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519B1 -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519B1
KR100970519B1 KR1020087000614A KR20087000614A KR100970519B1 KR 100970519 B1 KR100970519 B1 KR 100970519B1 KR 1020087000614 A KR1020087000614 A KR 1020087000614A KR 20087000614 A KR20087000614 A KR 20087000614A KR 100970519 B1 KR100970519 B1 KR 10097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ple access
division multiple
radio
phase change
fadin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265A (ko
Inventor
시게루 기무라
요시히코 아카이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0Polarisation diversity; Directional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은, 이동국의 응답 벡터를 이용하는 일없이, 이동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의 적부를 판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원의 무선 통신 장치는,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의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을 검출하고, 해당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에 근거하여 무선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하는 페이딩 속도 추정부(30)와, 해당 추정에 근거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1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UIM RECORED RADIO COMMUNICATION PROGRAM}
본 발명은, 공간 분할 다원 접속(SDMA ;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5년 6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5-190727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공간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을 이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은, 복수의 이동국 사이에서 공간 분할 다원 접속하는 것의 적부를 판단할 때에, 해당 이동국의 응답 벡터를 계산하고, 해당 응답 벡터로부터 이동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하고, 해당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으로부터 공간 분할 다원 접속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이동국의 페이딩 속도는 해당 이동국의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이다. 그리고, 이동국의 이동 속도가 너무 크면, 해당 이동국에 대하여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을 추종시키는 것이 어렵고, 또한 다른 이동국의 신호에 간섭의 영향을 부여하기 쉽기 때문에, 다른 이동국과 동시간에 공간 다중화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의 [0040] 단락 참조). 이로부터, 종래부터, 페이딩 속도가 소정값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 해당 이동국과의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의 청구항 3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 특허 제 3574055 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이동국의 응답 벡터를 계산하는 것에 의한 부하가 커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응답 벡터의 계산식은 복잡하기 때문에, 그 계산식의 연산을 행할 수 있는 연산 처리 장치는 고비용으로 되기 때문이다. 또한, 그 연산량은 많아져 소비 전력이 많아진다.
또한, 이동국의 응답 벡터의 계산에는, 기지국의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한 이동국의 송신 신호를 사용하지만, 그 추출한 신호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응답 벡터의 계산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국의 응답 벡터를 이용하는 일없이, 이동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의 적부를 판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국마다, 상기 안테나 소자마다의 신호를 가중치 부여하는 가중 계수를 생성하여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무선국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을 검출하는 위상 변화량 검출 수단과, 상기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하는 페이딩 속도 추정 수단과, 상기 추정에 근거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하는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이 작은 상기 무선국부터 순서대로, 동시에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이 가능한 채널수만큼 할당하는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는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국마다, 상기 안테나 소자마다의 신호를 가중치 부여하는 가중 계수를 생성하여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무선국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추정에 근거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이 작은 상기 무선국부터 순서대로, 동시에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이 가능한 채널수만큼 할당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프로그램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는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국마다, 상기 안테나 소자마다의 신호를 가중치 부여하는 가중 계수를 생성하여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무선국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을 검출하는 처리와, 상기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하는 처리와, 상기 추정에 근거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하는 처리를 컴퓨터에게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상기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하는 처리에 있어서, 상기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이 작은 상기 무선국부터 순서대로, 동시에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이 가능한 채널수만큼 할당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전술의 무선 통신 장치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상대가 되는 무선국(예컨대 이동국) 마다의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가중 계수에 근거하여, 각 무선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국의 응답 벡터를 이용하는 일없이, 이동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의 적부를 판단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장치에 구비하는 연산 처리 장치의 저비용화나 전력 절약화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페이딩 속도 추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페이딩 속도 테이블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부호의 설명
1 : 무선 기지국(무선 통신 장치) 6 : 단말 m 처리부
12 : 통신 제어부 20 : 가중치 부여 합성부
22 : 데이터 수신부 24 : 수신 가중치 생성부
26 : 송신 가중치 생성부 28 : 송신 지향성 형성부
30 : 페이딩 속도 추정부 31 : 위상 변화량 검출부
32 : 페이딩 속도 판정부 33 : 페이딩 속도 테이블
Ant1 ~ AntN : 안테나 소자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1)(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은, 복수(N개 ; 단 N은 2 이상의 정수)의 안테나 소자(Ant1~AntN)로 이루어지는 어레이 안테나를 갖는다. 안테나 소자(Ant1~AntN)로 각각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서(2)를 거쳐서 다운 컨버터(2)에 입력되어, 베이스 밴드 신호(x1~xN)로 변환된다.
각 단말 m 처리부(6)(단, m은 1부터 M까지의 정수)는, 통신 상대가 되는 무선국으로서의 무선 통신 단말(이하, 단지 「단말」이라 칭한다)마다의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한다. 단말 m 처리부(6)에는, 베이스 밴드 신호(x1~xN)가 입력된다. 단말 m 처리부(6)는, 베이스 밴드 신호(x1~xN)에 대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 방식의 적응 수신 처리를 행하고, 단말 m 수신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단말 m 처리부(6)에는, 단말 m 송신 데이터가 입력된다. 단말 m 처리 부(6)는, 단말 m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 방식의 적응 송신 처리를 행하고, 안테나 소자(Ant1~AntN)에 각각 대응하는 베이스 밴드 신호(z1~zN)를 출력한다. 각 단말 m 처리부(6) 출력 후의 베이스 밴드 신호(z1~zN)는, 안테나 소자(Ant1~AntN)마다의 가산기(8)로 각각 가산된 후에, 업컨버터(10)에 입력되어, RF 신호로 변환된다. 각 RF 신호는, 듀플렉서(2)를 거쳐서 안테나 소자(Ant1~AntN)에 공급되어, 무선 송신된다.
통신 제어부(12)는, 무선 기지국(1)의 통신 제어를 담당한다.
단말 m 처리부(6)에 있어서, 가중치 부여 합성부(20)에는, 수신 가중치 생성부(24)에 의해 생성된 안테나 소자(Ant1~AntN)에 각각 대응하는 가중 계수(W1~WN)와, 베이스 밴드 신호(x1~xN)가 입력된다. 가중치 부여 합성부(20)는, 가중 계수(W1~WN)로 베이스 밴드 신호(x1~xN)를 각각 가중치 부여하고, 또한 그 가중치 부여 후의 모든 신호를 하나로 합성하여 어레이 출력 신호(y)를 출력한다. 어레이 출력 신호(y)는, 데이터 수신부(22)에서 수신 처리되어, 단말 m 수신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수신 가중치 생성부(24)에는, 베이스 밴드 신호(x1~xN)와, 가중치 부여 합성부(20)로부터 피드백되는 어레이 출력 신호(y)와, 미리 설정된 참조 신호(r)가 입력된다. 수신 가중치 생성부(24)는, 베이스 밴드 신호(x1~xN), 참조 신호(r) 및 어레이 출력 신호(y)에 근거하여, 가중 계수(W1~WN)를 산출한다. 가중 계수(W1~WN)는, 안테나 소자(Ant1~AntN)로 이루어지는 어레이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을, 통신 상대가 되는 단말에 추종시키도록 생성된다. 가중 계수(W1~WN)의 산출 처리에서는, 적응 알고리즘이 이용된다. 적응 알고리즘으로서는, 예컨대,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베이스의 LMS(Least Mean Square)나 RLS(Recursive Least Squares), SMI(Sample Matrix Inversion) 등이 이용 가능하다.
송신 가중치 생성부(26)는, 가중 계수(W1~WN)를 송신용으로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가중치 생성부(26)는, 송신 지향성 형성부(28)로부터 안테나 소자(Ant1~AntN)까지의 각 송신 경로 간의 위상상, 이득상의 격차를 보정한다. 송신 가중치 생성부(26)에 의한 보정 후의 가중 계수는 송신 지향성 형성부(28)에 입력된다.
송신 지향성 형성부(28)에는, 그 송신용으로 보정된 가중 계수와 단말 m 송신 데이터가 입력된다. 송신 지향성 형성부(28)는, 보정 후의 각 가중 계수로 단말 m 송신 데이터를 각각 가중치 부여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z1~zN)를 출력한다.
페이딩 속도 추정부(30)에는, 가중 계수(W1~WN)가 입력된다. 페이딩 속도 추정부(30)는, 가중 계수(W1~WN)에 근거하여 단말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하고, 그 추정값(101)을 출력한다.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101)은, 통신 제어부(12)에 입력된다. 통신 제어부(12)는, 각 단말의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101)에 근거하여, 각 단말의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의 적부를 판단한다.
도 2는, 페이딩 속도 추정부(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페이딩 속도 추정부(30)는, 위상 변화량 검출부(31)와, 페이딩 속도 판정부(32)와, 페이딩 속도 테이블(33)을 갖는다.
위상 변화량 검출부(31)는, 가중 계수(W1~WN)의 위상 변화량을 검출한다. 이 위상 변화량의 검출 처리에서는, 우선, (1) 식에 의해, Wi(n) 대 Wi(n-1)의 비 「hi(n)」를 계산한다.
Figure 112008001787308-pct00001
(1)
단, Wi(n)는, 수신 가중치 생성부(24)에 의해서 n번째에 생성된 가중 계수를 나타낸다. 그 가중 계수의 생성 간격은 일정하다. N은 안테나 소자수이다.
이어서, (2) 식에 의해, hi(n)의 위상 「pi(n)」을 계산한다.
Figure 112008001787308-pct00002
(2)
단, Re[hi(n)]는 hi(n)의 실수부, Im[hi(n)]는 hi(n)의 허수부이다.
상기 pi(n)는, Wi(n) 대 Wi(n-1)의 위상 변화를 나타내지만, 모두 동일 방향의 위상 변화량으로 한다.
이어서, (3) 식에 의해, pi(n)의 평균값 「Pavg(n)」을 계산한다.
Figure 112008001787308-pct00003
(3)
상기 Pavg(n)는, (n-1)번째의 가중 계수(W1~WN)부터 n번째의 가중 계수(W1~WN)까지의 소정 시간당의 위상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위상 변화량 검출부(31)는, 상기 (1)~(3)식에 의해 산출된 위상 변화량 Pavg(n)을 페이딩 속도 판정부(32)에 출력한다.
페이딩 속도 판정부(32)는, 그 위상 변화량 Pavg(n)에 대응하는 페이딩 속도를 페이딩 속도 테이블(33)에 근거하여 판정한다. 페이딩 속도 테이블(33)은, 위상 변화량과 페이딩 속도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도 3은, 페이딩 속도 테이블(33)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일례이다. 도 3에 표시되는 그래프 도면에 있어, 종축은 위상 변화량, 가로축은 페이딩 속도를 나타낸다. 위상 변화량과 페이딩 속도와의 대응 관계는, 적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마다 달라지기 때문에, 적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특정하여 미리 구한다.
페이딩 속도 판정부(32)는, 위상 변화량 검출부(31)로부터 받아들인 위상 변화량 Pavg(n)에 대응하는 페이딩 속도의 값을, 페이딩 속도 테이블(33)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그 판독한 값을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101)으로서 통신 제어부(12)에 출력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통신 제어부(12)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2)는, 각 단말 m 처리부(6)의 페이딩 속도 추정부(30)로부터, 각 단말의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101)을 해당 통신 제어부(12)에 입력한다(단계 S1). 이어서, 그들 추정값(101)을 페이딩 속도 순서대로 분류한다(단계 S2). 이어서, 각 추정값(101)을 소정의 임계값(Th)과 비교하고, 임계값(Th)보다 작은 추정값(101)이 있는지 판단한다(단계 S3).
단계 S3의 판단의 결과, 임계값(Th)보다 작은 추정값(101)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 제어부(12)는, 모든 단말에 대하여, 종래 채널을 할당한다(단계 S4). 여기서, 종래 채널은, 공간 분할 다원 접속되지 않는 경우의 캐리어(주파수), 타임 슬롯 또는 확산 코드 중 어느 것, 혹은 복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채널을 가리킨다. 따라서, 임계값(Th)보다 작은 추정값(101)이 없는 경우에는(단계 S3에서 NO인 경우),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은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임계값(Th)보다 작은 추정값(101)이 있는 경우에는(단계 S3에서 YES인 경우), 상기 통신 제어부(12)는, 추정값(101)이 임계값(Th)보다 작은 단말을 모두 선택하고, 그 선택한 단말의 수를 카운트한다(단계 S5). 또, 추정값(101)은 0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12)는, 그 카운트한 단말의 수를 최대 공간 채널수 「K」과 비교하고, 단말의 수가 최대 공간 채널수 「K」 이하인지 판단한다(단계 S6). 여기서, 최대 공간 채널은, 본 실시예에서는, 일부의 종래 채널을 제외하고, 동시에 공간 분할 다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최대의 채널수를 가리킨다.
단계 S6의 판단의 결과, 단말의 수가 최대 공간 채널수 「K」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통신 제어부(12)는, 단계 S5에서 선택한 모든 단말에 대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하고, 또한, 단계 S5에서 선택하지 않은 남은 단말에 대해서는 종래 채널을 할당한다(단계 S7).
한편, 단말의 수가 최대 공간 채널수 「K」를 넘는 경우에는(단계 S6에서 NO인 경우), 선택한 단말 중, 추정값(101)이 작은 쪽부터 K개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K개의 단말에 대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한다. 그리고, 남은 단말(단계 S5에서 선택되지 않은 단말도 포함시킨다)에 대해서는, 종래 채널을 할당한다(단계 S8).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최대 공간 채널수 「K」는, 일부의 종래 채널을 제외하고, 동시에 공간 분할 다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최대의 채널수를 가리키지만, 예컨대, 모든 종래 채널에 근거하여 동시에 공간 분할 다원 접속할 수 있는 수로 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단계 S8은, 아래와 같이 된다. 즉, 단말의 수가 최대 공간 채널수 「K」를 넘을 때에는(단계 S6에서 NO인 경우), 상기 통신 제어부(12)는, 선택한 단말 중, 추정값(101)이 작은 쪽부터 K개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K개의 단말에 대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한다. 그리고, 남은 단말에 대해서는, 채널의 할당을 행하지 않는다.
또, 상기 임계값(Th)은, 상기 통신 제어부(12)가, 단말의 페이딩 속도에 근거하여, 해당 단말의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의 적부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임계값(Th)은, 무선 기지국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마다 다르기 때문에, 상기 임계값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라 미리 결정된다. 즉, 무선 기지국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마다, 공간 다중화하는 데 적합한 한계의 단말의 이동 속도가 판단되고, 그 한계의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페이딩 속도로부터 상기 임계값(Th)이 결정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라서는, 임계값을 단계적으로 복수 설정하고, 세밀한 통신 제어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상기 통신 제어부(12)에는, 임계값(Th)<임계값(Tg)로 되는 2개의 임계값(Th, Tg)이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 제어부(12)는, 추정값(101)이 임계값(Th)보다 작은 단말에 대해서는,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한다. 이어서, 추정값(101)이 임계값(Th) 이상 임계값(Tg) 미만의 단말의 유무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단말이 있는 경우에는, 또한 종래 채널의 간격이 충분히 있는지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종래 채널의 간격이 충분히 있는 경우에는, 추정값(101)이 임계값(Th) 이상 임계값(Tg) 미만의 단말에 대하여, 종래 채널을 할당한다. 한편, 종래 채널의 간격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추정값(101)이 임계값(Th) 이상 임계값(Tg) 미만의 단말에 대하여도,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제어부(12)가, 각 단말의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101)을 소정의 임계값(Th)과 비교하고, 해당 임계값(Th)보다도 작은 추정값(101)의 단말을 기준으로 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하도록 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간 채널의 할당에 한정하지 않고, 임계값(Th)을 이용하지 않고서, 단지,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101)이 작은 단말부터 순서대로, 공간 채널의 할당이 가능한 최대의 채널수분의 단말에 대하여 할당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통신 제어부(12)가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할 때에,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101)이 O이다) 단말이 복수인 경우에는, 해당 단말끼리에 동일 채널을 할당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스크톱형의 단말(UTD)(201)과 카드형의 단말(UTC)(202)이 혼재하는 경우, 통신 제어부(12)는, UTD(201)가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UTD(201)이 복수인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12)는, 해당 복수의 UTD(201)에 동일 채널(주파수)(f1)을 할당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제어부(12)가, 동일 채널(주파수)을 할당할 때의 우선도를 마련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6의 예에서는, UTD가 많을수록, 우선도가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우선도에 기초한 채널의 할당에 의하여, 통신 제어부(12)에 의한 채널(주파수) 할당이 효율적으로 행하여진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주파수)가 동일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12)가 채널(주파수)의 할당을 복수회 행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무선 기지국(1)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이 컴퓨터 시스템에서 판독되어, 실행되는 것에 의해 무선 통신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은, 0S나 주변기기 등의 하드 웨어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은, WWW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이면, 홈 페이지 제공 환경(또는 표시 환경)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플래쉬 메모리 등의 기록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CD-ROM 등의 가반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말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거쳐서 프로그램이 송신된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예컨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 등에 저장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 매체를 거쳐서, 또는, 전송 매체 중의 전송파에 의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더라도 좋다. 여기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전송 매체」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통신망)이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통신선)과 같이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매체를 말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하여 실현할 수 있는 것, 이른바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더라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통신 상대가 되는 무선국(예컨대 이동국)마다의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가중 계수에 근거하여, 각 무선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Claims (6)

  1.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국마다, 상기 안테나 소자마다의 신호를 가중치 부여하는 가중 계수를 생성하여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는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무선국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을 검출하는 위상 변화량 검출 수단과,
    상기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하는 페이딩 속도 추정 수단과,
    상기 추정에 근거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하는 제어를 하는 통신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이 작은 상기 무선국부터 순서대로, 동시에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이 가능한 채널수만큼 할당하는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는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국마다, 상기 안테나 소자마다의 신호를 가중치 부여하는 가중 계수를 생성하여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무선국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추정에 근거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이 작은 상기 무선국부터 순서대로, 동시에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이 가능한 채널수만큼 할당하는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는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국마다, 상기 안테나 소자마다의 신호를 가중치 부여하는 가중 계수를 생성하여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무선국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을 검출하는 처리와,
    상기 가중 계수의 위상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국의 페이딩 속도를 추정하는 처리와,
    상기 추정에 근거하여,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하는 처리
    를 컴퓨터에게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할 다원 접속용의 채널을 할당하는 처리에 있어서, 상기 페이딩 속도의 추정값이 작은 상기 무선국부터 순서대로, 동시에 공간 분할 다원 접속이 가능한 채널수만큼 할당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7000614A 2005-06-29 2006-06-29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70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90727 2005-06-29
JP2005190727 2005-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265A KR20080031265A (ko) 2008-04-08
KR100970519B1 true KR100970519B1 (ko) 2010-07-16

Family

ID=3759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614A KR100970519B1 (ko) 2005-06-29 2006-06-29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96638A1 (ko)
EP (1) EP1901446A1 (ko)
JP (1) JPWO2007001052A1 (ko)
KR (1) KR100970519B1 (ko)
CN (1) CN101204027B (ko)
WO (1) WO2007001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7956B2 (ja) 2007-04-26 2012-04-18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JP5059492B2 (ja) * 2007-06-13 2012-10-24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5124306B2 (ja) * 2008-02-18 2013-01-23 株式会社Kddi研究所 無線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無線基地局制御方法
JP5111182B2 (ja) * 2008-03-19 2012-12-26 株式会社Kddi研究所 無線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無線基地局制御方法
CN101359967B (zh) * 2008-08-29 2011-06-01 北京天碁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高速移动场景下急剧衰落的检测方法和装置
US8577296B2 (en) * 2008-08-29 2013-11-0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Weighting factor adjustment in adaptive antenna arrays
JP5375520B2 (ja) 2008-11-07 2013-12-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CN102598561B (zh) 2009-10-26 2014-11-26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
JP2013009386A (ja) * 2012-08-01 2013-01-10 Kyocera Corp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CN105577298B (zh) * 2014-11-05 2018-10-16 辰芯科技有限公司 一种自适应相位检测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8508A (ja) 2001-12-26 2003-07-11 Sanyo Electric Co Ltd アダプティブアレイ無線装置
JP2003244070A (ja) 2002-02-19 2003-08-29 Sanyo Electric Co Ltd 無線基地装置、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送信電力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3879B2 (ja) * 1998-02-03 2007-05-09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速度に基づく通信制御装置および方法
EP1367670B1 (en) * 1998-07-13 2006-09-06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Calibration for an adaptive array antenna
JP3574055B2 (ja) * 2000-08-25 2004-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基地局
CN1236566C (zh) * 2000-12-25 2006-01-11 三洋电机株式会社 具有发送方向性的无线装置及其控制方法
JP4587357B2 (ja) * 2001-07-12 2010-11-24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基地システムおよび送信指向性制御方法
WO2003026335A1 (fr) * 2001-09-14 2003-03-27 Fujitsu Limited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station mobile et station de base
JP2003101427A (ja) * 2001-09-21 2003-04-04 Sanyo Electric Co Ltd 無線装置および利得制御方法
JP4118599B2 (ja) * 2002-05-20 2008-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ダイバーシチ受信機および受信方法
JP4394946B2 (ja) 2003-12-24 2010-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8508A (ja) 2001-12-26 2003-07-11 Sanyo Electric Co Ltd アダプティブアレイ無線装置
JP2003244070A (ja) 2002-02-19 2003-08-29 Sanyo Electric Co Ltd 無線基地装置、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送信電力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4027B (zh) 2011-12-07
US20090296638A1 (en) 2009-12-03
CN101204027A (zh) 2008-06-18
JPWO2007001052A1 (ja) 2009-01-22
WO2007001052A1 (ja) 2007-01-04
EP1901446A1 (en) 2008-03-19
KR20080031265A (ko) 2008-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519B1 (ko)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46924B1 (ko) 제로 포싱 빔포밍 알고리즘에서의 사용자 단말 선택 방법
US74506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versity combining and co-channel interference suppression
KR100559070B1 (ko) 적응형 안테나 어레이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279486A1 (en)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5501470B2 (ja) ユーザ装置を選択する方法、アップリンクスケジューラ、基地局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41440B2 (ja) パケットスケジュール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KR20030085380A (ko) 레이크 수신기의 빔포밍 웨이트 벡터 업데이트 방법
JP2004104206A (ja) 空間分割多重アクセス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移動局
KR20060061443A (ko) 신호 보정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는 스마트 안테나 통신 시스템
WO2003007506A1 (fr) Systeme radio fixe, procede de transmission a commande directionnelle et programme de transmission a commande directionnelle
KR20070111559A (ko)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변화량을 이용한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JP2005252521A6 (ja) パケットスケジュール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JP2009524304A (ja) Td−cdmaシステムの下りビーム形成方法及び装置
JP2006019806A (ja) 異常検出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基地局装置
US7075909B1 (en) Radio spectrum management apparatus for base stations
KR100929088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모드 결정 장치 및 방법
JP4457382B2 (ja) 無線通信基地局
EP1489757B1 (en) Radio reception device, array parameter optimal value estimation method, and array parameter optimal value estimation program
JP2003259430A (ja) 無線基地装置、スロット割当方法、およびスロット割当プログラム
US20060159052A1 (en) Space division multiplex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JP2006173662A (ja) タイムスロット割当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基地局装置
JP6259354B2 (ja) 空間多重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基地局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2290299A (ja) 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受信方法
JP200803525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