내 음식물의 부피를 계산하는 것인, 급식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급식대상인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급식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가 식판 내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식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계학습을 위한 복수의 음식물 관련 학습영상에 대한 지식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된 학습영상과 비교함으로써 각 구역별 영상 인식결과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하는 것인, 급식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가 식판 내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식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기계학습을 위한 복수의 음식물 관련 학습영상에 대한 지식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된 학습영상과 비교함으로써 영상 인식결과와 미리 정해진 메뉴를 매칭시켜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하는 것인, 급식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식단표를 생성하는 식단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급식소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메뉴는 상기 식단표를 참조하여 도출되는 것인, 급식관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식판 내 음식물의 종류를 인식한 후, 상기 영상 처리부가 식판 내 음식물의 부피를 계산하기 전,
    상기 영상 처리부가,
    온도, 색상, 형태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경계면을 따라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별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재료를 인식하는 것인, 급식관리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가 식판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식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서, 식판 내 밥, 국, 반찬 또는 그릇이 각각 담기는 구역들을 식판에 형성된 경계면을 통해 구획하고, 식판의 방향을 인식하여 음식물이 담기는 구역을 확정하는 것인, 급식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가 식판 내 음식물의 부피를 계산하는 것은,
    상기 식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깊이값을 이용하여 음식물 경계면 내에 높이를 추출하고, 경계면과 높이를 이용하여 부피를 계산하는 것인, 급식관리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식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서 식판을 인식하고,
    상기 식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서 식판 상의 음식물의 경계면을 따라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식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식판 내 영역별 음식물의 부피를 계산하고,
    음식물을 분류하고 식전 음식물과 매칭하는 것인, 급식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가 식판을 인식하는 것은,
    상기 식후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서, 식판상의 음식물의 경계면을 따라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영상 처리부가 음식물을 분류하고 식전 음식물과 매칭하는 것은, 기계학습을 위한 지식 데이터 베이스의 학습영상을 이용하여 메뉴 내 재료를 인식하고, 산출된 부피량에 기초하여 메뉴별 및 재료별 잔반량을 계산함으로써 잔반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급식관리 시스템.
KR1020190109848A 2019-09-05 2019-09-05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190104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848A KR20190104980A (ko) 2019-09-05 2019-09-05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1020200137172A KR102329480B1 (ko) 2019-09-05 2020-10-22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848A KR20190104980A (ko) 2019-09-05 2019-09-05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469A Division KR102027275B1 (ko) 2017-11-14 2017-11-14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172A Division KR102329480B1 (ko) 2019-09-05 2020-10-22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980A true KR20190104980A (ko) 2019-09-11

Family

ID=6794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848A KR20190104980A (ko) 2019-09-05 2019-09-05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49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049A (ko) 2020-06-03 2021-12-10 오승철 스마트 트레이 기반의 개인 섭생 관리 시스템
US20220270238A1 (en) * 2021-02-23 2022-08-25 Orchard Holding System, device, process and method of measuring food, food consumption and food was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960B1 (ko) 2010-01-29 2010-08-18 이종홍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960B1 (ko) 2010-01-29 2010-08-18 이종홍 학생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는 학교 급식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049A (ko) 2020-06-03 2021-12-10 오승철 스마트 트레이 기반의 개인 섭생 관리 시스템
US20220270238A1 (en) * 2021-02-23 2022-08-25 Orchard Holding System, device, process and method of measuring food, food consumption and food waste
US11769244B2 (en) * 2021-02-23 2023-09-26 Orchard Holding System, device, process and method of measuring food, food consumption and food was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275B1 (ko)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102606359B1 (ko) 급식관리 시스템
CN105793887A (zh) 用于捕获用户的食物消耗信息的方法和系统
KR101562364B1 (ko) 음식사진을 이용한 칼로리 자동 계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습관 관리 시스템
KR20140089729A (ko) 음식사진을 이용한 칼로리 자동 계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습관 관리 시스템
KR20190104980A (ko)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US20190221134A1 (en) Meal Management System
KR102487925B1 (ko)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CN113343003A (zh) 一种用餐营养构建记录系统及方法
EP3964793A1 (en) Food measurement method, device, and program
KR102329480B1 (ko) 급식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JP7494439B2 (ja) 給食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営方法
JP2022513897A (ja) 食品廃棄物の検出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30298730A1 (en) Secure, automated, system and computer implemented process for monitoring care provided to a consumer according to a pharmacological or nutritional regimen of the consumer
US20220222844A1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measuring food
US20220020471A1 (en) Secure, automated, system and computer implemented process for monitoring care provided to a consumer according to a pharmacological or nutritional regimen of the consumer
JP2018049584A (ja) 食事量推定プログラム、食事量推定方法及び食事量推定装置
KR20210049704A (ko) 음식 측정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N114746891A (zh) 控制方法、信息终端、程序以及记录介质
WO2018008686A1 (ja) 食事の栄養成分を管理する管理システム
JP2005070908A (ja) 院内用食事摂取量の計測方法と計測システム
KR20220145006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식이 순응도 평가 시스템
JP202101543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33809A (ja) 個人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