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186B1 - 황금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경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금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경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186B1
KR100830186B1 KR1020060048798A KR20060048798A KR100830186B1 KR 100830186 B1 KR100830186 B1 KR 100830186B1 KR 1020060048798 A KR1020060048798 A KR 1020060048798A KR 20060048798 A KR20060048798 A KR 20060048798A KR 100830186 B1 KR100830186 B1 KR 100830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en
extract
filtrate
residue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026A (ko
Inventor
손동환
김윤철
박은전
조우철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4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186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정제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3단계의 간단한 공정으로 구성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황금 표준화 시료용 정제 추출물은 황금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인 바이칼레인 (baicalein), 우고닌 (wogonin) 및 오록실린 A (oroxylin A)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으며, 탁월한 간 보호 및 담즙정체에 의한 자가 사멸로부터의 간 보호 효능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금 표준화시료용 정제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황금, 정제 추출물, 간세포, 담즙정체, 자가사멸, 간 보호, 담즙성 간경변증

Description

황금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경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 purified extract isolated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 method for preparing them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having hepato-protecting activity and protecting or treating activity from liver cirrhosis}
도 1은 표준화시료로 이용 가능한 본 발명의 황금 정제 추출물의 바이칼레인, 우고닌 및 오록실린 A의 함량을 보여주는 HPLC 크로마토그램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황금 정제 추출물과 비교예인 황금 메탄올 추출물의 바이칼레인, 우고닌 및 오록실린 A의 함유 정도를 비교한 박층크로마토그래피 (TLC) 결과이며,
도 3은 담즙산염으로 자가사멸을 유도한 간세포에서 본 발명의 황금 정제 추출물 처리에 의해 DNA 절편화 (DNA fragmentation)가 억제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담즙산염으로 자가사멸을 유도한 간세포에서 본 발명의 황금 정제 추출물 처리에 의해 폴리 ADP-리보스 중합효소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의 분할 (cleavage)이 억제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담즙산염으로 자가사멸을 유도한 간세포에서 본 발명의 황금 정제 추 출물 처리에 의해 카스파제 (caspase) 활성형의 발현이 억제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담즙산염으로 자가사멸을 유도한 간세포에서 본 발명의 황금 정제 추출물 처리에 의해 c-jun-NH2-termial kinase (JNK) 인산화 (phosphorylation)가 억제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담도결찰 SD 랫트의 간에서 담즙정체에 의해 자가사멸되는 간세포를 튜넬 (TdT-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TUNEL)법으로 염색한 사진으로서, 대조군 랫트의 간조직 (Sham), 담도결찰 랫트의 간조직 (BDL/S), 담도결찰 후 황금 표준화시료 20 ㎎/㎏을 10일간 투여한 랫트의 간조직 (BDL/S + 20㎎/㎏) 및 담도결찰 후 황금 표준화시료 40 ㎎/㎏을 10일간 투여한 랫트의 간조직 (BDL/S + 40㎎/㎏)의 형광염색사진이다.
본 발명은 황금으로부터 목적하는 생리활성 성분들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황금 표준화시료의 간단, 신속, 저렴한 공정이며 재현성 있는 제조방법, 이를 통해 수득 가능한 황금 정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소화기계와 전신순환계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소화기계로 들어온 생체 외 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일단 생체내로 들어온 생체 외 물질이 간을 통과하는 까닭에 간은 영양소 외에도 많은 독성물질에 대한 노출 위험이 다른 장기보다 많아 그만큼 손상될 확률도 다른 장기에 비해 높다.
간 조직 중에는 영양물질 흡수 및 대사, 저장, 혈장단백질 합성 등과 같은 간의 주요기능을 수행하는 간세포 (hepatocyte), 간 내 대식세포 (macrophage)인 쿠퍼세포 (Kupffer cell), 간 손상시 결합조직을 과다 합성함으로써 간섬유화를 초래하는 간성상세포 (hepatic stellate cell, lipocyte; HSC) 및 내피 세포 (Endothelial cell), 오목 세포 (Pit cell) 등이 존재한다. 이중 간세포는 간조직을 구성하는 전체 세포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며, 간의 주요기능을 수행하는 실질 세포 (parenchymal cell)로써 간질환시 간기능 저하는 바로 이 간세포 손상으로 인해 초래되는 것이다.
여러 원인에 의한 만성 간 손상은 공통적으로 간세포가 손상되고, 쿠퍼 세포가 활성화되어 여러 사이토카인 (cytokines)을 분비하게 되면 이에 의해 간성상세포가 활성화되어 결합조직을 생성한다. 간 손상이 지속되게 되면 손상당한 간세포가 결합조직으로 대치되는 간질 복구가 유발되어 간 조직 내 결합조직 과다축적으로 인한 상처가 형성되고 간세포 손상으로 인해 간기능이 저하되면서 간경화가 초래되는 것이다 (Friedman SL et al., J. Hepatol ., 38(1), ppS38-53, 2003).
자가 사멸 (또는 고사, apoptosis, programmed cell death)은 1972년 케르 (Kerr)에 의해 소개된 명칭으로 1980년대 중반 이후 많이 연구되기 시작한 분야이다. 자가 사멸은 조직 항상성 (tissue homeostasis)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과정으 로, 정상조직에서 세포의 신생과 사멸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세포의 손실 과정이다. 자가 사멸은 괴사와 함께 세포 사멸의 한 종류로 세포 사멸은 괴사 (necrosis) 및 자가 사멸로 나뉜다. 괴사는 과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oxidative stress) 등에 의해 유발되며 세포 손상 정도가 상당히 심하며 지속적이고 ATP가 고갈되는 경우에도 유발되며 이때 일련의 세포사멸과정이 급작스럽게 일어나며 핵붕괴 및 세포 내 물질의 유출로 조직 파괴 정도가 심하고 염증반응이 유발된다 (Ockner RK, J. Gastroenterol . Hepatol ., 16(3), pp248-260, 2001). 반면 자가 사멸은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서서히 단계적으로 사멸되는 과정이다. 자가 사멸 유도시 세포는 온전한 세포기관 (intact organelle)과 원형질막의 막-결합 (membrane-bound) 소체로 분리된다. DNA 단편화 (DNA laddering)는 자가사멸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활성화된 엔도뉴클레아제 (endonuclease)가 DNA를 50 내지 300-kb의 크기로 절단한 후 다시 180-200 염기쌍의 단편으로 조각낸다. 이러한 DNA 단편화는 자가 사멸되는 세포 (apoptotic cell) 대부분에서 관찰된다. 자가 사멸이 완전히 진행된 세포는 아폽토시스 소체 (apoptotic body)라 지칭되며 이러한 아폽토시스 소체는 생체 내에서 식세포 (phagocytes)에 의해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자가 사멸되는 세포는 세포 내 구성요소 (intracellular constituent)가 세포 내에 그대로 존재하는 상태로, 세포 내 구성요소가 세포 외부로 유출되는 괴사와는 달리 염증반응을 유발하지 않고 제거되는 것이다. 즉, 염증의 유발 없이 세포를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가 사멸 유도가 암세포 제거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간세포 자가사멸은 이러한 일반적인 상태와는 많이 다른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간세포 자가사멸은 담즙성, 알콜성 및 바이러스성 간질환 또는 윌슨병 (Wilson's disease)에서 발견되고 있다. 간세포 자가사멸이 심각한 경우 간세포 내 여러 혈중 내 효소수치가 증가된다. 담즙정체에 의한 간손상시 임상에서의 조직관찰 결과 간세포 괴사보다 간세포의 자가사멸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담즙정체에 의한 간질환 치료에는 간세포의 자가사멸 억제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Canvay A et al., Hepatology, 39(2), pp273-278, 2004).
담즙정체 (cholestasis)는 여러 만성 진행성 간질환 (chronic progressive liver disease)에서 발견되는 특징으로 담즙정체시 글리코치노디옥시콜레이트 (glycochenodeoxycholate;GCDC), 치노디옥시콜레이트 (chenodeoxycholate)와 디옥시콜레이트 (deoxycholate)와 같은 소수성 담즙산염 (hydrophobic bile salt)에 의해 간손상이 유도된다 (Reinehr R et al., Gastroenterology, 127(5), pp1540-1557, 2004). 임상에서의 조직관찰 결과, 담즙정체에 의한 간손상시 간세포 괴사보다 간세포의 자가사멸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간세포의 자가사멸 억제는 담즙정체에 의한 간손상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겠다 (Canvay A et al., Hepatology, 39(2), pp273-278, 2004).
글리코치노디옥시콜레이트 (GCDC; glycochenodeoxycholate)와 같은 소수성 담즙산염을 20-100 μM의 농도로 1차 배양한 간세포에 처리하여 간세포 자가사멸을 유도하는 생체외모델은 내인성 독성물질에 의한 간세포 자가사멸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GCDC와 같은 소수성 담즙산 (hydrophobic bile acid)은 파스 소중합체화 (Fas oligomerization)를 유도하여 카스파제 (casp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자가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Reinehr R et al., Gastroenterology, 125(3), pp839-853, 2003).
황금 (黃芩,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은 한방에서 예로부터 널리 사용된 약재로,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의 여러해살이풀로 서식처는 한국, 중국, 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이다. 황금은 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3-4년 자란 그루를 골라서 뿌리를 캐어 햇볕에 반건조후 코르크 껍질을 두드려 제거하고 다시 완전히 말려 약용하며 예로부터 實火 (실화)를 瀉 (사)하고 濕熱 (습열)을 제거하며 止血 (지혈), 安胎 (안태)의 효능을 나타내며 壯熱 (장열)에 의한 煩渴 (번갈), 肺熱咳嗽 (폐열해수), 濕熱 (습열)에 의한 瀉痢 (사리), 熱淋 (열림), 황달, 吐氣 (토기), 鼻出血 (비출혈), 자궁출혈, 滑精 (골정), 目赤腫痛 (목적종통), 胎動不安 (태동불안) 등의 치료에 사용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영림사, pp5001~5009, 1990). 근래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황금의 효능으로 항염증작용, 항암작용, 상기도 및 소화기계의 세균성, 바이러스성 감염에 효과가 있으며,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이뇨작용, 항섬유화 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황금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바이칼레인 (baicalein), 바이칼린 (baicalin), 우고닌 (wogonin), 우고닌 7-O-글루쿠로나이드 (wogonin 7-O-glucuronide), 오록실린 에이 (oroxylin A), 오록실린 에이-O-글루쿠로나이드 (oroxylin A-O-glucuronide) 등의 플라본 (flavone) 30여종, 페닐에타노이드 (phenylethanoid), 아미노산 (amino acid), 스테롤 (sterol) 및 정유 (essential oil) 등이 있으며 이중 바이칼린 (baicalin), 바이칼레인 (baicalein), 우고닌 (wogonin), 오록실린 에이 (oroxylin A)가 주요 성분이다.
이중 본 발명의 정제 추출물에 함유된 바이칼레인, 우고닌 및 오록실린의 활성은 하기와 같이 알려진 바 있다. 가장 많이 존재하는 성분인 바이칼레인 (baicalein) 및 바이칼린 (baicalin)은 항염 (Wakabayashi I, Pharmacol . Toxicol., 84(6), pp288-291, 1999), 항암 (Ikemoto S et al., Urology, 55(6), pp951-955, 2000), 항산화 (Hara H et al., Eur . J. Pharmacol ., 221(2-3), pp193-198, 1992) 및 항사스 (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hen F et al., J. Clin . Virol ., 31(1), pp69-75, 2004) 등의 효능이 보고된 바 있다. 우고닌 (Wogonin)의 경우 디-갈락토사민 (D-galactosamine)과 내독소 (endotoxin)에 의해 유도된 종양괴사인자-알파 (tumor necrosis factor-alpha)의 발현을 낮추어 치사 충격 (lethal shock)을 억제하는 효능 (Chen YC et al., Biochem . Pharmacol ., 61(11), pp1417-1427, 2001)이 보고되었다. 오록실린 에이 (Oroxylin A)의 경우 대식세포주 RAW264.7에서 지질다당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상승된 iNOS and COX-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 (Chen Y et al., Biochem . Pharmacol ., 59(11), pp1445-1457, 2000)이 보고되었다.
천연물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시 원료의 산지 및 품질 등의 문제로 균일한 치료효과 및 규격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천연물로부터 단일성분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리시 소요되는 기간이 길며, 획득율이 낮고 천연물이 가지는 잠재적 독성 등의 요인들로 천연물 치료제 개발은 쉽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천연물 치료제 개발과정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균일한 치료효과와 규격화가 가능한 천연물의 표준화시료 제조 및 산업화가 가능하도록 절차가 간단하고 신속하며 저렴한 제조공정을 연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개발된 황금 정제 추출물의 제조공정은 공업적인 생산공정에 접목 가능한 저렴하고도 간단한 방법으로 황금으로부터 표준화시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표준화시료 중 효능물질을 지표로 하는 품질평가법을 확립함으로써 황금으로부터 균일한 치료효과 및 규격화가 가능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황금 정제 추출물이 담즙정체에 의한 간세포 자가 사멸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여 간질환 치료제로 이용 가능함 또한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황금으로부터 목적하는 생리활성 성분들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표준화시료를 간단, 신속, 저렴한 공정을 통해 재현성있게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을 확립하게 되었으며, 상기 공정을 통해 수득가능한 황금 정제 추출물의 간보호 및 담즙정체에 의한 간세포 자가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료제로 개발시 균일한 치료효과, 규격화 및 산업화하여 표준화시료로 적용 가능하도록 공정절차가 간단, 신속하며 경제적인 황금 정제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또한 탁월한 간 보호 효과, 간섬유화 억제 효과 및 담즙정체에 의한 간세포 자가사멸 억제 효과를 지닌 상기 황금 정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 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조한 황금에 물 또는 저급 알콜 용매 및 이들의 용매 혼합물을 가하여 방치하여 약 12~24 시간 후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여 수불용성 잔사를 얻는 제 1단계; 상기 잔사에 저급 알콜 용매를 가하여 교반, 용해 및 여과과정을 통하여 여액을 얻는 제 2단계; 상기 여액의 잔류 용매를 제거하는 최종단계를 포함하며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의 치료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황금 정제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며, 표준화 시료로 이용가능하고,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황금 정제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황금 정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황금 정제 추출물은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를 52~60: 8~12: 2~6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를 54~58: 9~11: 3~5 중량%, 매우 바람직하게는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를 56: 10: 4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황금 정제 추출물은 일정 TLC 양상 (담체; 실리카겔 F254, 전개용 매;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 = 9: 1: 0.1, Rf; 0.33 ~ 0.63, 검출방법; UV 254 nm)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황금 정제 추출물은 소수성 담즙산염 및 담즙정체로 인한 간세포 자가사멸에 대한 억제 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저급 알콜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조한 황금 중량의 약 1 내지 100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00배 부피의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저급 알콜 용매 및 이들의 용매 혼합물로 1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시간 동안,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환류냉각추출법, 초음파추출법, 온침, 냉침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냉침을 통하여 생성되는 침전을 여과하여 잔사를 얻는 제 1단계; 상기 잔사에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저급 알콜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용매를 가하여 교반, 용해 및 여과과정을 통하여 여액을 얻는 제 2단계; 상기 여액의 잔류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 시료로 이용가능하고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 치료 및 예방 효과가 탁월한 본 발명의 황금 정제 추출물 (이하, “SB-1"이라 명명함)을 얻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황금의 표준화 시료로서 사용가능하도록, 황금의 생리활성 성분인 바이칼레인, 우고닌, 또는 오록실린 A의 함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의 도 1의 HPLC 크로마토그램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상을 갖는 황금 정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공정으로부터 얻어진 황금 정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황금 정제 추출물은 기존 추출물인 황금 메탄올 추출물과 박층크로마토그래피로 비교하였을 때 황금의 활성성분인 바이칼레인, 우고닌 및 오록실린 A의 함량이 탁월하였으며, 더불어 소수성 담즙산염인 글리코치노디옥시콜산 (glycochenodeoxycholic acid)으로 간세포 자가 사멸 유도시 DNA 절편화 억제, PARP 분할 억제, 카스파제 (caspase) 활성형 발현 억제 및 JNK 인산화 억제로 인한 자가 사멸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담도결찰로 유도한 담즙정체 동물 모델에서 혈중 AST 및 ALT 수치를 감소하였으며 간세포의 자가사멸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정제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정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정제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 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정제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정제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황금 정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조 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황금 정제 추출물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약학투여형태 또는 건강음료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황금 메탄올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황금 600 g을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10배량의 메탄올을 가한 후 2시간 동안 가열 환류 추출하고, 진공 여과하여 여액을 얻은 후, 감압 농축(EYELA사, N-1000, 일본)하여 황금 메탄올추출물 135 g을 수득하였다 (이하, "SB-M"이라 명명함).
실시예 1. 황금 표준화시료인 황금 정제 추출물의 제조
1-1. 물 냉침에 의한 황금 침전의 제조
건조한 황금 600 g을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10 배량의 증류수를 가한 후 24시간동안 실온에서 방치하고,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여 침전물인 잔사 62 g을 수득하였다.
1-2. 황금 정제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 단계에서 얻은 황금 잔사 62 g에 에탄올 1 ℓ를 가하여 가열 교반하여 용해시킨 다음 여과하여 여액을 얻은 다음,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에탄올 용매를 제거한 본 발명의 정제 추출물 60 g (수득률: 원료 황금으로부터 10 %)을 얻었다 (이하, "SB-1"이라 명명함).
1-3.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를 이용한 황금 표준화시료의 함유성분의 조성 및 함량 확인
1-3-1. HPLC 용 표준용액 조제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 표준품은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생약학연구실에서 황금 에탄올추출물로부터 순수하게 분리한 후 기기분석 결과를 검토하여 각각의 구조를 확인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표준품 4 mg을 정밀하게 달아 HPLC용 메탄올에 녹이고 이것을 스톡(stock) 용액으로 하여 25, 50, 100, 200, 400 ㎍/㎖의 검액을 만들어 검량선용 표준용액으로 하였다.
1-3-2. 검액의 조제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SB-1를 4 mg 정확히 칭량하여 HPLC용 메탄올에 용해시켜 0.45 ㎛ 막여과기로 여과하고 여액을 10 ㎖로 조정하여 검액으로 하였다.
1-3-3. HPLC 의 분석조건
HPLC는 Sykam S-2100(Sykam, Germany), 컬럼은 Inertsil ODS-3(GL Sciences, Inc., Japan)을 사용하였으며, 검출 스펙트럼은 UV 210 과 254 nm를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6.7 % 초산: 아세토니트릴 혼합용액 (1:1)을 사용하였고, 유속은 1.0 ㎖/min으로 하였다.
1-3-4. 각 시료의 바이칼레인 , 우고닌 , 오록실린 A의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3-2에서 조제된 시료 검액을 10 ㎕ 취하여 3회 반복 HPLC를 실시하고 얻어진 크로마토그람의 면적을 구하고 검량선을 작성하여 얻은 각각의 회귀방정식으로부터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의 함량을 구하였다.
1-3-5. HPLC 를 이용한 SB -1의 함유성분의 조성 및 함량 확인
상기 실시예 1-3-1의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 각각의 표준용액 10 ㎕를 취하여 HPLC를 실시하여 얻은 검량선을 작성하여 얻은 회귀직선 방정식은 각각 y = 5286.9622x + 3.0037 (r=1.0000), y = 5340.1265x + 14.7798 (r=0.9998), y = 6021.0190x + 42.0185 (r=0.9996)이었다. 상기 실시예 1-3-3에서 조제한 SB-1의 검액에 대한 HPLC를 실시한 결과 하기 도 1의 HPLC 크로마토그람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 SB-1의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은 각각 12.683, 15.600, 24.483분의 정체 시간 (retention time)을 나타냈으며, 각 피크는 표준품과 스파이크 시험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검액을 10 ㎕ 취하여 HPLC를 실시하여 얻은 크로 마토그람에서 면적을 구하여 상기 검액 중의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의 함량을 구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황금 표준화시료 (SB-1)의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 함량이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시료명 함량 (mg/㎖)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
SB-1 56.0 ± 0.04 10.2 ± 0.06 4.4 ± 0.05
1-4. 박층크로마토그래피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를 이용한 황금 표준화시료의 함유성분의 조성 및 패턴 확인
1-4-1. TLC용 시료용액 조제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 표준품은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생약학연구실에서 황금 에탄올추출물로부터 순수하게 분리한 후 기기분석 결과를 검토하여 각각의 구조를 확인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표준품 0.5 ㎎을 정밀하게 달아 HPLC용 메탄올 0.2 ㎖에 녹이고, 상기 비교예 1에서 얻은 황금 메탄올추출물(SB-M)과 실시예 1-2에서 얻은 황금 표준화시료(SB-1)는 각각 2.0 ㎎을 정밀하게 달아 HPLC용 메탄올 0.5 ㎖에 녹여 이것을 TLC용 검액으로 하였다.
1-4-2. TLC의 분석조건
TLC 플레이트 (plate)는 실리카겔 60 F254 (Silica gel 60 F254; Merck사)를 사용하였으며, 검출방법은 UV 254 nm를 사용하였다. 전개용매는 클로로포름: 메탄올 (9: 0.5)로 하였다.
1-4-3. TLC를 이용한 SB -1의 함유성분의 조성 및 패턴 확인
상기 실시예 1-4-2의 SB-M 및 SB-1의 검액에 대한 TLC를 실시한 결과 하기 도 2의 TLC 크로마토그람을 얻을 수 있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량을 전개하였을 때 SB-1은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에 해당하는 반점들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SB-M은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에 해당하는 반점들이 거의 보이지 않는 대신 원점부근에 극성물질들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꼬리 (tail) 형태의 반점이 확인되었다. 상기의 결과는 황금 표준화시료 (SB-1)의 바이칼레인, 우고닌 및 오록실린 A 함량이 황금 메탄올추출물 (SB-M)과 비교하여 탁월함을 나타내었다.
참고예 1. 간세포 분리 및 배양
세글렌 등(Seglen et al., Exp . Cell Res., 82, pp391-398, 1973)의 방법에 따라 웅성 SD랫트 (Sprague-Dawley rat, 대한실험동물센터, 경기도)로부터 간세포를 분리하였다. SD랫트를 마취하여 복부를 절개한 후, 간문맥에 삽관하여 5% CO2 및 95% O2의 혼합기체를 불어넣고, 37 ℃의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이 없는 행크의 균형염 용액(Ca2 +, Mg2 +-free Hank's balanced salt solution)을 관에 흘려보내 간 내 혈액을 제거하였다. 그 후, 0.05 % Ⅳ형 콜라게나아제 (collagenase type IV, Sigma, 미국) 및 1 mM 염화칼슘 (CaCl2, Sigma, 미국) 용액을 흘려보냈다. 간 조직을 몸체로부터 떼어낸 후 간세포 현탁액을 만들어 50×g에서 2분간 원심분리하고 침전된 간세포를 취해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이 없는 행크의 균형염 용액으로 2회 세척한 후 1형 콜라겐 (collagen type I, Sigma, 미국)으로 코팅된 배양용기에 10 %(v/v) 우태아 혈청 (FBS; fetal bovine serum, GibcoBRL), 10-8 M 인슐린, 50 U/㎖의 페니실린 및 50 ㎍/㎖의 스트렙토마이신 (Sigma)이 첨가된 윌리암스 배지 E (WME; Williams’ Medium E, GibcoBRL, USA)를 배양액으로 하여 세포수가 1× 106 세포수/㎖ 되도록 한 후, 5 % CO2, 37 ℃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시간 배양 후 세포를 Ca2 +, Mg2 +이 첨가되어 있는 행크의 균형염 용액 (HBSS)으로 세척하여 붙지 않은 간세포는 제거하고 새 배양액으로 교체한 후 5% CO2, 37℃의 조건에서 16시간동안 배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2. 1차 배양 간세포에서 소수성 담즙산염에 의한 간세포 자가사멸 유도 및 황금표준화시료 처리
참고예 1에서와 같이 분리 배양한 간세포에 담즙울체 (Cholestasis with hepatocyte injury)와 같은 조건을 형성하여 자가사멸 (apotosis)을 유발하기 위하여, 담즙울체시 간독성을 나타내는 소수성 담즙산염인 글리코치노디옥시콜레이트(GCDC; glycochenodeoxycholate)를 간세포에 처리한다. 간세포에 SB-1을 함유하는 배양액을 가하여 10분 동안 전처리한 후 100 μM GCDC를 가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GCDC은 HBSS로 희석하여 0.22 ㎛ 필터로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배양액에 가하여 최종 100 μM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실험군은 하기 표 2와 같이 설정하였다.
실험군 처리 조성물
1군 정상 배양액
2군 GCDC (100 μM) 함유 배양액
3군 GCDC (100 μM) 및 SB-1 (40 ㎍/㎖) 함유 배양액
4군 GCDC (100 μM) 및 SB-1 (20 ㎍/㎖) 함유 배양액
5군 GCDC (100 μM) 및 SB-1 (10 ㎍/㎖) 함유 배양액
참고예 3. 담도결찰에 의한 담즙울체 유발 및 황금 표준화시료 처리
체중 200-220 g의 웅성 SD 랫트 (Sprague-Dawley rat, 대한 실험동물센터, 충북 음성)를 1주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키고,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였다.
박은전 등 (박은전 et al., 대한약학회지, 38, p338, 1994)의 방법으로 담도결찰 수술을 행한 간경화 랫트에게 수술한 날부터 10일간 SB-1을 정제수에 현탁시켜 경구투여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동량의 정제수를 경구투여하였다. 실험군은 하기 표 3과 같이 설정하였다.
실험군 처리 조성물
1군 대조군: 정제수
2군 담도결찰군: 정제수
3군 담도결찰군: SB-1 (40 ㎎/㎏/day)
4군 담도결찰군: SB-1 (20 ㎎/㎏/day)
5군 담도결찰군: SB-1 (10 ㎎/㎏/day)
10일 후, 마취하에 심장천자로 취한 혈액을 상온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한 뒤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었으며, 혈청은 영하 20 ℃에서 보관하였다.
간 조직의 손상정도의 측정은 헤마톡실린 & 에오신 (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실시하였으며, 간세포 자가사멸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간조직의 튜넬 (TUNEL; TdT-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염색을 실시하였다 (Oh SH et al., Arch. Toxicol ., 77(2), pp110-115, 2003).
실험예 1. 소수성 담즙산염에 위해 유발된 간세포 자가사멸에 대한 황금 표준화시료의 간세포 보호 효과 측정
1-1. 황금 표준화시료의 DNA 절편화 (DNA fragmentation) 억제 효과 측정
자가사멸에 의한 간세포내 DNA 절편화에 미치는 SB-1의 효과는 참고예 2에서 준비된 간세포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키트 (Wizard  Genomic DNA purifiction kit, Promega, USA)를 이용하여 간세포 내 DNA를 추출하여 정량한 다음, 40 ㎍의 DNA를 1% agarose gel에서 50 mV, 40분간 전기영동하여 UV하에서 DNA 절편화를 확인하였으며 결과는 도 3과 같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00 μM GCDC 처리시 간세포의 DNA 절편화가 유도되었으나, SB-1 40 또는 20 ㎍/㎖과 100 μM GCDC를 함께 처리한 간세포의 경우 DNA 절편화 유도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1-2. 황금 표준화시료의 간세포 내 PARP 분할 억제 효과 측정
자가사멸에 의한 간세포 내 폴리 ADP-리보스 중합효소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의 분할 (cleavage)에 미치는 SB-1의 효과는 참고예 2의 간세포 실험군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간세포를 용해완충액 (lysis buffer; 10mM Tris, pH 8.0, 120 mM NaCl, 0.5 % NP-40, 1 mM EDTA, 0.1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1 mM dithiothreitol, 1 ㎍/㎖ aprotinin)로 용해하고 14000 rpm, 4 ℃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 후 수득한 상층액 내 단백질 농도를 바이오라드 DC 단백질 검사 키트 (Bio-Rad Laboratories)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각 실험군의 단백질 100 ㎍을 각각 10 %(w/v) SDS 겔(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에서 120 V로 1.5 시간동안 전기영동 하였다. 전기영동에 의해서 겔 내 단백질은 분자량크기에 따라 분리되었으며, 이 상태로 30 mA로 16시간동안 니트로셀룰로스막 (nitrocellulose membrane, Millipore)으로 트랜스퍼 (transfer) 하였다.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을 5 % 탈지유(skim milk)로 블로킹하고, 1000배 희석된 마우스 항-PARP 항체 (purified mouse anti-human PARP monoclonal antibody, Cell Signaling Technology)를 1차 항체로 사용하여, 16시간동안 4 ℃에서 반응시켰으며, 2,000배 희석된 양고추냉이 퍼록시다제가 결합된 항-토끼 면역글로블린 G (horseradish peroxidase(HRP)-conjugated anti-rabbit IgG; Santacruz사)를 2차 항체로 사용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강화된 화학발광 웨스턴 블랏 검출 시스템 키트 [Enhanced chemiluminescence(ECL) western blotting detection system kit, KPL사)를 이용하여 발광반응하였으며, 발광정도는 사용자 설명서에 따라 X-ray 필름 (Agfa사, EC)에 노출시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 μM GCDC에 의한 PARP 분할유도는 SB-1 40 또는 20 ㎍/㎖ 처리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황금 표준화시료의 카스파제 ( caspase ) 활성형 발현 억제 효과 측정
간세포 자가사멸 과정 중 활성이 증대되는 카스파제-3 (caspase-3), 카스파제-8 (caspase-8) 및 카스파제-9 (caspase-9)의 활성은 참고예 2에서 처리한 간세포 실험군을 대상으로 시판되는 각각의 카스파제 활성 착색 검정 키트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 R&D Systems, Inc., USA)와 면역블롯 어세이 (immunoblo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2 %(w/v) SDS 겔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하였으며, 1차 항체로는 카스파제-3은 항-카스파제-3 (anti-caspase-3, Santa Cruz사, USA), 카스파제-8은 항-카스파제-8 (anti-caspase-8, Stressgen사, Canada) 및 카스파제-9는 카스파제-9 항체 (caspase-9 Ab, rat specific, Cell signaling Technology사, USA)를 사용하였다. 카스파제-3 및 -8은 실온에서 4시간 반응하였으며, 카스파제-9는 4 ℃에서 16 시간동안 반응시켰다.
하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SB-1은 100 μM GCDC 처리시 유도되는 카스파제-3, -8 및 -9의 활성형 (active form)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1-4. 황금 표준화시료의 간세포 c- jun - NH2 - termial kinase ( JNK ) 인산화 억제 효과 측정
자가사멸에 의한 간세포 내 JNK (c-jun-NH2-termial kinase) 인산화 (phosphorylation)에 미치는 SB-1의 효과는 참고예 2의 간세포 실험군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간세포 단백질은 실시예 1-2와 같이 준비하였으며, 수득한 각 실험군의 단백질 100 ㎍을 각각 12 %(w/v) SDS 겔에서 200 V로 1시간동안 전기영동 하였다. 전기영동에 의해서 겔 내 단백질은 분자량크기에 따라 분리되었으며, 이 상태로 30 mA로 16시간동안 니트로셀룰로스막 (nitrocellulose membrane, Millipore)으로 트랜스퍼 (transfer) 하였다.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을 5 % 탈지유(skim milk)로 블로킹하고, 1000배 희석된 인-JNK 항체 (phospho-JNK polyclonal antibody; Cell Signaling Technology)를 1차 항체로 사용하여, 16시간동안 4 ℃에서 반응시켰으며, 2000배 희석된 양고추냉이 퍼록시다제가 결합된 항-토끼 면역글로블린 G (horseradish peroxidase(HRP)-conjugated anti-rabbit IgG; Santacruz)를 2차 항체로 사용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강화된 화학발광 웨스턴 블랏 검출 시스템 키트 [Enhanced chemiluminescence(ECL) western blotting detection system kit, KPL)를 이용하여 발광반응하였으며, 발광정도는 사용자 설명서에 따라 X-ray 필름 (Agfa, EC)에 노출시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 μM GCDC에 의해 간세포 자가사멸에 주요한 작용을 하는 JNK의 인산화가 유도되나 SB-1 처리에 의해 JNK 인산화는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SB-1은 100 μM GCDC에 의해 유도된 DNA 절편화 및 PARP 분할 및 카스파제의 활성형 발현을 억제하며, 또한 간세포 자가사멸의 주요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JNK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자가사멸로부터 간세포 보호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SB-1은 치료제로 개발이 가능한 저농도의 처리로 담즙산에 의한 간세포 자가사멸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담도결찰에 의한 담즙정체 유도 랫트에서 황금 표준화시료의 간 보호 효과 측정
2-1. 황금 표준화시료의 혈청 내 AST 및 ALT 수치 저하 효과 측정
담도결찰에 의한 담즙정체 유도시 혈중 AST 및 ALT 수치에 미치는 SB-1의 간 보호 효과는 참고예 3 실험군의 혈청을 취하여 실시하였으며, 혈청 중 ALT 및 AST 수치는 자동건조 화학 분석기 (autodry chemistry analyzer; SPOTCHEMTM SP4410, Arkray,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SB-1의 경우 40 ㎎/㎏/day의 용량에서 AST 및 ALT의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담도결찰에 의한 간 손상 시, 본 발명에 의한 SB-1의 간 보호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실험군 AST (IU/L) ALT (IU/L)
1군 97 ± 13 21 ± 7
2군 560 ± 86 a 126 ± 31 a
3군 374 ± 48 a,b 72 ± 15 a,b
4군 426 ± 65 a 97 ± 24 a
5군 553 ± 69 a 132 ± 47 a
[주] aP < 0.01, 1군에 비해 통계학상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 bP < 0.01, 2군에 비해 통계학상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
2-2. 황금 표준화시료의 간세포 자가사멸 억제 효과 측정
간손상시 간세포 괴사보다 간세포의 자가사멸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을 한다는 것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Rust C and Gores GJ, Am. J. Med ., 108(7), pp567-574, 2000). 따라서, 하기 실험예에서는 담도결찰로 담즙정체를 유발한 랫트에 본 발명의 황금 표준화 시료를 처리한 간조직의 간세포 자가사멸 정도를 튜넬 (TdT-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법을 사용하여 간세포의 자가사멸에 의한 DNA 가닥 절편화 (DNA strand break)를 관찰하였다.
상기 참고예 3과 같이 황금 표준화 시료를 처리하고, 각 군의 실험동물들로부터 간을 추출하여 10 % 중성 포르말린에 넣어 24시간동안 고정시킨 후, 간조직으로 파라핀 블록을 만들고 3 ㎛로 절편화하여 슬라이드글라스에 부착시킨 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자일렌 (xylene) I 및 II을 사용하여 탈파라핀 (deparaffinization)하고, 100%, 95% 에탄올을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탈수(rehydration)한 다음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그런 후, 세포 사멸 측정 키트 (in situ cell death detection kit, fluorescein, Roche)를 사용하여, 키트에 동봉된 사용자 설명서에 따라 단백질 분해효소 K 처리로 투과화 (permeabilize)한 후 키트에 포함된 튜넬 혼합물 (TUNEL mixture)를 가하여 1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남은 혼합물을 제거하고 형광현미경 (Flouview, Olympus, Japan)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의 간조직은 자가사멸되는 간세포인 형광을 띠는 세포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도 7 Sham 참조), 정제수를 투여한 담도결찰 군 (도 7 BDL/S 참조)의 간조직에서는 자가사멸되어 형광을 띠는 간세포의 빈도수가 담도결찰 후 SB-1을 각각 20 또는 40 ㎎/㎏/day 투여한 랫트의 간조직보다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BDL/S + 20 ㎎/㎏ 및 BDL/S + 40 ㎎/㎏ 참조). 즉, 담즙정체에 의해 유도되는 간세포 자가사멸이 본 발명에 의한 SB-1에 의해 억제됨을 동물 수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황금 정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SB-1 3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SB-1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SB-1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SB-1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SB-1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SB-1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금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제예 6으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SB-1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수득한 황금 표준화시료용 정제 추출물의 소수성 담즙산염에 의한 간세포 자가사멸 억제 효과, 담도결찰로 유도한 담즙정체 동물 모델에서 탁월한 간세포 자가사멸 억제 효과 및 간 보호 효과를 나타내므로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건조한 황금 중량의 10~ 1000배 부피의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인 저급 알콜 용매 또는 이들의 용매 혼합물로 1~ 24시간 동안, 10~ 50℃에서, 환류냉각추출법, 초음파추출법, 온침 또는 냉침 추출방법을 통하여 생성되는 침전을 여과하여 잔사를 얻는 제 1단계; 상기 잔사에 에탄올 용매를 가하여 교반, 용해 및 여과과정을 통하여 여액을 얻는 제 2단계; 상기 여액의 잔류 용매를 제거하는 최종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를 52~60: 8~12: 2~6 중량% 함유하는 황금 정제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건조한 황금 중량의 10~ 1000배 부피의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인 저급 알콜 용매 또는 이들의 용매 혼합물로 1~ 24시간 동안, 10~ 50℃에서, 환류냉각추출법, 초음파추출법, 온침 또는 냉침 추출방법을 통하여 생성되는 침전을 여과하여 잔사를 얻는 제 1단계; 상기 잔사에 에탄올 용매를 가하여 교반, 용해 및 여과과정을 통하여 여액을 얻는 제 2단계; 상기 여액의 잔류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로 수득되는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를 52~60: 8~12: 2~6 중량% 함유하고 담즙정체에 의한 간세포 자가사멸 억제 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정제 추출물.
  6. 삭제
  7. 삭제
  8. 건조한 황금 중량의 10~ 1000배 부피의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인 저급 알콜 용매 또는 이들의 용매 혼합물로 1~ 24시간 동안, 10~ 50℃에서, 환류냉각추출법, 초음파추출법, 온침 또는 냉침 추출방법을 통하여 생성되는 침전을 여과하여 잔사를 얻는 제 1단계; 상기 잔사에 에탄올 용매를 가하여 교반, 용해 및 여과과정을 통하여 여액을 얻는 제 2단계; 상기 여액의 잔류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로 수득되는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를 52~60: 8~12: 2~6 중량% 함유하고 담즙정체에 의한 간세포 자가사멸 억제 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정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담즙성 간경변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9. 삭제
  10. 건조한 황금 중량의 10~ 1000배 부피의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인 저급 알콜 용매 또는 이들의 용매 혼합물로 1~ 24시간 동안, 10~ 50℃에서, 환류냉각추출법, 초음파추출법, 온침 또는 냉침 추출방법을 통하여 생성되는 침전을 여과하여 잔사를 얻는 제 1단계; 상기 잔사에 에탄올 용매를 가하여 교반, 용해 및 여과과정을 통하여 여액을 얻는 제 2단계; 상기 여액의 잔류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로 수득되는 바이칼레인: 우고닌: 오록실린 A를 52~60: 8~12: 2~6 중량% 함유하고 담즙정체에 의한 간세포 자가사멸 억제 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정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담즙성 간경변증의 개선 및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11. 삭제
KR1020060048798A 2006-05-30 2006-05-30 황금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경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30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798A KR100830186B1 (ko) 2006-05-30 2006-05-30 황금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경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798A KR100830186B1 (ko) 2006-05-30 2006-05-30 황금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경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026A KR20070115026A (ko) 2007-12-05
KR100830186B1 true KR100830186B1 (ko) 2008-05-16

Family

ID=3914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798A KR100830186B1 (ko) 2006-05-30 2006-05-30 황금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경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1810A (zh) * 2013-03-29 2013-07-24 广东医学院附属医院 千层纸素a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27B1 (ko) * 2007-12-06 2009-12-1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오록실린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치료 및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864425B1 (ko) * 2016-06-24 2018-06-04 안국약품 주식회사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완화 또는 치료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544A (ja) * 1998-12-28 2000-07-11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肝線維化抑制剤
KR20040107713A (ko) * 2003-06-10 2004-12-23 대한민국 (부경대학교총장) 황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바이칼린, 바이칼레인,우고닌 또는 5,7,2,5-테트라하이드록시-8,6-디메톡시플라본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 및 억제용 약학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544A (ja) * 1998-12-28 2000-07-11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肝線維化抑制剤
KR20040107713A (ko) * 2003-06-10 2004-12-23 대한민국 (부경대학교총장) 황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바이칼린, 바이칼레인,우고닌 또는 5,7,2,5-테트라하이드록시-8,6-디메톡시플라본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 및 억제용 약학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Biomed. Sci. 12(2), 389-97 (2005)
J. Pharm. Pharmacol. 54(4), 555-63 (2002)*
J. Toxicol. Environ. Health A. 65(5-6), 373-81 (2002)
Planta Med. 71(9), 885-7 (200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1810A (zh) * 2013-03-29 2013-07-24 广东医学院附属医院 千层纸素a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026A (ko)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604B1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765416B1 (ko)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27938B1 (ko) 단삼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증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51783B1 (ko) Bhh 17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골절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ha et al. Pomegranate peel and its anticancer activity: A mechanism-based review
KR100830186B1 (ko) 황금 정제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경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53813B1 (ko) 지질억제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31527B1 (ko) 오록실린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치료 및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02755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24615B1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373653B1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241169B1 (ko)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59075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7560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140070735A (ko) 두충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43191B1 (ko) 대황,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재협착 억제 및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40065184A (ko) 와송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87247B1 (ko) 크립토탄시논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조성물
KR20050038852A (ko)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52516B1 (ko) 야관문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21983B1 (ko) 독활 및 화피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87888B1 (ko) G1 세포주기 억제 효능을 갖는 계혈등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