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458B1 -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 Google Patents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458B1
KR100974458B1 KR1020080080047A KR20080080047A KR100974458B1 KR 100974458 B1 KR100974458 B1 KR 100974458B1 KR 1020080080047 A KR1020080080047 A KR 1020080080047A KR 20080080047 A KR20080080047 A KR 20080080047A KR 100974458 B1 KR100974458 B1 KR 100974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gun
block
guide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239A (ko
Inventor
김희석
Original Assignee
김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석 filed Critical 김희석
Priority to KR102008008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45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05B13/041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the angular position of the spray heads relative to the straight line being modified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6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spray heads moved along a clos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Landscapes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스프레이 도장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닥판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면과 상면이 개구된 함체를 설치하고 상면 개구부는 상판이 분해 조립가능하게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 양측 저면을 각각 받쳐주어 상기 본체가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지지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서 가로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양단부는 고정구를 통해 함체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이 가이드 봉과; 전,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블록 연결봉의 일단부를 각각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과; 일측 지지체에 고정 설치되어 건의 좌우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한 쌍의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가 설치된 지지체 상방부의 함체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타이밍벨트를 통해 상기 서보 모터의 풀리들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전동 풀리와; 상기 전동 풀리들과 일체로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 풀리와; 타측의 함체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상태에서 타이밍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 풀리들과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는 한 쌍의 아이들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아이들 풀리에 회동 가능하게 권취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의 저면에 고정되어 서보 모터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가이드 봉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모터동력을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에 직접 전달하는 한 쌍의 타이밍벨트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 전,후부 상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이 가이드 봉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좌,우 이동될 때 블록 연결봉을 통해 연결된 건 이동 블록이 곡선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블록 연결봉을 통해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과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의 상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보 모터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곡선 이동하며 건이 곡선 운동을 하도록 하는 한 쌍의 건 이동 블록과; 상기 건 이동 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건 이동 블록의 곡선 이동에 부응하여 곡선 이동하며 피도장체에 노즐을 통해 도료를 분사시켜 주는 한 쌍의 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전자제품의 상면과 외주면 및 모서리 부분에 대하여 완벽하게 도장을 할 수 있어 후 작업이 필요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수 및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정확한 분사가 이루어져 제품의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료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스프레이, 도장, 곡선 주행, 건

Description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Curve traveling type spray pa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전자수첩, 또는 PDA 등과 같이 소형이면서도 그 모양이 다양한 형태를 갖는 전자제품의 케이스 등에 스프레이 도장을 실시할 때 2개의 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곡선 주행을 하며 제품의 상면은 물론 측면까지 고르게 도료를 자동 분사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전자제품 전체에 대해 도장작업을 서로 반대 방향의 곡선 주행하는 2개의 건을 이용하여 완벽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 작업이 필요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수 및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정확한 분사가 이루어져 제품의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료 소비량을 줄일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전자수첩 또는 PDA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케이스 등과 같은 소형 기구물의 내부 또는 외장 등에 도료를 분사하는 도장작업을 하는 경 우에는 여러 가지 수단을 제시할 수 있으나, 특히 많은 량의 도장작업을 하면서 좋은 도장 품질을 얻기 위해 종래 대부분은 휴대용 에어 스프레이 건(air spray gun)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에어 스프레이 건은 도료와 압축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노즐을 통해 도료가 분사되어 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노즐을 향하고 있는 방향으로 도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대량의 도장체를 도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도장체를 일정하게 정렬한 후, 에어 스프레이 건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도료가 고르게 분포되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도장체의 도장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대량 생산이 어렵고, 연속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리고 예컨대, 도장체의 코너부나 측면부 등에 도장하는 경우에는 도료의 분사가 어려워 도장 불량이 대량으로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해 도료가 분사되므로 도장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해 일정한 도장품질을 얻을 수 없음은 물론, 정확한 분사량으로 도료의 분사가 불가능해 도료가 과다하게 분사될 수 있어 도료 소비량이 많은데, 이 또한 불량의 다른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에어 스프레이 건을 직접 조작하므로 인체에 유해하며, 작업 기피 현상이 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부에서는 핸드폰과 같은 소형 물체의 도장(塗裝)은 도장 부스 내에 여러 개의 도료분사노즐을 배치하고, 이들의 각도와 위치를 잘 조정하여 피도장물 체에 고르게 도장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식으로 하고 있는데, 이때 분사노즐의 위치와 각도는 숙련공이 자신의 경험에 따른 느낌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다 보니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고, 도막 두께, 도장의 균일도 등 도장의 품질이 일정하지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의 핸드폰 케이스의 도장방법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자동화된 도장 로봇 시스템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을 물론 대형물체의 도장로봇은 아주 구조가 복잡하고, 제어 시스템이 복잡하며, 큰 설치공간을 차지하여 소형 물체의 도장에 적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료 분사 시스템"이 개발되어 국내 등록특허 10-0366371호로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지지구조체와; 상기 지지구조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장되어지는 도장체를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고정지그가 설치되는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테이블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회전테이블의 상부에 X,Y,R의 3축 구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를 공급받아 상기 도장체에 도료를 분사하는 직교로봇장치와; 상기 지지구조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직교로봇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회전테이블의 상면부에 2개의 도장체를 위치시켜 고정지그를 통해 고정시킨 후 어느 일측의 도장체 상면에서 직교로봇장치를 X,Y,R 3축으로 구동시키며 해당 도장체에 도장을 실시한 후 다시 회전테이블을 180도 회 전시킨 후 타측의 도장체에 전술과 같이 직교로봇장치를 X,Y,R 3축으로 구동시키며 도장을 실시해야만 하므로 다량의 제품을 연속해서 도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2개의 도장체에 도장작업이 완료될 때마다 도장완료된 제품과 도장을 실시하고자 하는 제품을 인출 및 설치해주어야만 하므로 도장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도장을 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고, 시스템의 기구 구성 자체가 복잡하여 도장작업에 따른 효율과 작업성 및 생산성에 비해 시스템 자체의 설치비용이 많이 들게 됨은 물론 고장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에서는 "소형 물체의 도장을 위한 도장로봇 구조체"가 개발되어 국내 등록특허 10-0714904호로 제시된 바도 있는데, 이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위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볼 스크루, 상기 볼 스크루와 짝을 이루는 볼 하우징, 그리고 상기 볼 스크루를 지지하고 있는 전, 후방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이송 구동부로 구성되는 수평이송대; 상기 수평이송대의 볼하우징에 고정되어 볼하우징과 같이 수평이송이 되는 하부구조, 상기 하부구조 위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칼럼 몸체, 그리고 상기 칼럼 몸체의 상단에 부착되고 하기 암이 관절 연결되는 상부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칼럼; 상기 칼럼의 상단에 그 일단이 축으로 연결되어 관절운동을 하고, 타단에는 도료를 분사하는 하기 분사헤드가 부착되는 암; 상기 암의 끝단에 축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 회전운동이 일어나고, 도장에 필요한 페인트를 분사하는 분사헤드; 상기 암의 상하방향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것으로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웜, 그리고 상기 웜과 짝을 이루고 상기 암의 칼럼에 고정되는 부위의 축 구멍과 그 축이 일치되게 부착되는 웜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칼럼의 상부구조에 고정되는 암 구동부; 상기 분사헤드의 상하방향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것으로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웜, 상기 웜과 짝을 이루는 웜 기어, 상기 웜 기어에 그 축 구멍이 일치되게 고정되는 풀리, 상기 분사헤드의 회전축구멍에 그 축이 일치되게 부착되는 풀리, 그리고 상기 2개의 풀리에 감겨지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사헤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도장로봇 구조체는 칼럼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칼럼 상단의 암 끝단에 축지된 분사헤드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서 도장에 필요한 페인트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에 따라 고정된 상태의 물체에 대한 도장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도장을 실시할 수 있을 뿐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중인 물체에 대한 도장을 실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특히 물체의 모서리부나 측면까지 원하는 두께로 도장을 도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휴대폰, 전자수첩, 또는 PDA 등과 같이 소형이면서도 그 모양이 다양한 형태를 갖는 전자제품의 케이스 등과 같은 피도장체들이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연속 이동될 때 피도장체의 상방부에서 가로방향으로 2개의 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곡선 주행을 하며 제품의 상면은 물론 측면까지 고르게 도료를 자동 분사하여 도포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전자제품의 상면과 외주면 및 모서리 부분에 대하여 완벽하게 도장을 할 수 있어 후 작업이 필요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수 및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정확한 분사가 이루어져 제품의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료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동하는 피도장체에 스프레이 분사 방식을 통해 도료를 분사시켜 도장을 실시할 수 있는 스프레이 도장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닥판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면과 상면이 개구된 함체를 설치하고 상면 개구부는 상판을 분해 조립가능하게 설치되는 속이 빈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 양측 저면을 각각 받쳐주어 상기 본체가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지지체와; 상기 본체 의 중앙에서 가로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양단부는 고정구를 통해 함체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이 가이드 봉과; 전,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블록 연결봉의 일단부를 각각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과; 일측 지지체에 고정 설치되어 건의 좌우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한 쌍의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가 설치된 지지체 상방부의 함체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타이밍벨트를 통해 상기 서보 모터의 풀리들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전동 풀리와; 상기 전동 풀리들과 일체로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 풀리와; 타측의 함체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상태에서 타이밍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 풀리들과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는 한 쌍의 아이들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아이들 풀리에 회동 가능하게 권취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의 저면에 고정되어 서보 모터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가이드 봉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모터동력을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에 직접 전달하는 한 쌍의 타이밍벨트와; "(" 형상 및 ")" 형상으로 만곡지게 절곡된 형상을 갖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 전,후부 상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이 가이드 봉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좌,우 이동될 때 블록 연결봉을 통해 연결된 건 이동 블록이 곡선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몸체의 외측면에는 건 결합봉이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상,하부가 힌지를 통해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며 중앙에 천공된 구멍에는 상기 블록 연결봉이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구가 설치되고, 몸체의 저면은 레일 결합구를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상을 갖고 상기 서보 모터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곡선 이동하며 건 결합봉이 곡선 운동을 하도록 하는 한 쌍의 건 이동 블록과; 상기 건 결합봉의 단부에 각각 각도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건간의 이격거리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 이동 블록의 곡선 이동에 부응하여 곡선 이동하며 피도장체에 노즐을 통해 도료를 분사시켜 주는 한 쌍의 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의 전,후면 개방부에는 가이드 레일의 곡선에 대응되게 절곡한 사각 틀체형 자바라 안내구를 설치하고, 상기 자바라 안내구 내에는 자바라들을 설치하되, 상기 자바라의 양단부는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의 양측면과 안내구의 양측면 지지구에 각각 고정시켜 상기 서보 모터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각각의 건 이동 블록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곡선 이동할 때 그 위치에 부응하여 자바라가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도장용 분체 입자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단부에는 건 이동 블록의 좌,우 이동한계를 제한함은 물론 건 이동 블록이 이동한계에 도달되었을 때 해당 서보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공급방향을 반전시켜 모터의 구동방향이 반전되도록 하는 이동제한 겸 모터 구동방향 반전용 스위치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후면에는 걸림홈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레일 결합구는 종단면이 대략 "∩"형상을 갖되, 상기 레일 결합구의 전,후면 저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걸림홈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고리들이 내측을 향해 일체로 절곡 형성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제한 겸 모터 구동방향 반전용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휴대폰, 전자수첩, 또는 PDA 등과 같이 소형이면서도 그 모양이 다양한 형태를 갖는 전자제품의 케이스 등과 같은 피도장체들이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연속 이동될 때 피도장체의 상방부에서 가로방향으로 2개의 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곡선 주행을 하며 제품의 상면은 물론 측면까지 고르게 도료를 자동 분사하여 도포시켜 줄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전자제품의 상면과 외주면 및 모서리 부분에 대하여 완벽하게 도장을 할 수 있어 후 작업이 필요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수 및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정확한 분사가 이루어져 제품의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료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중간부를 절단한 요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해 도장이 실시될 때 건에 의해 도포되는 도료의 분사 영역 분포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컨베이어벨트(1)를 타고 이동하는 피도장체(2)에 스프레이 분사 방식을 통해 도료를 분사시켜 도장을 실시할 수 있는 스프레이 도장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닥판(3a)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면과 상면이 개구된 함체(3b)가 설치되고 상면 개구부에는 상판(3c)이 분해 조립가능하게 설치된 속이 빈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바닥면 양측 저면을 각각 받쳐주어 상기 본체(3)가 컨베이어벨트(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지지체(4)와;
상기 본체(3)의 중앙에서 가로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양단부는 고정구(5a)를 통해 두 함체(3b)의 내벽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이 가이드 봉(5)과;
전,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블록 연결봉(6a)의 일단부를 각각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봉(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과;
일측 지지체(4)에 고정 설치되어 건(14)의 좌우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한 쌍의 서보 모터(7)와;
서보 모터(7)가 설치된 지지체(4) 상방부의 함체(3b)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타이밍벨트(11a)를 통해 상기 서보 모터(7)의 풀리(7a)들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전동 풀리(8)와;
상기 전동 풀리(8)들과 일체로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 풀리(9)와;
타측의 함체(3b)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상태에서 타이밍벨트(11a)를 통해 상기 구동 풀리(9)들과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는 한 쌍의 아이들 풀리(10)와;
상기 구동 풀리(9)와 아이들 풀리(10)에 회동 가능하게 권취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저면에 고정되어 서보 모터(7)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가이드 봉(5)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모터의 동력을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에 직접 전달하는 한 쌍의 타이밍벨트(11b)와;
"(" 형상 및 ")" 형상으로 만곡지게 절곡된 형상을 갖고 상기 본체(3)의 바닥판(3a) 전,후부 상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이 가이드 봉(5)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좌,우 이동될 때 블록 연결봉(6a)을 통해 연결된 건 이동 블록(13)이 곡선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2)과;
몸체(131)의 외측면에는 건 결합봉(132)이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상,하부가 힌지(133a)를 통해 몸체(131)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며 중앙에 천공된 구멍(133b)에는 상기 블록 연결봉(6a)이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구(133)가 설치되고, 몸체(131)의 저면은 레일 결합구(134)를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1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상을 갖고 상기 서보 모터(7)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곡선 이동하며 건 결합봉(132)이 곡선 운 동을 하도록 하는 한 쌍의 건 이동 블록(13)과;
상기 건 결합봉(132)의 단부에 각각 각도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건(14)간의 이격거리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 이동 블록(13)의 곡선 이동에 부응하여 곡선 이동하며 피도장체(2)에 노즐을 통해 도료를 분사시켜 주는 한 쌍의 건(14);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3)의 전,후면 개방부에는 가이드 레일(12)의 곡선에 대응되게 절곡한 사각 틀체형 자바라 안내구(15)를 설치하고, 상기 자바라 안내구(15) 내에는 자바라(16)들을 설치하되, 상기 자바라(16)의 양단부는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양측면과 자바라 안내구(15)의 양측면 지지구에 각각 고정시켜 상기 서보 모터(7)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각각의 건 이동 블록(13)이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곡선 이동할 때 그 위치 변화에 부응하여 자바라(16)가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도장용 도료 분체 입자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본체(3)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양단부에는 건 이동 블록(13)의 좌,우 이동에 따른 한계를 제한함은 물론 건 이동 블록(13)이 이동한계점에 도달되었을 때 해당 서보 모터(7)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공급방향을 반전시켜 모터의 구동방향이 반전되도록 하는 이동제한 겸 모터 구동방향 반전용 스위치(17)로써 마이크로 스위치(17)들을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전,후면에는 걸림홈(12a)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레일 결합구(134)는 종단면이 대략 "∩"형상을 갖되, 상기 레일 결합 구(134)의 전,후면 저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걸림홈(12a)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고리(134a)들이 내측을 향해 일체로 절곡 형성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베이어벨트(1)를 타고 이동하는 피도장체(2)에 스프레이 분사 방식을 통해 도료를 분사시켜 도장을 실시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크게 본체(3)를 포함하여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지지체(4), 가이드 봉(5), 한 쌍의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 서보 모터(7), 전동 풀리(8), 구동 풀리(9), 아이들 풀리(10), 타이밍벨트(11a,11b), 가이드 레일(12), 건 이동 블록(13) 및 건(14)으로 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지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3)는 평면이 대략 장구 형상을 갖도록 절단 형성한 바닥판(3a)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면과 상면이 개구된 함체(3b)를 설치하고 상면 개구부에는 상판(3c)이 분해 조립가능하게 설치된 속이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지지체(4)들은 본체(3)의 바닥면 양측 저면을 지면으로부터 각각 받쳐주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본체(3)가 컨베이어벨트(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봉(5)은 본체(3)의 중앙에서 가로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부들이 고정구(5a)를 통해 두 함체(3b)의 내벽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봉(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은 각각 전면과 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후 술하는 건 이동 블록(13)과 각각 결합되는 블록 연결봉(6a)들의 일단부가 고정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서보 모터(7)들은 일측 지지체(4)에 고정 설치되어 건(14)의 좌우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보 모터(7)는 전원전압의 공급방향에 부응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을 포함하여 건 이동 블록(13) 및 건(14)의 이동경로를 반전시켜 주게 된다.
또, 상기 전동 풀리(8)는 서보 모터(7)가 설치된 지지체(4) 상방부의 함체(3b)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타이밍벨트(11a)를 통해 상기 서보 모터(7)의 풀리(7a)들과 결합되어 서보 모터(7)의 동력을 구동 풀리(9) 측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 풀리(9)는 전동 풀리(8)들과 일체로 결합된 형태에서 타이밍벨트(11b)를 통해 서보 모터(7)들의 동력을 아이들 풀리(10)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이들 풀리(10)들은 전동 풀리(8)와 구동 풀리(9)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타측의 함체(3b)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밍벨트(11b)와 구동 풀리(9)들을 통해 전달되는 서보 모터(7)의 회동방향에 부응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풀리(9)와 아이들 풀리(10)에 회동 가능하게 권취된 타이밍벨트(11b)들은 그 상면 일부가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를 갖게 되므로 상기 서보 모터(7)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회전할 때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에 서보 모터(7)들의 동력을 직접 전달하여 상기 이동형 동력 전 달블록(6)들이 가이드 봉(5)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12)들은 평면에서 볼 때 "(" 형상 및 ")" 형상을 갖도록 절곡됨과 동시에 전,후면에는 각각 걸림홈(12a)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본체(3)의 바닥판(3a) 전,후부 상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이 가이드 봉(5)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좌,우 이동될 때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블록 연결봉(6a)과 결합된 상태를 갖는 건 이동 블록(13)이 자체의 절곡 형상에 부응하여 곡선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가이드 레일(12)에 결합되어 서보 모터(7)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곡선 이동하며 건 결합봉(132)이 곡선 운동을 하도록 하는 상기 건 이동 블록(13)은 기본적으로 몸체(131)와 건 결합봉(132) 및 회전구(133)로 구성되는데, 대략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을 갖는 몸체(131)의 외측면에는 건 결합봉(132)이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상,하부가 힌지(133a)를 통해 상기 몸체(131)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됨은 물론 중앙에 천공된 구멍(133b)에는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블록 연결봉(6a)이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구(133)가 설치되고, 몸체(131)의 저면은 레일 결합구(134)를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1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레일 결합구(134)는 종단면이 대략 "∩"형상을 갖되, 상기 레일 결합구(134)의 전,후면 저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전,후면에 형성된 걸림 홈(12a)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고리(134a)들이 내측을 향해 일체로 절곡 형성된 구성을 갖게 되므로 상기 레일 결합구(134)가 저면에 고정 설치된 건 이동 블록(13)은 상기 레일 결합구(134)의 걸림고리(134a)에 의한 걸림 작용에 의해 가이드 레일(12)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서보 모터(7)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곡선 이동하며 건 결합봉(132)이 곡선 운동을 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중인 피도장체(2)에 노즐을 통해 도료를 분사시켜 주는 건(14)들은 상기 건 이동 블록(13)의 건 결합봉(132)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건(14)은 건 결합봉(132) 상에서 각각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피도장체의 형상에 따라 도료의 분사각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또 건(14)이 고정 설치되는 건 설치구(135) 자체가 건 결합봉(132)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건 설치구(135)의 고정 위치 변경을 통해 피도장체의 크기 등에 따라 두 개의 건(14) 사이 간격 즉, 건(14)들의 이격거리를 사용자가 임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은 서보 모터(7)의 구동방향에 따라 직선 형태를 갖는 가이드 봉(5)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반면,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블록 연결봉(6a)을 통해 상호 연결된 상태를 갖는 건 이동 블록(13)은 평면상에서 볼 때 "(" 형상 및 ")" 형상으로 만곡지게 절곡 형성된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곡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과 건 이동 블록(13)의 간격은 도 3과 같이 각각 가이드 봉(5) 및 가이드 레일(12)의 중심점에 있을 때 가장 멀고, 이들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갈수록 그 거리는 점차 줄어들다가 양단부 측에 이르렀을 때 가장 가까운 거리를 가지야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12)에 결합되어 서보 모터(7)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곡선 이동하며 건 결합봉(132)이 곡선 운동을 하도록 하는 상기 건 이동 블록(13)의 몸체(131) 내측면에 상,하부가 힌지(133a)를 통해 가능하도록 회전구(133)를 설치하되, 상기 회전구(133)의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관통되는 구멍(133b)을 천공하여 이에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블록 연결봉(6a)이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하여 줌으로써 상기 가이드 봉(5)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이동 위치에 부응하여 건 이동 블록(13)이 가이드 레일(12)의 곡률에 부응하는 곡선으로 이동할 때 상기 회전구(133)가 곡선운동을 하는 건 이동 블록(13)의 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힌지(133a)를 중심으로 도 4와 같이 회전하게 됨은 물론 상기 회전구(133)의 구멍(133b)에 타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블록 연결봉(6a)이 구멍(133b)의 내부로 더 삽입되거나 빠져나오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 봉(5)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이동 위치에 부응하여 건 이동 블록(13)이 가이드 레일(12)의 곡률에 부응하는 자유롭게 곡선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건 이동 블록(13)의 몸체(131)에 힌지(133a)를 통해 축지된 회전구(133)는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되는 건 이동 블록(13)의 이동 곡률 변화에 대향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또 회전구(133)의 구멍(133b)에 타단부가 끼워진 상태를 갖는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블록 연결봉(6a)은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과 건 이동 블록(13)의 간격 간격 변화에 부응하여 회전구(133)의 구멍(133b)을 따라 더 삽입되거나 빠져나오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 봉(5)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이동 위치 변화에 부응하여 건 이동 블록(13)이 아무런 제제 없이 "(" 또는 ")" 형상으로 만곡진 가이드 레일(12)의 곡률에 부응하는 자유롭게 곡선 이동할 수 잇는 것이다.
물론, 상기 건 이동 블록(13)의 몸체(131) 외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건 결합봉(132) 역시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곡선 이동되는 건 이동 블록(13)의 각도 변화에 부응하여 변화되며 곡선 이동하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이에 결합된 건(14) 역시 곡선 이동을 하며 도 6과 같이 도료를 일정각도 및 영역 내에 분사시켜 주게 되므로 컨베이어벨트(1)를 타고 흐르는 피도장체(2)의 상면은 물론 측면과 모서리 부분까지 고르게 도료를 자동 분사하여 도포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건(14)들을 구비한 2개의 건 이동 블록(13)은 그 곡률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두 개의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두 건(14)에서 분사되는 도료의 분사 영역은 도 6과 같이 서로 상이하게 되므로 컨베이어벨트(1)를 타고 흐르며 두 개의 건(14) 하방부를 지나면서 서로 대향되는 곡선 방향으로 분사되는 도료에 의해 피도장체(2)의 상면은 물론 전,후,좌,우면 및 모서리 부분까지 완벽히 도장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건 이동 블록(13)을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곡선으로 이동시키 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3)의 전,후면을 개방시켜 줄 수밖에 없는데, 이렇게 본체(3)의 전,후면을 그대로 개방시켜 줄 경우 피도장체(2)에 도료를 분사할 때 발생되는 도장용 도료 입자는 물론 작업 장소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및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본체(3)의 내부로 유입되어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3)의 전,후면 개방부에 가이드 레일(12)의 곡선에 대응되게 절곡시킨 사각 틀체형 자바라 안내구(15)를 설치하고, 상기 자바라 안내구(15) 내에는 자바라(16)들을 설치하되, 상기 자바라(16)의 양단부는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양측면과 자바라 안내구(15)의 양측면 지지구에 각각 고정시켜 줌으로써, 상기 서보 모터(7)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각각의 건 이동 블록(13)이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곡선 이동할 때 그 위치 변화에 부응하여 자바라(16)를 자동으로 접어주거나 펼쳐주면서 상기 본체(3)의 전,후면 개방부를 자바라(16)를 통해 막아주게 되므로 도장용 도료 분체 입자 및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본체(3)의 내부로 유입되어 오염시키게 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양단부에 이동제한 겸 모터 구동방향 반전용 스위치(17)를 각각 설치하여 줌으로써 건 이동 블록(13)이 서보 모터(7)의 구동방향에 부응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던 중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이동제한 겸 모터 구동방향 반전용 스위치(17)와 접촉하게 되면 해당 서보 모터(7)에 인가되고 있는 전원전압의 공급방향을 반전시켜 모터의 구동방향이 자동으로 반전되도록 함으로써 건 이동 블록(13)의 좌,우 이동에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정확히 제한을 받게 됨은 물론 컨베이어벨트(1) 를 타고 계속적으로 이동되는 수개의 피도장체에 대하여 상면을 포함하여 전,후,좌우면 및 모서리 부분까지 빠짐없이 연속적으로 반복 도장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제한 겸 모터 구동방향 반전용 스위치(17)로는 다양한 소자를 제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제한 겸 모터 구동방향 반전용 스위치(17)로 마이크로 스위치(17)를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광센서나 근접스위치 등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장치의 구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모든 구성품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본체(3)의 가로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에 대해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두 서보 모터(7)는 전원전압이 공급되었을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설계하여 두 개의 건(14)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곡선 운동하며 피도장체(2)에 도료를 분사 도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두 서보 모터(7)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한 이유는 상기 가이드 봉(5)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되는 두 개의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컨베이어벨트(1)를 타고 계속적으로 이동 공급되는 수개의 피도장체에 대해 각각 도료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분사시켜 수 개의 피도장체 자체에 빠짐없이 연속해서 반복 도장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이들 구성품들의 동작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나 그 기능은 동일하므로 일측의 구성품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보 모터(7)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타이밍벨 트(11a)를 통해 모터의 풀리(7a)에 연결된 전동 풀리(8)와 구동 풀리(9)가 모터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그 일부가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를 갖는 타이밍벨트(11b)와 아이들 풀리(10)도 이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타이밍벨트(11b)의 일부에 저면에 고정된 상태를 갖는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이 가이드 봉(5) 상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6)의 블록 연결봉(6a)을 통해 연결된 건 이동 블록(13)이 "(" 형상 또는 ")" 형성으로 만곡지게 절곡된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곡선(즉, 호형) 괘적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건 이동 블록(13)의 건 결합봉(132)에 건 설치구()를 통해 각도 조절 및 설치 위치 가변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건(14)이 건 이동 블록(13)의 곡선 이동에 대향하여 곡선 이동하며 컨베이어벨트(1)를 타고 흐르는 피도장체의 상면은 물론 측면과 모서리 등까지 고르게 도료를 자동 분사하여 도포시켜 주게 되므로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전자제품의 상면과 외주면 및 모서리 부분에 대하여 완벽하게 도장을 할 수 있게 되어 후 작업이 전혀 필요 없음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작업자 및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도장원가를 줄인 수 있으며, 또한 정확한 분사에 의해 제품의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료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에 있어서 "(" 형상 또는 ")" 형성으로 절곡된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곡선운동을 하며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하던 건 이동 블록(13)이 가이드 레 일(12)의 우측 또는 좌측 단부에 이르러 이동제한 겸 모터 구동방향 반전용 스위치(17)가 작동하게 되면 해당 서보 모터(7)에 인가되고 있는 전원전압의 공급방향이 반전되므로 서보 모터(7)의 구동방향이 자동으로 반전되어 건 이동 블록(13)은 이전의 이동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다시 곡선을 그리며 이동하게 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중간부를 절단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해 도장이 실시될 때 건에 의해 도포되는 도료의 분사 영역 분포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컨베이어벨트 2 : 피도장체
3 : 본체 4 : 지지체
5 : 가이드 봉 6 :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
7 : 서보 모터 8 : 전동 풀리
9 : 구동 풀리 10 : 아이들 풀리
11a,11b : 타이밍벨트 12 : 가이드 레일
13 : 건 이동 블록 14 : 건
15 : 자바라 안내구 16 : 자바라
17 : 이동제한 겸 모터 구동방향 반전용 스위치
131 : 몸체 132 : 건 결합봉
133 : 회전구 134 : 레일 결합구
135 : 건 설치구

Claims (7)

  1.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동하는 피도장체에 스프레이 분사 방식을 통해 도료를 분사시켜 도장을 실시할 수 있는 스프레이 도장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닥판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면과 상면이 개구된 함체를 설치하고 상면 개구부는 상판을 분해 조립가능하게 설치되는 속이 빈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 양측 저면을 각각 받쳐주어 상기 본체가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지지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서 가로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양단부는 고정구를 통해 함체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이 가이드 봉과;
    전,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블록 연결봉의 일단부를 각각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과;
    일측 지지체에 고정 설치되어 건의 좌우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한 쌍의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가 설치된 지지체 상방부의 함체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타이밍벨트를 통해 상기 서보 모터의 풀리들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전동 풀리와;
    상기 전동 풀리들과 일체로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 풀리와;
    타측의 함체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상태에서 타이밍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 풀리들과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는 한 쌍의 아이들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아이들 풀리에 회동 가능하게 권취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의 저면에 고정되어 서보 모터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가이드 봉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모터동력을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에 직접 전달하는 한 쌍의 타이밍벨트와;
    평면상 "(" 형상 및 ")" 형상으로 만곡지게 절곡된 형상을 갖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 전,후부 상면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이 가이드 봉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좌,우 이동될 때 블록 연결봉을 통해 연결된 건 이동 블록이 곡선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블록 연결봉을 통해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과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의 상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보 모터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곡선 이동하며 건이 곡선 운동을 하도록 하는 한 쌍의 건 이동 블록과;
    상기 건 이동 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건 이동 블록의 곡선 이동에 부응하여 곡선 이동하며 피도장체에 노즐을 통해 도료를 분사시켜 주는 한 쌍의 건;으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의 전,후면 개방부에는 가이드 레일의 곡선에 대응되게 절곡한 사각 틀체형 자바라 안내구를 설치하고, 상기 자바라 안내구 내에는 자바라들을 설치하되, 상기 자바라의 양단부는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의 양측면과 안내구의 양측면 지지구에 각각 고정시켜 상기 서보 모터들의 회전방향에 부응하여 각각의 건 이동 블록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곡선 이동할 때 그 위치에 부응하여 자바라가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도장용 분체 입자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 이동 블록은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을 갖는 몸체의 외측면에는 건 결합봉이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상,하부가 힌지를 통해 상기 몸체에서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됨은 물론 중앙에 천공된 구멍에는 상기 이동형 동력 전달블록의 블록 연결봉이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구가 설치되며, 몸체의 저면은 레일 결합구를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들은 건 이동 블록의 건 결합봉 단부에 각각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건 결합봉에 결합된 건 설치구의 위치 변화를 통해 건간의 이격거리 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단부에는 건 이동 블록의 좌,우 이동한계를 제한함은 물론 건 이동 블록이 이동한계에 도달되었을 때 해당 서보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공급방향을 반전시켜 모터의 구동방향이 반전되도록 하는 이동제한 겸 모터 구동방향 반전용 스위치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후면에는 걸림홈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레일 결합구는 종단면이 "∩"형상을 갖되, 상기 레일 결합구의 전,후면 저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걸림홈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고리들이 내측을 향해 일체로 절곡 형성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겸 모터 구동방향 반전용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KR1020080080047A 2008-08-14 2008-08-14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KR100974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047A KR100974458B1 (ko) 2008-08-14 2008-08-14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047A KR100974458B1 (ko) 2008-08-14 2008-08-14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239A KR20100021239A (ko) 2010-02-24
KR100974458B1 true KR100974458B1 (ko) 2010-08-06

Family

ID=4209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047A KR100974458B1 (ko) 2008-08-14 2008-08-14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4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045A (ko) 2017-01-24 2018-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763B1 (ko) * 2011-03-16 2013-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 장치
CN108212622A (zh) * 2018-03-05 2018-06-29 无锡杰森表面处理设备有限公司 双面喷涂的高效型喷漆机
CN112958337A (zh) * 2021-05-07 2021-06-15 淄博职业学院 一种机械零件用喷漆机器人
CN115318490B (zh) * 2022-08-22 2023-09-26 上海福阜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货架托盘防水耐磨喷涂工艺
CN116603668B (zh) * 2023-07-18 2023-09-22 江苏红阳全月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五金件旋转喷涂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404A (ko) * 1978-06-30 1983-03-30 시시도 후꾸시게 기록회로
JPH0461946A (ja) * 1990-06-27 1992-02-27 Trinity Ind Corp レシプロ塗装機
KR100366371B1 (ko) 2002-03-04 2002-12-31 주식회사 로보텍 도료 분사 시스템
KR100714904B1 (ko) 2006-05-18 2007-05-04 곽문규 소형물체의 도장을 위한 도장로봇 구조체 및 도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404A (ko) * 1978-06-30 1983-03-30 시시도 후꾸시게 기록회로
JPH0461946A (ja) * 1990-06-27 1992-02-27 Trinity Ind Corp レシプロ塗装機
KR100366371B1 (ko) 2002-03-04 2002-12-31 주식회사 로보텍 도료 분사 시스템
KR100714904B1 (ko) 2006-05-18 2007-05-04 곽문규 소형물체의 도장을 위한 도장로봇 구조체 및 도장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045A (ko) 2017-01-24 2018-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239A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458B1 (ko) 곡선 주행형 스프레이 도장장치
CN204220373U (zh) 一种喷涂室和喷涂系统
CN105903615B (zh) 喷涂设备及其喷涂方法
KR101427004B1 (ko) 도장용 로봇 시스템 및 스프레이건 유닛
CN108745730B (zh) 一种双臂六轴往复喷涂机
KR101587311B1 (ko) 반송 장치 및 로봇 시스템
KR20130112677A (ko) 반송 장치 및 로봇 시스템
JP4771554B2 (ja) 液材塗布装置
CN113117942A (zh) 一种刚柔耦合并联机器人多色喷涂实验装置及喷涂方法
JP5470036B2 (ja) 作業装置および作業装置用カバー
KR20110072858A (ko) 주행형 블록 하부 도장장치
KR100378606B1 (ko) 전자파차폐 도료 및 침전성 도료 자동코팅장치
CN111085378A (zh) 一种喷油洗模一体机
JP2008289988A (ja) ガントリー型作業装置
CN210875935U (zh) 一种机械手臂喷涂设备
CN203778283U (zh) 全自动喷漆机
CN210729933U (zh) 一种自动喷涂设备
KR101476338B1 (ko) 다 자유도를 가진 고효율 자동화 도장 장치
JP2005152811A (ja) 自働化システム
CN208146266U (zh) 一种建筑钢材自动喷漆装置
JPS61216762A (ja) 塗装装置
CN214717828U (zh) 一种自动喷涂设备
CN210252827U (zh) 五轴两工位吊挂式往复喷涂机
KR101756505B1 (ko) 도장로봇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CN216543386U (zh) 机械手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