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947Y1 - 이중 컵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947Y1
KR200482947Y1 KR2020150007236U KR20150007236U KR200482947Y1 KR 200482947 Y1 KR200482947 Y1 KR 200482947Y1 KR 2020150007236 U KR2020150007236 U KR 2020150007236U KR 20150007236 U KR20150007236 U KR 20150007236U KR 200482947 Y1 KR200482947 Y1 KR 200482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ontainer
upper container
present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김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훈 filed Critical 김남훈
Priority to KR2020150007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컵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를 담는 컵의 상측에 부피가 큰 다양한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상측용기를 형성하여 다양한 음식을 별도로 담아 섭취할 수 있게 하면서 음료와 음식의 온도가 상호 전도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이 식거나 덮혀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측용기가 컵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휴대가 편리하도록 한 이중 컵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부와, 상기 컵부의 상단 내경에 삽입되게 형성되고 저면에는 분리돌기를 형성한 삽입돌부를 하단에 형성하고 상기 삽입돌부 상단 외경으로는 저면에 고정홈을 형성한 단턱을 형성하며 단턱 상단으로 미끄럼방지테두리가 형성되는 확장테두리를 형성한 상측용기부와, 상기 상측용기부의 삽입돌부와 확장테두리의 외경이 컵부와 연통되도록 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컵용기{Dual cup container}
본 고안은 이중 컵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를 담는 컵의 상측에 부피가 큰 다양한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상측용기를 형성하여 다양한 음식을 별도로 담아 섭취할 수 있게 하면서 음료와 음식의 온도가 상호 전도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이 식거나 덮혀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측용기가 컵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휴대가 편리하도록 한 이중 컵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용기는 음료와 음식과 같이 성질을 달리하는 각각의 음식물을 분리하여 담을 수 있도록 하여 두개의 용기를 결합하여 하나의 용기로 사용할 수 있어 휴대가 편리하변서 두가지의 음식물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용기이다.
이러한 이중용기의 전형적일 일예가 실용신안등록 제312528호 이중포장용기로 제안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중포장용기는 서로 다른 두개의 컵 용기를 상호 결합시켜 별도로 돌깁된 수용고안을 분리 구획하여 내용물의 특성이 서로 다른 식품을 섞이지 않게 수납시킬 수 있게 하는 이중 포장용기로서 상부가 개방된 통상의 컵 상연부를 별도로 제작되는 보조 컵 바닥의 요입부에 구성시킨 임의의 결속구조를 통해 상호 견고하고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보조컵의 구성이 단순화하도록 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사용시 이중 포장용기를 조립 구성함에 있어 신속 간편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한 상기와 같은 이중포장용기는 보조 컵 바닥의 요입부에 컵 상연부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결합의 견고성을 위하여 결속구조를 별도로 형성해야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면서도 컵과 보조 컵의 결속력이 약하였으며 보조 컵의 직경이 컵의 직경의 연장선상에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것으로서 부피가 한계가 있어 부피가 큰 다양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실용신안등록 제 359721호 일회용 용기에 결합되는 접시 모양의 컵뚜껑이 제한된바 있다.
상기와 같은 컵 뚜껑은 식품과 음료를 동시에 담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별도의 컵을 사용하지 않고, 접시 모양의 컵 뚜껑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컵 뚜껑 또한 컵의 연장선상에 접시를 형성하여 접시에 담는 음식물의 양이 적어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담을 수 없었다.
또한, 상술한 이중용기 모두 컵의 음료와 음식물의 열전도를 차단할 수 없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의 온도가 쉽게 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측용기의 직경을 넓게 형성하여 부피가 큰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담을 수 있고 상측 음식과 하측음식이 상호 열전도가 되지 않아 음식의 온도가 쉽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의 고유맛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측용기가 컵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상측용기를 잡고 휴대가 편리하도록 한 이중 컵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부와, 상기 컵부의 상단 내경에 삽입되게 형성되고 저면에는 분리돌기를 형성한 삽입돌부를 하단에 형성하고 상기 삽입돌부 상단 외경으로는 저면에 고정홈을 형성한 단턱을 형성하며 단턱 상단으로 미끄럼방지테두리가 형성되는 확장테두리를 형성한 상측용기부와, 상기 상측용기부의 삽입돌부와 확장테두리의 외경이 컵부와 연통되도록 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컵용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측용기의 직경을 넓게 형성하여 부피가 큰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담을 수 있고 상측 음식과 하측음식이 상호 열전도가 되지 않아 음식의 온도가 쉽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의 고유맛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측용기가 컵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상측용기를 잡고 휴대가 편리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컵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컵용기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컵용기의 상측용기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컵용기의 상측용기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컵용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 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컵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컵용기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컵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 컵용기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부(10)와, 상기 컵부(10)에 삽입되는 상측용기부(20)와, 상기 상측용기부(20)의 외경 일측에 형성되는 홈부(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컵부(10)는 상광하협의 일반적인 형태의 컵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컵부(10)의 상단 내경에 삽입되도록 상측용기부(20)에 하단게 삽입돌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돌부(21) 상단 외경으로 단턱(22)을 형성하며 단턱(22) 상단으로 확장테두리(23)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상측용기부(20)의 삽입돌부(21) 저면에는 분리돌기(24)를 형성하고 상측용기부(20)의 단턱(22) 저면에는 상기 컵부(10)의 상단 테두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25)을 형성하며 상기 확장테두리(23)의 상단에는 미끄럼방지테두리(26)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상기 상측용기부(20)의 삽입돌부(21)와 확장테두리(23)의 외경이 컵부(10)의 내경과 연통되도록 홈부(30)를 형성하여 스트로우를 삽입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컵부(10)에 탄산음료나 커피 등 음료를 담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컵부(20)의 상단 내경에 상측용기부(20)의 삽입돌부(21)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상측용기부(20)의 삽입돌부(21)를 삽입시켜 상측용기부(20)를 가압시키면 컵부(10)의 상단테두리가 상측용기부(20)의 고정홈(2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측용기부(20)를 잡아도 컵부(10)에서 상측용기부(20)가 분리되지 않아 휴대가 간편하다.
또한, 상측용기부(20)의 상단으로 단턱(22)을 형성하고 단턱(22) 상측으로 확장테두리(23)를 형성함으로써 부피가 큰 샐러드나 스테이크와 같은 음식류를 넣어도 용이하게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상측용기부(20)의 삽입돌부(21)의 저면에 형성된 분리돌기(24)로 인하여 상측용기부(20)에 담기는 음식류가 삽입돌부(21)의 저면에서 이격되어 음료의 온도가 음식이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컵부(10)에 담겨있는 음료를 섭취하기 위하여 홈부(30)에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섭취할 수 있다.
10 : 컵부 20 : 상측용기부
21 : 삽입돌부 22 : 단턱
23 : 확장테두리 24 : 분리돌기
25 : 고정홈 26 : 미끄럼방지테두리
30 : 홈부

Claims (4)

  1.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부(10)와,
    상기 컵부(10)의 상단 내경에 삽입되게 형성된 상측용기부(20)로 구성된 이중 컵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측용기부(20)는 컵부(10)의 상단 내경에 삽입되도록 저면에 분리돌기(24)가 형성된 삽입돌부(21)를 하단에 형성하고 상기 삽입돌부(21) 상단 외경으로 저면에 컵부(10)의 상단 테두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25)을 형성한 단턱(22)을 형성하며 단턱(22) 상측으로는 상단으로 미끄럼방지테두리(26)가 형성된 확장테두리(23)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용기부(20)의 삽입돌부(21)와 확장테두리(23)의 외경이 컵부(10)와 연통되도록 홈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컵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7236U 2015-11-06 2015-11-06 이중 컵용기 KR200482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36U KR200482947Y1 (ko) 2015-11-06 2015-11-06 이중 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36U KR200482947Y1 (ko) 2015-11-06 2015-11-06 이중 컵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47Y1 true KR200482947Y1 (ko) 2017-03-17

Family

ID=5849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236U KR200482947Y1 (ko) 2015-11-06 2015-11-06 이중 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4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086Y1 (ko) * 2005-04-15 2005-07-07 김용칠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086Y1 (ko) * 2005-04-15 2005-07-07 김용칠 패스트푸드점용 이중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6926A (en) Dual thermos
US5531353A (en) Drinking cup device
US8939312B1 (en) Container lid system with a lid portion and food container portion
US6338417B1 (en) Food container
US20160150902A1 (en) Multipurpose drink and snack container set
US10542845B2 (en) Foodstuff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
USRE45935E1 (en) Container for holding foods and drinks
US20120273500A1 (en) Lid with a container
US20190031397A1 (en) Combination food cup and dipping tray
US20150374178A1 (en) Food container with a support for drinks
KR20140095987A (ko) 분할형 음료용기
KR200482947Y1 (ko) 이중 컵용기
KR101546530B1 (ko) 캡 용기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US20160015198A1 (en) Can type container changeable to type of cup or glass
KR200481814Y1 (ko)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KR20170031354A (ko) 결로 방지용 음료용기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KR101608768B1 (ko) 아이스텀블러 뚜껑
KR101683560B1 (ko) 이중컵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TWM557721U (zh) 容器及容器組合
KR101592184B1 (ko) 컵 또는 글라스 형태로 전환되는 캔 타입 용기
AU2016101479A4 (en) Beverage Cup
KR20170097919A (ko)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