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116B1 - 접이식 프레임 - Google Patents

접이식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116B1
KR100971116B1 KR1020100008658A KR20100008658A KR100971116B1 KR 100971116 B1 KR100971116 B1 KR 100971116B1 KR 1020100008658 A KR1020100008658 A KR 1020100008658A KR 20100008658 A KR20100008658 A KR 20100008658A KR 100971116 B1 KR100971116 B1 KR 10097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upper frame
rotation
protectiv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일선
김인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브텍
손일선
김인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브텍, 손일선, 김인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브텍
Priority to KR102010000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62K3/04Frames having a substantially horizontal top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접이식 프레임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에 포크 및 핸들바가 연결되고 후단부에 시트 포스트가 연결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에 전방스프로킷이 연결되고 후단부에 후방스프로킷이 연결되는 하부프레임;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단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전방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전방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대체로 일직선 상에 이격배치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회전면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및 제2 회전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접이식 프레임{FOLDING-TYPE FRAME}
본 발명은 접이식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회전구를 구비하는 접이식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가 대두하면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교통수단 대신에 오염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는 자전거를 사용하자는 움직임이 점차 확산되고 있고, 이에 따라 자전거 전용도로 등의 기반시설에 대한 투자도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듯, 자전거의 다양한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도시화 및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주거형태가 아파트와 같은 집단주거형태로 변화하면서 협소한 주거공간으로 인하여 자전거의 보관이 점차 어려워지고, 녹지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면서 산악용 자전거 등 야외 취미활동을 위해서는 자전거를 멀리 운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자전거는 핸들바를 통해 앞바퀴를 조향하면서 안장에 앉은 사람의 발로 밟는 힘(답력)을 페달과 크랭크 기구 및 체인을 거쳐 뒷바퀴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전거는 부피가 커져 운반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동차 등을 통한 운반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자전거 프레임의 일부를 접을 수 있어 보관 및 이동 중 그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가 개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접이식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쉽게 접고 펼 수 있는 접이식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시 큰 하중이나 외부의 충격에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접이식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접이식 프레임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에 포크 및 핸들바가 연결되고 후단부에 시트 포스트가 연결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에 전방스프로킷이 연결되고 후단부에 후방스프로킷이 연결되는 하부프레임;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단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전방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전방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대체로 일직선 상에 이격배치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회전면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및 제2 회전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전방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타단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과 나란한 평행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과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회전위치로 전환되는 제1 및 제2 지지축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이 이동할 수 있는 제1 및 제2 개방부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전방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보호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노출되는 노출위치로 전환되는 보호튜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외주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위치로 전환된 상기 보호튜브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보호튜브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고정나사산에 체결되는 튜브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일면 및 타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및 제2 이동공간을 가지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전방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및 제2 이동공간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동공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과 나란한 평행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과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회전위치로 전환되는 제1 및 제2 지지축;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공간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에 대하여 각각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탄성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삽입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쉽게 접고 펼 수 있는 접이식 프레임을 통해 자전거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해지며, 특히, 주행시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으므로, 급작스런 변형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를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전방프레임에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힌지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는 접이식 프레임을 가지며, 접이식 프레임은 상부프레임(12), 전방프레임(13), 센터프레임(14), 하부프레임(15), 그리고 후방프레임을 구비한다. 상부프레임(13)은 전후방향(도 1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포크(11) 및 핸들바(18)가 상부프레임(13)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포크(11)는 전방바퀴(도시안함)를 고정하며, 전방바퀴는 후방바퀴(도시안함)가 회전함에 따라 포크(11) 상에서 아이들 회전한다. 핸들바(18)는 포크(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주행시 운전자는 핸들바(18)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결정한다. 하부프레임(15)은 상부프레임(12)과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전방스프로킷(F)이 전단부에 설치되고 후방스프로킷(R)이 후단부에 설치된다. 전방스프로킷(F)과 후방스프로킷(R)은 구동체인(C)에 의해 연결되며, 운전자는 페달(P)을 밟아 전방스프로킷(F)을 회전시키고 전방스프로킷(F)의 회전력은 구동체인(C)을 통해 후방스프로킷(R)에 전달된다. 후방스프로킷(R)은 하부프레임(15)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방바퀴에 연결되며, 후방바퀴는 후방스프로킷(R)과 함께 회전한다.
전방프레임(13)은 상부프레임(12)의 전단과 하부프레임(15)의 전단을 연결하며, 전방프레임(13)은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배치된다. 후방프레임(16)은 상부프레임(12)의 후단과 하부프레임(15)의 후단을 연결하며,후방프레임(16)은 전방프레임(13)과 대체로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센터프레임(14)은 상부프레임(12)의 후단과 하부프레임(15)의 전단을 연결하며, 시트포스트(19)가 센터프레임(14)의 상부에 설치된다. 시트(17)는 시트포스트(19)의 상단에 설치되며, 운전자는 시트(17)에 앉아 자전거를 주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전거의 운반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는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자전거(또는 프레임)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기준선(L)을 따라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접이식 프레임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20)를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 어셈블리(20)는 상부프레임(12)의 기준선(L)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12)은 제1 및 제2 프레임(S1,S2)으로 분할된다. 힌지 어셈블리(20)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22,32), 지지부재(42), 제1 및 제2 회전구(45,47), 그리고 보호튜브(5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정부재(22,32)는 제1 및 제2 프레임(S1,S2)의 끝단에 삽입설치되며, 구 형상의 제1 및 제2 회전면(23,33)을 가진다. 제1 및 제2 회전구(45,47)는 제1 및 제2 회전면(23,33)에 대응되는 구 형상이며, 제1 및 제2 회전면(23,33)에 삽입설치되어 제1 및 제2 회전면(23,33)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지지부재(42)는 제1 및 제2 회전구(45,47)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지지축(44,46)은 지지부재(42)와 제1 및 제2 회전구(45,47)를 각각 연결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42)는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오목면(43)을 가지며, 오목면(43)은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지지부재(42)는 외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42)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튜브(50)는 원통 형상이며, 제1 및 제2 고정부재(22,32)와 지지부재(42)의 외측을 감싸는 위치('보호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튜브(50)는 제1 및 제2 프레임(S1,S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에 의해 지지부재(42)가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노출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튜브(50)는 주행시 보호위치에서 제1 및 제2 고정부재(22,32)와 결합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S1,S2)이 접히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42)의 강도를 보완한다. 즉,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프레임(S1,S2)은 지지부재(42) 및 보호튜브(50)에 의해 지지된다.
보호튜브(50)의 일측에는 복수의 고정홀들(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재(22)의 외측에는 스토퍼(25)가 제공된다. 탄성체(26))는 제1 고정부재(22)와 스토퍼(25) 사이에 설치되며, 제1 고정부재(22)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스토퍼(25)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보호튜브(50)는 보호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홀(51)에 삽입된 스토퍼(25)에 의해 위치고정되며, 스토퍼(25)는 보호튜브(50)가 노출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고정부재(32)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35)를 가지며, 고정돌기(35)와 보호튜브(50)의 후단 사이에는 탄성체(36)가 설치된다. 탄성체(36)는 보호튜브(50)가 제2 프레임(S2)을 향하는 방향(도 2를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호튜브(50)의 후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운전자가 스토퍼(25)를 누를 경우, 스토퍼(25)는 고정홀(51)로부터 이탈될 뿐만 아니라 탄성체(36)의 탄성력에 의해 보호튜브(50)는 노출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전거의 운반 및 보관을 위해 접이식 프레임을 접을 경우, 운전자는 스토퍼(25)를 눌러 보호튜브(50)를 노출위치로 전환시킨다. 이후, 제2 프레임(S2)을 제1 프레임(S1)에 대해 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회전구(45,47)가 제1 및 제2 회전면(23,33) 상에서 각각 회전하며, 제1 및 제2 지지축(44,46)은 제1 및 제2 회전구(45,47)와 함께 각각 회전한다. 제1 지지축(44)은 회전에 의해 제1 프레임(S1)과 수직을 이루며, 제2 지지축(46)은 제2 프레임(S2)의 회전에 의해 제2 프레임(S2)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1 지지축(44)과 제2 지지축(46)은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고정부재(22,32)는 제1 및 제2 개방부(24,34)를 가지며, 제1 및 제2 지지축(44,46)은 제1 및 제2 개방부(24,34)를 통해 회전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부프레임(12)을 접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전방프레임(13)에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힌지 어셈블리는 전방 프레임(13)의 기준선(L) 상에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전방 프레임(13)이 제1 프레임(S1)과 제2 프레임(S2)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힌지 어셈블리는 제1 프레임(S1)과 제2 프레임(S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전방 프레임(13)에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는 상부프레임(12)에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접이식 프레임을 접을 경우, 운전자는 보호튜브(50)를 노출위치로 전환시킨 후, 제1 프레임(S1)을 제2 프레임(S2)에 대해 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회전구(45,47)가 제1 및 제2 회전면(23,33) 상에서 각각 회전하며, 제1 및 제2 지지축(23,33)은 제1 및 제2 회전구(45,47)와 함께 각각 회전한다. 제1 및 제2 지지축(23,33)은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 프레임(S1,S2)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제1 지지축(23)과 제2 지지축(33)은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고정부재(22,32)는 제1 및 제2 개방부(24,34)를 가지며, 제1 및 제2 지지축(44,46)은 제1 및 제2 개방부(24,34)를 통해 회전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전방프레임(13)을 접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와 달리, 보호튜브(50)는 나사산을 통해 보호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2)의 외주면에 나사산(27)이 형성되며, 보호튜브(50)의 내주면에 나사산(52)이 형성된다. 보호튜브(50)가 제1 고정부재(22)를 향해 이동한 후, 회전에 의해 보호튜브(50)의 나사산(52)은 제1 고정부재(22)의 나사산(27)에 체결되며, 이로 인해 보호튜브(50)가 노출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와 달리, 제1 및 제2 고정부재(22,32)는 제1 및 제2 프레임(S1,S2)의 내부에 실장되거나 제1 및 제2 프레임(S1,S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S1,S2)은 제1 및 제2 가이드홈(G1,G2)을 각각 가지며, 제1 및 제2 고정부재(22,32)는 제1 및 제2 가이드홈(G1,G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28,38)를 가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시 제1 및 제2 프레임(S1,S2)은 보호튜브(50)를 통해 연결되며, 제1 및 제2 고정부재(22,32)와 지지부재(42)는 제1 및 제2 프레임(S1,S2)의 내부에 위치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호튜브(5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2)은 제1 프레임(S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7)과 체결되며, 이를 통해 제1 및 제2 프레임(S1,S2)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1 프레임(S1)과 제2 프레임(S2)을 연결할 경우, 제1 프레임(S1)과 제2 프레임(S2)이 직접 연결되므로, 여러 개의 구조물을 통해 연결할 경우 불가피한 백래쉬(backlash)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프레임(S1)과 제2 프레임(S2)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접이식 프레임을 접을 경우, 보호튜브(50)는 노출위치로 이동하며, 제1 및 제2 고정부재(22,32)는 제1 및 제2 가이드홈(G1,G2)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S1,S2)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고정부재(22,32)를 연결하는 지지부재(42)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제1 및 제2 프레임(S1,S2)은 절곡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힌지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지지부재(42)와 제1 및 제2 지지축(44,46)은 탄성체(S)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42)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22,32)와 각각 대향되는 면으로부터 함몰된 제1 및 제2 이동공간(48,49)을 가지며, 제1 및 제2 지지축(44,46)은 제1 및 제2 이동공간(48,49)에 삽입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들(S)은 제1 및 제2 이동공간(48,49)에 각각 실장되어 제1 및 제2 지지축(44,46)과 지지부재(42)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지지축(44,46)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A1,A2)이 가해진 경우, 탄성체들(S)은 압축변형되면서 외력(A1,A2)을 흡수할 수 있으며,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제1 및 제2 지지축(44,46)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주행 중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 힌지 어셈블리는 완충기(shock absorbe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자전거 11 : 포크
12 : 상부프레임 13 : 전방프레임
14 : 센터프레임 15 : 하부프레임
16 : 후방프레임 17 : 시트
18 : 핸들바 19 : 시트포스트
20 : 힌지 어셈블리 22,32 : 고정부재
23,33 : 회전면 24,34 : 개방부
25 : 스토퍼 26,36 : 탄성체
27 : 나사산 28,38 : 이동돌기
35 : 고정돌기 42 : 지지부재
43 : 오목면 44,46 : 지지축
45,47 : 회전구 48,49 : 이동공간
50 : 보호튜브 51 : 고정홀
52 : 나사산

Claims (7)

  1.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에 포크 및 핸들바가 연결되고 후단부에 시트 포스트가 연결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에 전방스프로킷이 연결되고 후단부에 후방스프로킷이 연결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단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전방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전방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대체로 일직선 상에 이격배치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회전면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1 및 제2 회전구;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를 서로 연결하며, 일면 및 타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일직선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및 제2 이동공간을 가지는 지지부재;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및 제2 이동공간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동공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과 나란한 평행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과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회전위치로 전환되는 제1 및 제2 지지축;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동공간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에 대하여 각각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전방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타단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과 나란한 평행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과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회전위치로 전환되는 제1 및 제2 지지축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지지축이 이동할 수 있는 제1 및 제2 개방부를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전방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보호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노출되는 노출위치로 전환되는 보호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외주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위치로 전환된 상기 보호튜브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프레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보호튜브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고정나사산에 체결되는 튜브나사산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프레임.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삽입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프레임.
KR1020100008658A 2010-01-29 2010-01-29 접이식 프레임 KR10097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58A KR100971116B1 (ko) 2010-01-29 2010-01-29 접이식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58A KR100971116B1 (ko) 2010-01-29 2010-01-29 접이식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116B1 true KR100971116B1 (ko) 2010-07-20

Family

ID=4264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658A KR100971116B1 (ko) 2010-01-29 2010-01-29 접이식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1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3639A (zh) * 2013-01-30 2013-07-24 黄士维 可调式车架上管的辅助折迭装置
CN104787199A (zh) * 2015-05-06 2015-07-22 杨寿勇 一种全减震折叠自行车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686Y1 (ko) * 1983-03-18 1985-04-22 김원학 자전거 후레임의 절첩장치
JPH0618186U (ja) * 1992-08-18 1994-03-08 守弘 斎藤 折り畳み式自転車
KR200160820Y1 (ko) * 1997-06-02 1999-11-15 강태신 절첩식 자전거
KR20010060820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전계방출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9215A (ko) * 2000-10-27 2003-07-07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방법
KR200359215Y1 (ko) * 2004-05-17 2004-08-21 계 홍 강 청소용 세척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686Y1 (ko) * 1983-03-18 1985-04-22 김원학 자전거 후레임의 절첩장치
JPH0618186U (ja) * 1992-08-18 1994-03-08 守弘 斎藤 折り畳み式自転車
KR200160820Y1 (ko) * 1997-06-02 1999-11-15 강태신 절첩식 자전거
KR20010060820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전계방출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9215A (ko) * 2000-10-27 2003-07-07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방법
KR200359215Y1 (ko) * 2004-05-17 2004-08-21 계 홍 강 청소용 세척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3639A (zh) * 2013-01-30 2013-07-24 黄士维 可调式车架上管的辅助折迭装置
CN103213639B (zh) * 2013-01-30 2015-11-11 黄士维 可调式车架上管的辅助折叠装置
CN104787199A (zh) * 2015-05-06 2015-07-22 杨寿勇 一种全减震折叠自行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9301T3 (es) Bicicleta plegable.
US20110193313A1 (en) Foldable bicycle
US9896148B2 (en) Collapsible two-wheeled vehicle
KR101473181B1 (ko) 접이식 자전거
KR100908789B1 (ko)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US7490843B2 (en) Front end lateral suspension
JP2558257Y2 (ja) 自転車用フレームのダンパー機構
KR100971116B1 (ko) 접이식 프레임
TW422794B (en) Bicycle shock-absorbing device
ES2750620T3 (es) Bicicleta de flexión ajustable
KR101286225B1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JP2006143188A (ja) 自転車用サスペンション・アセンブリ
JP2006103474A (ja) 電動自転車
KR101740038B1 (ko) 자전거 프레임
CN102328716B (zh) 一种便携式自行车
CN210822580U (zh) 三轮滑板车
TWI496711B (zh) 具有腳踏桿收合機構之跨坐型車輛
KR101523556B1 (ko) 승마효과를 갖는 접이식 점핑 자전거
JPH09290790A (ja) 自転車用フレーム
JP3048695U (ja) 自転車後部フレームの緩衝装置
JP2015163813A (ja) 衝撃吸収装置、及び衝撃吸収装置を備えた自転車
IT201900015482A1 (it) Veicolo, in particolare di tipo ciclistico, in special modo sottoforma di una bicicletta
KR20090049675A (ko) 뒷바퀴 접이식 자전거
KR101305315B1 (ko) 차량의 틸팅 및 조향장치
KR100758311B1 (ko) 후륜완충구를 갖는 삼륜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