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826B1 -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826B1
KR100970826B1 KR1020080063031A KR20080063031A KR100970826B1 KR 100970826 B1 KR100970826 B1 KR 100970826B1 KR 1020080063031 A KR1020080063031 A KR 1020080063031A KR 20080063031 A KR20080063031 A KR 20080063031A KR 100970826 B1 KR100970826 B1 KR 100970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herosclerosis
bdr
vascular
mic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963A (ko
Inventor
이호섭
강대길
이윤정
김성연
문미경
이안숙
김은주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8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대황, 후박, 목단피 및 감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이하 ‘ BDR-38’ 이라 함 )은 세포유착분자들인 VCAM-1, ICAM-1, E-셀렉틴(selection)의 감소효과, 혈액암세포의 혈관내피세포와의 세포부착율 감소효과, 혈관염증인자인 NF-kB, p65, p-IkB의 억제 또는 죽상경화증을 유도한 마우스 및 유전자 조작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 실험에서 죽상경화 억제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대황, 후박, 목단피, 감초, BDR-38, 혼합 조성물, 죽상경화, 혈관 병증, 혈관 질환

Description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mixed herbal extrac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ascular disease}
본 발명은 대황, 후박, 목단피 및 감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Business Communication Co. Inc 시장조사 보고서
[문헌 2] Ross and Glomset, New England Jounal of Medicine 295, 369-377(1976)
[문헌 3] Keys, A., Circulation, 41 (Suppl), 1, 1970 The Lipid Research Clinic Program, JAMA, 251-365, 1981 및 The Expert Panel, Arch , Intern , Med., 148, 36 (1988)
[문헌 4] Newby A, C, et al., J. Pathol, 190, 300-399, 2000
[문헌 5] Kenagy R, D, et al., Arterioscler , Thromb , Vasc , Biol, 16, 1373-1382, 1996
[문헌 6] Fitzgerald M, et al., Atherosclerosis, 145, 97-106, 1999
[문헌 7] Herber D., Curr , Atheroscler , Rep, 3, 93-96, 2001
[문헌 8] Yoshie F, et al., Pharmacol , Res, 43, 481-488, 2001;
[문헌 9] Kim B, J, et al., Int , Immunopharmacol, 3, 723-734, 2003
[문헌 10] Joseph chang., Biochem , phama, 59, 211, 2000
[문헌 11] 중약대사전;정당출판사
[문헌 12] Quantitation of Recombinant Hirudin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yun joo choi;yakhak Hoen Vol 41 No. 1
[문헌 13] Diagnostic Significance of Cytotoxic Genes Expression by Western blotting of Serum i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Dae in Kim; korean juournal of life science Vo;.10. No.6. 630~639,2000
[문헌 14] Comparison of Direct RT-PCR, Cell Culture RT-PCR and Cell Culture IFA for Viability and Infectivity Assay of Cryptosporidium ;sang jung Park ;Journal of Life Science 2006 Vol. 16. No. 5. 729~733
[문헌 15] The Effects of Diesel Exhaust Particulates and Particulate Matters on the ICAM-1 and VCAM-1 Expression in the Lung of Asthma-incuced Mouse ; Journal of Life Science 2007 Vol. 17. No. 3. 396~401
[문헌 16] Regulatory effect of chinese herbal compound for detoxifying and actibating blood corculation on expression of NF-kappaB and MMP-9 in aorta of apolipoprotein E gene knocked -out mice.Zhongguo Zhong Xi Yi Jie Ge Za Zhi. 2007 jan;27(1):40-4
[문헌 17] Atherosclerosis and the protective role palyed by different proteins in apolopoprotein E-deficient mice. Fabrizio Rodella L..acta Histochem. 2007;109(1): 45-51
식생활이나 문화활동이 점차 서구화로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성인병은 이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성인병의 대표적인 질환인 심혈관계 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로 연간 4,500만 명이 발병하고 있으며, 세계200대 처방 중 44개가 심혈관계 치료제로 전체의 22%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 2004). 또한 심혈관계 치료시장의 세계 시장 규모가 2003년도에는 526억불이었으며, 2012년도에 예상되는 세계시장 규모는 약 966억불로 추정되고 있다(Business Communication Co. Inc 시장조사 보고서).
동맥벽이 비후하고 굳어지는 것을 칭하는 동맥경화증은 미국과 대부분의 서구화된 사회에서 사망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죽상경화증은 동맥경화증의 한 형태이며, 큰 동맥의 질환이고, 관상동맥질환, 대동맥류, 하지의 동맥질환의 대부분은 이것이 원인이며, 뇌혈관질환에 있어서도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죽상경화증은 미국에 있어서 65세 이상이건 이하이건 남녀를 불문하고 다른 어떤 질환보다도 높은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동맥성 질환인 죽상동맥경화증은 미합중국 및 서구 유럽에서 주된 사망의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죽상동맥경화증 및 폐색성 심장질환에 이르는 병리학적 과정이 문헌[Ross and Glomset, New England Jounal of Medicine 295, 369-377(1976)]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과정의 제일 처음 단계는 경동맥, 관상 및 대뇌동맥, 및 대동맥에 지방선조(플라크)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 다음, 이들 은 섬유성 플라크를 성장시키며, 상기 플라크는 지질로 채워지고 세포의 지질, 콜라겐, 엘라스틴 및 프로테오 글리칸으로 둘러싸인 축적된 혈관내막 평활근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포와 매트릭스는 보다 깊이 침착된 세포 조직 파편과 보다 많은 세포 지질을 덮는 섬유성 캡을 형성한다. 상기 지질은 주로 유리되어 있고 에스테르화된 콜레스테롤이다. 상기 섬유성 플라크는 서서히 형성되고 곧 석회화되고 괴사성으로 되기 쉬우며, 이는 진전된 죽상동맥경화증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근육 경련 및 벽 혈전증을 일으키는 경향 및 동맥 폐색증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병변을 촉진시킨다.
통계학적 증거는 고지혈증 및 고혈압이 죽상동맥 경화증을 일으키는 1차적인 위험 인자임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죽상동맥경화증의 치료는 식이요법 또는 약물학적 수단에 의해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억제시키려는 시도로 접근하였다. 세심한 식이요법을 엄격하게 고수하고, 약물 또는 이상적인 우회적 수술로 혈장 지질을 감소시키고, 음식물 또는 약물로 전신 혈압을 강하시킴으로써 죽상동맥경화증의 발병률을 감소시키는데 약간의 성공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관상 심장 질환은 그의 위험 인자를 억제시키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려가 남는다. 미합중국의 모든 사람들은 어느 정도의 죽상동맥경화증을 앓고 있다고 추측되었었다. 이러한 사실은, 높은 관련 사망율 및 기존 치료방법의 부적당성과 함께 죽상동맥경화 치료제의 필요성을 입증한다.
죽상경화증이 있는 사람들한테서는 여러 가지의 조건과 생활습성이 일반 인구집단에서보다 더 자주 발견된다. 이들 요인들을 위험요인이라 부른다. 65세 미만 으로서 죽상경화증에 이환된 사람들의 대다수는 나이를 먹었다는 것 이외에 다른 위험요인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수 있다. 위험요인이라는 개념은 적어도 하나의 위험요인을 가진 사람은 그런 것이 없는 사람보다 죽상경화증에 의한 임상적 사건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의 위험요인이 있다면 죽상경화증이 더욱 촉진될 것이다. 미국 사람들에 혈증, 고혈압, 그리고 흡연이 죽상경화증을 일으키는데 가장 강력한 요인이 된다. 위험요인들은 또한 예방적 관리를 위한 현재의 기술로서 원상으로 회복될 수 있느냐 하는 점에서 각각 다르다. 현재로는 연령, 성별 그리고 유전적 요소는 불가역적인 위험요인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한편 금연과 고혈압의 치료로서 이들 요인으로 발생하는 죽상경화증의 높은 위험성을 제거시킬 수 있다는 증거가 계속 나타나고 있다. 여러 대형 병원이 참여한 하나의 중요한 실험에서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치료하면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이 감소된다는 것이 증명된 바 있다. 이들 위험요인들은 각기 독립적인 것이 아니고 분명히 상호작용한다. 예를 들어 비만증, 특히 복부 비만증(요부/둔부 둘레 비율로 평가되는)은 고혈압, 고혈당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그리고 낮은 고밀도 지단백 농도 등과 원인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전적 요인이 동맥벽 세포의 구조와 대사에 직접 영향을 행사하는 역할을 하거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그리고 비만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작용할지도 모른다. 가령은 죽상경화증 발생에 관계되는 보다 복잡한 요인으로 보이는데 죽상경화증의 많은 위험요인들, 즉 높은 혈압, 고혈당, 그리고 고지혈증이 노화와 관계되기 때문이다. 죽상경화 생성에 있어서 내재적 노화가 관계될 가능성에 추가하여 여러 가지 관련되는 대사 요인이 역시 연령-의존형이다.
특히 40대 중반 층에서 호발하며 대표적인 선진국병으로 알려진 고지혈증 (hyperlipidemia) 역시 가장 흔한 성인병 중에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동맥경화증의 주요 원인이 되며 협심증, 심근경색 및 뇌졸중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고지혈증은 일반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이 240 mg/dl 이상인 경우를 일컬으며, 정상 수치인 200 mg/dl 이하로 낮추어야 한다고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혈액 내 지방질의 주요 구성 성분은 보통 콜레스테롤이라 부르는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triglyceride), 저밀도 지단백 (low density lipoprotein), 초저밀도 지단백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및 고밀도 지단백 (high density lipoprotein)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지혈증의 원인으로는 유전, 알코올의 섭취, 고지방 및 고칼로리 식사, 비만, 당뇨병, 간기능 장애, 갑상선 기능 장애 등으로 알려져 있다. 고지혈증은 그 자체가 질병은 아니지만, 순환기 질환의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고지혈증으로 인한 합병증의 대표적인 것이 바로 동맥경화증이다. Albrink가 1950년 중성지방(triglyceride) 혈증이 관상동맥질환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후 많은 학자들이 고지혈증과 동맥경화의 정의 상관성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동맥경화증은 동맥벽이 비후해지면서 딱딱해져 탄력성을 잃고 내경이 작아져 원활한 혈류 공급에 장애를 주는 병변으로, 대동맥으로부터 세동맥에 이르는 동맥계의 모든 부위에서 일어난다. 동맥경화의 발병요인으로는 동물실험, 역학조사, 병리학적 검토, 임상성적 등의 결과에 따라 고지혈증, 고혈압, 비만, 당뇨, 흡연 등 많은 인자가 지적되고 있다. 이 중 고콜레스테롤 혈증 이 중요한데, 이 혈중 콜레스테롤은 관상동맥경화증의 발생빈도, 심근경색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보고는 콜레스테롤 섭취가 많은 국가에서 관상동맥질환 또는 허혈성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높다는 보고 {Keys, A., Circulation, 41 (Suppl), 1, 1970 The Lipid Research Clinic Program, JAMA, 251-365, 1981 및 The Expert Panel, Arch , Intern , Med., 148, 36 (1988)} 와도 일치한다. 게다가 동맥경화의 발생 및 진행 과정에 있어서 종래에 혈관벽에 침착되어 혈관의 내경을 좁게 하고 혈관을 막게 되는 플라크 생성에 필요한 3가지 요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혈장 유래 콜레스테롤, 지방산, 지단백 등과 같은 혈중 지질이라는 점에 있어서 고지혈증과 동맥경화증에 상관성을 충분히 가늠할 수 있다.
이러한 죽상경화의 위험한 요인인 고지혈증과 동맥경화를 억제하기 위한 치료방법으로 식이요법이 행해지고 있으나, 이로 인해 개선되지 않을 경우 담즙산 결합수지, 니코티산 (nicotinic acid) 유도체류, 피브르산 (fibric acid) 유도체류, 프로부콜 (probucol) 등의 약제가 사용되어 왔다. 최근 들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HMG CoA 리덕타제 (reductase) 억제제 등이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제들은 아직까지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위장 장애와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동맥경화 치료를 위한 최근에 연구에 따르면 아연(Zn)-의존성 엔도프로테이나제 (endoproteinase)의 일종으로 세포외 기질을 분해하는 MMP (Matrix metalloprotease)-2/-9의 발현이 동맥경화병변을 유발한다(Newby A, C, et al., J. Pathol, 190, 300-399, 2000)는 보고와 함께 MMP 저해 제들이 개발되어 지난 몇 년간 류머티스 관절염, 암 및 심장혈관 질병 등 여러 질병의 세포외기질 리모델링이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다. 동맥중간층에서 분이한 동맥평활근 세포의 이주를 억제하기 위해(Kenagy R, D, et al., Arterioscler , Thromb, Vasc , Biol, 16, 1373-1382, 1996), 그리고 배양된 토끼 동맥평활근세포의 세포 증식억제와 탐식세포 조절능을 억제하기 위하여 MMP-9 억제제들이 고안되었다 (Fitzgerald M, et al., Atherosclerosis, 145, 97-106, 1999). 하지만 이러한 약물들 또한 임상에서의 효능이나 그 안전성에 대한 근거가 미미한 실정이다.
현대 한의학에서는 죽상경화증에 대해 간장과 비장 그리고 신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비장과 신장의 기운을 다스리는 것을 치료의 원칙으로 하고 있다. 죽상경화증은 혈액 중에 수습(水濕), 담탁(痰濁), 및 어혈(瘀血)과 같은 이물질이 섞여서 발생되며, 이는 간장, 비장 또는 신장이 허(虛)하고 손상되었기 때문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생약 및 한방 치료제로써 최근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374416 (고지혈증 및 협심증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에는, 해백, 과루인, 당귀, 단삼, 계지, 울금, 적작약 및 반하의 8종의 생약을 주성분으로 함유하여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생약조성물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55127 (항고지혈증 조성물)에는 상엽, 황기, 산사육, 초결명, 갈근, 단삼, 하수오, 황정, 대하엽, 구기자, 백봉령, 백출, 의이인, 및 인 진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식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고지혈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일부 천연물들이 동맥경화 억제에 사용되고 있으며 (Herber D., Curr , Atheroscler , Rep, 3, 93-96, 2001), 전통 한약자원들이 동맥경화 치료에 쓰이고 있다 (Yoshie F, et al., Pharmacol , Res, 43, 481-488, 2001; Kim B, J, et al., Int , Immunopharmacol, 3, 723-734, 2003).
대황 (大黃, Rheum palmatum)은 성질은 몹시 차며 맛은 쓰며 독은 없다. 어혈과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에 효과가 있고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열을 식혀주며, 월경이상, 혈뇨, 급성복막염, 적취, 토혈, 수종, 식적비만, 세균성 하리,퇴행성 관절염, 열병, 열이 있으면서 헛소리하는 증상, 각기, 종창, 화상 등에 사용한다(중약대사전;정당출판사).
한방에서는 기원전부터 소염성의 하제(下劑)로 쓰고 있으며 여러 가지 처방에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대황은 사하작용을 하여 혈액의 점도를 저하하므로 써 혈류를 촉진한다.
대황의 Rhein은 장의 연동운동능을 촉진하여 변비를 해소하여 변비로 인한 고점도혈증을 개선하고, Rhein-emodin, Aloe-emodin은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이질균 등에 항균작용이 강해서 염증으로 인한 혈소판 응고를 완화한다. 또한 항종양작용이 있고(Rhein, Emodin), 담즙 분비를 촉진하여 담석 배출을 쉽게 한다.
생대황의 경우 해열 진통 작용이 있으며, Na+ -K+ -ATP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이뇨작용을 한다. 간 손상을 보호하고 황달성간염을 치료하고, 또한 B형 간염에 대한 억제 작용이 있다. 급성 췌장염을 완화하고 단백효소의 분비를 억제한다. 대표적으로 항 고지혈증 작용을 한다.
후박 (厚朴, Magnolia officinalis)은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후박피(厚朴 皮)라고 한다. 성미는 쓰고 맵고 따뜻하며, 주로 작용하는 장기는 비장과 위장, 대장이다. 효능은 습기를 없애고 체기를 뚫어주는 화습도체(化濕導滯)기능과 기(氣)순환을 원활히 해주며 속을 따뜻하게 도와주는 행기온중(行氣溫中)작용이 있다. 행기의 작용이 있어 복부창만, 소화불량에 특효를 나타내고, 위장 평활근의 이상근긴장(異常筋緊張)으로 복부 팽만감이 나타나는 것을 완화한다. 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설사에 유효하며, 함유된 B-Endesmol은 항히스타민 작용으로 알려진 해수와 천식을 완화한다. 또한 아그노롤(agnolol)과 호노키올(Honokiol)의 중추흥분 진정작용에 의한 불안, 초조 등의 정신 증상을 완화한다. 그 밖에 위액분비를 억제하므로 항궤양작용, 폐렴쌍구균, 황색포도상구균, 이질간균 등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작용이 강력하다(중약대사전;정당출판사).
임상에서 후박을 사용하는데 있어 배합하는 약재에 따라 그 작용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습체(濕滯)가 있으면 창출을 배합하여 습기를 없애면서 비위를 도와주고, 기체(氣滯)가 있으면 목향을 배합하여 기(氣)순환 을 도와 통증을 없애며, 식체가 있을 때는 건강(乾薑)을 배합하여 더부룩함 과 팽만감을 없애며, 열체가 있을 때는 대황을 배합하여 열을 제거하여 체 기를 없애고, 폐기(肺氣)가 울체되어 기침을 할 경우에는 마황과 행인 등 의 약재와 배합하여 사용한다.
목단피 (牧丹皮, Paeonia suffruticosa)는 [동의보감]에서 ‘성질은 약간 차며 맛은 쓰고 매운며 독이 없다. 징가와 어혈을 없애고 여자의 월경불순, 요통을 낫게 하며, 유산시키고 태반을 나오게 하고 산후의 모든 혈병(血病), 기병(氣病)을 치료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어혈을 없애고 과로로 발생한 요통이나 관절통의 진통작용이 있다. 기타 진정작용이 있어 신경성 두통에 효과적이며, 최면, 혈압 강하작용, 다리 부종을 억제하는 작용, 항균작용이 있다(중약대사전;정당출판사).
목단피의 패놀(Paenol)이 중추신경 흥분을 억제하여 진정 작용을 하며 진통, 진경작용을 한다. 항염증작용이 있어서 장티푸스 등의 염증성 열성 질환에 사용되어 해열시키고, 위산분비 억제 작용이 있다. 또한 Chemical Mediator 유리를 억제하여 1형 알러지질환을 개선하며 항보체작용(抗補體作用), 소염작용이 강하다. 목단피에 포함된 패놀(Paenol), 패노플로린(Paenoflorin), 옥시패나프롤린(Oxypaeoniflorin)은 트롬빈(Thrombin) 생성을 억제하 및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항혈전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만성신염, 관절염 등의 3형 알러지질환(Arthus반응)에 사용된다.
감초(甘草, Radix glycyrrhizae)는 그 색이 황색에 미감하고 성평한 것을 밀자하면 기가 온성으로 변하므로 비위의 부족함을 보(補)할 수 있다. 감초의 약리작용을 살펴보면 간장에서 유독 물질과 결합, 해독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간장기능을 회복시켜 주며 약물중독,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유효하다. 그리고 진해 거담 작용도 있으며 항히스타민, 항아세칠콜린작용도 있다. 근육이나 조직의 급격한 긴장에 의하여 생기는 통증을 풀어주는 작용, 체중의 증가, 백혈구증가, 이뇨작용, 항염증작용이 있으며 특히 리퀴리틴, 리퀴리티게닌 등의 성분은 소화성궤양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동의보감>에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해소시켜 주며 72종의 석약(광물성약)과 1200종의 초약 등 서로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별명을 나라의 원로라는 뜻의 국로(國老)라고 했다. 5장 6부의 한열과 사기를 주로 다스리며 이목구비와 대소변의 생리를 정상화하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고 전신의 영양상태를 좋게 해준다." 이와 같은 기록으로 보아 감초가 결코 약방의 양념격으로 쓴 약을 달게 하여 먹기 좋게 하는 정도의 교미제 역할을 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짐작케 한다. 민간요법으로는 죽순이나 버섯류에 중독되었을 때 달여서 복용하였다. 연초에 취하였을 때, 약물중독, 기타 중독에 감초를 달여 먹으면 잘 낫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감초는 모든 중독의 해독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진해거담제, 교미 교취제, 완화제 등 한방 뿐만 아니라 신약, 민간약으로 아주 중요한 생약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 약은 미감으로 저약(儲藥)을 조화시키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약물의 열성을 완화시킨다. 즉 상한론의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에서는 이 약과 대황을 같이 사용하는데, 이는 대황의 사하력을 완화시키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최근에 미국에서는 식품보강제 (dietary supplement)에 대한 판매가 붐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현대인들이 스스로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자 하는 동기와 합성약이 지니는 한계를 인식하고 질 좋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자연적인 치료와 생약재들에 대해 많은 관심을 돌리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이적인 보강에 대한 인기에도 불구하고 약초에 대한 메커니즘, 독성, 그리고 의학적인 효과 등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기에 이에 대한 재평가와 실제적인 가치를 알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Joseph chang., Biochem , phama, 59, 211, 2000).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포유착분자들인 VCAM-1, ICAM-1, E-셀렉틴(selection) 의 감소효과, 혈액암세포의 혈관내피세포와의 세포부착율 감소효과, 혈관염증인자인 NF-kB, p65, p-IkB의 억제 또는 죽상경화증을 유도한 마우스 및 유전자 조작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 실험에서 죽상경화 억제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황, 후박, 목단피 및 감초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황, 후박, 목단피 및 감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은 대황, 후박, 목단피 및 감초의 건조중량배합비가 0.1 ~ 10: 0.1 ~ 10: 0.1 ~ 10: 0.1 ~ 10의 중량비(w/w), 바람직하게는 0.1~5: 0.1~5: 0.1~5: 0.1~5의 중량비(w/w), 더 바람직하게는 0.1~3: 0.1~3: 0.1~3: 0.1~2의 중량비(w/w)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혈관질환은 죽상경화증, 허혈성 심근경색, 협심증, 심근경색증과 같은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뇌졸중, 고지혈증, 빈혈, 편두통, 동맥 경화, 부정맥, 중풍, 혈관종, 혈관섬유종 또는 혈관기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질환, 바람직하게는 죽상경화증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대황, 후박, 목단피 및 감초의 건조중량배합비가 0.1 ~ 10: 0.1 ~ 10: 0.1 ~ 10: 0.1 ~ 10의 중량비(w/w), 바람직하게는 0.1~5: 0.1~5: 0.1~5: 0.1~5의 중량비(w/w), 더 바람직하게는 0.1~3: 0.1~3: 0.1~3: 0.1~2의 중량비(w/w)로 혼합하는 제 1단계; 이에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배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10시간 내지 50시간,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30시간 침지시킨 후, 1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추출하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추출물을 무명베를 이용하여 잡질 및 찌꺼기를 걸러주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에서 1000rpm 내지 4500rpm, 바람직하게는 2000rpm 내지 4000rpm으로 원심분리하는 제 3단계; 이를 2회 반복하는 제 4단계; 이를 여과농축 및 동결 건조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활성 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성분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활성성분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활성성분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법률(건강기능식품법)이 규정한 바에 따라, 인체 특정 질병을 예방, 그 증상의 완화, 또는 특정 질병의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인체에 투여되는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혈관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능을 갖는 복합 생약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 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첨가제”는 이미 당업계에 공지된 식품에 미량으로 첨가되는 성분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은 건강 음료,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추구하는 치료 및 예방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혈관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능을 갖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활성 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활성 성 분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 또는 그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황, 후박, 목단피 및 감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이하 ‘ BDR-38’ 이라 함 )은 세포유착분자들인 VCAM-1, ICAM-1, E-셀렉틴(selection)의 감소효과, 혈액암세포의 혈관내피세포와의 세포부착율 감소효 과, 혈관염증인자인 NF-kB, p65, p-IkB의 억제 또는 죽상경화증을 유도한 마우스 및 유전자 조작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 실험에서 죽상경화 억제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세포배양
사람 탯줄정맥 혈관내피세포 ( HUVEC ) 배양
사람 탯줄정맥 혈관내피세포 (HUVEC)를 셀-시스템즈 (cell-systems, USA)에서 구입하여 20% (w/v) 우태아혈청 (FBS, HyClone, Canada), 100 units/㎖의 페니실린 (penicillin, Invitrogen,USA), 100 ㎍/㎖의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Invitrogen, USA), 3 ng/㎖의 섬유아세포성장인자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Upstate Biotechnology, USA) 및 5 units/㎖의 헤파린을 함유한 M199배지
(Life Technologies, USA)가 담겨진 100 mm의 배양디쉬 (dish)에 접종한 후, 37℃의 5% CO2배양기에서 배양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2. 실험동물 준비
7주령 Sprague-Dawley 계통의 특정병원균 부재(Specific pathogen free, SPF)랫트를 (주)샘타코 BIO KOREA에서 구입 후 1주간의 적응기를 둔 후 체중이 유사한 랫트를 한 그룹으로 사육상자 당 5마리씩 실험에 투입하였다. 이 동물들은 인수시 및 적응기간 동인 일반증상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온도 22±2℃, 상대습도 55±10%, 조명시간 12시간(오전 6시~오후 6시) 및 조도 150~300Lux로 설정 뒤 수행하고, 방사선조사로 멸균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주)오리엔트와 정수시스템을 이요한 물(tap wqter)을 자유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 대황 , 후박, 목단피 및 감초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금호당(전주)에서 구입하여 음건 및 마쇄기로 분말화한 대황 100g, 후박 100g, 목단피 100g 및 감초 20g에 증류수 2500ml를 가하여, 24시간 침지시킨 후, 100℃에서 2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였다. 식힌 후, 무명 베를 이용하여 잡질과 찌꺼기를 걸러준 다음,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4℃ 3000rpm에서 20분간 2번 원심분리하여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분리된 맑은 상층액을 여과지(3M)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액을 동결건조기(EYELA FDU-1100)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복합 생약 추출물 47g(수율 15.6%)을 얻었고, -70℃보관하여, 정수된 깨끗한 물에 녹여 하기 실험예에 사용하였다(이하, “BDR-38" 이라 명명함).
실험예 1. 세포유착분자들( cell adhesion molecules : CAMs )의 감소효과 측정
1-1. 효소 면역 측정법( enzyme - linked immunosorbent assay )
BDR-38의 세포유착분자들(이하 ‘CAMs’이라 함)인 VCAM-1(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CAM-1(intracellular cell adhesion molecule-1) 및 E-셀렉틴(selectin)의 발현 억제 활성 측정하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효소 면역 측정법 (cell-based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Quantitation of Recombinant Hirudin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yun joo choi;yakhak Hoen Vol 41 No 1).
참고예 1의 HUVEC Cell을 1%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로) 고정한다음 ICAM-1, VCAM-1, E-셀렉틴(selectin) 항체(antibody)를 1% 탈지우유(skim milk)가 녹아있는 PBS에 1:1000으로 희석하여 실온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세포을 씻어주고 HRP(horseradish-peroxidase)-conjugated 2차 안티바디와 함께 반응시켰다. PSS를 첨가하여 ICAM-1, VCAM-1, E-셀렉틴의 발현량을 정량하였다. 37℃에서 30분간 배양한후 5N H2SO4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 시켰으며, ELISA용 플레이트(plate)는 ImmulonⅡ(96 well, Dynatech사)를 사용하였고, 모든 반응이 완료된 후에는 ELISA 리더기(EL340,Bio-Tek)로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DR-38을 농도별로 각각의 처리하였을때, CAMs의 발현이 대체적으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 150, 200μg/ml의 BDR-38를 처리하였을 때부터 VCAM-1, ICAM-1, E-셀렉틴의 발현은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1-2. 웨스턴 블롯 분석법 ( Western blot analysis )
BDR-38의 CAMs 단백질 VCAM-1(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CAM-1(intracellular cell adhesion molecule-1) 및 E-셀렉틴(selectin)의 발현 억제 활성 측정하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웨스턴 블롯 분석법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Diagnostic Significance of Cytotoxic Genes Expression by Western blotting of Serum i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Dae in Kim; korean juournal of life science Vo;.10. No.6. 630~639,2000).
참고예 1의 HUVEC 세포를 10 cm 배양용기에 3×105 개씩 세포를 부착시키고 25, 50, 100 ㎍/㎖씩 BDR-38추출물을 처리하고 1시간 후 α-MSH(100 nM)를 처리하여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모두 수거하여 용해 버퍼(lysis buffer, 1× 리파버퍼(RIPA buffer) 1 ㎖, 1 mM PMSF, 1 ㎍/㎖ 아프로티닌(aprotinin), 1 ㎍/㎖ 류펩틴(leupeptin), 2 mM DTT)로 30분간 용해시킨 후, 1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취하였다. 단백질은 브래드포드(Bradford)시약을 이용하여 정량하였고, 50 ㎍ 단백질과 2× 샘플버퍼(1 ㎖ 글리세롤(glycerol), 0.5 ㎖ β메캅토에탄올(-mercaptoethanol), 3 ㎖ 10% SDS, 1.25 ㎖ 1 M Tris-HCl, 1~2 ㎍ 브로모페놀 블루(bromophenol blue))를 동량으로 혼합한 후 7.5% SDS 폴리아크릴아미드 겔(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 하였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전이시키고 5% 무지방 탈지우유(non-fat skim milk)로 블로킹(blocking) 시킨 후,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액틴(actin), TRP-1, TRP-2의 항체(antibody)를 1:500으로 희석하여 각각 실온에서 1시간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TBST로 3회 세척한 후,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액틴(actin), TRP-1 및 TRP-2는 안티(anti)-Goat 다클론성의(polyclonal) IGg HRP conjugate 2차 항체(antibody)를 1:1000으로 희석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BST로 세척한 후 ECL 용액으로 발색 후 ChemiDoc(ChemiDoc XRS System, Bio-Rad )을 이용하여 밴드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실험결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내에서 염증유발인자인 TNF-α(Tumor necrosis factor)에 의해 CAMs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BDR-38 처리로 인하여 CAMs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도 2 및 도 3 참조).
1-3. RT - PCR ( Reverse transcription - PCR )
BDR-38의 CAMs 단백질 VCAM-1(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CAM-1(intracellular cell adhesion molecule-1) 및 E-셀렉틴(selectin)의 mRNA 발현 억제 활성 측정하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RT-PCR 방법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Comparison of Direct RT-PCR, Cell Culture RT-PCR and Cell Culture IFA for Viability and Infectivity Assay of Cryptosporidium ;sang jung Park ;Journal of Life Science 2006 Vol. 16. No. 5. 729~733).
배양실험 후에 혈관내피세포의 RNA를 상업용 트리졸 시약(Gibco BRL, Gainsberg, MD, USA)을 제조회사의 사용법에 따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RNA (5 μ g)를 Tris 완충액(50 mM Tris-HCl(pH 8.3), 75 mM KCl, 3 mM MgCl 2 ,10 mM DTT, 1 mM dNTP)에서 10,000 units 역전사효소(Promega Co., Madison, WI, USA) 및 500 μg/ mL oligo-(dT) 15 프라이머(Bioneer Co., Korea)를 넣고 42 ℃에서 50분간 역전사 과정을 실시하였다. RT-PCR은 70 ℃에서 15분간 실시한 다음 중지하였다.
VCAM-1 mRNA 증폭용 프라이머, ICAM-1 mRNA 증폭용 프라이머, β-엑틴(a housekeeping gene) mRNA 증폭용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 PCR 과정은 트리스 완충액(10 mM Tris-HCl (pH 8.3)), 25 mM MgCl 2 , 10 mM dNTP, 100 units Taq DNA 중합효소(Promega Co.), 0.1 μM β-엑틴 프라이머 및 0.1 μM VCAM-1 프라이머 또는 ICAM-1 프라이머로 94 ℃에서 1분간, 55 ℃에서 2분간 그리고 72 ℃에서 3분간씩 30번 반복 실시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5 μL)은 EtBr(0.5 μg/mL)이 함유된 1 % 아가로즈-포름알데하이드 겔 상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였으며, 겔상의 밴드들은 UV 트랜스-일루미네이터(Amersham Pharmacia Biotech., Piscataway, NJ, USA)로 가시화 시킨 후 폴라로이드 타입 667 양성/음성 필름으로 현상하였다. 또한 프라이머를 음성 대조구 시료로 RT-PCR을 동일하게 실시하여 오염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사하였다.
실험결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NF-α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세포에서는 VCAM-1과 ICAM-1 각각의 mRNA 발현이 매우 낮았으나, TNF-α 처리시 전사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BDR-38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ICAM-1 mRNA의 발현을 상당히 억제하였으며, VCAM-1 mRNA의 전사는 다소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핵구의 세포유착을 억제시키는 BDR-38은 CAMs 단백질 발현과정에서 유전자 전사단 계에 직접 작용하여 CAMs의 발현을 억제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참조).
실험예 2. 혈액암세포의 세포부착 억제 효과
U937세포를 (ATCC,Rockville,MD)에서 구입하였다. 세포 배양은 10% FBS(fetal Bovine serum),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in)이 포함된 RPMI 1640배지 (Gibco,co)에서 부유 배양하였으며,37℃,5% CO2 조건을 유지하였다. MTT분석은 RPMI-1640에 1% BSA(Bovine serum albumine)을 첨가하여 배지로 사용하였다. 준비된 single cell suspension을 U937 세포의 경우 4×10 cell/ml로 맞추고 96웰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well microtiter plate)에 150μl/well씩 넣고 44시간동안 37℃, 5% CO2조건에서 배양하고, MTT(3-(4,5-demethyl 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용액을 50μl/well씩 넣고 다시 4시간 배양하였다. 플레이트(plate)를 꺼내어 배지를 제거하고 DMSO(demetyl sulfoxide) 150μl를 넣고 용해된 포르마잔(formazan)을 비색정량하였따. 5회 반복 실험하여 그 평균치(mean± S.D.)를 구하였따. 암세포 살해능은 대조군과 실험군의 생존율(survival percent)로 표시하였다.
실험결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 A와 비교하여 TNF-α를 처리한 대조군 B는 U937의 단핵구 혈관내피세포와 백혈구 세포사이의 세포 부착에 미치는 효과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한 반면, BDR-38을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부착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실험예 3. 세포 배양액 내의 사이토카인 ( cytokines ) 측정
세포 배양액 내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허 등의 방법 (Heo et al., J. Leukoc Biol ., 79(2), pp330-338, 2006)을 이용하여 ELISA 분석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HUVEC 세포에 상기 BDR-38을 농도별로 1시간 처리한 후 TNF-α 100 ng/ml를 처리하여 18 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적절한 농도로 희석한 후, 사이토카인으로 코팅된 96웰 플레이트에 50 ㎕씩 첨가하여 4℃에서 오버나이트시켰다. 워싱 완충액 (washing buffer)로 3회 세척하고 100 ㎕의 비오티닐화 항체 반응액 (biotinylated antibody reagent)를 각각의 웰에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3회 세척한 다음, 100 ㎕의 스트렙타비딘-HRP 용액 (streptavidine-HRP solution)을 각각의 웰에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다시 세척 완충용액 (washing buffer)로 3회 세척하였다. 여기에 di(2-ethylhexyl)-2,4,5-trimethoxybenzalmalonate (TMB) 기질을 100 ㎕씩 처리하여 5-30분간 반응시킨 후 100 ㎕의 반응 정지용액 (stop solution)을 처리한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역 세포에서 염증 기전에 관여하는 가장 중요한 전사인자 중 하나인 NF-κB(nuclear factor kappa B)p65의 발현을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과 TNF-α가 처리된 대조군과 비교시, TNF-α에 의해 핵 부분의 NF-κBp65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것은 세포질에서 핵 부분으로 이동되었음을 의미한다. 반면, BDR-38을 농도별로 처리시 NF-κBp65의 발현이 감소됨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핵 부분으로 이동이 억제됨을 의미한다(도 6A 참조). 또한, p-IkB는 NF-kB p65의 발현과 마찮가지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6B 참조).
실험예 4. 죽상경화증을 유발한 실험동물의 생리적검사 혈관병변 측정
4-1. 혈관의 조직학적 변화
죽상경화증을 유도한 실험동물의 혈관의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쥐를 CO2 가스로 마취시키고 통해 얻은 혈관조직을 4%PFA(paraformaldehyde) 5시간 고정하고 30% 수크로스(sucrose)에 하루 담근후 OCT 화합물(compound)로 처리하여 얼린후 4μm 두께로 박절하였다. 절편은 PBS(siological salt solution)로 수화하고 내인성 과산화효소(peroxidase)를 불활성화 시키기 위해 0.3%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를 가해 PBS 용액에 담가 실온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다음 단계로 블로킹 용액(Blockings solution)으로 30분간 차단하였다. 처리한 조직을 일차항체로 ATH를 사용하여 4℃에서 18시간동안 처리하여 염색하고 PBS로 세척한후 비오티닐화 안티-마우스 항체(Biotinylated anti-mouse second antibody)로 실온에 서 15분간 배양한 뒤, PBS로 5분간 3차례씩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효소 결합체로 실온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PBS로 5분간 3차례씩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AEC(3- amino-9-ethyl carbazole) 크로모젠(chromogen)으로 발색시킨 뒤 D.W로 5분간 3차례씩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메이어 헤마토실린(Mayer Hematoxyline)으로 대조 염색후 젤라틴 마운탄트(Gelatin mountant)로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히스토스테인(Histostain) SP kit(Zymed LABSA detection system, USA)를 사용하였다. 염색된 모든 조직표본은 저배율(200배 시야)로 관찰 하면서 각각의 슬라이드에서 염색이 잘 된 부분을 선택하여 고배율(1000배 시야)에서 관찰하여, 전체 시야에서 10% 이상 항체에 염색이 되었을 경우를 양성으로, 10%이하이거나 염색이 안된 경우를 음성으로 나타내었다. 판정 기준은 정상 상피 조직에서의 항체에 대한 염색 정도를 고려하여 10%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ATH만을 처리한 죽상경화증이 유발된 마우스의 혈관은 매우 손상된 양상을 보이는 반면, 대황 및 목단피가 처리된 혈관은 손상의 정도가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BDR-38을 처리된 혈관은 정상군과 같은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참조).
4-2. ICAM -1 발현 변화
죽상경화증을 유도한 실험동물의 염증 유발에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문헌에 기재된 실험방법으로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The Effects of Diesel Exhaust Particulates and Particulate Matters on the ICAM-1 and VCAM-1 Expression in the Lung of Asthma-incuced Mouse ; Journal of Life Science 2007 Vol. 17. No. 3. 396~401).
쥐를 CO2 가스로 마취시키고 혈관조직을 4%PFA(paraformaldehyde) 5시간 고정하고 30% 수크로스에 하루 담근후 OCT 화합물로 처리하여 얼린후 4μm 두께로 박절하였다. 절편은 PBS(siological salt solution)로 수화하고 내인성 과산화효소(peroxidase)를 불활성화 시키기 위해 0.3% 과산화수소를 가해 PBS 용액에 담가 실온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다음 단계로 블로킹 용액으로 30분간 차단하였다. 처리한 조직을 일차항체로 ICAM-1을 사용하여 4℃에서 18시간동안 처리하여 염색하고 PBS로 세척한후 비오티닐화 안티-마우스 2차 항체로 실온에서 15분간 배양한 뒤, PBS로 5분간 3차례씩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효소 결합체로 실온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PBS로 5분간 3차례씩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AEC(3-amino-9-ethyl carbazole) 크로모젠으로 발색시킨 뒤 D.W로 5분간 3차례씩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메이어 헤마토실린으로 대조 염색후 젤라틴 마운탄트로 슬라이드 를 제작하였다. 히스토스테인 SP 키트(Zymed LABSA detection system, USA)를 사용하였다. 염색된 모든 조직표본은 저배율(200배 시야)로 관찰 하면서 각각의 슬라이드에서 염색이 잘 된 부분을 선택하여 고배율(1000배 시야)에서 관찰하여, 전체 시야에서 10% 이상 항체에 염색이 되었을 경우를 양성으로, 10%이하이거나 염색이 안된 경우를 음성으로 나타내었다. 판정 기준은 정상 상피 조직에서의 ICAM-1 항체에 대한 염색 정도를 고려하여 10%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TH만을 처리한 죽상경화증이 유발된 마우스의 ICAM-1의 발현은 매우 높게 나타나는 반면, 대황 및 목단피가 처리된 혈관에서의 ICAM-1의 발현이 약간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BDR-38을 처리된 혈관의 ICAM-1의 발현은 가장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9 참조).
실험예 5. 유전자 조작 ApoE -/- 마우스 복합 병변모델의 억제효과
참고예 2의 1주간의 적응기를 거친 수컷 ApoE -/- 마우스를 13주간 동맥경화 유발 식이(atherogenic diet)를 섭취시키면서 BDR-38 (200 mg/kg/day)를 10주간 투여하였다. 또한 BDR-38의 효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현재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ACE 억제제인 캡토프릴(captopril)(20 mg/kg/day)을 투여한 군을 BDR-38 투여 군과는 별도로 동일한 기간 내에 함께 실시하였다 (도 10 참조).
5-1. ApoE -/- 마우스의 몸무게 변화 측정
유전자 조작 고지혈증 유발 백서 apoE -/- 마우스에 동맥경화() 유발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에서 몸무게의 변화를 본 결과 캡토프릴 및 BDR-38을 투여에 따른 몸무게의 유의성 있는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도 11 참조).
5-2. ApoE -/- 마우스의 생리적 기능 변화 측정
유전자 조작 고지혈증 유발 백서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 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에서 BDR-38의 독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5주령 수컷 ApoE -/- (Apo E Knockout mouse)를 (주)중앙실험동물을 통하여 구입 후 1주간의 적응기를 둔 후 체중이 유사한 ApoE -/- 마우스를 한 그룹으로 사육 상자당 5마리씩 실험에 투입하였다. 이 동물들은 인수시 및 적응 기간 동안 일반증상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온도 22±2℃, 상대습도 55±10%, 조명시간 12시간 (오전 6시~오후6시)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 뒤 수행하였고, 3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여 13주간 방사선조사로 멸균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 ((주)오리엔트)와 정수시스템을 이용한 물(tap water)에 캡토프릴(captopril) 및 BDR-38을 녹여 자유섭취 하도록 하였다. 실험동물을 CO2 가스로 마취시키고 얻은 혈액의 상층액인 혈청 20μl를 취해 스트립(ARKARY Factory Inc, japan)을 이용하여 생화학 분석기(Spotchem EZ sp-4430, ARKRAY)로 간기능검사. 신장기능검사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 기능 및 신장 기능에 대한 독성활성을 나타내는 BUN 농도, GOT, GPT 및 혈중 크레아티닌(Plasma creatinine)의 어느곳에도 특정한 변화 및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12 참조).
5-3. ApoE -/- 마우스의 지질 함량 측정
유전자 조작 고지혈증 유발 백서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 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에서 BDR-38의 지질 함량 감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5주령 수컷 ApoE -/- (Apo E Knockout mouse)를 (주)중앙실험동물을 통하여 구입 후 1주간의 적응기를 둔 후 체중이 유사한 ApoE -/- 마우스를 한 그룹으로 사육상자당 5마리씩 실험에 투입하였다. 이 동물들은 인수시 및 적응 기간 동안 일반증상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온도 22±2℃, 상대습도 55±10%, 조명시 간 12시간 (오전 6시~오후6시)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 뒤 수행하였고, 3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여 13주간 방사선조사로 멸균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 ((주)오리엔트)와 정수시스템을 이용한 물(tap water)에 captopril 및 BDR-38을 녹여 자유섭취 하도록 하였다. secrifice를 통하여 얻은 혈액의 상층액인 혈청(plasma) 20μl를 취해 스트립(ARKARY Factory Inc, japan)을 이용하여 생화학 분석기(Spotchem EZ sp-4430, ARKRAY)로 지방질 검사인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HDL, LDL,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lglycerol)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질 함량에서는 BDR-38을 투여한 군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및 LDL, 트리아실글세롤(triacylglycerol) 농도가 캡토프릴을 투여한 군보다 탁월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13 참조).
5-4. ApoE -/- 마우스의 NF -κB의 발현 억제 효과 측정
유전자 조작 고지혈증 유발 백서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 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에서 BDR-38의 죽상경화증에 관련된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문헌에 기재된 실험방법으로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Regulatory effect of chinese herbal compound for detoxifying and actibating blood corculation on expression of NF-kappaB and MMP-9 in aorta of apolipoprotein E gene knocked -out mice.Zhongguo Zhong Xi Yi Jie Ge Za Zhi. 2007 jan;27(1):40-4)
실험동물을 CO2 가스로 마취시키고 얻은 혈관조직을 4%PFA(paraformaldehyde) 5시간 고정하고 30% 수크로스에 하루 담근후 OCT 화합물로 처리하여 얼린후 4μm 두께로 박절하였다. 절편은 PBS(siological salt solution)로 수화하고 내인성 과산화효소(peroxidase)를 불활성화 시키기 위해 0.3% 과산화수소를 가해 PBS 용액에 담가 실온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다음 단계로 블로킹 용액으로 30분간 차단하였다. 처리한 조직을 일차항체로 NF-κB 를 사용하여 4℃에서 18시간동안 처리하여 염색하고 PBS로 세척한후 비오틸닐화 안티-마우스 2차 항체(Biotinylated anti-mouse second antibody)로 실온에 서 15분간 배양한 뒤, PBS로 5분간 3차례씩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효소 결합체로 실온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PBS로 5분간 3 차례씩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AEC(3-amino-9-ethyl carbazole) 크로모젠(chromogen)으로 발색시킨 뒤 D.W로 5분간 3차례씩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메이어 헤마토실린으로 대조 염색후 젤라틴 마운탄트로 슬라이드 를 제작하였다. 히스토스테인(Histostain) SP 키트(Zymed LABSA detection system, USA)를 사용하였다. 염색된 모든 조직표본은 저배율(200배 시야)로 관찰 하면서 각각의 슬라이드에서 염색이 잘 된 부분을 선택하여 고배율(1000배 시야)에서 관찰하여, 전체 시야에서 10% 이상 항체에 염색이 되었을 경우를 양성으로, 10%이하이거나 염색이 안된 경우를 음성으로 나타내었다. 판정 기준은 정상 상피 조직에서의 NF-κB p65 항체에 대한 염색 정도를 고려하여 10%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군 마우스의 흉부대동맥에서 H-E 염색을 통하여 BDR-38의 혈관 병변 억제 효과는 죽상경화증에 관련된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인 NF-κB, p65를 면역조직 화학분석법으로 확인함으로써 BDR-38과 캡토프릴 투여 군에서 NF-κB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함을 발견하였다 (도 14참조)
5-5. ApoE -/- 마우스의 VEGF 의 발현 억제 효과 측정
유전자 조작 고지혈증 유발 백서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 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에서 BDR-38의 죽상경화증에 관련된 중요한 혈관 내피세포 성장 인자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문헌에 기재된 실험방법으로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Atherosclerosis and the protective role palyed by different proteins in apolopoprotein E-deficient mice. Fabrizio Rodella L..acta Histochem. 2007;109(1): 45-51)
  VEGF(Vascular Endothelial cell growth factor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는 내피세포에 특이적인 유사분열촉진제로서, 내피세포의 증식과 이동, 세포 외 기질의 재형성, 모세혈관의 형성과 같은 혈관신생을 일으키는데 관여한다. 실험동물을 CO2 가스로 마취시키고 얻은 혈관조직을 4%PFA(paraformaldehyde) 5시간 고정하고 30% 수크로스에 하루 담근후 OCT 화합물로 처리하여 얼린후 4μm 두께로 박절하였다. 절편은 PBS(siological salt solution)로 수화하고 내인성 과산화효소(peroxidase)를 불활성화 시키기 위해 0.3% 과산화수소를 가해 PBS 용액에 담가 실온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다음 단계로 블로킹 용액으로 30분간 차단하였다. 처리한 조직을 일차항체로 VEGF를 사용하여 4℃에서 18시간동안 처리하여 염색하고 PBS로 세척한후 비오티닐화 안티-마우스 2차항체로 실온에 서 15분간 배양한 뒤, PBS로 5분간 3차례씩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효소 결합체로 실온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PBS로 5분간 3차례씩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AEC(3-amino-9-ethyl  carbazole) 크로모젠(chromogen)으로 발색시킨 뒤 D.W로 5분간 3차례씩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메이어 헤마토실린으로 대조 염색후 젤라틴 마운탄트로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히스토스테인(Histostain) SP 키트(Zymed LABSA detection system, USA)를 사용하였다. 염색된 모든 조직표본은 저배율(200배 시야)로 관찰 하면서 각각의 슬라이드에서 염색이 잘 된 부분을 선택하여 고배율(1000배 시야)에서 관찰하여, 전체 시야에서 10% 이상 항체에 염색이 되었을 경우를 양성으로, 10%이하이거나 염색이 안된 경우를 음성으로 나타내었다. 판정 기준은 정상 상피 조직에서의 VEGF 항체에 대한 염색 정도를 고려하여 10%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DR-38이 투여된 군에서 VEGF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함을 발견하였다 (도 15 참조).
5-6. ApoE -/- 마우스의 혈관 조직의 지방함량 감소 효과 측정
유전자 조작 고지혈증 유발 백서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 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에서 BDR-38의 혈관 조직의 축적된 지방함량 감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문헌에 기재된 실험방법으로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Observation of various cell types and its Staining ).
Oil Red O Stain 이 염색은 도말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중성 지방(neutral lipids)을 밝은 적색(bright red)으로 염색하는것으로 고정되지 않은, 공기 건조된 도말을 70% 에틸알콜(Ethyl alcohol) 1 분, Oil red O 용액 5 분, 70% 에틸알콜 1 분, 물(Tap water)에 수세 2 분, 겜사 스테인(Giemsa stain)에 대조 염색 2 분, 배수, 건조 그리고 Glycerin jelly로 봉입한다. 염색된 모든 조직표본은 저배율(200배 시야)로 관찰 하면서 각각의 슬라이드에서 염색이 잘 된 부분을 선택하여 고배율(1000배 시야)에서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BDR-38 투여 군에서 지방 함량이 뚜렷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6 참조).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조제
BDR-38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조제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BDR-38 10 mg
옥수수 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BDR-38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BDR-38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BDR-38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정량
통상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BDR-38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BDR-38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Huvec 세포내에서 세포유착분자인 VCAM-1, ICAM-1 및 E-셀렉틴의 발현 감소효과를 효소면역측정법으로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Huvec 세포내에서 세포유착분자인 VCAM-1, ICAM-1 및 E-셀렉틴의 단백질 발현 감소효과를 웨스턴블로팅으로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세포내에서 염증유발인자인 TNF-α(Tumor necrosis factor)에 의한 VCAM-1, ICAM-1 및 E-셀렉틴의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VCAM-1, ICAM-1 및 E-셀렉틴의 mRNA 발현 감소효과를 RT-PCR로 분석한 도이고,
도 5는 혈액암세포(U937)의 단핵구 혈관내피세포와의 세포 부착에 미치는 BDR-38의 효과를 측정한 도이며,
도 6은 BDR-38을 농도별로 전처리한 후 세포내 염증유발인자인 TNF-α를 처리하여 핵과 세포질 별로 단백질을 각각 추출하여 염증발현인자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실험 동물 모델의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함을 나타낸 도이며,
도 8은 죽상경화증을 유발한 백서에서 대황, 목단피, BDR-38에 의한 혈관의 조직학적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9는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 식이로 죽상경화증을 유발한 백서에서 대황, 목단피, BDR-38에 의한 ICAM-1의 발현변화를 알아보고자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실시하여 나타낸 도이고,
도 10은 유전자 조작 고지혈증 유발 백서 apoE -/- 마우스의 식이 및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함을 나타낸 도이며,
도 11은 유전자 조작 고지혈증 유발 백서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에서 몸무게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고,
도 12는 유전자 조작 고지혈증 유발 백서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에서 captopril 및 BDR-38을 투여한 군의 생리적 기능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3은 유전자 조작 고지혈증 유발 백서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에서 captopril 및 BDR-38을 투여한 군의 혈중 지질 함량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고,
도 14는 BDR-38을 투여한 apoE -/- 마우스의 혈관 조직에서 BDR-38에 의한 죽상경화증에 관련된 신호전달 물질인 NF-κB 발현 변화를 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실시 하여 나타낸 도이며,
도 15는 유전자 조작 고지혈증 유발 백서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경화) 유발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의 혈관 조직에서 BDR-38을 투여한 후 혈관 내피 세포 성장 인자인 VEGF의 발현 변화를 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실시하여 나타낸 도이고,
도 16은 유전자 조작 고지혈증 유발 백서 apoE -/- 마우스에 죽상경화(동맥 경화) 유발식이를 먹인 복합 병변모델에 BDR-38을 투여하여 혈관 조직에 축적된 지방의 함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성 지방 염색인 Oil Red O를 이용하여 조직 염색을 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7)

  1. 대황, 후박, 목단피 및 감초의 건조중량배합비가 0.1 ~ 10: 0.1 ~ 10: 0.1 ~ 10: 0.1 ~ 10의 중량비(w/w)인 복합 생약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죽상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대황, 후박, 목단피 및 감초의 건조중량배합비가 0.1 ~ 10: 0.1 ~ 10: 0.1 ~ 10: 0.1 ~ 10의 중량비(w/w)인 복합 생약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죽상경화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삭제
KR1020080063031A 2008-06-30 2008-06-30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970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031A KR100970826B1 (ko) 2008-06-30 2008-06-30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031A KR100970826B1 (ko) 2008-06-30 2008-06-30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63A KR20100002963A (ko) 2010-01-07
KR100970826B1 true KR100970826B1 (ko) 2010-07-16

Family

ID=4181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031A KR100970826B1 (ko) 2008-06-30 2008-06-30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5858A2 (ko) * 2009-02-17 2010-08-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포간접착인자-1로 매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00094308A (ko) * 2009-02-17 2010-08-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포간접착인자-1로 매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393A (ja) * 1993-08-20 1995-02-28 Pola Chem Ind Inc 動脈硬化抑制剤及びこれを含む食品又は医薬
KR20050097614A (ko) * 2004-04-02 2005-10-10 김형환 대황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KR100732886B1 (ko) * 2005-11-07 2007-06-27 한국화학연구원 목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KR20070087924A (ko) * 2006-02-08 2007-08-2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보바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393A (ja) * 1993-08-20 1995-02-28 Pola Chem Ind Inc 動脈硬化抑制剤及びこれを含む食品又は医薬
KR20050097614A (ko) * 2004-04-02 2005-10-10 김형환 대황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KR100732886B1 (ko) * 2005-11-07 2007-06-27 한국화학연구원 목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KR20070087924A (ko) * 2006-02-08 2007-08-2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보바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63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slocky et al. Biomedical effects of grape products
CA2520207C (en) Composition comprising bamboo extract and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showing treating and preventing activity for inflammatory and blood circulation disease
Lorenzo et al. Sources, chemistry, and biological potential of ellagitannins and ellagic acid derivatives
Mnafgui et al. Inhibitory activities of Zygophyllum album: A natural weight-lowering plant on key enzymes in high-fat diet-fed rats
Chatterji et al. Study of the effect of the herbal composition SR2004 on hemoglobin A1c, fasting blood glucose, and lipid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R100492470B1 (ko) 통풍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97082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WO2004078190A1 (en) A process and technique to elevate serum high density liboprotein
KR101152479B1 (ko) 탈지된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암 조성물
KR101224685B1 (ko)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30186B1 (ko) 황금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경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12926A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189865B1 (ko) 명란젓 또는 명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8079169B (zh) 用于预防和治疗动脉粥样硬化及其并发症的中药组合物、中药制剂及应用
KR20100046639A (ko) 백하수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및 고지혈증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78801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Tufail et al. Anthocyanin Extracts of Blueberries f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orders
KR101008401B1 (ko) 뇌졸중, 고혈압, 동맥경화 및 고지혈증에 효능이 있는 혼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lmahdy et al. The effect of herbal treatment of Hyphaene Thebaica (Doum) and Nelumbo Nucifera (Lotus) on Induced Hyperlipidemia and Hypertension in Male Wistar Albino Rats.
Taha et al. Anti-Insulin Resistance Effect of Black Seed (Nigella sativa) Extracts In Metabolic Syndrome Induced-Rats
KR100478150B1 (ko)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용 건강보조식품
KR20110109558A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57557B1 (ko) 엔드리케리아 아노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