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558B1 -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558B1
KR100973558B1 KR1020070079655A KR20070079655A KR100973558B1 KR 100973558 B1 KR100973558 B1 KR 100973558B1 KR 1020070079655 A KR1020070079655 A KR 1020070079655A KR 20070079655 A KR20070079655 A KR 20070079655A KR 100973558 B1 KR100973558 B1 KR 10097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in
fixed
embroidery machine
auxiliary shaft
predetermined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372A (ko
Inventor
조경태
Original Assignee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558B1/ko
Priority to DE200810035378 priority patent/DE102008035378A1/de
Priority to JP2008203941A priority patent/JP4857318B2/ja
Priority to CN2008101354366A priority patent/CN101363178B/zh
Publication of KR2009001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22Article-, e.g. button-, feed mechanis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수기의 헤드에 부착되어 세퀸을 공급하는 세퀸 공급장치에 있어서, 헤드의 일측에 탈부착 상태로 고정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측단에 구비되고 복수의 연결체 세퀸을 각각 수납하는 세퀸릴부; 및 베이스부의 하측단에 구비되고 하나의 동력원에 의하여 상기 세퀸릴부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퀸을 소정 피치로 공급하는 공급부; 가 포함되는 특징에 의하여 구동 모터를 하나 사용하므로 세퀸 공급장치의 크기와 부피 및 제조비용을 줄이고, 생산시간을 줄이어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70079655
자수기, 모터, 메스

Description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A APPARATUS OF SUPPLYING SEQUIN EMBROIDERY MACHINE}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예에 의한 세퀸 공급장치 구성 상태 도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의 일예에 의한 세퀸 공급장치의 일측면도,
도 3 은 종래 기술의 일예에 의한 세퀸 공급장치의 다른 일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구성 상태 도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세퀸 공급장치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세퀸 공급장치의 공급부 동작상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세퀸장치 210 : 세퀸릴부
220 : 베이스부 230 : 공급부
300 : 바디부 310 : 모터부
320 : 제 1 보조축 330 : 제 2 보조축
340 : 제 1 탄지부 345 : 제 1 고정부
350 : 제 2 탄지부 355 : 제 2 고정부
360 : 요동암 370 : 제 1 암 수단
372 : 제 1 요동레버 374 : 제 1 하측 레버
376 : 제 1 밀대 378 : 제 1 핀
380 : 제 2 암 수단 382 : 제 2 요동레버
384 : 제 2 하측 레버 386 : 제 2 밀대
388 : 제 2 핀 390 : 메스
본 발명은 자수기에서 색상과 모양이 상이한 2개의 세퀸(SEQUIN)을 공급하는 것으로, 특히,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2개의 세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퀸을 공급하는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수기 중에서 세퀸(SEQUIN)을 이용하여 수놓는 장치를 세퀸 공급장치라 하고, 세퀸은 스팽글(SPANGLE) 이라고도 불리며, 직물에 재봉되어 봉착되는 것으로 다양한 색상, 크기, 모양의 장식물을 가리킨다. 세퀸장치는 자수기에 옵션(OPTION)으로 부착되고 자수기의 구동상태에 따라 동기(SYNCHRONOUS: SYNC) 상태로 동시에 구동된다.
세퀸 공급장치는 하나의 바늘로 하나의 색상 또는 모양 또는 크기의 세퀸을 직물에 재봉하는 구성이므로, 직물에 재봉되는 세퀸의 색상, 모양, 크기별로 각각 다른 세퀸 공급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일반적인 자수기를 설명하면, 바늘에 선택된 색실을 꿰고, 수틀을 이용하여 직물을 일정한 형태로 고정 및 유지시키며, 재봉기의 바늘이 상하 운동하는 상태에서 수틀을 움직이므로 직물위에 색실에 의한 소정의 무늬가 자수 놓여진다. 이러한 수틀은 펀칭(PUNCHING)된 데이터로 구동되는 X 축과 Y 축에 의하여 2 차원 평면에서 자유자재로 이송되고 지정된 소정 무늬가 자동으로 자수된다.
도 1 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일예에 의한 세퀸장치 또는 세퀸 공급장치(10)를 설명하면, 자수기 헤드부(20)의 일 측면에 베이스부(30)가 고정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일체로 구비되는 모터가 구동되어 공급부(50)에 동력을 전달하며, 동력을 전달받은 공급부(50)의 구동에 의하여 세퀸롤(60)에 일렬로 연결되어 감겨있는 세퀸이 공급되고, 공급부(50)는 일체로 구성되는 절단기능의 메스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퀸을 하나씩 절단하고 직물위에 절단된 세퀸을 공급한다. 도면 부호 40은 자수기의 바늘대를 구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주축이다.
이때, 세퀸공급장치(10)와 동기(SYNC) 상태로 구동되고, 상기 주축(40)에 의하여 구동되는 자수기 헤드부(20)의 바늘대 하단에 부착된 바늘(25)은 재봉실 또는 해당 색실로 공급된 세퀸을 직물위에 재봉하므로 봉착 또는 부착된다.
종래 기술의 세퀸 공급장치(10)는 세퀸롤(60)로부터 한 종류의 세퀸이 공급되므로, 모양, 색상, 크기가 다른 다수 세퀸을 이용하여 보다 화려한 장식을 하고 자 하는 경우 세퀸 공급장치(10)를 교체하거나, 직물을 다른 종류의 세퀸이 공급되는 세퀸 공급장치(10)가 구비된 자수기로 이동시키고 직물의 해당 X, Y 좌표값을 정확하게 일치시켜 세퀸을 자수하여야 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한 것으로 하나의 세퀸 공급장치에서 2개의 서로 다른 세퀸을 구비하고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세퀸 공급장치가 있다.
도 2 는 종래 기술의 일예에 의한 세퀸 공급장치의 일측면도이며, 도 3 은 종래 기술의 일예에 의한 세퀸 공급장치의 다른 일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세퀸 공급장치(100) 구성을 설명하면, 베이스부(110)의 상측부에 제 1 세퀸과 제 2 세퀸이 각각 장착되어 공급되는 세퀸릴부(120)가 구비된다. 베이스부(110)의 중간부분에는 제 1 세퀸이 공급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130)와 제 2 세퀸이 공급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140)가 각각 구비된다.
베이스부(110)의 하측부에는 제 1 및 제 2 세퀸을 공급받고 하나씩 절단되어 제공되도록 하는 공급부(150)가 구비된다. 공급부(150)에는 제 1 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고 제 1 세퀸이 하나씩 공급되도록 하는 제 1 암 수단(160)과, 제 2 모터(14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고 제 2 세퀸이 하나씩 공급되도록 하는 제 2 암 수단(170)이 구비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세퀸 공급장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모터(130)와 제 2 모터(140)는 자수기의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고 운 용상태가 감시된다.
일예로, 재봉기의 운용자 또는 세퀸을 재봉하기 위한 해당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직물의 지정된 위치에 제 1 세퀸을 재봉하고자 하는 경우, 재봉기의 제어부는 제 1 세퀸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 1 모터(130)를 구동하도록 제어하고, 제 1 모터(13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하므로 제 1 암 수단(160)을 움직이며, 제 1 암 수단(160)은 공급된 제 1 세퀸을 누른 상태로 유지한다.
제 1 암 수단(160)은 제 1 세퀸을 누른 상태에서 앞으로 소정 피치(PITCH) 만큼 밀어내므로, 제 1 세퀸의 소정 개수의 길이만큼 전진하고 절단기능부의 동작에 의하여 절단되어 직물에 공급된다. 이때 자수기의 바늘이 제 1 세퀸을 직물위에 재봉한다.
또한, 상기 운용자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 2 세퀸을 재봉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 2 모터(140)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제 2 모터는 구동되어 제 2 암 수단(170)을 움직이며, 제 2 암 수단(170)은 제 2 세퀸을 누른 상태에서 앞으로 소정 피치만큼 밀어내므로, 제 2 세퀸의 소정 개수 길이만큼 전진하고 절단기능부의 동작에 의하여 절단되어 직물에 공급된다. 이때 자수기의 바늘이 제 2 세퀸을 직물위에 재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제 1 모터(130)와 제 2 모터(140)를 각각 구동하므로 제1 세퀸과 제 2 세퀸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제 1 모터(130) 및 제 2 모터(140)가 각각 필요하므로, 세퀸장치의 부피와 무게가 커지고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동력 제공 기능부가 제 1 모터와 제 2 모터로 각각 구분되므로 장애발생의 가능성이 커지고, 정상운용을 위한 유지보수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에서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선택된 세퀸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특히, 하나의 양방향 제어 모터를 사용하여 제 1 세퀸과 제 2 세퀸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하나의 구동모터로 복수의 세퀸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므로 세퀸 공급장치의 크기와 부피와 제조원가를 줄이고 생산시간을 단축하여 경쟁력을 높이는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하나만 사용하므로 소모 전력이 줄어들어 운용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장애 발생 요소가 줄어들어 유지보수 시간과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자수기의 헤드에 부착되어 세퀸을 공급하는 세퀸 공급장치에 있어서, 헤드 일측에 탈부착 상태로 고정 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측단에 구비되고 복수의 연결체 세퀸을 각각 수납하는 세퀸릴부; 및 베이스부의 하측단에 구비되고 하나의 동력원에 의하여 상기 세퀸릴부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퀸을 소정 피치로 공급하는 공급부; 가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자수기의 헤드에 고정되고 제 1 및 제 2 세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소정 피치씩 공급하는 자수기에 있어서, 자수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동력을 발생하고 구동축을 좌우방향으로 선택적 구동하여 회전시키는 모터부; 모터부를 구동축이 돌출된 상태로 고정하고 제 1 보조축과 제 2 보조축을 회전상태로 고정하며 제 1 탄지부와 제 2 탄지부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가 구비되는 바디부; 모터부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좌우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요동암; 바디부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보조축과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요동암의 구동에 의하여 제 1 세퀸을 소정 피치씩 공급하는 제 1 암 수단; 바디부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보조축과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요동암의 구동에 의하여 제 2 세퀸을 소정 피치씩 공급하는 제 2 암 수단; 이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자수기의 세퀸 공급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 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구성 상태 도시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세퀸 공급장치 분해사시도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세퀸 공급장치의 공급부 동작상태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의 일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고, 잘 알려져 있는 기술 내용에 대하여서는 도면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명확하게 전달한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자수기의 세퀸 공급 장치 구성 상태를 설명하면, 자수기의 헤드에 부착되어 세퀸을 공급하는 것으로, 헤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20); 복수의 연결체 세퀸을 각각 수납하는 세퀸릴부(210);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퀸을 소정 피치로 공급하는 공급부(230); 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구성 상태를 설명하면, 자수기의 헤드에 고정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세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소정 피치씩 공급하는 자수기에 있어서, 제어에 의하여 동력을 발생하고 구동축을 좌우방향으로 선택적 구동하여 회전시키는 모터부(310); 모터부를 구동축이 돌출된 상태로 고정하고 제 1 보조축(320)과 제 2 보조축(330)을 회전상태로 고정하며 제 1 탄지부(340)와 제 2 탄지부(350)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제 1 고정부(345)와 제 2 고정부(355)가 구비되는 바디부(300); 모터부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좌우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요동암(360); 바디부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제 1 보조축과 일체로 구성되고 요동암의 구동에 의하여 제 1 세퀸을 소정 피치씩 공급하는 제 1 암 수단(370); 바디부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제 2 보조축과 일체로 구성되고 요동암의 구동에 의하여 제 2 세퀸을 소정 피치씩 공급하는 제 2 암 수단(380); 이 포함되어 구성이다.
또한, 모터부(310)는 자수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해당 구동축(315)에 일체로 고정되는 요동암(360)을 좌우의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암 수단(370)은, 바디부(300)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제 1 보조축(320); 제 1 보조축(320)에 고정되고 요동암(360)의 구동력을 인가받는 제 1 요동레버(372); 제 1 보조축에 고정되고 제 1 요동레버에 인가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하측 레버(374); 제 1 하측 레버에 회전상태로 고정되고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제 1 세퀸을 소정 피치씩 이동시키는 제 1 밀대(376); 및 제 1 밀대를 제 1 하측 레버와 회전상태로 고정하는 제 1 핀(378); 제 1 보조축에 회전상태로 고정되고 바디부(300)의 제 1 고정부(345)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 제 1 요동레버(372)에 탄지력을 인가하는 제 1 탄지부(340); 가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암 수단(380)은, 바디부(300)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제 2 보조축(330); 제 2 보조축(330)에 고정되고 요동암(360)의 구동력을 인가받는 제 2 요동레버(382); 제 2 보조축에 고정되고 제 2 요동레버에 인가된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하측 레버(384); 제 2 하측 레버에 회전상태로 고정되고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제 2 세퀸을 소정 피치씩 이동시키는 제 2 밀대(386); 및 제 2 밀대를 제 2 하측 레버와 회전상태로 고정하는 제 2 핀(388); 제 2 보조축에 회전상태로 고정되고 바디부(300)의 제 2 고정부(355)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 제 2 요동레버(382)에 탄지력을 인가하는 제 2 탄지부(350); 가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300)의 하측에는 장공이 2개 형성되고 제 1 스토퍼(347)와 제 2 스토퍼(357)가 각각 삽입되며 뒤측에서 나사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세퀸롤을 2개(DOUBLE 또는 DUAL) 구비하고 선택된 세퀸을 직물에 공급하기 위하여서는 각각의 세퀸을 소정 피치씩 공급하도록 구동하는 모터(MOTOR)를 2개 구비하여야 하므로 세퀸 공급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가격이 비싸지며, 장애 발생 요인이 많아지고, 유지보수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하나의 모터로 선택된 하나의 세퀸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 기술이다.
도 4의 본 발명에 의한 세퀸릴부(210)는 일렬 연결된 상태로 각각 감겨져 있는 제 1 세퀸과 제 2 세퀸이 각각의 해당 롤과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부 등에 의하여 제 1 암 수단(370)과 제 2 암 수단(380)의 하단부에 각각 공급된다. 즉, 세퀸릴부(210)가 공급하는 각각의 세퀸은 베이스부(220)에 구비된 가이드 장치들이 형성하는 경로(PATH)를 통하여 공급부(230)의 제 1 암 수단(370)과 제 2 암 수단(380)에 각각 공급된다.
모터부(310)는 자수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으로, 구동축(315)을 우측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좌측 또는 왼쪽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회전시킨다. 모터부(310)는 공급부(230)의 바디부(300)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구동축이 돌출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 체결된다.
도 5 를 참조하면, 모터부(310)가 바디부(300)에 일체로 고정되고 구동축(315)은 관통된 홀을 통하여 돌출된 구성상태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구동축(315)에 요동암(360)이 삽입 고정된다. 또한 바디부(300)의 구동축(315) 위치 좌우측에는, 제 1 보조축(320)과 제 2 보조축(330)이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회전상태로 고정된다.
바디부(300)의 제 1 보조축(320) 옆에는 제 1 고정부(345)가 형성되어 제 1 탄지부(340)의 일측 끝단을 고정하고, 제 1 탄지부(340)는 제 1 보조축에 감긴 상태에서 탄지력을 제 1 요동레버(372)에 인가하므로 제 1 요동레버가 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제 2 보조축(330) 옆에는 제 2 고정부(355)가 형성되어 제 2 탄지부(350)의 일측 끝단을 고정하고, 제 2 탄지부(350)는 제 2 보조축(330)에 감긴 상태에서 탄지력을 제 2 요동레버(382)에 인가하므로 제 2 요동레버가 상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제 1 보조축(320)에는 제 1 요동레버(372)가 삽입 고정되는 동시에 제 1 탄지부(340)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탄력을 받는다. 또한, 제 1 보조축(320)에는 제 1 하측 레버(374)가 삽입 고정되며, 제 1 하측 레버(374)의 끝단에는 제 1 핀(378)에 의하여 제 1 밀대(376)가 회전상태로 고정된다. 제 1 하측 레버(374)와 제 1 밀대(376) 사이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스프링(SPRING)이 내삽되어 제 1 밀대(376)가 하방향으로 탄지 되도록 하므로, 공급되는 제 1 세퀸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되고, 제 1 밀대(376)는 제 1 스토퍼(347)에 의하여 정지하므로 제 1 탄지부(340)로부터 인가되는 탄지력을 제한한다.
이와 동시에, 제 2 보조축(330)에는 제 2 요동레버(382)가 삽입 고정되는 동시에 제 2 탄지부(350)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탄력을 받는다. 또한, 제 2 보조축(330)에는 제 2 하측 레버(384)가 삽입 고정되며, 제 2 하측 레버(384)의 끝단에는 제 2 핀(388)에 의하여 제 2 밀대(386)가 회전상태로 고정된다. 제 2 하측 레버(384)와 제 2 밀대(376) 사이에도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스프링이 내삽되어 제 2 밀대(386)가 하방향으로 탄지 되도록 하므로, 공급되는 제 2 세퀸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되고, 제 2 밀대(386)는 제 2 스토퍼(357)에 의하여 정지하므로 제 2 탄지부(350)로부터 인가되는 탄지력을 제한한다.
즉, 제 1 탄지부(340)에 의하여 제 1 보조축(320)에 고정되는 제 1 요동레버(372)를 하방향으로 탄지하고, 제 1 보조축(320)을 중심으로 삽입 고정되는 제 1 하측 레버(374)는 우측방향으로 탄력을 받으므로, 제 1 밀대(376)는 하부에 눌려져 있는 제 1 세퀸을 도면에서 우측방향인 앞쪽으로 밀어, 즉, 제 1 세퀸을 소정 피치씩 전진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상태가 되는 동시에 제 1 스토퍼(347)에 의하여 앞쪽으로 밀리는 범위가 제한된다. 제 1 스토퍼(347)는 기역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일측 부위가 바디부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고 뒷면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가 체결되어 고정되며, 제 1 밀대가 스톱 또는 정지할 위치의 조정, 즉, 피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장공을 따라 위치 변경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 2 탄지부(350)에 의하여 제 2 보조축(320)에 고정되는 제 2 요동레버(382)를 상방향으로 탄지하고, 제 2 보조축(330)을 중심으로 삽입 고정되는 제 2 하측 레버(384)는 우측방향으로 탄력을 받으므로, 제 2 밀대(386)는 하부에 눌려져 있는 제 2 세퀸을 도면에서의 우측방향인 앞쪽으로 밀어, 즉, 제 2 세퀸을 소정 피치씩 전진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상태가 되는 동시에 제 2 스토퍼(357)에 의하여 앞쪽으로 밀리는 범위가 제한된다. 제 2 스토퍼(357)는 바디부(300)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고 뒷면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하여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며, 제 2 밀대가 스톱 또는 정지할 위치, 즉, 피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장공을 따라 위치 변경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수기의 제어부로부터 해당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모터부(310)가 오른쪽(우측)으로 회전하는 구동력을 발생하거나 또는 왼쪽(좌측)으로 회전하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경우, 모터부(31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구동축(315)에 삽입 고정되는 요동암(360)은 제 1 요동레버(372)를 오른쪽으로 밀거나 또는 제 2 요동레버(372)를 왼쪽으로 밀어낸다.
일예로, 모터부(310)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축(315)에 고정된 요동암(360)이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1 요동레버(372)는 오른쪽으로 이동하지만, 제 1 하측 레버(374)는 왼쪽으로 이동하므로 제 1 밀대(376)는 제 1 세퀸의 소정 피치만큼 뒤편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부(310)의 구동이 정지 되어 요동암(360)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제 1 탄지부(340)의 탄력에 의하여 제 1 요동레버(372)가 도면에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1 하측 레버(374)는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 1 하측 레버(374)의 끝단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제 1 밀대(376)가 눌려져 있는 제 1 세퀸을 설정된 소정 피치만큼 도면에서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앞쪽으로 공급한다. 이때 구동에 의한 작용관계를 상세히 설명하지 않은 메스(MESS)(390)에 의하여 공급된 제 1 세퀸이 바늘대와 연동 상태로 구동되는 메스(390)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 개수만큼 절단되고 직물의 지정된 X, Y 위치에 공급된다. 메스(390)의 구동 및 작용 관계를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고 설명하지 않은 것은 본 발명의 주요 기능부가 아니고 설명을 간단하게 하여 요부의 혼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른 일예로, 모터부(310)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축(315)에 고정된 요동암(360)이 도면에서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제 2 요동레버(382)는 왼쪽으로 이동하지만, 제 2 하측 레버(384)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므로 제 2 밀대(386)는 제 2 세퀸의 설정된 소정 피치만큼 뒤편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부(310)의 구동이 정지되어 요동암(36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제 2 탄지부(350)의 탄력에 의하여 제 2 요동레버(382)가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 하측 레버(384)는 도면에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 2 하측 레버(384)의 끝단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제 2 밀대(386)가 눌려져 있는 제 2 세퀸을 설정된 소정 피치만큼 도면에서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앞쪽으로 공급한다. 메스(390)에 의하여 공급된 제 2 세퀸의 설정된 개수가 절단되고 직물의 지정된 X, Y 위치에 공급되는 것은 동일하다. 상기 메스(390)는 바늘대의 구동에 의하여 연동상태로 구동된다.
도 6 은 세퀸 공급장치의 공급부(230) 동작 상태를 일예로 도시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대기상태에서는 요동암(360)이 중간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재봉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부(310)가 구동되어 요동암(360)이 제 1 암 수단(370)을 구동하는 경우, 제 1 밀대(376)가 도면에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며, 요동암(360)이 중간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 1 밀대(376)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1 세퀸을 소정 피치만큼씩 공급되는 상태가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모터부(310)의 구동에 의하여 요동암(360)이 제 2 암 수단(380)을 구동하는 경우, 제 2 밀대(386)가 도면에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며, 요동암(360)이 중간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 2 밀대(386)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2 세퀸이 설정된 소정 피치만큼씩 공급되는 상태가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자수기에 제 1 및 제 2 세퀸의 2 가지 종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세퀸 공급장치에 있어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하나만 구비하고 모터의 구동방향을 제어하여 어느 하나의 세퀸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크기와 부피 및 제조비용을 줄이고 생산시간이 적게 소요되어 경쟁력이 높아지고, 구동요소가 적어지므로 유지보수 시간 및 비용 줄어드는 등의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일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 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자수기에 2개 이상 구비되는 복수의 세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퀸을 재봉하게 하는 세퀸 공급장치에 있어서, 구동 모터를 하나 사용하므로 세퀸장치의 크기와 부피 및 제조원가를 줄이고, 생산시간을 줄이어 경쟁력을 높이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세퀸 공급장치에 있어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하나만 사용하므로 소모 전력이 적게 소요되어 운용 및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장애발생 요소가 줄어들어 적은 보수비용으로 신속하게 보수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세퀸 공급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구동모터를 사용하므로 크기와 부피를 줄이는 소형이고 저가형으로 생산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자수기의 헤드에 부착되어 세퀸을 공급하는 세퀸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일측에 탈부착 상태로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단에 구비되고 복수의 연결체 세퀸을 각각 수납하는 세퀸릴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단에 구비되고 하나의 동력원에 의하여 상기 세퀸릴부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퀸을 소정 피치로 공급하는 공급부; 가 포함되며,
    상기 공급부는,
    상기 동력원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좌우방향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요동암;
    상기 바디부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제 1 보조축과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요동암의 동력에 의하여 제 1 세퀸을 소정 피치씩 공급하는 제 1 암 수단; 및
    상기 바디부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제 2 보조축과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요동암의 동력에 의하여 제 2 세퀸을 소정 피치씩 공급하는 제 2 암 수단; 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 수단은,
    상기 바디부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제 1 보조축;
    상기 제 1 보조축에 고정되고 상기 요동암의 동력을 인가받는 제 1 요동레버;
    상기 제 1 보조축에 고정되고 제 1 요동레버에 인가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하측 레버;
    상기 제 1 하측 레버에 회전상태로 고정되고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제 1 세퀸을 소정 피치씩 이동시키는 제 1 밀대; 및
    상기 제 1 밀대를 상기 제 1 하측 레버와 회전상태로 고정하는 제 1 핀; 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축에 회전상태로 고정되고 바디부의 제 1 고정부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 제 1 요동레버에 탄지력을 인가하는 제 1 탄지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암 수단은,
    상기 바디부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제 2 보조축;
    상기 제 2 보조축에 고정되고 상기 요동암의 동력을 인가받는 제 2 요동레버;
    상기 제 2 보조축에 고정되고 제 2 요동레버에 인가된 동력을 전달하는 제 2 하측 레버;
    상기 제 2 하측 레버에 회전상태로 고정되고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제 2 세퀸을 소정 피치씩 이동시키는 제 2 밀대; 및
    상기 제 2 밀대를 상기 제 2 하측 레버와 회전상태로 고정하는 제 2 핀; 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조축에 회전상태로 고정되고 바디부의 제 2 고정부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 제 2 요동레버에 탄지력을 인가하는 제 1 탄지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7. 자수기의 헤드에 고정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세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를 소정 피치씩 공급하는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자수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동력을 발생하고 구동축을 좌우방향으로 선택적 구동하여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를 구동축이 돌출된 상태로 고정하고 제 1 보조축과 제 2 보조축을 회전상태로 고정하며 제 1 탄지부와 제 2 탄지부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가 구비되는 바디부;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좌우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요동암;
    상기 바디부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제 1 보조축과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요동암의 구동에 의하여 제 1 세퀸을 소정 피치씩 공급하는 제 1 암 수단;
    상기 바디부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제 2 보조축과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요동암의 구동에 의하여 제 2 세퀸을 소정 피치씩 공급하는 제 2 암 수단; 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KR1020070079655A 2007-08-08 2007-08-08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KR10097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655A KR100973558B1 (ko) 2007-08-08 2007-08-08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DE200810035378 DE102008035378A1 (de) 2007-08-08 2008-07-30 Paillettenzuführvorrichtung in einer Stickmaschine
JP2008203941A JP4857318B2 (ja) 2007-08-08 2008-08-07 刺繍機のシークイン供給装置及び刺繍機
CN2008101354366A CN101363178B (zh) 2007-08-08 2008-08-07 刺绣机中用于供给亮片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655A KR100973558B1 (ko) 2007-08-08 2007-08-08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372A KR20090015372A (ko) 2009-02-12
KR100973558B1 true KR100973558B1 (ko) 2010-08-03

Family

ID=4027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655A KR100973558B1 (ko) 2007-08-08 2007-08-08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57318B2 (ko)
KR (1) KR100973558B1 (ko)
CN (1) CN101363178B (ko)
DE (1) DE1020080353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6860A (zh) * 2011-08-02 2011-12-21 陈展新 三金片绣并排式送片机构
KR20200065308A (ko) 2018-11-30 2020-06-09 김도완 자수기 점프 스티치 판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704B1 (ko) * 2010-07-23 2012-06-14 주식회사 미크로 멀티 스팽글 안내 장치 및 스팽글 공급 장치
CN107475934B (zh) * 2017-08-25 2023-08-08 赵连青 分片器
CN108265421B (zh) * 2018-02-10 2024-01-05 浙江博盟精工轴承有限公司 一种绣花机双连杆提升机构
CN108532149A (zh) * 2018-07-04 2018-09-14 永嘉县德宝机械有限公司 刺绣机珠子取送装置
CN111254600B (zh) * 2020-04-02 2023-08-04 丹阳德顺刺绣机械有限公司 一种带快速换底刀座组件的绣亮片装置
CN111575936B (zh) * 2020-05-20 2023-09-05 浙江信胜科技股份有限公司 实现冲针与落料孔对中的冲片装置及烫片机
CN111607918B (zh) * 2020-05-20 2023-06-13 浙江信胜科技股份有限公司 方便换色的料带送片总成及烫片机
CN113106646B (zh) * 2021-04-16 2022-02-22 绍兴柯桥区归零纺织品有限公司 一种混合型绣花面料生产工艺
CN113445224A (zh) * 2021-07-07 2021-09-28 温州欧罗华实业有限公司 一种单色排珠机构及具有该机构的绣花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735A (ko) * 2002-05-31 2003-1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세라믹 칩 안테나
KR20040010048A (ko) * 2002-07-24 2004-01-31 김태영 칼라 막의 제조방법
KR200392735Y1 (ko) 2005-05-30 2005-08-17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세퀸 공급장치
KR200410048Y1 (ko) 2005-11-10 2006-03-03 김충식 스팽글 공급제어장치
KR100614630B1 (ko) 2004-12-16 2006-08-21 김충식 자수기의 스팽글 공급장치
KR20080033885A (ko) * 2006-10-13 2008-04-17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시퀸 이송 장치 및 시퀸 바느질이 가능한 미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4287A (ja) * 1985-06-11 1986-12-15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における複数の帯状スパンコ−ルの切替え縫着装置並にその方法
JPS6452498A (en) * 1987-08-21 1989-02-28 Tokai Ind Sewing Machine Moving apparatus of span call case in sewing machine
JP2005052571A (ja) * 2003-08-07 2005-03-03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シークイン縫着装置
JP2005334330A (ja) * 2004-05-27 2005-12-08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シークイン送り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735A (ko) * 2002-05-31 2003-1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세라믹 칩 안테나
KR20040010048A (ko) * 2002-07-24 2004-01-31 김태영 칼라 막의 제조방법
KR100614630B1 (ko) 2004-12-16 2006-08-21 김충식 자수기의 스팽글 공급장치
KR200392735Y1 (ko) 2005-05-30 2005-08-17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세퀸 공급장치
KR200410048Y1 (ko) 2005-11-10 2006-03-03 김충식 스팽글 공급제어장치
KR20080033885A (ko) * 2006-10-13 2008-04-17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시퀸 이송 장치 및 시퀸 바느질이 가능한 미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6860A (zh) * 2011-08-02 2011-12-21 陈展新 三金片绣并排式送片机构
CN102286860B (zh) * 2011-08-02 2013-12-04 陈展新 三金片绣并排式送片机构
KR20200065308A (ko) 2018-11-30 2020-06-09 김도완 자수기 점프 스티치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57318B2 (ja) 2012-01-18
KR20090015372A (ko) 2009-02-12
CN101363178A (zh) 2009-02-11
CN101363178B (zh) 2012-03-21
DE102008035378A1 (de) 2009-02-19
JP2009039538A (ja)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558B1 (ko) 자수기의 세퀸 공급장치
US8596210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executable on sewing machine
US9303345B2 (en) Cutting needle rotation device and sewing machine
KR100740662B1 (ko) 시퀸 봉착 장치
CN1840763B (zh) 缝纫机的锁边宽度调整装置
JP2010213767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CN1861874B (zh) 纽扣搬送装置
US9797078B2 (en) Sewing machine
US8763544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control program
JP2006238905A (ja) ミシン及びミシンの送り調節機構
US20150184321A1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CN101225584B (zh) 用于驱动绣花机的绣花架的设备
US8746161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control program
JP2014105416A (ja) 刺繍枠移送装置及びミシン
KR101022329B1 (ko) 세퀸공급장치의 세퀸 공급 가이드 장치
JP2003038872A (ja) 飾り縫いミシン
CN100359078C (zh) 直筒型缝纫机的自动切线装置
JP2007061250A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US10000872B2 (en) Sewing machine
JP2010029390A (ja) 下糸巻回装置
KR100665306B1 (ko) 시퀸 이송장치
KR102224978B1 (ko) 정밀 자수 디자인 제어장치
US5755169A (en) Thread cutting apparatus
JPS6223101B2 (ko)
JP2009114551A (ja) 刺繍糸、糸駒及び刺繍縫製可能な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