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176B1 - 이중 컵 - Google Patents

이중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176B1
KR100969176B1 KR1020080069834A KR20080069834A KR100969176B1 KR 100969176 B1 KR100969176 B1 KR 100969176B1 KR 1020080069834 A KR1020080069834 A KR 1020080069834A KR 20080069834 A KR20080069834 A KR 20080069834A KR 100969176 B1 KR100969176 B1 KR 100969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double
guide
locking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115A (ko
Inventor
오정민
Original Assignee
오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민 filed Critical 오정민
Priority to KR102008006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1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컵을 이중으로 함으로써 컵 하부에 분말, 티백, 스푼 등 필요한 것을 미리 삽입하여 소풍, 등산 등의 간단한 여행시에 물만 부어서 차를 마실 수 있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이중 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 컵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제1컵과; 상기 제1컵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제2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컵의 저면에는 상기 제2컵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 컵, 제1컵, 제2컵, 수용부

Description

이중 컵 {Double Cup}
본 발명은 이중 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컵을 이중으로 함으로써 컵 하부에 분말, 티백, 스푼 등 필요한 것을 미리 삽입하여 소풍, 등산 등의 간단한 여행시에 물만 부어서 차를 마실 수 있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이중 컵에 관한 것이다.
고도의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생활의 윤택함과 함께 여유로움으로 인하여 차(茶)문화 또한 다양하게 발전 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가 차(茶)를 단위 포장하여 손쉽게 차를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가공된 차(茶)류를 티백에 포장하고, 포장된 티백을 포장 봉투에 넣어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기호 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는 커피는 어느 곳에서나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자동 판매기를 통해 공급되거나 소형 비닐팩에 커피, 프림 및 설탕이 적당량 혼합되어 있는 분말을 일정량씩 포장하여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위와 같은 일회용 커피나 차 등에 만족하지 못하고 더 편한 제품을 찾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들어 커피 분말이 일정량 수용되어 밀봉되어 있는 일회용 컵이 판매되고 있는바, 이와 같은 커피 분말 내장형 일회용 컵은 커피, 프림, 설탕 및 컵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이 컵의 커버를 개방한 후 물만 부으면 마실 수 있는 제품들이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오늘날에는 다른 제품은 물론이거니와, 조금이라도 편하게 커피, 차 등을 편하게 마실 수 있는 일회용 제품만 늘어나게 되어 환경이 오염되며, 쓰레기 발생량이 늘어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컵을 이중으로 하여 컵 하부에 분말, 티백, 스푼 등 필요한 것을 미리 삽입하여 소풍, 등산 등의 간단한 여행시에 간편하게 물만 부어서 차를 마실 수 있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이중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중 컵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제1컵과; 상기 제1컵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제2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컵의 저면에는 상기 제2컵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컵의 상부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컵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감싸는 걸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길게 가이드공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의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부를 다수개로 분할하는 나눔부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중 컵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2컵의 회전에 의해 수용부가 개폐되므로 수용부 내부에 분말이나 티백을 담을 수 있으며, 컵이 제1컵과 제2컵으로 이루어져 이중 컵이 되므로 내용물의 온도 유지에 좋으며 컵을 사용하는 사람 또한 컵을 만질 때 너무 뜨겁지 않으므로 좋다.
둘째,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되므로 제1컵과 제2컵은 분리될 염려가 없다.
셋째, 가이드돌기가 가이드공을 따라 회전하므로 상기 제2컵을 매끄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넷째, 제2컵을 회전시켜 수용부를 개폐할 때, 상기 고정홈에 의해 상기 제2컵이 아무렇게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홈에 삽입된 가이드돌기는 쉽게 움직이지 않으므로 제2컵은 고정된다.
다섯째, 나눔부가 장착되어 수용부의 한쪽에는 분말 또는 티백을 담고 수용부의 다른쪽에는 스푼 등을 담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컵과 분말 또는 티백과 스푼을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리하다.
여섯째, 위와 같은 이중 컵을 사용함으로써 일회용 제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쓰레기의 발생량이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 2컵을 약 60도 회전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 2컵을 약 180도 회전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물을 부었을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수용부에 나눔부를 장착했을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컵은 제1컵(100)과, 제2컵(2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컵(100)과 제2컵(200)은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컵(100)은 원통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된다.
상기 제1컵(100)의 내측 하부에는 수용부(30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300)는 상기 제1컵(100)의 내측 하부의 반정도 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컵(100)의 상부, 자세하게는 상기 수용부(300)의 상부에는 상기 제2컵(200)이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컵(100)에 내장된다.
상기 제2컵(200)은 상하로 개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2컵(200)의 저면에는 덮개부(400)가 상기 제2컵(200) 하부의 반정도 되도록 반원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반원은 개방된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컵(20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수용부(300)는 개폐된다.
이때, 상기 제2컵(200)이 상기 제1컵(100)에 대해서 회전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컵(100)이 제2컵(200)에 대해서 회전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컵(200)이 제1컵(100)에 대해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400)는 상기 수용부(300)를 폐쇄하고 필요시에만 상기 수용부(300)를 개방하기 위해서, 상기 덮개부(40)는 상기 수용부(300)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300)에는 커피나 차(茶)의 재료인 티백, 분말 등을 미리 담아 상기 덮개부(400)에 의해 폐쇄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소풍, 등산 등의 간단한 여행시에 미리 준비해서 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컵(100)의 상부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걸림돌기(1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10)는 상기 제1컵(100)의 외주면을 따라 띄엄띄엄 작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돌기(110)는 상기 제1컵(100)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길게 형성하였다.
상기 제2컵(200)의 상부에는 걸림부(210)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10)를 감싼다.
즉 상기 걸림부(210)는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10)를 감싸므로 상기 제2컵(200)은 상기 제1컵(100)에 대하여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컵(200)이 상기 제1컵(100)에 대하여 분리되지 않으므로 수용부(300)에 미리 담아둔 티백, 분말 등을 쏟을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1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1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20)는 탄성력을 지닌 부재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돌기(12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10)의 외주면 중 어느 한 부분에 작고 동그랗게 돌출 형성되며, 대칭되도록 반대쪽 부분에도 상기 가이드돌기(120)가 하나 더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120)는 상기 걸림돌기(110)의 외주면에 두 개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10)에는 상기 가이드공(220)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120)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공(220)은 상기 걸림부(210)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약 180도 정도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공(220)의 폭은 상기 가이드돌기(120)보다 조금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220)은 대칭되도록 반대편에도 상기 가이드공(220)이 하나 더 형성된다.
따라서 두 개의 상기 가이드돌기(120)는 각각 서로 다른 상기 가이드공(220)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공(220)의 양 끝단에는 고정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21)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돌기(120)는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공(220)의 폭은 일정하지만 상기 가이드공(220)의 양 끝단 가까이에서는 좁게 형성되고, 좁게 형성된 부분을 지나면 상기 가이드돌기(120) 크기 만한 상기 고정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120)는 상기 가이드공(220)의 폭이 좁은 부분을 지나 상기 가이드돌기(120) 크기 만한 상기 고정홈(22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300)에는 상기 수용부(300)를 다수개로 분할하는 나눔 부(500)가 형성된다.
상기 나눔부(500)는 판 형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300)의 내측 공간을 분할한다.
상기 수용부(300)는 다수개로 분할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눔부(500)를 상기 수용부(300)의 가운데에 형성하여 상기 수용부(300)를 두 칸으로 분할하였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300) 중 한쪽에는 분말, 가루 등을 담을 수 있으며 다른 한쪽에는 스푼, 막대기 등 차(茶)를 타먹기 위해 섞는 도구나 등을 담거나, 상기 수용부 중 한쪽에는 커피 분말을 담고 다른 한쪽에는 설탕을 담는 등 여러 가지를 필요에 맞게 미리 준비할 수 있어 편리하다.
그러므로 상기 제1컵의 하부에 분말, 티백, 스푼, 설탕 등 필요한 것을 미리 삽입하여 소풍, 등산 등의 간단한 여행시에 물만 부어서 차를 마실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회용 컵, 일회용 스푼 등의 일회용품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이중 컵은 여러 개로 포갤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300)의 상부가 상기 덮개부(400)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돌기(120)는 상기 고정홈(221)에 삽입 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2컵(20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300)에 분말 등을 넣기 위하여 상기 제2컵(200)에 힘을 가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컵(200)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컵(20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221)을 포함한 상기 가이드공(220) 또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돌기(120)는 상기 고정홈(221)에서 빠지게 되어 상기 제2컵(200)은 매끄럽게 회전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2컵(200)을 회전시키다 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컵(200)은 약 180도 회전하여 상기 수용부(300)가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20)는 또 다른 상기 고정홈(221)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2컵(20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 후, 상기 수용부(300)에 필요한 분말 등을 담는다.
그리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2컵(200)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2컵(200)을 약 180도 정도 회전시키면, 상기 덮개부(400)에 의해 상기 수용부(300)는 다시 폐쇄된다.
위와 같이 이중 컵을 필요한 갯수만큼 준비하여 포갠다.
그러면 갯수가 많아져도 부피가 많이 늘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소풍, 등산 등의 간단한 여행시에 위에서 미리 준비한 이중 컵들을 가져감으로써 원하는 때에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여 물만 부어서 마실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일회용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기호에 맞는 커피나 차 등을 미리 준비하여 물만 부어서 마실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본 발명인 이중 컵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 2컵을 약 60도 회전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 2컵을 약 180도 회전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물을 부었을 경우의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수용부에 나눔부를 장착했을 경우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컵, 110 : 걸림돌기, 120 : 가이드돌기, 200 : 제2컵, 210 : 걸림부, 220 : 가이드공, 221 : 고정홈, 300 : 수용부, 400 : 덮개부, 500 : 나눔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제1컵과;
    상기 제1컵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제2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컵의 저면에는 상기 제2컵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컵의 상부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컵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감싸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길게 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의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컵.
  5. 삭제
KR1020080069834A 2008-07-18 2008-07-18 이중 컵 KR10096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834A KR100969176B1 (ko) 2008-07-18 2008-07-18 이중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834A KR100969176B1 (ko) 2008-07-18 2008-07-18 이중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15A KR20100009115A (ko) 2010-01-27
KR100969176B1 true KR100969176B1 (ko) 2010-07-14

Family

ID=4181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834A KR100969176B1 (ko) 2008-07-18 2008-07-18 이중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1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75B1 (ko) * 2010-12-13 2011-05-06 김경미 폭탄주 제조컵
KR101041351B1 (ko) * 2010-12-15 2011-06-14 한우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85A1 (ko) * 2014-01-13 2015-07-16 노신현 이중 컵
KR101683560B1 (ko) 2015-10-05 2016-12-08 이종남 이중컵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9278U (ja) * 1982-04-20 1983-10-24 東洋科学株式会社 防湿容器
JPH02127260A (ja) * 1988-11-05 1990-05-15 Ichiro Okutsu 液体あるいは固体収納部を有する容器
KR20030085406A (ko) * 2002-04-30 2003-11-05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프로세서간 연결 테스트 방법
KR20030089086A (ko) * 2002-05-16 2003-11-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인명 구조 장치
KR200385406Y1 (ko) 2005-03-08 2005-05-27 한사도 음료용기의 마개
KR200389086Y1 (ko) * 2005-04-15 2005-07-07 김용칠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9278U (ja) * 1982-04-20 1983-10-24 東洋科学株式会社 防湿容器
JPH02127260A (ja) * 1988-11-05 1990-05-15 Ichiro Okutsu 液体あるいは固体収納部を有する容器
KR20030085406A (ko) * 2002-04-30 2003-11-05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프로세서간 연결 테스트 방법
KR20030089086A (ko) * 2002-05-16 2003-11-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인명 구조 장치
KR200385406Y1 (ko) 2005-03-08 2005-05-27 한사도 음료용기의 마개
KR200389086Y1 (ko) * 2005-04-15 2005-07-07 김용칠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75B1 (ko) * 2010-12-13 2011-05-06 김경미 폭탄주 제조컵
KR101041351B1 (ko) * 2010-12-15 2011-06-14 한우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15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044B1 (en) Beverage container device
RU2582467C2 (ru) Удерживаемая в руке смесительная емкость
US8376134B1 (en) Drink bottle with multiple drink dosage device
US7437990B2 (en) All-in-one disposable container for making coffee, tea and other mixed beverages
US20090108003A1 (en) Device to enhance and prolong a hot beverage drinking experience
US20160123786A1 (en) Dual lid container-dispenser apparatus
KR100969176B1 (ko) 이중 컵
WO2017106201A1 (en) Container assembly
US20160200474A1 (en) Dual chambered container with three interchangeable lids and ability to keep contents at separate temperatures
WO2013138490A1 (en) Beverage container device
JP2004083022A (ja) ペットボトル等ドリンク用ボトルのキャップ
US3225915A (en) Combined closure, stirrer, and condiment container for drinking vessel
GB2521895A (en) Drinking vessel
JP6328371B2 (ja) 飲み物用カップ蓋および飲み物用カップ
KR200369670Y1 (ko)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WO2014111489A2 (en) Sports bottle
KR101391783B1 (ko) 이중 컵
KR200170084Y1 (ko) 프림 및 설탕이 내장된 일회용 커피용기
JP3203489U (ja) 二重コップ
KR101426508B1 (ko) 스틱커피 수납부가 구비된 커피컵
KR200316556Y1 (ko) 분말용 용기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20190001581U (ko) 테이크아웃 용기
KR200476250Y1 (ko)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102190969B1 (ko) 식품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