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508B1 - 스틱커피 수납부가 구비된 커피컵 - Google Patents

스틱커피 수납부가 구비된 커피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508B1
KR101426508B1 KR1020130013078A KR20130013078A KR101426508B1 KR 101426508 B1 KR101426508 B1 KR 101426508B1 KR 1020130013078 A KR1020130013078 A KR 1020130013078A KR 20130013078 A KR20130013078 A KR 20130013078A KR 101426508 B1 KR101426508 B1 KR 101426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er container
coffee
stick
midd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순
Original Assignee
최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순 filed Critical 최병순
Priority to KR1020130013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틱형 조제커피를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부가 형성된 커피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음료를 담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아가리가 형성된 이너컨테이너와, 상기 이너컨테이너의 외측 둘레면과 틈새를 두고 결합되고 하면이 개구된 아우터컨테이너와, 상기 아우터컨테이너와 사이에 스틱커버 수납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이너컨테이너와 아우터컨테이너의 틈새에 장착된 미들컨테이너 및 상기 이너컨테이너와 아우터컨테이너 및 미들컨테이너의 하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아우터컨테이너에 결합된 언더캡을 포함하는 커피컵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틱커피 수납부가 구비된 커피컵{Coffee cup equipped with stick coffee holder}
본 발명은 커피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틱형 조제커피를 수납한 상태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고, 필요 시 스틱형 조제커피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스틱형 조제커피 수납부가 구비된 커피컵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틱형 조제커피(스틱커피)는 커피를 가정이나 사무실 등 다양한 장소에서 간편하게 타서 마실 수 있도록 일정량의 볶은 커피 또는 인스턴트커피에 설탕 및 크림 등을 혼합하여 스틱형 또는 봉지형 폴리에틸렌 포장지에 담아 일회용으로 널리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스틱형 조제커피는 일회용 컵 또는 커피컵에 넣고 따뜻한 물을 부은 후 티스푼 등으로 잘 저어 용해시킨 상태로 마시는 특성상 야외 등에서는 커피컵은 물론 조제커피 보관용 통이나 상자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커피를 편안하고 용이하게 마실 수 있으면서도 스틱형 조제커피를 함께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커피컵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의 개구부를 뚜껑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커피컵은 일반적인 머그컵이나 일회용 컵에 비해 보온성이나 휴대성이 좋고 일회용 종이컵과 같이 쓰레기가 배출되지 않아 최근 뜨거운 커피를 담는 이른바 테이크 아웃(take out)형 용기로 각광을 받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5070호에 개시된 컵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개구된 중공을 갖는 외통(1)과,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테두리(3)에는 외통(1)의 상부가 끼워지는 끼임부(4)가 형성된 내통(2) 및 외통(1)의 하측 테두리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캡(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컵은 단순히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용도로 한정되어 컵 고유의 기능 외에 별다른 부가기능이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지 않은 데다 휴대 시 공간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2414호(2004.05.2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2249호(2004.02.1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7152호(2004.07.2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2526호(2002.07.2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3457호(2001.11.2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8790호(2013.01.3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5070호(2003.08.0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4017호(2011.04.2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스틱형 조제커피를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익과 휴대 및 보관 시 공간효율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아울러 수납공간의 폭 조절이 가능하여 스틱형 조제커피의 크기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수납상태의 스틱형 조제커피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등의 편리성 및 실용성이 매우 우수한 커피컵을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스틱형 조제커피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컵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스틱형 조제커피를 크기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컵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스틱형 조제커피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컵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음료를 담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아가리가 형성된 이너컨테이너(inner container)와, 상기 이너컨테이너의 외측 둘레면과 틈새를 두고 결합되고 하면이 개구된 아우터컨테이너(outer container)와, 상기 아우터컨테이너와 사이에 스틱커버 수납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이너컨테이너와 아우터컨테이너의 틈새에 장착된 미들컨테이너(middle container) 및 상기 이너컨테이너와 아우터컨테이너 및 미들컨테이너의 하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아우터컨테이너에 결합된 언더캡(under ca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컵을 제공한다.
이로써 아우터컨테이너와 미들컨테이너 사이의 수납부에 스틱형 조제커피를 간편하게 수납하여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 및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아우터컨테이너 및 미들컨테이너의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수납부를 분할하는 벌크헤드(bulk head)를 그 아우터컨테이너 및 미들컨테이너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함으로써 수납부의 공간효율성을 제고함은 물론 스틱형 조제커피를 더욱 효과적으로 정돈하여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미들컨테이너는 상기 아우터컨테이너보다 하면이 하방으로 더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나의 벌크헤드와 인접하는 다른 벌크헤드 사이의 상기 돌출부 상에 상기 수납부와 통하는 핑거홀(finger hole)을 형성함으로써 아우터컨테이너와 미들컨테이너 사이의 수납부에서 스틱형 조제커피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벌크헤드는 상기 아우터컨테이너 및 미들컨테이너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컨테이너의 벌크헤드와 상기 미들컨테이너의 벌크헤드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미들컨테이너는 그 중심점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아우터컨테이너와 미들컨테이너 사이의 수납부에 스틱형 조제커피를 그 크기와 부피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수납하여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미들컨테이너는 일정 높이로 승강 가능하도록 상단 테두리에 칼라(collar)를 형성하고, 상기 아우터컨테이너의 내측 둘레면에 상기 칼라와 접촉간섭으로 상기 미들컨테이너가 일정 구간에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웨이(guideway)를 형성함으로써 아우터컨테이너와 미들컨테이너 사이의 수납부에서 스틱형 조제커피를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아우터컨테이너 및 미들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의 하단에 상기 수납부와 통하는 핑거홀을 형성함으로써 아우터컨테이너와 미들컨테이너 사이의 수납부에서 스틱형 조제커피를 손가락으로 집어 간편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아우터컨테이너와 미들컨테이너 사이에 형성된 수납부에 스틱형 조제커피를 간편하고 수월하게 수납하여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어 그에 따른 부피의 최소화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 및 공간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이나 필요에 따라 미들컨테이너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수납부의 폭을 임의대로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 및 부피의 스틱형 조제커피를 범용적으로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부에서 스틱형 조제커피를 한층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게다가 커피컵과 스틱형 조제커피 보관통의 기능 및 구실을 일체로 겸비 및 병치하여 사용은 물론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 및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등 하나의 물품으로 두 가지 물품 기능을 겸용하여 동시에 사용 및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그에 따른 경제성 및 제품의 차별화로 상품성을 제고하는 등 사용상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커피컵의 일례를 분해하여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컵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컵의 아우터컨테이너와 미들컨테이너를 분해하여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컵의 아우터컨테이너와 미들컨테이너 사이에 형성된 수납부에 스틱형 조제커피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국부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국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컵은 크게 이너컨테이너(10), 아우터컨테이너(20), 미들컨테이너(30), 언더캡(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너컨테이너(10)는 보온성 유지 등을 위해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져 커피 등의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상면에 아가리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이 폐쇄되어 하부로 갈수록 점차 그 직경 또는 폭이 협소해지는 마치 원통과 같은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너컨테이너(10)에는 그 아가리를 개폐하는 별도의 리드(5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리드(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조여지거나 풀리도록 이너컨테이너(10)의 상부 내측 둘레면과 리드(50)의 하부 외측 둘레면에 서로 대응 결합되는 나사부(14)(54)를 각각 형성할 수 있고, 또 리드(50)의 일측에는 리드(5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너컨테이너(10) 내부에 담긴 커피 등의 음료를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그 리드(50)의 개구부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하는 레버(5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너컨테이너(10)와 리드(50) 사이 또는 그 리드(50)의 개구부와 레버(51) 사이에는 이너컨테이너(10) 내부에 담긴 커피 등의 음료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수분이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오링이나 패킹 등을 장착할 수도 있다.
아우터컨테이너(20)는 상하면이 개구된 통형으로 형성되어 이너컨테이너(10)의 하부 외측 둘레면과 틈새를 두고 결합되어 있다.
즉, 아우터컨테이너(20)는 이너컨테이너(10)와 상응하도록 하부로 갈수록 점차 그 직경 또는 폭이 좁아지는 마치 원통과 같은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우터컨테이너(20)의 하단에는 언더캡(40)과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부(24)가 형성될 수 있고, 그 나사부(24)에는 수납부(35)에서 스틱형 조제커피를 손가락으로 집어 간편하고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수납부(35)와 통하는 핑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아우터컨테이너(20)는 그 내부에 삽입되는 스틱형 조제커피(C)를 외부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가 투영되어 보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우터컨테이너(20)의 외측에는 사용 시나 휴대 시 등에 파지가 더욱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잡이(미도시)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미들컨테이너(30)는 아우터컨테이너(20)와 사이에 스틱커버 수납부(35)를 형성하면서 이너컨테이너(10)와 아우터컨테이너(20)의 틈새에 장착되어 있다.
즉, 미들컨테이너(30)는 이너컨테이너(10) 및 아우터컨테이너(20)와 상응하도록 하부로 갈수록 점차 그 직경 또는 폭이 좁아지며 상하면이 개구된 마치 원통과 같은 통형으로 형성되어 이너컨테이너(10)의 하부 외측 둘레면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아우터컨테이너(20)와 미들컨테이너(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스틱커버 수납부(35)를 다수로 분할하는 벌크헤드(21)(31)가 그 아우터컨테이너(20) 및 미들컨테이너(30)의 가상 중심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각각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컨테이너(20)의 내측 둘레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아우터컨테이너(20)의 가상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벌크헤드(21)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마주하는 미들컨테이너(30)의 외측 둘레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미들컨테이너(30)의 가상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벌크헤드(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벌크헤드(21)(32)로 인해 수납부(35)의 수납공간이 다수 개로 분할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여러 개의 스틱형 조제커버(C)를 안정적이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벌크헤드(21)(3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컨테이너(20) 및 미들컨테이너(30)의 대향면 중 서로 접촉간섭이 없는 위치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아우터컨테이너의 벌크헤드(21)와 미들컨테이너의 벌크헤드(31) 사이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미들컨테이너(30)는 그 가상의 중심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컨테이너(30)를 그 가상의 중심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스틱커피 수납부(35)의 폭 및 공간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하고 효율적인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스틱형 조제커피(C)의 다양한 크기와 부피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미들컨테이너(30)는 이너컨테이너(10)와 아우터컨테이너(20)의 틈새에 장착된 상태에서 아우터컨테이너(20)보다 하면이 하방으로 더 돌출되는 돌출부(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돌출부(33) 중 하나의 벌크헤드(31)와 인접하는 다른 벌크헤드 사이에 위치되고 수납부(35)와 통하는 핑거홀(34)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핑거홀(34)을 통해 수납부(35)에 삽입 수납된 스틱형 조제커버(C)를 손가락으로 직접 집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핑거홀(34)은 미들컨테이너(30)의 하단이 아우터컨테이너(20)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경우 미들컨테이너(30)의 돌출부(33)가 아닌 그 하단에 수납부(35)와 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미들컨테이너(30)는 이너컨테이너(10)와 아우터컨테이너(20)의 틈새에서 일정 높이로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고, 이 경우 미들컨테이너(30)의 상단 테두리에 칼라(32)가 형성될 수 있고, 아우터컨테이너(20)의 내측 둘레면에는 그 칼라(32)와 접촉간섭으로 미들컨테이너(30)가 일정 구간에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웨이(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컨테이너(30)가 마치 서랍과 같은 방식으로 스틱형 조제커피(C)를 수납한 채로 이너컨테이너(10)와 아우터컨테이너(20) 사이에서 칼라(32)와 가이드웨이(22)의 작동 관계에 의해 이탈 또는 분리됨 없이 일정 높이 범위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기 때문에 아우터컨테이너(20)와 미들컨테이너(30) 사이의 수납부(35)에 담긴 스틱형 조제커피(C)를 훨씬 간편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언더캡(40)은 이너컨테이너(10)와 아우터컨테이너(20) 및 미들컨테이너(30)의 하면을 커버하면서 아우터컨테이너(20)에 결합되어 있다.
즉, 언더캡(40)은 아우터컨테이너(20)의 나사부(24)와 서로 대응 결합되는 나사부(44)가 형성되어 있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조여지거나 풀리면서 아우터컨테이너(20)와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 또는 해제하여 분리 가능하고,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어 보관 시 등에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컵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틱형 조제커피(C)를 아우터컨테이너(20)와 미들컨테이너(30) 사이의 수납부(35)에 수납할 때에는 아우터컨테이너(20)와 결합된 상태의 언더캡(50)을 분리한 후 아우터컨테이너(20)와 미들컨테이너(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스틱형 조제커피(C)를 하나씩 집어넣어 수납부(35)에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스틱형 조제커피(C)의 크기 및 부피가 아우터컨테이너(20)와 미들컨테이너(30) 사이의 수납부(35) 폭보다 큰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컨테이너(30)를 그 가상의 중심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스틱커피 수납부(35)의 폭 및 공간이 조절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스틱형 조제커피(C)의 다양한 크기 및 부피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언더캡(50)을 아우터컨테이너(20)에 결합하면 수납부(35)에 스틱형 조제커피(C)가 안정적으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휴대 및 보관 시 편의성 및 공간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틱형 커피(C)를 수납부(35)에서 꺼낼 때에는 아우터컨테이너(20) 또는 미들컨테이너에 형성된 핑거홀(34)을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고 직접적으로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신속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컨테이너(30)를 하부로 잡아당길 경우 이너컨테이너(10)와 아우터컨테이너(20) 사이에서 빼낼 수 있고, 이렇게 되면 미들컨테이너(30)가 스틱형 조제커피(C)를 수납한 채로 하강하기 때문에 더욱 간편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컵은 스틱형 조제커피(C)를 수납한 채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스틱형 조제커피 보관용 통이나 상자가 불필요하므로 이동 시 등에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별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이너컨테이너 20: 아우터컨테이너
21: 벌크헤드 22: 가이드웨이
30: 미들컨테이너 31: 벌크헤드
32: 칼라 33: 돌출부
34: 핑거홀 35: 수납부
40: 언더캡 50: 리드
51: 레버

Claims (6)

  1. 음료를 담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아가리가 형성된 이너컨테이너;
    상기 이너컨테이너의 외측 둘레면과 틈새를 두고 결합되고 하면이 개구된 아우터컨테이너;
    상기 아우터컨테이너와 사이에 스틱커버 수납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이너컨테이너와 아우터컨테이너의 틈새에 장착된 미들컨테이너; 및
    상기 이너컨테이너와 아우터컨테이너 및 미들컨테이너의 하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아우터컨테이너에 결합된 언더캡;
    을 포함하는 커피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컨테이너 및 미들컨테이너의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수납부를 분할하는 벌크헤드가 그 아우터컨테이너 및 미들컨테이너의 중심점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커피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컨테이너는 상기 아우터컨테이너보다 하면이 하방으로 더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나의 벌크헤드와 인접하는 다른 벌크헤드 사이의 상기 돌출부 상에 상기 수납부와 통하는 핑거홀이 형성된 커피컵.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헤드는 상기 아우터컨테이너 및 미들컨테이너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컨테이너의 벌크헤드와 상기 미들컨테이너의 벌크헤드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미들컨테이너는 그 중심점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커피컵.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컨테이너는 일정 높이로 승강 가능하도록 상단 테두리에 칼라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컨테이너의 내측 둘레면에 상기 칼라와 접촉간섭으로 상기 미들컨테이너가 일정 구간에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웨이가 형성된 커피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컨테이너 및 미들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의 하단에 상기 수납부와 통하는 핑거홀이 형성된 커피컵.
KR1020130013078A 2013-02-05 2013-02-05 스틱커피 수납부가 구비된 커피컵 KR101426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078A KR101426508B1 (ko) 2013-02-05 2013-02-05 스틱커피 수납부가 구비된 커피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078A KR101426508B1 (ko) 2013-02-05 2013-02-05 스틱커피 수납부가 구비된 커피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508B1 true KR101426508B1 (ko) 2014-08-05

Family

ID=5174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078A KR101426508B1 (ko) 2013-02-05 2013-02-05 스틱커피 수납부가 구비된 커피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535B1 (ko) 2016-06-02 2018-04-06 최소희 기능성 양조절 커피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7984A (en) 1961-06-07 1964-04-07 Arthur D Hertzog Lunch kit
US3278014A (en) 1964-06-19 1966-10-11 William S Thornton Cup storage rim
JPH0722144Y2 (ja) * 1992-07-29 1995-05-24 幸雄 児玉 2重筒コップ
US6382411B1 (en) 2000-03-30 2002-05-07 James T. Wentling Beverage container with storage pockets
US7523823B1 (en) 2006-11-24 2009-04-28 Bednar Thomas R Mixing container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7984A (en) 1961-06-07 1964-04-07 Arthur D Hertzog Lunch kit
US3278014A (en) 1964-06-19 1966-10-11 William S Thornton Cup storage rim
JPH0722144Y2 (ja) * 1992-07-29 1995-05-24 幸雄 児玉 2重筒コップ
US6382411B1 (en) 2000-03-30 2002-05-07 James T. Wentling Beverage container with storage pockets
US7523823B1 (en) 2006-11-24 2009-04-28 Bednar Thomas R Mixing containe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535B1 (ko) 2016-06-02 2018-04-06 최소희 기능성 양조절 커피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9083B2 (en) Food container with discard compartment
US7958816B2 (en) Multi-function beverage brewer and cup
US20180265255A1 (en) Two-in-one drinking vessel
JP2012527379A (ja) 供給カップ
CN101779858B (zh) 散粉盒
US20130153085A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ntainer
JP2015058950A (ja) カップに蓋体をつけた飲用容器及びその蓋体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101426508B1 (ko) 스틱커피 수납부가 구비된 커피컵
US10076198B2 (en) Portable food or beverage and condiment kit
JP2014043277A (ja) 飲み物用カップ蓋および飲み物用カップ
KR20100009115A (ko) 이중 컵
CN202489436U (zh) 一种具有储藏功能的摇杯
KR101718248B1 (ko) 스푼이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KR101599443B1 (ko)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CN203767272U (zh) 料包瓶盖
KR20180070042A (ko) 물배출 구조를 가지는 일회용 용기
CN111202411A (zh) 一种水杯
CN106395113B (zh) 饮料容器
CN210407975U (zh) 一种杯子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CN207949546U (zh) 一种方便冲泡的容器
CN214072228U (zh) 一种内套分饮杯的多功能水杯
KR200476250Y1 (ko)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101391783B1 (ko) 이중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