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492B1 -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492B1
KR100969492B1 KR1020080011488A KR20080011488A KR100969492B1 KR 100969492 B1 KR100969492 B1 KR 100969492B1 KR 1020080011488 A KR1020080011488 A KR 1020080011488A KR 20080011488 A KR20080011488 A KR 20080011488A KR 100969492 B1 KR100969492 B1 KR 10096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
board
unloading
buffer unit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734A (ko
Inventor
김두철
김원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에이엠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엠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엠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49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79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electrical aspects, e.g. to voltage or current supply or stimuli or to electrical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를 이송하여 번인(BURN-IN) 테스트나 디씨(DC)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등급별로 분류 수납 및 배출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디씨 테스트 판정 결과에 따른 굿 디바이스를 수납 및 배출하기 위한 위치인 수납 중점(h,h’) 또는 배출 중점(k,k’) 중, 1 내지 2개의 버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번인 테스트한 디바이스의 수납 및 등급별로 분류 배출을 하기 위한 수납 중점(p,p’) 또는 배출 중점(t,t’) 중, 1 내지 2개의 버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 중점(p,p’)과 배출 중점(t,t’)의 하부에 번인 보드를 위치하여 상기 디씨 테스트 판정 결과에 따른 굿 디바이스를 인수 및 인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를 경우, 상기 로봇들의 대기 시간 및 공정 작업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디바이스, 버퍼부, 로봇, 번인 보드

Description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Burn-In Sorter With Burn-In Board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바이스를 이송하여 번인(BURN-IN) 테스트나 디씨(DC)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등급별로 분류 수납 및 배출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디씨 테스트 판정 결과에 따른 굿 디바이스를 수납 및 배출하기 위한 위치인 수납 중점(h,h’) 또는 배출 중점(k,k’) 중, 1 내지 2개의 버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번인 테스트한 디바이스의 수납 및 등급별로 분류 배출을 하기 위한 수납 중점(p,p’) 또는 배출 중점(t,t’) 중, 1 내지 2개의 버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 중점(p,p’)과 배출 중점(t,t’)의 하부에 번인 보드를 위치하여 상기 디씨 테스트 판정 결과에 따른 굿 디바이스를 인수 및 인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번인 소터(burn-in sorter)나 디씨 테스트 또는 번인 소터는 제조가 완료된 IC(Integrated Circuit)를 D.C(Direct Current) 특성을 검사하여 양호한 IC를 번인 보드(burn-in board)에 수납하고, 번인 테스트 또는 디씨 테스트가 완료된 IC를 번 인 보드에서 언로딩하여 테스트 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하여 수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번인 소터에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공개 특허 제1998-0071613호(공개일:1998년10월26일)가 공지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1998-0071613호에 기재된 번인 소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번인 소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툴의 동작상태도이다. 종래의 번인 소터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로더(board loader)(2), 언로더(unloader)(3), DC 리젝트(reject)부(4), 트레이 로딩(tray loading)부(5), DC 테스트(DC test)부(6), 턴 리턴 장치(turn return device)부(7), 와이 테이블(Y-table)(8), 빈 포켓(empty pocket)부(9), 트레이 언로딩(tray unloading)부(10) 및 소팅(sorting)부(11)로 구성된다.
보드 로더(2) 및 언로더부(3)는 번인 소터의 본체(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보드 로더(2) 및 언로더부(3)의 타측에 각각 DC 리젝트부(4)와 트레이 로딩부(5)가 설치된다. 트레이 로딩부(5)의 타측방향으로 DC 테스트부(6), 턴 리턴 장치부(7), 와이 테이블(8)이 각각 설치되고, 턴 리턴 장치부(7)와 와이 테이블(8)의 타측에 빈 포켓부(9), 트레이 언로딩부(10) 및 소팅부(11)가 각각 설치되며, 본체(1)의 상부에 다수개의 툴(tool)(12,13,14,15)이 설치된다.
다수개의 툴(12,13,14,15) 중 1 및 2번 트랜스퍼(transfer) 툴(12,13)은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각각 트레이 로딩부(5)에서 IC(도시 않음)를 DC 테스트하고, 테 스트 결과 정상인 IC는 와이 테이블(8)에 위치한 번인보드(도시 않음)로 이송하고, 오류(fail)가 발생된 IC는 DC 리젝트부(4)로 각각 이송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3번 툴(14)은 X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번인 테스트가 완료된 4개의 IC를 등급에 따라 빈포켓부(9)와 트레이 언로더부(10)로 각각 이송하도록 설치되며, 4번 툴(15)은 X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번인 테스트 결과, 양품이 아닌 IC를 빈 포켓부(9)에서 소팅부(11)로 이송하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아래에서 번인 소터만를 설명하고 있으나 번인 소터도 동일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번인 소터는 IC를 이송하는 다수개의 툴이 X축 방향의 자유도만을 가짐으로써 와이 테이블을 제외하고 나머지 DC 리젝트부(소팅부), 트레이 로딩부, DC 테스트부, 빈 포켓부 및 트레이 언로딩부가 X축방향으로 나열된 형태로 설치되어 장비의 풋 프린트(Foot Print)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DC 테스터와 하네스(harness)로 연결된 DC테스트 버퍼가 이동되도록 설치됨으로써 기구적인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번인 소터(Burn in Sorter) 장비는 가동 모드(Mode)의 디씨(DC)를 포함한 로딩 모드(Loading Mode) 단계에서 실시하는 디씨 테스트(DC Test) 결과에 따라 불량 디바이스(Fail Device)가 발생하면, 상기 불량 디바이스를 처리하기 위해 하나의 버퍼 공간을 상기 가동 모드를 중단하고 디씨 로딩 로봇(DC Loading Robot)을 사용하여 불량 디바이스가 담긴 트레이를 놓고 처리하기 위한 로봇를 동작하므로 생산효율이 급격이 떨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씨 테스트 판정 결과에 따른 굿 디바이스를 수납 및 배출을 하거나 번인 테스트한 디바이스의 수납 및 등급별로 분류 배출을 하기 위해 제3,4,5,6 로딩용/언로딩 버퍼부를 형성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로봇들의 대기 시간 및 공정 작업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는, 디바이스를 이송시켜 번인 테스트 또는 디씨(DC)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등급별로 분류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에 있어서, 트레이를 적재하거나 배출하는 제6, 7 트레이 적재로봇, 제8 트레이 트랜스퍼로 구성하고, 디바이스의 이송을 위한 제1 로딩 로봇, 제2 로딩 로봇, 제3 인스트 헤드 로봇, 제4 리무브 헤드 로봇과, 제5 언로딩 로봇과; 트레이에 디바이스를 수납하여 대기하거나 상기 디바이스를 수납하기 위해 대기하는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와; 상기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여 굿(GOOD)과 리젝트(REJECT)를 판정하는 디씨 테스트 사이트, 상기 디바이스의 굿(GOOD) 디바이스를 이송하기 위해 수납 및 배출하는 제1 디씨 굿 버퍼부,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와; 상기 제5 언로딩 로봇이 제5 또는 제6 언로딩 버퍼부에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로 디바이스를 이송할 경우 수납할 위치에 잔량이 있으면 디바이스의 굿(GOOD)과 리젝트(REJECT)를 분류 수납하는 제2 번인 굿 버퍼부와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와; 번인 보드를 수납하거나 이동하는 위치인 번인 보드 대기 랙, 엘리베이터 랙,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 제2 번인 보드 배출 위치 및 번인 보드 랙과; 상기 제3 인스트 헤드 로봇과 제4 리무브 헤드 로봇 사이, 측면상으로 보면 상기 제3,4 인스트/리무브 헤드 로봇과 상기 번인 보드 작업 위치의 상기 번인 보드 사이에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를 장착하되, 상기 번인 보드 랙은, 2행 3열의 6개 부분으로 나뉜 랙에, 1,3열을 상기 번인 보드의 수납 및 대기 공간인 번인 보드 대기 랙으로 구성하며, 2열은 상기 1,3열에 수납된 상기 번인 보드를 수납받거나 자체 수납하고 있는 번인 보드를 상하 엘리베이팅하며 상기 번인 보드를 기기 내부로 투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랙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랙은, 볼베어링; 하부 모서리와 일치하게 4곳에 평면상 “ㄴ” 자형이며 상기 볼베어링보다 더욱 높게 형성된 고정 돌출부; 번인 보드 케이스 및 랙 가이드 롤러;로 구성하여, 모터에 의해 상하 엘리베이팅하며, 상기 랙 가이드 롤러는, 상기 엘리베이터 랙의 일측과 타측 상부 내향에 장착하여 상기 번인 보드의 비틀림 탑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은, 디바이스를 이송시켜 번인 테스트 또는 디씨(DC)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등급별로 분류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에 있어서, 디씨 테스트할 디바이스를 수납한 트레이를 제1 로딩 샛플레이트(51)부에 수납하는 제1 단계와; 제1 로딩 로봇(31)으로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에 위치한 디바이스를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로 이송하여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디씨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제1 디씨 굿/리젝트 버퍼부(72,71)에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 후, 굿 디바이스의 잔량 여부에 따라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이송 수납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수납 완료한 후,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를 배출 중점(k,k’)으로 이동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배출 중점 (k,k’)에 위치한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서 제3 인스트 헤드 로봇(33)이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번인 보드에 수납하는 제5 단계와;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39)가 상기 번인 보드(88)에 수납된 디바이스의 변위량을 체크하는 제6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의 변위량 체크가 완료 후, 상기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번인 보드(88)에 수납된 디바이스를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이 픽킹하여 수납 중점(p,p’)에 대기 중인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이송 수납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 완료한 후,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를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번인 테스트한 등급별 결과에 따라 제2 번인 굿/리젝트 버퍼부(75,76)에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 후, 디바이스의 전량 여부에 따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에 탑재된 트레이로 이송 수납하는 제9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4 단계는,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한 후, 등급 판정된 굿 디바이스를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로 이송 수납하는 제1a 단계와; 상기 수납 중점(h,h’)의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을 완료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61)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중점(h,h’)에 제4 로딩용 버퍼부(73’)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가 일측의 배출 중점(k,k’)로 이동하는 제2a 단계와; 수납 중점(h,h’)의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을 완료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61)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중점(h,h’)에 제3 로딩용 버퍼부(73)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가 일측의 배출 중점(k,k’)로 이동하는 제3a 단계; 및 상기 수납 중점(h,h’)의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에 디바이스 수납하고 있는 중 또는 수납 완료되면,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86)의 상부인 상기 배출 중점(k,k’)를 이탈하여 상기 수납 중점(h,h’)로 이동하여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는 제4a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4a 단계는, 상부의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에 수납 중점(h,h’)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가 빈(Empty) 버퍼부로 인식되면 배출 중점(k,k’)의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를 수납 중점(h,h’)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a 단계는, 상기 수납 중점(h,h’)의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61)로 이동함과 동시에 빈(EMPTY) 버퍼부인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가 상기 수납 중점(h,h’)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는, 상기 수납 중점(h,h’)에서 배출 중점(k,k’)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8 단계는, 수납 중점(p,p’)에 대기 중인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이송 수납하는 제1b 단계와;
상기 수납 중점(p,p’)의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을 완료한 상기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이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번인 보드(88)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중점(p,p’)에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가 일측의 배출 중점(t,t’)로 이동하는 제2b 단계와;
수납 중점(p,p’)의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을 완료한 상기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이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 치의 번인 보드(88)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중점(p,p’)에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가 일측의 배출 중점(t,t’)로 이동하는 제3b 단계; 및
상기 수납 중점(p,p’)의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에 디바이스 수납하고 있는 중 또는 수납 완료되면,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85)의 상부인 상기 배출 중점(t,t’)를 이탈하여 상기 수납 중점(p,p’)로 이동하여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는 제4b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b 단계는, 상부의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에 수납 중점(p,p’)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6 언로딩 버퍼부(74’)가 빈(Empty) 버퍼부로 인식되면 배출 중점(t,t’)의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를 수납 중점(p,p’)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b 단계는, 상기 수납 중점(p,p’)의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이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85)의 번인 보드(88)로 이동함과 동시에 빈(EMPTY) 버퍼부인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가 상기 수납 중점(p,p’)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1c 단계; 및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굿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디씨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굿 디바이스의 전량을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 용 버퍼부(73,73')에 이송 수납하는 제2c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c 단계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 디바이스만을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디바이스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1d 단계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71)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전량 기착 수납하는 제2d 단계와; 상기 굿 디바이스를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이송 수납하는 제3d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1d 단계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디바이스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1e 단계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71)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전량 기착 수납하는 제2e 단계와;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제1 디씨 굿 버퍼부(72)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3e 단계; 및
상기 굿 디바이스의 잔량을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이송 수납하는 제4e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e 단계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디바이스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1f 단계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제1 디씨 굿 버퍼부(72)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2f 단계와;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71)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전량 기착 수납하는 제3f 단계; 및 상기 굿 디바이스의 잔량을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이송 수납하는 제4f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f 단계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디바이스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1h 단계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굿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굿 버퍼부(72)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2h 단계; 및 상기 굿 디바이스의 잔량을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이송 수납하는 제3h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1h 단계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 디바이스만을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디바이스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1i 단계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71)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전량 수납하는 제2i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제1i 단계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리젝트 디바이스만을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 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디바이스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은, 디바이스를 수납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 버퍼부(74,74’)가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제1j 단계와;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는 제2j 단계와;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하는 제3j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1j 단계는,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의 수납 위치에 디바이스 잔량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은, 디바이스를 수납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 버퍼부(74,74’)가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제1k 단계와;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는 제2k 단계와; 제2 번인 굿 버퍼부(75)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3k 단계; 및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하는 제4k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k 단계는,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의 수납 위치에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 잔량은 없고 상기 굿 디바이스의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은, 디바이스를 수납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 버퍼부(74,74’)가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제1m 단계와;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는 제2m 단계와; 제2 번인 굿 버퍼부(75)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3m 단계와;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76)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4m 단계; 및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하는 제5m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m 단계는,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의 수납 위치에 상기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의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은, 디바이스를 수납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 버퍼부(74,74’)가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제1n 단계와;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는 제2n 단계와;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76)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3n 단계와; 제2 번인 굿 버퍼부(75)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4n 단계; 및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하는 제5n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n 단계는,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의 수납 위치에 상기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의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은, 디바이스를 수납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 버퍼부(74,74’)가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제1p 단계와;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는 제2p 단계와;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76)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3p 단계; 및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하는 제4p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3p 단계는,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의 수납 위치에 상기 굿 디바이스 잔량은 없고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은,
번인 보드(88)를 탑재한 엘리베이트 랙(82)을 엘리베이팅하여 상기 번인 보드(88)가 이송 벨트에 의해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84)로 이동하는 제11 단계와; 상기 이송한 상기 번인 보드(88)의 가장자리를 밀착하여 홀드(HOLD)하는 제12 단계와; 상기 번인 보드(88)가 이송 벨트에 의해 일직선 이동하여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85)로 이동하는 제13 단계와;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된 디바이스를 상기 번인 보드(88)로 이송 수납하여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39)와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이 변위량 체크 및 배출 작업을 실시하는 제14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배출 완료 후, 상기 이송한 상기 번인 보드(88)의 가장자리를 릴리스(RELEASE)하고, 상기 번인 보드(88)가 스탭 바이 스탭(STEP-BY-STEP)으로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86)로 이동하는 제15 단계와; 상기 이동한 번인 보드(88)가 이송 벨트에 의해 제2 번인 보드 배출 위치(87)로 이동하는 제16 단계와; 상기 이동한 번인 보드(88)가 이송 벨트에 의해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84)로 이동하는 제17 단계; 및 상기 이동한 번인 보드(88)가 이송 벨트에 의해 엘리베이터 랙(82)으로 이동하여 외부 배출하는 제1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2 단계과 상기 제13 단계 사이에, 상기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84)에서 상기 번인 보드(88)를 회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은, 디씨 테스트 판정 결과에 따른 굿 디바이스를 수납 및 배출을 하거나 번인 테스트한 디바이스의 수납 및 등급별로 분류 배출을 하기 위해 제3,4,5,6 로딩용/언로딩 버퍼부를 형성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로봇들의 대기 시간 및 공정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의 개략적 평면 배치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번인 보드 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위치별 번인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위치별 번인 보드의 탑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의 제8 트레이 트랜스퍼와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에 리젝트 디바이스를 수납한 트레이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에 놓인 번인 보드와 제3 인스트 헤드 로봇과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a 내지 9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제2 로딩 로봇이 디씨 테스트 결과에 따른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블록도이고, 도 10a 내지 10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제5 언로딩 로봇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에 따른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블록도이고,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굿 디바이스를 수납한 제3,4 로딩용 버퍼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a 내지 1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굿 디바이스를 수납한 제5,6 언로딩용 버퍼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a 내지 13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번인 보드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15a 내지 15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제2 로딩 로봇이 디씨 테스트 결과에 따른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흐름도이고, 도 16a 내지 16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제5 언로딩 로봇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에 따른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흐름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번인 보드의 이동하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는, 로봇 장치로 트레이를 적재하거나 배출하는 제6,7 트레이 적재로봇(36,37) 및 제8 트레이 트랜스퍼(38)로 구성되고, 디바이스의 이송을 위한 제1 로딩 로봇(31), 제2 로딩 로봇(32), 제3 인스트 헤드 로봇(33),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 제5 언로딩 로봇(35)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는, 트레이에 디바이스를 수납하여 대기하거나 상기 디바이스를 수납하기 위해 대기하는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는, 상기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여 굿(GOOD)과 리젝트(REJECT)를 판정하는 디씨 테스트 사이트(61)과, 상기 디바이스의 굿 디바이스를 이송하기 위해 수납 및 배출하는 제1 디씨 굿 버퍼부(72),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를 구성되고,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디바이스를 이송할 경우 수납할 위치에 잔량이 있으면 디바이스의 굿과 리젝트를 분류 수납하는 제2 번인 굿 버퍼부(75)와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76)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는, 번인 보드(88)를 수납하거나 이동하는 위치인 번인 보드 대기 랙(81,83), 엘리베이터 랙(82),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84),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85),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86), 제2 번인 보드 배출 위치 및 번인 보드 랙(80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평면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3 인스트 헤드 로봇(33)과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 사이, 측면상으로 보면 상기 제3,4 인스트/리무브 헤드 로봇(33,34)과 상기 번인 보드 작업 위치(85)의 상기 번인 보드(88) 사이에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39)를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와, 상기 제1 디씨 굿/리젝트 버퍼부(72,71) 및 수납 중점(h,h’)상의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는 일직선상에 배열된다. 상기 일직선상의 상부에 상기 제1,2 로딩 로봇(31,32)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1 로딩 로봇(31)은,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에서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로 디바이스를 이송한다. 또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로 디바이스를 이송하며, 필요시 상기 제1 디씨 굿/리젝트 버퍼부(72,71)에 상기 디바이스를 기착(寄着) 분류 수납한다. 이때, 상기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71)에 리젝트(REJECT) 디바이스의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리젝트(REJECT) 디바이스를 픽킹(PICKING)하여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의 빈(EMPTY) 트레이(TRAY)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하부로 상기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85)와, 상기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86)가 일직선을 이루고, 중앙으로 배출 중점(t,t’)/ 수납 중점(p,p’)상의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 및 배출 중점(k,k’)상의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가 일직선을 이루고, 상부로 상기 제3 인스트 헤드 로봇(33)과, 상기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이 일직선상에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는, 디씨(DC) 테스트할 디바이스를 수납한 트레이(TRAY)를 수납한다.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51)에 상기 제6 트레이 적재로봇(36)으로 상기 트레이(TRAY)를 적재 이송시킨다.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는, 스택커를 4열 1행으로 형성하여 트레이를 적재한다.
여기서,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는, 상기 제1 로딩 로봇(31)으로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51)에 위치한 디바이스를 이송 수납하여 디씨 테스트를 실시한다. 이때, 제2 로딩 로봇(32)에 의해 상기 디씨 테스트 결과에 따라 굿(GOOD) 디바이스는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수납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디씨 굿 버퍼부(71)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와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 사이에 장착되며, 제2 로딩 로봇(32)으로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로 굿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작업에서 사전에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채워진 디바이스가 있으면 그 디바이스만을 수납하는 버퍼부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72)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와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 사이에, 상기 제1 디씨 굿 버퍼부(71)과 나란히 장착되며, 제2 로딩 로봇(32)으로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로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작업에서 리젝트 디바이스가 픽킹된 상태이면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만을 수납하는 버퍼부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로딩 로봇(31)은,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71)에 리젝트(REJECT) 디바이스의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리젝트(REJECT) 디바이스를 픽킹(PICKING)하여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의 빈(EMPTY) 트레이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3,4 로딩용 버퍼부(73,73’)는,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수직 일직선상 각 1개의 버퍼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 중점(h,h’)에 대기한다.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는 상기 수납 중점(h,h’)에서 굿 디바이스를 수납 완료하고 이송 벨트에 의해 배출 중점(k,k’)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3,4 로딩용 버퍼부(73,73’)는 상기 이동할 경우, 각각 수평 일직선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 중점(k,k’)으로 이동한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의 디바이스는 상기 제3 인스트 헤드 로봇(33)을 사용하여 상기 번인 보드 작업 위치(85)의 상기 번인 보드(88)에 수납한다. 이때, 상기 번인 보드(88)는, 상기 번인 보드 작업 위치(85)에서 스탭 바이 스탭(STEP BY STEP)으로 상기 배출 중점(k,k’) 하부로 수평 일직선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인스트 헤드 로봇(33)에 의해 상기 번인 보드 작업 위치(85)의 상기 번인 보드(88)에 수납한 디바이스를 상기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으로 수납 중점(p,p’)에 대기 중인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한다. 이때, 상기 제3 인스트 헤드 로봇(33)이 상기 번인 보드 작업 위치(85)의 상기 번인 보드(88)에 디바이스를 수납한 후에, 상기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이 상기 번인 보드 작업 위치(85)의 상기 번인 보드(88)에 디바이스를 배출 전에 상기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39)를 이동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변위량 체크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를 평면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3 인스트 헤드 로봇(33)과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 사이에, 또 이를 측면상으로 보면, 상기 제3,4 인스트/리무브 헤드 로봇(33,34)과 상기 번인 보드 작업 위치(85)의 상기 번인 보드(88) 사이에 상기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39)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39)는 디바이스의 변위량을 체크하며, 상기 번인 보드(88)에 장착된 소켓(89)의 돌출 상부면을 푸쉬한다. 상기 소켓(89)의 돌출 상부면을 푸쉬하는 장치는 제3 인스트 헤드 로봇(33)과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에도 적용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39)가 상기 돌출 상부면을 푸쉬하면서 상기 소켓(89)의 내부에 실장된 디바이스에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현상을 막아 정위치에 고정 실장하게 한다(도 8 참조).
이때, 상기 소켓(89)은 상하부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 부재 사이에 리턴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상부 부재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5,6 언로딩용 버퍼부(74,74’)는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수직 일직선상 각 1개의 버퍼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 중점(p,p’)에 대기한다.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는 상기 수납 중점(p,p’)에서 디바이스를 수납 완료하고 이송 벨트에 의해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5,6 언로딩용 버퍼부(74,74’)는 상기 이동할 경우, 각각 수평 일직선으로 이동한다. 상기 배출 중점(t,t’)의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에 의해 번인 테스트 등급별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에 분류 수납한다.
여기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은, 상기 배출 중점(t,t’)의 상기 제5,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한 디바이스의 아이디(ID)상 수록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에 이송하여 분류 수납한다. 여기서 상기 수록 정보는, 번인 테스트(미도시)의 등급별 결과에 따른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로 분류한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번인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만을 전송받아 적용하기 때문에 상기 번인 테스트 장치 및 방법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은, 상기 배출 중점(t,t’)의 상기 제5,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디바이스를 이 송하며, 필요시 상기 제2 번인 굿/리젝트 버퍼부(75,76)에 상기 디바이스를 기착(寄着) 분류 수납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는,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로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수납할 수 있게 빈(EMPTY) 트레이(TRAY)를 적재하기 위한 스택커를 다수개 장착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장착한 개수는 정확하게 1개 내지 20개의 스택커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택커는,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수납하기 위해 2열 3행으로 형성하여 트레이를 적재하고, 상기 굿 디바이스를 수납하기 위해 3열 1행으로 형성하여 트레이를 적재한다.
여기서, 상기 제8 트레이 트랜스퍼(38)는, 상기 2열 3행 중, 상기 1열과 상기 2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1행 내지 상기 3행과 상기 1,2열로 상하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트레이를 이송 적재 및 배출을 한다(도 7 참조).
여기서,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에 빈(EMPTY) 트레이를 적재하는 제6 트레이 적재 로봇(36)와,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의 굿 스택커에 빈(EMPTY) 트레이를 적재하는 제7 트레이 그립퍼(37)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6 트레이 적재 로봇(36)이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에 적재 완료한 후,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의 1열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7 트레이 그립퍼(37)과 상기 제8 트레이 트랜스퍼(38)를 각각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의 2열과 3열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8 트레이 트랜스퍼(38)가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에서 트레이를 픽킹하여 제2 언 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이동하는 중에 적어도 한번의 회전 및 틸팅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번인 보드 랙(800)을 도 4에 도시된 도면을 보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번인 보드 랙(800)은, 상기 번인 보드(88)를 다수개 투입하여 엘리베이터 랙(82)을 작동시켜 상기 번인 보드(88)를 기기 내부로 투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한다. 즉, 2행 3열의 6개 부분으로 나뉜 랙에, 1,3열을 상기 번인 보드(88)의 수납 및 대기 공간인 번인 보드 대기 랙(81,83)으로 구성하며, 2열은 상기 1,3열에 수납된 상기 번인 보드(88)를 수납받거나 자체 수납하고 있는 번인 보드(88)를 상하 엘리베이팅하며 상기 번인 보드(88)를 기기 내부로 투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랙(82)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엘리베이터 랙(82)은, 볼베어링(91), 고정 돌출부(92), 번인 보드 케이스(93) 및 랙 가이드 롤러(94)로 구성하여 모터(미도시)에 의해 상하 엘리베이팅한다.
여기서, 상기 엘리베이터 랙(82)은, 다수개의 상기 번인 보드(88)를 탑재한 상기 번인 보드 케이스(93)의 저면에 점접촉할 수 있게 상기 볼베어링(91)을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번인 보드(88)를 상하 엘리베이팅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랙(82) 하부 모서리와 일치하게 4곳에 평면상 “ㄴ” 자형인 상기 고정 돌출부(92)를 상기 볼베어링(91)보다 더욱 높게 형성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랙(82)에 탑재한 상기 번인 보드 케이스(93)는 상기 4곳 내부에 놓인다.
여기서, 상기 랙 가이드 롤러(94)는, 상기 엘리베이터 랙(82)의 일측과 타측 상부 내향에 장착하여 상기 번인 보드(88)의 비틀림 탑재를 방지한다. 즉, 상기 볼베어링(91)과 상기 번인 보드 케이스(93)는, 상기 번인 보드 케이스(93)의 저면 유동성과 상부 공차를 최소화를 동시에 적용하여 상기 번인 보드 케이스(93)에 탑재된 상기 번인 보드(88)가 수직 일적선으로 적층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제3,4 로딩용 버퍼부(73,73’)의 이동하는 것을 도 3,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것을 보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3,4 로딩용 버퍼부(73,73’)는,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 (ㄱ) 또는 도 11d (ㄴ)의 순으로 수납 중점(h,h’)과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86) 상부인 배출 중점(k,k’) 간을 이동한다.
먼저, 도 3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한 후, 등급 판정된 굿 디바이스를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로 이송 수납된다. 이때, 센서에 의해 수납 중점(h,h’)에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가 대기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는, 수납 중점(h,h’)의 하부에 제4 로딩용 버퍼부(73’)와 상부에 제3 로딩용 버퍼부(73)가 형성되어 상하부 수직 일직선을 이루게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대기한다. 이때, 상기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86)의 상부인 배출 중점(k,k’)에는 버퍼부가 하나도 없는 상태이다. 즉,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는, 굿 디바이스를 수납하기 위해 배출 중점(k,k’)으로 이동하지 않고 수납 중점(h,h’)에서 대기 중이 다.
이어서, 도 3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중점(h,h’)의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을 완료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61)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중점(h,h’)에 제4 로딩용 버퍼부(73’)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가 일측의 배출 중점(k,k’)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이 굿 디바이스를 수납하여 배출 중점(k,k’)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는 굿 디바이스를 수납하는 수납 중점(h,h’)에서 대기 중이다. 또한,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는,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86)의 상부인 배출 중점(k,k’)에서 디바이스를 배출한다. 아울러,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는, 수납 중점(h,h’)에서 굿 디바이스를 수납한다.
이어서, 도 3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중점(h,h’)의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을 완료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61)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중점(h,h’)에 제3 로딩용 버퍼부(73)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가 일측의 배출 중점(k,k’)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이 굿 디바이스를 수납하여 배출 중점(k,k’)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는 굿 디바이스를 수납하는 수납 중점(h,h’)에서 대기 중이다. 또한,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는,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86)의 상부인 배출 중점(k,k’)에서 디바이스를 배출한다. 아울러,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는, 수납 중점(h,h ’)에서 굿 디바이스를 수납한다.
마지막으로, 도 3 및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중점(h,h’)의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에 디바이스 수납하고 있는 중 또는 수납 완료되면,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86)의 상부인 상기 배출 중점(k,k’)를 이탈하여 상기 수납 중점(h,h’)로 이동하여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한다.
또한, 상부의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에 수납 중점(h,h’)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가 빈(Empty) 버퍼부로 인식되면 배출 중점(k,k’)의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를 수납 중점(h,h’)으로 이동한다("도 (ㄱ)"참조).
또한, 상기 수납 중점(h,h’)의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61)로 이동함과 동시에 빈(EMPTY) 버퍼부인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가 상기 수납 중점(h,h’)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73)는, 상기 수납 중점(h,h’)에서 배출 중점(k,k’)으로 이동한다("도 (ㄴ)"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제5,6 언로딩용 버퍼부(74,74’)의 이동하는 것을 도 3,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것을 보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5,6 언로딩용 버퍼부(74,74’)는, 도 12a, 도 12b, 도 12c, 도 12d (ㄱ) 또는 도 11d (ㄴ)의 순으로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85) 상부인 수납 중점(p,p’)과 배출 중점(t,t’) 간을 이동한다.
먼저, 도 3 및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수납 중점(p,p’)에 대기 중인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이송 수납된다. 이때, 센서에 의해 수납 중점(p,p’)에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가 대기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는, 수납 중점(p,p’)의 하부에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와 상부에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가 형성되어 상하부 수직 일직선을 이루게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대기한다. 이때, 상기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85)의 상부인 배출 중점(t,t’)에는 버퍼부가 하나도 없는 상태이다. 즉,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는, 디바이스를 수납하기 위해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지 않고 수납 중점(p,p’)에서 대기 중이다.
이어서, 도 3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중점(p,p’)의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을 완료한 상기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이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번인 보드(88)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중점(p,p’)에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가 일측의 배출 중점(t,t’)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이 디바이스를 수납하여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는 디바이스를 수납하는 수납 중점(p,p’)에서 대기 중이다. 또한,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는, 상기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85)의 상부인 배출 중점(t,t’)에서 디바이스를 배출한다. 아울러,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는, 수납 중점(p,p’)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한다.
이어서, 도 3 및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중점(p,p’)의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을 완료한 상기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이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번인 보드(88)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중점(p,p’)에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가 일측의 배출 중점(t,t’)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이 디바이스를 수납하여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는 디바이스를 수납하는 수납 중점(p,p’)에서 대기 중이다. 또한,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는,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85)의 상부인 배출 중점(t,t’)에서 디바이스를 배출한다. 아울러,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는, 수납 중점(p,p’)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한다.
마지막으로, 도 3 및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중점(p,p’)의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에 디바이스 수납하고 있는 중 또는 수납 완료되면,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85)의 상부인 상기 배출 중점(t,t’)를 이탈하여 상기 수납 중점(p,p’)로 이동하여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한다.
또한, 상부의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에 수납 중점(p,p’)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가 빈(Empty) 버퍼부로 인식되면 배출 중점(t,t’)의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를 수납 중점(p,p’)으로 이동한다("도 (ㄱ)"참조).
또한, 상기 수납 중점(p,p’)의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이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85) 의 번인 보드(88)로 이동함과 동시에 빈(EMPTY) 버퍼부인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가 상기 수납 중점(p,p’)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74)는, 상기 수납 중점(p,p’)에서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한다("도 (ㄴ)"참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을 도 14에 나타낸 도면을 보며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디씨 테스트할 디바이스를 수납한 트레이를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에 수납한다(S201).
이어서, 제1 로딩 로봇으로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51)에 위치한 디바이스를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로 이송하여 디씨 테스트를 실시한다(S202).
이어서,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이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디씨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제1 디씨 굿/리젝트 버퍼부에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 후, 굿 디바이스의 잔량 여부에 따라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이송 수납한다(S203).
이어서,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수납 완료한 후,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를 배출 중점(k,k’)으로 이동한다(S204).
이어서, 상기 배출 중점 (k,k’)에 위치한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서 제3 인스트 헤드 로봇이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번인 보드에 수납한다(S205).
이어서,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가 상기 번인 보드에 수납된 디바이스의 변위량을 체크한다(S206).
이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변위량 체크가 완료 후, 상기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번인 보드에 수납된 디바이스를 제4 리무브 헤드 로봇이 픽킹하여 수납 중점(p,p’)에 대기 중인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이송 수납한다(S207).
이어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 완료한 후,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를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한다(S208).
마지막으로,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번인 테스트한 등급별 결과에 따라 제2 번인 굿/리젝트 버퍼부에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 후, 디바이스의 전량 여부에 따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에 탑재된 트레이로 이송 수납한다(S209). 이때, 상기 제2 로딩 로봇(32)에 상기 디씨 테스트에서 판정된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의 정보를 인식시키며, 상기 제5 로딩 로봇(35)에 번인 테스트에서 판정된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의 등급 정보를 인식시키는 것이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의 제2 로딩 로봇이 디씨 테스트 결과에 따른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블록도 및 방법을 도 9a 내지 도 9f 및 도 15a 내지 도 15f에 나타낸 도면을 보며 상세히 설명한다.
도 9a 및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 디바이스만을 픽킹한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한다(S301). 상기 디씨 테스트 결과 상기 디바이스가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로 판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상기 굿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디씨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굿 디바이스의 전량을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이송 수납한다(A1,S302). 즉,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 디바이스만을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가 없는 상태이다.
도 9b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한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한다(S401). 상기 디씨 테스트 결과 상기 디바이스가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로 판정된다.
이어서,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71)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전량 기착 수납한다(B1,S402).
다음으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상기 굿 디바이스를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이송 수납한다(B2,S403). 즉,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과 리젝트 디바 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디바이스가 없는 상태이다.
도 9c 및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한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한다(S501). 상기 디씨 테스트 결과 상기 디바이스가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로 판정된다.
이어서,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71)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전량 기착 수납한다(C1,S502).
이어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제1 디씨 굿 버퍼부(72)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다(C2,S503). 이때,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의 기착 수납 개수는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수납되어 있는 개수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상기 굿 디바이스의 잔량을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이송 수납한다(C3,S504). 즉,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디바이스 잔량이 있는 상태이다.
도 9d 및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한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한다(S601). 상기 디씨 테스트 결과 상기 디바이스가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로 판정된다.
이어서,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제1 디씨 굿 버퍼부(72)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다(C1’,S602). 이때,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의 기착 수납 개수는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수납되어 있는 개수와 동일하다.
이어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71)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전량 기착 수납한다(C2’,S603).
다음으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상기 굿 디바이스의 잔량을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이송 수납한다(C3’,S604). 즉,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디바이스 잔량이 있는 상태이다.
도 9e 및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 디바이스를 픽킹한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한다(S701). 상기 디씨 테스트 결과 상기 디바이스가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로 판정된 다.
이어서,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굿 버퍼부(72)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다(D1,S702). 이때,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의 기착 수납 개수는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수납되어 있는 개수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상기 굿 디바이스의 잔량을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이송 수납한다(D2,S703). 즉,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굿 디바이스만을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디바이스 잔량이 있는 상태이다.
도 9f 및 도 1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한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한다(S801). 상기 디씨 테스트 결과 상기 디바이스가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로 판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71)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전량 수납한다(E1,S802). 즉,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32)이 리젝트 디바이스만을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73,73’)에 디바이스 잔량이 있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의 제5 언로딩 로봇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에 따른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블록도 및 방법을 도 10a 내지 도 10e 및 도 16a 내지 도 16e에 나타낸 도면을 보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중점(t,t’)에 대기 중인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된 디바이스를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에 따라 배출하는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전 단계에서 디바이스가 이송 및 수납을 하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가 제5 언로딩 로봇(35)에 전송된다(S311). 이때, 상기 전 단계는, 수납 중점(p,p’)에 대기 중인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하고, 배출 중점(t,t’)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어서,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한다(S312).
다음으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한다(A11,S313). 즉,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의 수납 위치에 디바이스 잔량이 없는 상 태이다.
도 10b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중점(t,t’)에 대기 중인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된 디바이스를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에 따라 배출하는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전 단계에서 디바이스가 이송 및 수납을 하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가 제5 언로딩 로봇(35)에 전송된다(S411). 이때, 상기 전 단계는, 수납 중점(p,p’)에 대기 중인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하고, 배출 중점(t,t’)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어서,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한다(S412).
이어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제2 번인 굿 버퍼부(75)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다(B11,S413). 이때,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의 기착 수납 개수는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되어 있는 개수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한다(B12,S414). 즉,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의 수납 위치에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 잔량은 없고 상기 굿 디바이스의 잔량이 있는 상태이다.
도 10c 및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중점(t,t’)에 대기 중인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된 디바이스를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에 따라 배출하는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전 단계에서 디바이스가 이송 및 수납을 하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가 제5 언로딩 로봇(35)에 전송된다(S511). 이때, 상기 전 단계는, 수납 중점(p,p’)에 대기 중인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하고, 배출 중점(t,t’)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어서,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한다(S512).
이어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제2 번인 굿 버퍼부(75)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다(C11,S513). 이때,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의 기착 수납 개수는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되어 있는 개수와 동일하다.
이어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76)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다(C12,S514). 이때,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의 기착 수납 개수는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되어 있는 개수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한다(C13,S515). 즉,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 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의 수납 위치에 상기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의 잔량이 있는 상태이다.
도 10d 및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중점(t,t’)에 대기 중인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된 디바이스를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에 따라 배출하는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전 단계에서 디바이스가 이송 및 수납을 하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가 제5 언로딩 로봇(35)에 전송된다(S611). 이때, 상기 전 단계는, 수납 중점(p,p’)에 대기 중인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하고, 배출 중점(t,t’)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어서,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한다(S612).
이어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76)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다(C11’,S613). 이때,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의 기착 수납 개수는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되어 있는 개수와 동일하다.
이어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제2 번인 굿 버퍼부(75)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다(C12’,S614). 이때,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의 기착 수납 개수는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되어 있는 개수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한다(C13’,S615). 즉,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의 수납 위치에 상기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의 잔량이 있는 상태이다.
도 10e 및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중점(t,t’)에 대기 중인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된 디바이스를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에 따라 배출하는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전 단계에서 디바이스가 이송 및 수납을 하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가 제5 언로딩 로봇(35)에 전송된다(S711). 이때, 상기 전 단계는, 수납 중점(p,p’)에 대기 중인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하고, 배출 중점(t,t’)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어서,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한다(S712).
이어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76)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다(S713). 이때,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의 기착 수납 개수는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되어 있는 개수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한다(S714). 즉,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52)의 수납 위치에 상기 굿 디바이스 잔량은 없고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잔량이 있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의 번인 보드의 이동하는 방법을 도 13a 내지 13f 및 도 17에 나타낸 도면을 보며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번인 보드(88)를 탑재한 엘리베이트 랙(82)을 엘리베이팅하여 상기 번인 보드(88)가 이송 벨트에 의해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84)로 이동한다(도 13a 참조,S211).
이어서, 상기 이송한 상기 번인 보드(88)의 가장자리를 밀착하여 홀드(HOLD)한다(도 13a 참조,S212). 상기 홀드(HOLD)는 상기 번인 보드(88)의 모서리 또는 가장자리 측면으로 내향 인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84)에서 필요시 상기 번인 보드(88)를 회전한다(S213).
이어서, 상기 번인 보드(88)가 이송 벨트에 의해 일직선 이동하여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85)로 이동한다(도 13b 참조,S214).
이어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 수납된 디바이스를 상기 번인 보드(88)로 이송 수납하여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39)와 제4 리무브 헤드 로봇(34)이 변위량 체크 및 배출 작업을 실시한다(S215).
이어서, 상기 디바이스 배출 완료 후, 상기 이송한 상기 번인 보드(88)의 가 장자리를 릴리스(RELEASE)하고, 상기 번인 보드(88)가 스탭 바이 스탭(STEP-BY-STEP)으로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86)로 이동한다(도 13c 참조,S216).
이어서, 상기 이동한 번인 보드(88)가 이송 벨트에 의해 제2 번인 보드 배출 위치(87)로 이동한다(도 13d 참조,S217).
이어서, 상기 이동한 번인 보드(88)가 이송 벨트에 의해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84)로 이동한다(도 13e 참조,S218).
마지막으로, 상기 이동한 번인 보드(88)가 이송 벨트에 의해 엘리베이터 랙(82)으로 이동하여 외부 배출한다(도 13f 참조,S219).
이러한, 본 발명의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는, 2쌍의 버퍼부인 제3,4,5,6 로딩용/언로딩 버퍼부(73,73’,74,74’)를 구비하고, 상기 제3,4 로딩용 버퍼부(73,73’)에 디바이스 잔량 여부에 따라 제1 디씨 굿 버퍼부(72)에 기착 수납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52)에 디바이스 잔량 여부에 따라 제2 번인 굿 버퍼부(75)에 기착 수납 여부를 판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의 번인 보드의 이동하는 방법으로 공정상 최소한의 시간으로 상기 번인 보드(88)을 기기 내부로 투입 및 배출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번인 소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툴의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의 개략적 평면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번인 보드 랙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위치별 번인 보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위치별 번인 보드의 탑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의 제8 트레이 트랜스퍼와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에 리젝트 디바이스를 수납한 트레이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에 놓인 번인 보드와 제3 인스트 헤드 로봇과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9a 내지 9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제2 로딩 로봇이 디씨 테스트 결과에 따른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블록도.
도 10a 내지 10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제5 언로딩 로봇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에 따른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블록도.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굿 디바이스를 수납한 제3,4 로딩용 버퍼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
도 12a 내지 1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굿 디바이스를 수납한 제5,6 언로딩용 버퍼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
도 13a 내지 13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번인 보드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의 동작 흐름도.
도 15a 내지 15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제2 로딩 로봇이 디씨 테스트 결과에 따른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흐름도.
도 16a 내지 16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제5 언로딩 로봇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에 따른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번인 보드의 이동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제1 로딩 로봇 32 : 제2 로딩 로봇
33 : 제3 인스트 헤드 로봇 34 : 제4 리무브 헤드 로봇
35 : 제5 언로딩 로봇 36 : 제6 트레이 적재 로봇
37 : 제7 트레이 적재 로봇 38 : 제8 트레이 트랜스퍼
39 :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 51 :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
52 :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 61 : 디씨 테스트 사이트
71 :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 7 2 : 제1 디씨 굿 버퍼부
73,73’ :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
74,74’ :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
75 : 제2 번인 굿 버퍼부 76 :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
81,83 : 번인 보드 대기 랙 82 : 엘리베이트 랙
84 :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 85 :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
86 :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 87 : 제2 번인 보드 배출 위치
88 : 번인 보드 89 : 소켓
91 : 볼베어링 92 : 고정 돌출부
93 : 번인 보드 케이스 94 : 랙 가이드 롤러
800 : 번인 보드 랙

Claims (7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디바이스를 이송시켜 번인 테스트 또는 디씨(DC)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등급별로 분류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에 있어서,
    트레이를 적재하거나 배출하는 제6, 7 트레이 적재로봇, 제8 트레이 트랜스퍼로 구성하고, 디바이스의 이송을 위한 제1 로딩 로봇, 제2 로딩 로봇, 제3 인스트 헤드 로봇, 제4 리무브 헤드 로봇과, 제5 언로딩 로봇과;
    트레이에 디바이스를 수납하여 대기하거나 상기 디바이스를 수납하기 위해 대기하는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와;
    상기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여 굿(GOOD)과 리젝트(REJECT)를 판정하는 디씨 테스트 사이트, 상기 디바이스의 굿(GOOD) 디바이스를 이송하기 위해 수납 및 배출하는 제1 디씨 굿 버퍼부,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와;
    상기 제5 언로딩 로봇이 제5 또는 제6 언로딩 버퍼부에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로 디바이스를 이송할 경우 수납할 위치에 잔량이 있으면 디바이스의 굿(GOOD)과 리젝트(REJECT)를 분류 수납하는 제2 번인 굿 버퍼부와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와;
    번인 보드를 수납하거나 이동하는 위치인 번인 보드 대기 랙, 엘리베이터 랙,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 제2 번인 보드 배출 위치 및 번인 보드 랙과;
    상기 제3 인스트 헤드 로봇과 제4 리무브 헤드 로봇 사이, 측면상으로 보면 상기 제3,4 인스트/리무브 헤드 로봇과 상기 번인 보드 작업 위치의 상기 번인 보드 사이에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를 장착하되,
    상기 번인 보드 랙은, 2행 3열의 6개 부분으로 나뉜 랙에, 1,3열을 상기 번인 보드의 수납 및 대기 공간인 번인 보드 대기 랙으로 구성하며, 2열은 상기 1,3열에 수납된 상기 번인 보드를 수납받거나 자체 수납하고 있는 번인 보드를 상하 엘리베이팅하며 상기 번인 보드를 기기 내부로 투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랙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38. 삭제
  39. 삭제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랙은,
    볼베어링;
    하부 모서리와 일치하게 4곳에 평면상 “ㄴ” 자형이며 상기 볼베어링보다 더욱 높게 형성된 고정 돌출부;
    번인 보드 케이스 및 랙 가이드 롤러;로 구성하여,
    모터에 의해 상하 엘리베이팅하며,
    상기 랙 가이드 롤러는, 상기 엘리베이터 랙의 일측과 타측 상부 내향에 장착하여 상기 번인 보드의 비틀림 탑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41. 디바이스를 이송시켜 번인 테스트 또는 디씨(DC)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등급별로 분류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에 있어서,
    디씨 테스트할 디바이스를 수납한 트레이를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에 수납하는 제1 단계와;
    제1 로딩 로봇으로 상기 제1 로딩 샛플레이트부에 위치한 디바이스를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로 이송하여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이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디씨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제1 디씨 굿/리젝트 버퍼부에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 후, 굿 디바이스의 잔량 여부에 따라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이송 수납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수납 완료한 후,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를 배출 중점(k,k’)으로 이동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배출 중점 (k,k’)에 위치한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서 제3 인스트 헤드 로봇이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번인 보드에 수납하는 제5 단계와;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가 상기 번인 보드에 수납된 디바이스의 변위량을 체크하는 제6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의 변위량 체크가 완료 후, 상기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번인 보드에 수납된 디바이스를 제4 리무브 헤드 로봇이 픽킹하여 수납 중점(p,p’)에 대기 중인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 이송 수납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 수납 완료한 후,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를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74,74’)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35)이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번인 테스트한 등급별 결과에 따라 제2 번인 굿/리젝트 버퍼부에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한 후, 디바이스의 전량 여부에 따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에 탑재된 트레이로 이송 수납하는 제9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한 후, 등급 판정된 굿 디바이스를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로 이송 수납하는 제1a 단계와;
    상기 수납 중점(h,h’)의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을 완료한 상기 제2 로딩 로봇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중점(h,h’)에 제4 로딩용 버퍼부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가 일측의 배출 중점(k,k’)로 이동하는 제2a 단계와;
    수납 중점(h,h’)의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을 완료한 상기 제2 로딩 로봇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중점(h,h’)에 제3 로딩용 버퍼부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가 일측의 배출 중점(k,k’)로 이동하는 제3a 단계; 및
    상기 수납 중점(h,h’)의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 수납하고 있는 중 또는 수납 완료되면,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의 상부인 상기 배출 중점(k,k’)를 이탈하여 상기 수납 중점(h,h’)로 이동하여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는 제4a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4a 단계는, 상부의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에 수납 중점(h,h’)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73’)가 빈(Empty) 버퍼부로 인식되면 배출 중점(k,k’)의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를 수납 중점(h,h’)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4a 단계는, 상기 수납 중점(h,h’)의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제2 로딩 로봇이 디씨 테스트 사이트로 이동함과 동시에 빈(EMPTY) 버퍼부인 상기 제4 로딩용 버퍼부가 상기 수납 중점(h,h’)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3 로딩용 버퍼부는, 상기 수납 중점(h,h’)에서 배출 중점(k,k’)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단계는,
    수납 중점(p,p’)에 대기 중인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 이송 수납하는 제1b 단계와;
    상기 수납 중점(p,p’)의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을 완료한 상기 제4 리무브 헤드 로봇이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번인 보드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중점(p,p’)에 제6 언로딩용 버퍼부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가 일측의 배출 중점(t,t’)로 이동하는 제2b 단계와;
    수납 중점(p,p’)의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을 완료한 상기 제4 리무브 헤드 로봇이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번인 보드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 중점(p,p’)에 제5 언로딩용 버퍼부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가 일측의 배출 중점(t,t’)로 이동하는 제3b 단계; 및
    상기 수납 중점(p,p’)의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 수납하고 있는 중 또는 수납 완료되면,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상부인 상기 배출 중점(t,t’)를 이탈하여 상기 수납 중점(p,p’)로 이동하여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가 대기 중인지를 확인하는 제4b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4b 단계는, 상부의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 수납 중점(p,p’)에서 디바이스를 수납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6 언로딩 버퍼부가 빈(Empty) 버퍼부로 인식되면 배출 중점(t,t’)의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를 수납 중점(p,p’)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4b 단계는, 상기 수납 중점(p,p’)의 상기 제5 언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제4 리무브 헤드 로봇이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의 번인 보드로 이동함과 동시에 빈(EMPTY) 버퍼부인 상기 제6 언로딩용 버퍼부가 상기 수납 중점(p,p’)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1c 단계; 및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굿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디씨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굿 디바이스의 전량을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이송 수납하는 제2c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1c 단계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이 굿 디바이스만을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5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1d 단계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리 젝트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전량 기착 수납하는 제2d 단계와;
    상기 굿 디바이스를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이송 수납하는 제3d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d 단계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5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1e 단계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전량 기착 수납하는 제2e 단계와;
    상기 제2 로딩 로봇이 제1 디씨 굿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3e 단계; 및
    상기 굿 디바이스의 잔량을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 딩용 버퍼부에 이송 수납하는 제4e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제1e 단계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5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1f 단계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61)에서 제1 디씨 굿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2f 단계와;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전량 기착 수납하는 제3f 단계; 및
    상기 굿 디바이스의 잔량을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이송 수납하는 제4f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f 단계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5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1h 단계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굿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굿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2h 단계; 및
    상기 굿 디바이스의 잔량을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이송 수납하는 제3h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1h 단계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이 굿 디바이스만을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5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디바이스의 디씨 테스트를 실시하는 제1i 단계와;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제1 디씨 리젝트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를 전량 수납하는 제2i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i 단계는, 상기 디씨 테스트 사이트에서 상기 제2 로딩 로봇이 리젝트 디바이스만을 픽킹하여 이동시, 수납 중점(h,h’)에 대기 중인 상기 제3 또는 제4 로딩용 버퍼부에 디바이스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6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은,
    디바이스를 수납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 버퍼부가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제1j 단계와;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는 제2j 단계; 및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하는 제3j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j 단계는,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의 수납 위치에 디바이스 잔량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6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은,
    디바이스를 수납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 버퍼부가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제1k 단계와;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는 제2k 단계와;
    제2 번인 굿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3k 단계; 및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하는 제4k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1k 단계는,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의 수납 위치에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 잔량은 없고 상기 굿 디바이스의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6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은,
    디바이스를 수납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 버퍼부가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제1m 단계와;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는 제2m 단계와;
    제2 번인 굿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3m 단계와;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4m 단계; 및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하는 제5m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1m 단계는,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서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의 수납 위치에 상기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의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6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은,
    디바이스를 수납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 버퍼부가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제1n 단계와;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는 제2n 단계와;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 을 기착 수납하는 제3n 단계와;
    제2 번인 굿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굿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을 기착 수납하는 제4n 단계; 및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하는 제5n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n 단계는,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이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의 수납 위치에 상기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의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6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언로딩 로봇은,
    디바이스를 수납한 상기 제5 또는 제6 언로딩 버퍼부가 배출 중점(t,t’)으로 이동하면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제1p 단계와;
    상기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픽킹하는 제2p 단계와;
    제2 번인 리젝트 버퍼부로 이동하여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량 을 기착 수납하는 제3p 단계; 및
    상기 픽킹한 디바이스를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로 이송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등급별 결과 정보에 따라 분류 수납하는 제4p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제3p 단계는, 배출 중점(t,t’)의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서 굿과 리젝트 디바이스를 픽킹하여 이동시, 상기 제2 언로딩 샛플레이트부의 수납 위치에 상기 굿 디바이스 잔량은 없고 상기 리젝트 디바이스의 잔량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70. 디바이스를 이송시켜 번인 테스트 또는 디씨(DC)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등급별로 분류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번인 보드를 탑재한 엘리베이트 랙을 엘리베이팅하여 상기 번인 보드가 이송 벨트에 의해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로 이동하는 제11 단계와;
    상기 이송한 상기 번인 보드의 가장자리를 밀착하여 홀드(HOLD)하는 제12 단계와;
    상기 번인 보드가 이송 벨트에 의해 일직선 이동하여 번인 보드 작업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제13 단계와;
    제5 또는 제6 언로딩용 버퍼부에 수납된 디바이스를 상기 번인 보드로 이송 수납하여 디바이스 인스트 체크 센서와 제4 리무브 헤드 로봇이 변위량 체크 및 배출 작업을 실시하는 제14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배출 완료 후, 상기 이송한 상기 번인 보드의 가장자리를 릴리스(RELEASE)하고, 상기 번인 보드가 스탭 바이 스탭(STEP-BY-STEP)으로 제1 번인 보드 배출 위치로 이동하는 제15 단계와;
    상기 이동한 번인 보드가 이송 벨트에 의해 제2 번인 보드 배출 위치로 이동하는 제16 단계와;
    상기 이동한 번인 보드가 이송 벨트에 의해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로 이동하는 제17 단계; 및
    상기 이동한 번인 보드가 이송 벨트에 의해 엘리베이터 랙으로 이동하여 외부 배출하는 제18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 단계과 상기 제13 단계 사이에, 상기 번인 보드 공급 배출 위치에서 상기 번인 보드를 회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동작 방법.
  71. 삭제
  72. 삭제
KR1020080011488A 2008-02-05 2008-02-05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 KR10096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488A KR100969492B1 (ko) 2008-02-05 2008-02-05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488A KR100969492B1 (ko) 2008-02-05 2008-02-05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734A KR20090085734A (ko) 2009-08-10
KR100969492B1 true KR100969492B1 (ko) 2010-07-09

Family

ID=4120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488A KR100969492B1 (ko) 2008-02-05 2008-02-05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909B1 (ko) 2013-05-06 2014-08-18 에이엠티 주식회사 검사 시스템, 그리고 그 구동 유닛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271B1 (ko) * 2013-12-16 2015-06-24 에이엠티 주식회사 번인 보드 이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450768B1 (ko) * 2020-09-02 2022-10-05 에이엠티 주식회사 디바이스 테스트용 핸들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613A (ja) * 1998-10-07 2000-04-21 Nippon Eng Kk バーンインボード用ローダアンローダ装置
KR20000065290A (ko) * 1999-04-01 2000-11-06 정문술 핸들러의 버퍼구동장치
KR20060100910A (ko) * 2005-03-14 2006-09-21 미래산업 주식회사 번인 소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613A (ja) * 1998-10-07 2000-04-21 Nippon Eng Kk バーンインボード用ローダアンローダ装置
KR20000065290A (ko) * 1999-04-01 2000-11-06 정문술 핸들러의 버퍼구동장치
KR20060100910A (ko) * 2005-03-14 2006-09-21 미래산업 주식회사 번인 소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909B1 (ko) 2013-05-06 2014-08-18 에이엠티 주식회사 검사 시스템, 그리고 그 구동 유닛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734A (ko)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0705B2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a solid state disk test system
KR100200378B1 (ko) 아이씨 핸들러용 디바이스 반송 장치 및 디바이스 재검사 방법
CN107533102B (zh) 元件处理器
KR100969492B1 (ko) 번인 보드를 포함한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29812A (ko) 심카드 트레이 분류시스템
CN102247950A (zh) 用于分拣电子部件的设备
JP2007527003A (ja) デバイスハンド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815131B1 (ko) 트레이 로딩/언로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KR100909208B1 (ko)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
KR101103289B1 (ko) 번인 소터 및 그 동작 방법
KR100556301B1 (ko) 스마트 배터리의 배터리셀 선별수납장치
KR20060127633A (ko) 반도체 패키지 자동 외관 검사 장치
US20220315334A1 (en) Tray exchange and disposition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CN115108208A (zh) 用于血站的分拣存放库
CN108453051A (zh) 分拣送料装置
KR20210071932A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의 스태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US20020117383A1 (en) Tray accommodation unit
KR102227346B1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KR20200129813A (ko) 트레이 회수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작업물 분류시스템
KR100930260B1 (ko) 테스트 핸들러 및 그 동작 방법
KR100865155B1 (ko) 반도체 디바이스 핸들러 시스템
KR100560727B1 (ko) 모듈 아이씨 테스트 핸들러의 작동방법
CN220553418U (zh) 一种料盘输送系统及测试分选设备
CN116727303B (zh) 一种物料剔除方法及物料剔除装置
KR101417909B1 (ko) 검사 시스템, 그리고 그 구동 유닛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