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338B1 - 자동차용 스타터교환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타터교환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338B1
KR100970338B1 KR1020080110382A KR20080110382A KR100970338B1 KR 100970338 B1 KR100970338 B1 KR 100970338B1 KR 1020080110382 A KR1020080110382 A KR 1020080110382A KR 20080110382 A KR20080110382 A KR 20080110382A KR 100970338 B1 KR100970338 B1 KR 10097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er
brush
warning device
wea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1287A (ko
Inventor
진기호
Original Assignee
진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기호 filed Critical 진기호
Priority to KR102008011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338B1/ko
Priority to EP09824950A priority patent/EP2343447A1/en
Priority to PCT/KR2009/006188 priority patent/WO2010053267A1/ko
Priority to US13/127,565 priority patent/US20110210837A1/en
Priority to JP2011534385A priority patent/JP2012508341A/ja
Publication of KR2010005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1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8Warnin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9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specially adapted to the type of the starter motor or integrated into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14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 being related to wear of starter or other components, e.g. based on total number of starts or 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58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urrent collector for indicating condition thereof, e.g. for indicating brush w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electric devices influencing the characteristic of, or controlling, the machine, e.g. with impedances 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타터의 브러시가 마모한계까지 마모되기 일정시기 이전에 스타터의 교환을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주기 위한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는 도체를 절연체로 둘러싸인 통전센서, 탄성체가 내장되고 케이스와 가동부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된 누름 스위치, 또는 브러시 마모 정도에 따라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접점부 중 어느 하나를 자동차용 스타터에 설치하여 브러시가 한계마모 상태에 이르기 전에 상기 통전센서 또는 누름 스위치 또는 접점부가 온(on) 되고, 상기 통전센서 또는 누름 스위치 또는 접점부에 연결된 경고장치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브러시가 마모되어 스타터가 작동불능 상태에 이르기 이전에 미리 운전자에게 스타터 교환의 경고가 가능한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이다.
자동차용 스타터, 브러시, 경고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타터교환 경고장치{Warning apparatus for exchange of vehicle starte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타터의 브러시가 마모한계까지 마모되기 일정시기 이전에 스타터의 교환을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주기 위한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는 도체를 절연체로 둘러싸인 통전센서, 탄성체가 내장되고 케이스와 가동부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된 누름 스위치, 또는 브러시 마모 정도에 따라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접점부 중 어느 하나를 자동차용 스타터에 설치하여 브러시가 한계마모 상태에 이르기 전에 상기 통전센서 또는 누름 스위치 또는 접점부가 온(on) 되고, 상기 통전센서 또는 누름 스위치 또는 접점부에 연결된 경고장치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브러시가 마모되어 스타터가 작동불능 상태에 이르기 이전에 미리 운전자에게 스타터 교환의 경고가 가능한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 엔진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엔진에는 보조장치로서 엔진을 정치상태에서 운전상태 로 시동시키기 위한 스타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스타터는 계자, 전기자, 정류자, 브러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브러시는 스타터가 작동 시에 계자 코일과 전기자 코일 사이에 전류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류자의 일부에 슬립되면서 접촉되는 부품으로 슬립되는 부품의 특성으로 마모를 동반하고 마모가 일정 한계에 도달하면 스타터가 더 이상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스타터의 사용수명을 결정하는 부품 중 하나이다.
상기와 같은 브러시가 자동차 주행 중에 일정 한계까지 마모되면 스타터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엔진을 시동시키지 못하고 따라서 자동차가 주행불능 상태로 되어서 운전자가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브러시 마모 상태를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스타터는 브러시 마모 정도에 따라 이를 알려주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지 않아 브러시의 교체 여부를 단순히 경험에 의지하여야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스타터의 브러시가 마모되어 스타터가 더 이상 작동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중 중도에 자동차의 시동의 걸지 못하게 되어서, 견인 등 비상조치를 해야함에 수반되는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통전센서 또는 접점부 등을 이용하여 브러시가 마모되어 스타터가 작동불능 상태에 이르기 이전에 미리 운전자에게 스타터의 교환을 요구하는 경고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브러시의 마모 정도에 따라 경고장치가 작동하도록 하여 스타터의 교체시기를 사전에 알려줌으로써 자동차가 주행 중에 주행불능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의 마모되는 정도에 따라 통전 또는 온(ON)되는 통전센서 또는 접점부를 브러시 또는 브러시 홀더에 설치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기존 자동차용 스타터에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류자가 설치된 축과, 브러시 홀더 내부에 설치된 4개의 브러시를 갖는 자동차용 스타터에 장착되며,
상기 각각의 브러시는 스타터의 작동 한계상황을 설정하는 마모한계 라인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브러시 내부에 끝단이 상기 마모한계 라인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도체와, 상기 도체를 절연시키는 통 형상의 절연체 케이스로 구성된 통전센서들과; 상기 통전센서들이 설치된 브러시들 중 두 개의 브러시가 병렬로 배터리에 연결되고, 다른 두 개의 브러시는 병렬로 접지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두 개의 브러시 내부에 설치된 통전센서들에 연결되는 제1경고장치와, 상기 접지된 두 의 브러시 내부에 설치된 통전센서들에 연결되는 제2경고장치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정류자가 설치된 축과, 브러시 홀더 내부에 설치된 4개의 브러시를 갖는 자동차용 스타터에 장착되며, 상기 브러시는 스타터의 작동 한계상황을 설정하는 마모한계 라인을 가지며, 상기 브러시 상단에 설치되며, 그 내부 상단에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의해 브러시를 밀어주는 가동부가 설치된 케이스들과; 상기 케이스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에 의해 눌려져 온(ON)되는 누름 스위치들과; 상기 누름 스위치의 일단에 연결되는 접지선들과; 상기 누름 스위치들과 병렬로 연결되고 타 단은 배터리에 연결되며, 상기 브러시의 마모에 따라 상기 가동부 상단이 상기 누름 스위치를 눌러 온시키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정류자가 설치된 축과, 브러시 홀더 내부에 설치된 4개의 브러시를 갖는 자동차용 스타터에 장착되며, 상기 브러시들은 스타터의 작동 한계상황을 설정하는 마모한계 라인을 가지며, 상기 브러시들을 쌍을 이루도록 두 개의 브러시를 각각 연결하고 배터리로부터 상기 스타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배터리에 연결된 제1리드선 및 접지된 제2리드선과; 상기 제1 및 제2리드선 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된 접점부들과; 상기 접점부들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경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타터교환 경고장치는 브러시 마모상태를 감지하는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설치될 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러시가 마모되어 스타터가 작동불능 상태에 이르기 이전에 미리 운전자에게 스타터의 교환의 경고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전에 스타터를 교환하도록 유도하여 운전자가 주행 중에 자동차가 주행불능 상태로 되어서 생기는 견인조치 등에서 오는 시간적 및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브러시 마모에 의한 스타터의 고장에 대한 염려 없이 안심하고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정류자(11)가 설치된 축(10)과, 상기 정류자(11)에 유도 전류를 공급하여 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스타터 한계상황을 설정하기 위한 마모한계 라인(31,31a)을 갖는 4개의 브러시(30,30a)들과, 상기 4개의 브러시들(30,30a)을 각각 내장한 브러시 홀더(20)들과; 상기 각각의 브러시 홀더(20)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시(30,30a)를 정류자(11)에 접촉하도록 밀어 주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50)와; 상기 각각의 브러시(30,30a) 상단으로부터 일정깊이 이상으로 삽입 설치되며 절연체로 구성된 통 형상의 절연체 케이스(41,41a)와, 상기 절연체 케이스(41,41a)에 내장된 도체(42,42a)를 구비한 통전센서(40,40a)와; 상기 통전센서(40,40a)의 도체(42,42a)에 연결되며 타 단은 배터리(80)에 연결되는 제1경고장치(71) 및 제2경고장치(7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4개의 브러시들 중 두 개의 브러시(30)는 병렬로 배터리(80)에 연결하고, 그 브러시들(30)에 설치된 통전센서(40)들은 상기 제1경고장치(71)에 병렬로 연결한다. 또한 다른 두 개의 브러시(30a)는 병렬로 접지(90)하고, 그 접지된 브러시(30a) 내부에 통전센서(40a)는 제2경고장치(70)에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도체(42,42a)의 끝단(44,44a)은 상기 브러시(30,30a)의 마모한계 라인(31,31a) 보다 밑에 일정 길이(X) 만큼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일정 길이(X)는 상기 브러시(30,30a)가 마모한계 라인(31,31a)까지 마모되기 전 해당 스타터의 잔여 작동 회수가 50회 내지 150회인 때에 경고장치(70,71)를 작동시키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상기 브러시(30,30a)가 마모한계까지 마모되기 전 스타터의 잔여 작동 회수가 100회인 때에 경고장치(70,71)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일정 길이(X)는; 브러시(30, 30a)의 선단 부(32,32a)에서 마모한계 라인(31,31a)까지 길이(Lmm): 브러시(30, 30a)가 마모한계까지 마모되는 스타터 작동 회수 = 일정 길이(Xmm): 100회 라는 비례식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통전센서(40,40a)의 도체(42,42a) 끝단에는 경고장치(71,70)와 연결되는 전선연결부(43,43a)을 더 설치하여 전선의 연결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장치(70,71)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램프, 발광다이오드, 부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장치(70,71)와 통전센서(40,40a) 사이에 릴레이 또는 E.C.U (Electronic Control Unit) 등 상기 통전 센서에 의해 최초 통전이 이루어진 순간 에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경고장치를 가동시키는 인터페이스1(61) 및 인터페이스2(60)를 더 설치하여 브러시 마모에 따라 통전센서의 도체가 정류자에 지속적으로 접촉하지 못하더라도 최초 접촉 이후에 지속적인 경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전센서(40,40a)와 경고장치(70,71)의 구동은, 브러시 마모한계 라인(31,31a)보다 일정 길이(X)만큼 하부로 삽입설치된 통전센서가 정류자(11)와 접촉하기 전에는 경고장치가 작동하지 않는다. 그 후 차량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브러시(3,30a)가 마모한계 라인(31,31a)에 근접하게 되며, 브러시(30,30a)의 마모에 따라 삽입 설치된 통전센서(40,40a)의 절연체 케이스(41,41a) 바닥이 마모되고, 그 마모 정도에 따라 상기 절연체 케이스(41,41a) 내부의 도체(42,42a)가 축(10)에 설치된 정류자(11)에 접촉하게 되고, 이미 배터리(80)에 연결된 두 개의 브러시(30)와, 접지된 두 개의 브러시(30a)가 통전되어 제1 및 제2 경고장치(70,71)를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통전센서(40,40a)와 제1 및 제2 경고장치(70,71) 사이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60,61)로 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도체(42,42a)의 정류자(11) 접촉에 의해 상기 배터리(80)로부터 릴레이로 전류가 흘러 상기 릴레이가 작동하면서 상기 도체와 정류자의 지속적인 접촉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경고장치(70,71)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60,61)로 E.C.U를 사용하는 경우 브러시(30,30a)가 마모되어 상기 도체(42,42a)의 선단 부(44,44a)가 상기 정류자(11)에 접촉하는 순간 배터리에 연결된 E.C.U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경고장치(70,71)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60,61)는 통전센서(40,40a)의 도체(42,42a)와 정류자(11)의 초기 접촉 후 접촉과 미접촉이 반복되더라도 한번 작동한 경고장치를 온/오프를 반복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통전 센서(40,40a)는 브러시(30,30a)에 미리 삽입설치한 후, 브러시 홀더(20)에 설치하므로 용이하게 자동차용 스타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정류자(11)가 설치된 축(10)과, 상기 정류자(11)에 접촉하며 전기를 유도하며, 스타터의 작동 한계상황을 설정하는 마모한계 라인(31')을 갖는 스타터 교환기 위한 브러시(30')들과; 상기 브러시(30')를 내장한 브러시 홀더(20')와; 상기 각각의 브러시 홀더 내부 상단과 브러시(30') 상단 사이에 설치되고 저면에 유동구가 형성된 케이스(91)와; 상기 케이스(91) 내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50')와; 상기 탄성체(50') 하단에 설치되며 탄성체(50')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브러시로 전달하여 상기 브러시(30')가 정류자(11)에 접촉하도록 하는 가동부(92)와; 상기 가동부(92)에 의해 눌려져 온(ON)되는 오프 상태의 누름 스위치(90)와; 상기 누름 스위치(90)에 연결되며 타 단은 배터리(80)에 연결되는 경고장치(7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동부(92)은 탄성체(50')를 받치는 머리(92a)와 그 탄성체(50')의 압력을 브러시(30')로 전달하는 스트로크(92b)로 구성되며, 상기 누름 스위치들은 병렬로 상기 경고장치(7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누름 스위치(90)를 온시키는 가동부(92)의 머리(92a)로부터 누름 스위치까지의 초기 설치상태의 거리(S')는 상기 브러시(30')가 마모한계 라인(31')까지 마모되기 이전에 상기 경고장치(7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브러시(30')의 선단부(32')로부터 마모한계 라인(31')까지의 길이(L')보다 일정 양(X') 작게 정해지고, 그리고 상기 일정 양(X')은 상기 브러시(30')가 마모한계까지 마모되기 전 해당 스타터의 잔여 작동 회수가 50회 내지 150회인 때에 경고장치(70')를 작동시키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마모한계까지 마모되기 전 스타터의 잔여 작동 회수가 100회인 때에 경고장치(70')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일정 양(X')은; 브러시(30')의 선단부(32')에서 마모한계 라인(31')까지 길이(L'mm): 브러시(30')가 마모한계까지 마모되는 스타터 작동 회수 = 일정 양(X'mm): 100회 라는 비례식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92)가 누름 스위치(90)에 접촉한 후에도 상기 브러시(30')가 마모한계 라인(31')까지 마모될 수 있도록 탄성체(50')는 계속해서 상기 가동부(92)에 압력을 가한다.
또한, 상기 경고장치(70')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램프, 발광다이오드, 부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장치(70')와 누름 스위치(90) 사이에 릴레이 또는 E.C.U (Electronic Control Unit) 등 상기 가동부 머리(92a)가 누름 스위치(90)에 접촉되 어 최초 통전이 이루어진 순간에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경고장치를 가동시키는 인터페이스(60')를 더 설치하여 브러시 마모에 따라 통전센서의 도체가 정류자(11)에 지속적으로 접촉하지 못하더라도 최초 접촉 이후에 지속적인 경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는 브러시(30')가 마모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동부(92)의 스트로크(92b)가 브러시(30')의 마모에 따라 하향하여 가동부 머리(92a)가 상기 누름 스위치(90)를 눌러 온(on)되면 상기 배터리(80)로부터 상기 경고장치(70')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차량의 떨림 등에 의해 누름 스위치의 온/오프가 반복되어 경고장치의 온/오프가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인터페이스(6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누름 스위치(90)와 경고장치(70') 사이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60')로 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누름 스위치(90)가 온되어 상기 배터리(80)로부터 릴레이로 전류가 흘러 상기 릴레이가 작동하면서 상기 가동부 머리(92a)의 상기 누름 스위치에 대한 지속적인 누름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경고장치(7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60')로 E.C.U를 사용하는 경우 브러시(30')가 마모되어 상기 누름 스위치가 가동부 머리(92a)에 의해 눌려지는 순간 배터리에 연결된 E.C.U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경고장치(7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60')는 누름 스위치(90)가 가동부 머리(92a)에 의해 최초 눌려진 이후, 누름과 이탈이 반복되더라도 한번 작동한 경고장치를 온/오프를 반복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정류자(11)가 설치된 축(10)과, 상기 정류자(11)에 접촉하며 전기를 유도하며, 스타터의 작동 한계상황을 설정하는 마모한계 라인(31")을 갖는 스타터 교환기 위한 브러시(30")들과; 상기 인접한 브러시들이 쌍을 이루도록 연결되며 배터리로부터 상기 스타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제1리드선(14) 및 접지되어 있는 제2리드선(15)과; 상기 리드선(14,15)들 하단에 설치된 플렉시블한 접점부(55,56)와, 상기 접점부들(55,56)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경고장치(7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드선(14,15)과 접점부 사이의 간격(S")는 상기 브러시(30")가 마모한계 라인(31")까지 마모되기 이전에 상기 경고장치(7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브러시(30")가 선단부(32")부터 마모한계 라인(31")까지 마모됨에 따라 상기 리드선(14, 15)이 이동된 거리(L")보다 일정 양(X") 적게 정해지고, 그리고 상기 일정 양(X")은 상기 브러시(30")가 마모한계까지 마모되기 전 해당 스타터의 잔여 작동 회수가 50회 내지 150회인 때에 경고장치(70")가 작동되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마모한계까지 마모되기 전 스타터의 작동 회수가 100회인 때에 경고장치(70")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일정 거리(S")는; 브러시(30")의 선단 부(32")에서 마모한계 라인(31")까지 길이(L"mm): 브러시(30")가 마모한계까지 마모되는 스타터 작동 회수 = 일정 양(X"mm): 100회 라는 비례식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선(14,15)이 접점부(55,56) 접촉한 후에도 플렉시블한 접점부가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리드선(14,15)은 상기 브러시(30")가 마모한계 라인(31")까지 마모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장치(70")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램프, 발광다이오드, 부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장치(70")와 접점부(55,56) 사이에 릴레이 또는 E.C.U (Electronic Control Unit) 등의 상기 접점부(55,56)가 리드선(14,15)에 접촉하여 접점부(55,56)에 의해 최초 통전이 이루어진 순간에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경고장치를 가동시키는 인터페이스(60")를 더 설치하여 브러시 마모에 따라 리드선과 접점부가 지속적으로 접촉하지 못하더라도 최초 접촉 이후에 지속적인 경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는 브러시(30")가 마모되고, 이로 인해 상기 리드선(14,15)이 상기 접점부(55,56)에 접촉하여 온(on)되면 상기 경고장치(70")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차량의 떨림 등에 의해 접점부의 온/오프가 반복되어 경고장치의 온/오프가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인터페이스(6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접점부(55,56)와 경고장치(70") 사이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60")로 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접점부(55,56)가 온되어 상기 배 터리(80)로부터 릴레이로 전류가 흘러 상기 릴레이가 작동하면서 상기 접점부의 지속적인 작동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경고장치(7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60")로 E.C.U를 사용하는 경우 브러시(30")가 마모되어 상기 리드선(14,15)이 접점부(55,56)에 접촉하는 순간 E.C.U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경고장치(7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60")는 접점부가 최초 리드선에 접촉된 이후, 접촉과 이탈이 반복되더라도 한번 작동한 경고장치를 온/오프를 반복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 11 : 정류자
14 : 제1리드선 15 : 제2리드선
20,20': 브러시 홀더 30,30',30": 브러시
31,31',31": 마모한계 라인 32,32',32": 브러시 선단부
40 : 통전센서 41 : 절연체 케이스
42 : 도체 43 : 전선 연결부
50,50': 탄성체 55,56 : 접점부
60,60',60": 인터페이스 70,71,70',70": 경고장치
80 : 배터리 90 : 누름 스위치
91 : 케이스 92 : 가동부
92a: 가동부 머리 92b: 스트로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정류자(11)가 설치된 축(10)과, 브러시 홀더 내부에 설치된 4개의 브러시(30")를 갖는 자동차용 스타터에 장착되며,
    상기 브러시(30")들은 스타터의 작동 한계상황을 설정하는 마모한계 라인(31")을 가지며, 상기 브러시(30")들을 쌍을 이루도록 두 개의 브러시를 각각 연결하고 배터리로부터 상기 스타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제1리드선(14) 및 접지된 제2리드선(15)과;
    상기 제1 및 제2리드선(14, 15) 하단에 각각 설치된 접점부(55, 56)들과;
    상기 접점부(55, 56)들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경고장치(70")와;
    상기 접점부(55, 56)들과 경고장치(7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접점부가 최초 작동한 후 지속적으로 상기 경고장치(70")를 작동시키는 인터페이스(60")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페이스(60")는 릴레이 또는 E.C.U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경고장치(70")는 램프, 발광다이오드, 부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타터 교환 경고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80110382A 2008-11-07 2008-11-07 자동차용 스타터교환 경고장치 KR100970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382A KR100970338B1 (ko) 2008-11-07 2008-11-07 자동차용 스타터교환 경고장치
EP09824950A EP2343447A1 (en) 2008-11-07 2009-10-26 Warning device for automobile starter replacement
PCT/KR2009/006188 WO2010053267A1 (ko) 2008-11-07 2009-10-26 자동차용 스타터교환 경고장치
US13/127,565 US20110210837A1 (en) 2008-11-07 2009-10-26 Warning device for automobile starter replacement
JP2011534385A JP2012508341A (ja) 2008-11-07 2009-10-26 自動車用スターター交換警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382A KR100970338B1 (ko) 2008-11-07 2008-11-07 자동차용 스타터교환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287A KR20100051287A (ko) 2010-05-17
KR100970338B1 true KR100970338B1 (ko) 2010-07-15

Family

ID=4215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382A KR100970338B1 (ko) 2008-11-07 2008-11-07 자동차용 스타터교환 경고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210837A1 (ko)
EP (1) EP2343447A1 (ko)
JP (1) JP2012508341A (ko)
KR (1) KR100970338B1 (ko)
WO (1) WO2010053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2016B2 (en) * 2012-11-05 2017-09-12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brush holder and system for monitoring brush wear
US9331555B2 (en) * 2012-11-05 2016-05-0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brush holder and system for monitoring brush wear
JP6018026B2 (ja) * 2013-07-29 2016-11-02 アスモ株式会社 直流モータ
CA2985094C (en) 2015-06-01 2022-03-22 Cutsforth, Inc. Brush wear and vibration monitoring
AU2017206696A1 (en) 2016-01-11 2018-07-05 Cutsforth, Inc. Monitoring system for grounding apparatus
EP3193410A1 (de) * 2016-01-14 2017-07-19 LTN Servotechnik GmbH Schleifringeinheit
FR3071972B1 (fr) * 2017-10-02 2020-07-17 Psa Automobiles Sa Demarreur de moteur thermique equipe d’un dispositif de detection d’usure balais
EP3861605A1 (en) 2018-10-04 2021-08-11 Cutsforth,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one or more components of an electrical machine
WO2020072806A2 (en) 2018-10-04 2020-04-09 Cutsforth,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one or more components of an electrical machine
US11403889B2 (en) 2019-09-09 2022-08-02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Part maintenance and value estimation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746A (ja) * 1992-04-27 1993-11-16 Mitsubishi Heavy Ind Ltd Dcモータのブラシ摩耗警報装置
KR200238041Y1 (ko) * 1996-12-23 2001-12-05 이구택 전동기용브러쉬의마모한계검출장치
KR20020038041A (ko) * 2000-11-16 2002-05-23 김성헌 로봇 안구용 렌즈 어셈블리
KR20040023063A (ko) * 2002-09-10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직류 모터의 브러시 마모 감지장치
KR100449634B1 (ko) * 2000-03-29 2004-09-21 윤진용 카본브러시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경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3095A (en) * 1980-02-19 1982-06-01 Reliance Electric Company Brush wear indicator
US5349480A (en) * 1988-03-31 1994-09-20 Seiko Epson Corporation Portable audio apparatus
US4918348A (en) * 1988-12-14 1990-04-17 Prestolite Electric Incorporated Brush wear indicator
JP3771836B2 (ja) * 2001-12-11 2006-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のブラシ摩耗検出システム
CN100350682C (zh) * 2003-01-14 2007-11-2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电动机的碳刷磨损感测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746A (ja) * 1992-04-27 1993-11-16 Mitsubishi Heavy Ind Ltd Dcモータのブラシ摩耗警報装置
KR200238041Y1 (ko) * 1996-12-23 2001-12-05 이구택 전동기용브러쉬의마모한계검출장치
KR100449634B1 (ko) * 2000-03-29 2004-09-21 윤진용 카본브러시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경보장치
KR20020038041A (ko) * 2000-11-16 2002-05-23 김성헌 로봇 안구용 렌즈 어셈블리
KR20040023063A (ko) * 2002-09-10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직류 모터의 브러시 마모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287A (ko) 2010-05-17
JP2012508341A (ja) 2012-04-05
US20110210837A1 (en) 2011-09-01
WO2010053267A1 (ko) 2010-05-14
EP2343447A1 (en)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338B1 (ko) 자동차용 스타터교환 경고장치
US7216617B2 (en) Engine starting assist system
JP5951516B2 (ja) 充電システム
JP4493324B2 (ja) 車両用発電機のブラシ摩耗検出装置
KR101021699B1 (ko) 자동차용 발전기 교환 경고장치
CN105818800A (zh) 一种手刹提醒系统、方法及汽车
KR200485221Y1 (ko) 자동차 엔진 비상 정지 장치
CN101300150B (zh) 用于轮辙保持系统的控制及报警的装置及方法
JP5364922B2 (ja) 車両ホーンスイッチ装置
CN103161636A (zh) 用于内燃机起动机的起动机继电器
CN201263032Y (zh) 直流电机碳刷磨损感应报警装置
CN103118895A (zh) 带高压电源的汽车
CN113948914B (zh) 车辆插头及电动汽车充电系统
CN214705824U (zh) 一种继电器按钮结构
CN110635178B (zh) 蓄电池的断电装置、蓄电池、蓄电池的控制系统及车辆
TWI382942B (zh) For the start of the vehicle for the brake
KR20000038703A (ko) 자동차용 와이퍼모터의 브러쉬 마모 감지장치
KR200447758Y1 (ko)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KR100223475B1 (ko) 엔진 부압에 의한 상시 전원 온/오프 장치
KR100449634B1 (ko) 카본브러시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경보장치
KR200174434Y1 (ko) 자동차 시동모우터보호장치
JP2005053355A (ja) セーフティエンジンスタートシステム
KR20220093772A (ko) 차량 발전기의 잔존수명 예측 및 알림이 가능한 전압 조정기
KR200154040Y1 (ko) 디젤 차량의 비상 시스템
KR19980053538U (ko) 차량용 방전 배터리 재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