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086Y1 -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 - Google Patents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086Y1
KR200389086Y1 KR20-2005-0010545U KR20050010545U KR200389086Y1 KR 200389086 Y1 KR200389086 Y1 KR 200389086Y1 KR 20050010545 U KR20050010545 U KR 20050010545U KR 200389086 Y1 KR200389086 Y1 KR 200389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fast food
beverage
cups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칠
Original Assignee
김용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칠 filed Critical 김용칠
Priority to KR20-2005-0010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스트푸드 등을 취급하는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에 관한 것으로, 측면 일정위치에 스트로우를 꽂을 수 있는 은박 접착부를 구비한 높이가 큰 음료용 컵과 이 음료용 컵의 상면 개방부로 부터 내측으로 끼움되어 그 언저리에 걸쳐질 수 있는 높이가 짧은 상부 컵 등 두개의 컵이 포개어진 형태의 이중 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중컵에 의하여 패스트푸드점에서 제공되는 각종 음료를 음료용 컵에 담은 상태에서 상부 컵에 감자, 고구마 튀김이나 과자류 또는 수분함유가 적은 즉석 식품을 함께 수용하여 취식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취식자는 음료와 다과를 한 손으로 편리하게 먹을 수 있어 음료와 다과, 즉석식품을 같이 먹는 음용자에게 활동성과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 the duplex cup using from the fast food shop }
본 고안은 패스트푸드 등을 취급하는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에 관한 것으로, 컵 통체의 일정위치에 스트로우를 꽂을 수 있는 은박 접착부를 구비한 깊이가 깊은 큰 음료용 컵과 이 음료용 컵의 상면 개방부로부터 내측으로 끼움되어 그 언저리의 컬링부에 걸쳐질 수 있는 깊이가 얕은 패스트푸드용 상부 컵 등 두개의 컵이 포개어진 형태의 이중 컵을 구비하여, 패스트푸드점에서 제공되는 각종 음료를 음료용 컵에 담은 상태에서 상부 컵에 감자, 고구마 튀김이나 과자류 또는 수분함유가 적은 즉석 식품을 함께 수용하여 취식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취식자는 음료와 다과를 한 손으로 편리하게 먹을 수 있어 음료와 다과, 즉석식품을 같이 먹는 음용자에게 활동성과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중 컵을 제공하고자 한다.
최근에 들어 패스트푸드는 시간에 쫓기는 사람들에게 간편하고 빠르게 먹을 수 있다는 점과 젊은이들이 서구식 즉석식품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바쁜 생활 중에 특히 회사 출근 도중이나 학교 등교시에 시간에 쫓겨서 이동중에 즉석식품을 이용하게 되고, 또, 야외나 극장 놀이공원 등에서 간단한 일이나 놀이를 하면서 음료수나 즉석 식품을 먹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최근에는 패스트푸드점이나 간이음식점, 테이크아웃점 등에서는 햄버거, 치킨, 감자, 고구마 튀김, 김밥, 치킨, 팝콘 등과 콜라, 사이다, 우유 등 다양한 패스트푸드를 판매하고 있는데, 음식점 매장내에서 먹을 때는 일반적인 식기류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동하면서 먹게 되는 즉석식품의 특성상 손님의 요구에 따라 일회용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러한 일회용 용기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음료는 음료용 컵에 스트로우를 끼워서 손님에게 제공되고, 각종 과자류나 감자튀김 등은 별도의 용기에 담아 제공하게 되므로 인하여 손님은 두 가지의 음식을 양손에 들고다니면서 먹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고, 특히 한 손에 다른 물건을 들고 있거나 길거리에서 음식물의 취식 도중에 휴대폰이 울리거나 할 경우 들고 있던 음식물의 처리에 난감해 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패스트푸드의 취식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이중컵을 제공하여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용 컵에 즉석식품을 담을 수 있는 상부컵을 끼워서 일체화시켜 제공하게 됨으로써, 한 손으로 즉석식품과 음료를 들고 먹을 수 있게 하여 취식자의 사용상의 편의성과 활동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음료용 컵의 측면 중상단 일정위치에 스트로우를 꽂을 수 있는 은박접착부가 구비되어 있어 음료용 컵 위에 즉석식품을 담은 상부 컵을 끼워 올려놓더라도 이 은박 접착부로 스트로우를 끼움하여 내장된 음료를 간편히 음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패스트푸드 등을 취급하는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에 관한 것으로, 컵 통체의 일정위치에 스트로우를 꽂을 수 있는 은박 접착부를 구비한 높이가 큰 음료용 컵과 이 음료용 컵의 상면 개방부로 부터 내측으로 끼움되어 그 언저리 컬링부에 걸쳐질 수 있는 높이가 짧은 상부 컵 등 두개의 컵이 포개어진 형태의 이중 컵을 구비하여, 패스트푸드점에서 제공되는 각종 음료를 음료용 컵에 담은 상태에서 상부 컵에 감자, 고구마 튀김이나 과자류 또는 수분함유가 적은 패스트푸드를 함께 수용하여 손님에게 제공함으로써 음용자는 음료와 다과를 한 손으로 편리하게 먹을 수 있어 음용자에게 활동성과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중 컵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우선 종이컵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종이 컵은 누수가 방지될 수 있도록 롤 상태의 원단 일면에 얇게 비닐 코팅 처리함과 동시에 타공용 펀칭기를 이용하여 스트로우 삽입공을 타공한 후 일정 크기의 은박접착부를 열 융착에 의하여 접착하고, 외면에는 컵 통체 전개도에 맞게 배열하여 그라비아 인쇄로써 무늬 도안을 형성한 다음, 제단용 펀칭기에서 컵 통체 전개 상태의 컵 원지를 타발하여 컵 원지를 제단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재단되어 적층되어 있는 컵 원지를 종이컵 성형기에 한장씩 자동 공급하여 원통형으로 접착시키는 1차적인 통체 성형 공정과, 밑받침을 테이프 형 롤로 권취된 비닐 코팅된 밑지를 종이컵 성형기 측면에 장착하여 연속적으로 풀어 공급하면서 펀칭으로 타발 형성함과 동시에 둘레를 꺾어 상기 1차 통체 성형 공정에서 성형되어 온 컵 통체 내에 끼워 넣는 공정을 거쳐 밑받침 가열 접착 공정에 이르게 된다.
밑받침 가열 접착 공정에서는 통상 밑받침이 끼워진 컵 통체의 하부를 히터에 의하여 1차 예열을 실시하고, 2차 컬링(Curling) 공정에서 컵 상단을 외측으로 가늘게 말리게 함과 동시에 하단부를 안쪽으로 꺾어 주는 정도로 굵게 말려 들어가게 하여 끼워진 밑받침의 아래쪽 꺾여진 부분을 감싸는 상태로 꺾여 말리게 하는 공정이 상, 하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하부 측을 안쪽으로 말리게 하는 몰드 하부 내측에는 본열 히터가 내장되어 있어 컵 통체 하단부를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게 하면서 가열하여 비닐 코팅층을 반 용융 상태로 만들어 다음의 로렛트 접착 공정에서 원활히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하부측이 안쪽으로 말려 충분히 예열되어 온 컵 원통체는 로렛트 접착공정에 이르게 되어 컵 통체 하부 외측 즉, 밑받침이 끼워진 아래측에 끼워지는 상태에서 자전과 공전운동을 하는 로렛트 볼에 의하여 하부 둘레가 압착되어 종이컵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일련의 제조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도1은 본 고안인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의 분해 상태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3은 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먼저, 높이가 큰 음료용 컵의 구조를 살펴보면, 컵 밑받침(11)과 컵 통체(12)로 구성되며, 상단 가장자리에는 컬링테(14)가 형성되어 있어 이 컬링테(14)에 의하여 컵의 형상을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구조는 통상의 일회용 종이 컵의 형상과 유사하나 기존의 종이컵에 비하여 그 깊이(높이)가 깊게(높게) 형성되어 있어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많은 양의 콜라나 각종 음료, 얼음 등을 동시에 담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음료용 컵(10)의 컵 통체(12) 중상단부의 일정위치에는 전기 제조공정에서 밝힌 바와 같이 스트로우(30)를 꽂을 수 있는 타공된 스트로우 삽입공(15)와 은박 접착부(13)가 구비되어 있어, 음료를 담은 후 사용 시에 이 은박 접착부(13)에다 스트로우(30)를 꽂아서 내용물인 음료를 안전하게 음용토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각종 패스트푸드를 담을 수 있는 상부 컵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이는 도2의 단면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음료용 컵(10)의 상단에 안치된 상태로 끼움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 역시 밑 바닥부(21)와 컵 본체(22)로 구성되고 상단 가장자리에 컬링부(23)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패스트푸드용 상부 컵(20)은 상기 음료용 컵(10)에 비하여 그 깊이가 아주 얕아 도 3의 사용상태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종 패스트푸드(40)를 담은 상태에서 음료를 담은 음료용 컵(10)에 끼워 올려 놓아도 그 하부가 음료의 상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깊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사용하여 음료와 패스트푸드(40)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할 경우, 우선 음료용 컵(10)에 소비자가 원하는 음료를 적정량 담은 후, 빼어둔 상부 컵(20)에는 각종 패스트푸드(40)를 담아서 상기 음료용 컵(10)의 상면에 끼움하여 일체화된 상태로 음용자에게 제공되며, 음용자는 별도로 준비된 스트로우(30)를 상기 음료용 컵(10)의 스트로우(30)를 꽂을 수 있는 은박 접착부(13)를 통하여 강제 끼움하여 스트로우(30)의 일단이 음료용 컵(10) 내부에 위치시킨 후 내부 음료를 음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여 패스트푸드점에서는 간편하게 음료와 패스트푸드를 담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소비자인 취식자는 한 손으로 패스트푸드와 음료를 간편히 들고 먹을 수 있게 하여 취식자의 사용상의 편의성과 활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패스트푸드용 이중컵을 사용함으로써 패스트푸드점에서는 각종 음료와 패스트푸드를 신속하게 담은 상태로 취식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소비자인 취식자는 한 손으로 패스트푸드와 음료를 간편히 들고 먹을 수 있게 하여 취식자의 사용상의 편의성과 활동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음료용 컵위에 즉석식품을 담은 상부 컵을 끼워 올려 놓더라도 음료용 컵의 측면 중상단의 은박접착부로 간편히 스트로우를 끼움하여 내장된 음료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인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음료용 컵 11: 컵 밑받침 12: 컵 통체
13: 은박 접착부 20: 패스트푸드용 상부 컵 21: 밑바닥부
22: 컵 본체 23: 컬링부 30: 스트로우
40: 패스트푸드

Claims (1)

  1. 컵 밑받침(11)과 상단 가장자리에는 컬링테(14)가 형성된 컵 통체(12)로 구성하되, 상기 컵 통체(12)는 그 깊이(높이)가 깊게 형성되어 있어 많은 양의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하며, 컵 통체(12)의 중상단부의 일정위치에 스트로우(30)를 꽂을 수 있는 은박 접착부(13)가 구비된 음료용 컵(10)과,
    밑 바닥부(21)와 상단 가장자리에는 컬링부(23)가 형성된 컵 본체(22)로 구성하되, 이 컵 본체(22)는 그 깊이(높이)가 얕게 형성된 패스트푸드용 상부 컵(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컵(20)은 음료용 컵(10)의 상단에 안치된 상태로 끼움되어 두개의 컵이 포개어진 형태의 2층구조를 이루는 패스트푸드점용 이중컵.
KR20-2005-0010545U 2005-04-15 2005-04-15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 KR200389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545U KR200389086Y1 (ko) 2005-04-15 2005-04-15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545U KR200389086Y1 (ko) 2005-04-15 2005-04-15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086Y1 true KR200389086Y1 (ko) 2005-07-07

Family

ID=4369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545U KR200389086Y1 (ko) 2005-04-15 2005-04-15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0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176B1 (ko) * 2008-07-18 2010-07-14 오정민 이중 컵
KR200482947Y1 (ko) * 2015-11-06 2017-03-17 김남훈 이중 컵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176B1 (ko) * 2008-07-18 2010-07-14 오정민 이중 컵
KR200482947Y1 (ko) * 2015-11-06 2017-03-17 김남훈 이중 컵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300B2 (en) Conversation generator
US7871653B2 (en) Double-stack shrimp tray
JP3202643U (ja) 飲料用の支持部を備えた食品コンテナ
US20050040218A1 (en) Unitary double walled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US20050133580A1 (en) Food container for use with a beverage receptacle
TWM411410U (en) Cup lid with receiving bag
KR100821874B1 (ko) 내용물 분할형 컵
US20060163259A1 (en) Food tray with thumb holes
KR200389086Y1 (ko)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
JP3154610U (ja) 複合容器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KR20090024900A (ko) 보조컵과 음료컵이 일체로 연결된 일회용 용기
CN212729082U (zh) 可固定餐具的餐盒结构
CN210000733U (zh) 一种中空纸杯
JP3212176U (ja) 簡易カップ兼紙皿
JP3245649U (ja) スタッキングコースター
JP3227726U (ja) 二種飲料用容器
KR200226849Y1 (ko)
JP3229461U (ja) 二種飲料用紙パック容器
CA2456415C (en) Conversation generator
CN115231087A (zh) 一种一次性茶杯
CN212830159U (zh) 纸杯盖及自密封纸杯和自密封纸碗
CN215044564U (zh) 一种可分节式餐饮杯
KR20170053602A (ko) 음식물 용기
JP3207950U (ja) 携帯多機能変態サポート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