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504B1 - 실내 악취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악취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504B1
KR100968504B1 KR1020070124553A KR20070124553A KR100968504B1 KR 100968504 B1 KR100968504 B1 KR 100968504B1 KR 1020070124553 A KR1020070124553 A KR 1020070124553A KR 20070124553 A KR20070124553 A KR 20070124553A KR 100968504 B1 KR100968504 B1 KR 10096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ilter
air
fan modul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804A (ko
Inventor
김홍민
Original Assignee
김홍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903,699 external-priority patent/US8083575B2/en
Priority claimed from CA2604264A external-priority patent/CA2604264C/en
Application filed by 김홍민 filed Critical 김홍민
Priority to JP200803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9101982A/ja
Publication of KR20090031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automa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악취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시트(10)의 표면 중 소정 부위에 설치된 흡입구(23)와; 상기 흡입구(23)로부터 에어를 강제 흡입하기 위한 시트팬 모듈(22)과; 상기 시트팬 모듈(22)에 의해 강제 흡입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23)로부터 연장되는 배출관(25)과; 상기 시트팬 모듈(22)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트 사용자 스위치(21)와; 상기 시트팬 모듈(22)의 동작과 연동되고 상기 배출관(25)의 에어 배출쪽에 설치되어 필터를 거쳐 에어가 배출토록 하기 위한 필터팬 모듈(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차량이나 기타 밀폐된 공간을 가진 실내에서 예컨대 방귀나 트림 등과 같이 생리현상에 의하여 사람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사람이 착석하고 있는 시트로부터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어, 비교적 밀폐된 공간의 실내 공기를 용이하게 정화시킴으로써, 운행 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실내, 악취, 제거, 정화

Description

실내 악취 제거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ODOR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발생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비교적 밀폐된 공간 내에서 의자(시트)에 착석 중인 자에 의하여 발생되는 악취를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시트에 팬을 장착하고 배출관을 연결함으로써 수동 또는 센서에 의한 자동 악취제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실내 악취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와 같은 차량의 실내는 통상적으로 거의 밀폐되어 있다. 이는 근래에 에어컨 장치나 히터 장치의 설치에 의하여 여름이나 겨울 등에도 쾌적한 실내를 제공하려는 경향에 더하여, 도시의 경우에는 매연 등의 환경에 노출되지 않기 위하여 차량 내부가, 약간의 환기를 위한 통로를 제외하고는, 밀폐되는 경향이 심하다. 이러한 밀폐되는 경향은 일반적인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 등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거의 밀폐된 공간인 차량이나 사무실 등 실내의 공기는 갑작스런 악취에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실내에 있는 특정인에 의해 방출되는 방귀나 트림과 같은 생리 현상에 의하여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의 밀폐된 공간 에서는 그 악취가 매우 심하기 때문에 창문을 열어 신속하게 환기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심한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는 경우엔 실내의 공기 환경이 외부 공기 환경과 같아지므로, 다시 쾌적한 환경을 위하여 에어컨의 동작이나 히터의 가열 동작이 추가로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에너지 소비를 가져온다.
종래 실내에 은은한 향기를 뿌리기 위한 각종 향기 발생 제품들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향기 발생 제품들은 급격하게 발생되는 악취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없다는 약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공기 청정 장치의 경우에는, 실내 전체의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국소적으로 급격하게 발생하는 악취를 신속하게 제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내에서 예고없이 갑작스럽게 국소적으로 발생되는 악취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에서 국소적으로 급격하게 발생되는 악취 제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예컨대 차량이나 기타 밀폐된 공간을 가지는 실내에서는 대개 사람들이 의자에 앉아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사람에 의하여 국소적으로 급격하게 발생되는 악취, 즉 예컨대 방귀와 같은 생리현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악취를 각각의 의자(시트)에서 직접 제거할 수 있도록, 시트에 팬을 장착하고 배출관을 연결함으로써 수동 또는 센서에 의한 자동 악취제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실내 악취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실내 악취 제거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실내 악취 제거 장치는, 예컨대 차량 또는 사무실과 같이 밀폐된 공간의 실내에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시트의 표면 중 소정 부위에 설치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에어를 강제 흡입하기 위한 시트팬 모듈과; 상기 시트팬 모듈에 의해 강제 흡입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로부터 연장되는 배출관과; 상기 시트팬 모듈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트 사용자 스위치와; 상기 시트팬 모듈의 동작과 연동되고 상기 배출관의 에어 배출쪽에 설치되어 필터를 거쳐 에어가 배출토록 하기 위한 필터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인접하여 소정의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시트팬 모듈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시트 콘트롤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실내 악취 제거 장치는, 실내에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 내의 적어도 둘 이상의 시트 각각의 표면 중 소정 부위에 각각 설치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 각각으로부터 에어를 각각 강제 흡입하기 위한 시트팬 모듈과; 상기 흡입구 각각에 인접하여 소정의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시트팬 모듈에 의해 강제 흡입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하여 흡 입구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출관과; 상기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시트의 시트팬 모듈의 동작을 각각 자동 제어하기 위한 시트 콘트롤 모듈과; 상기 배출관의 에어 배출쪽에 설치되어 필터를 거쳐 에어가 배출토록 하기 위한 필터팬 모듈과; 상기 시트 콘트롤 모듈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필터팬 모듈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필터 콘트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팬 모듈의 동작을 각각 수동 제어하기 위한 시트 사용자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 콘트롤 모듈과 상기 필터 콘트롤 모듈(27)은 각각 팬 가동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또한 각각 진단포트에 연결되고, 이 진단포트에 접속된 진단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저장된 팬 가동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센서는 암모니아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내에서 국소적으로 급격하게 발생되는 악취 제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예컨대 차량이나 기타 밀폐된 공간을 가지는 실내에서는 대개 사람들이 의자에 앉아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사람에 의하여 국소적으로 급격하게 발생되는 악취, 즉 예컨대 방귀와 같은 생리현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악취를 각각의 의자(시트)에서 직접 제거할 수 있도록, 시트에 팬을 장착하고 배출관을 연결함으로써 수동 또는 센서에 의한 자동 악취제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실내 악취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동력 변각장치를 구비한 천정 음향 반사판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 중 콘트롤 모듈의 연결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의 배출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의 콘트롤 모듈들 간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의 또 다른 배출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가 시트에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실내 악취 제거 장치는, 예컨대 차량 또는 사무실과 같이 밀폐된 공간의 실내에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한 예는 4인승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을 가진 예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시트를 가진 실내 공간이라면 어디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시트 하나에만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악취 제거 장치는, 하나의 시트(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장치는, 흡입구(23), 시트팬 모듈(22), 배출관(25), 시트 사용자 스위치(21) 및 필터팬 모듈(26)을 구비할 수 있다. 흡입구(23)는 시트(10)의 표면 중 소정 부위에 설치된다. 흡입구(23)는 다공성의 섬유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팬 모듈(22)은 팬과 모터가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트팬 모듈(22)은 작동하였을 때, 상기 흡입구(23)를 통하여, 시트(10) 주변의 에어를 흡입하도록 동작한다. 이렇게 흡입된 에어는 상기 흡입구(23)로부터 연장되는 배출관(2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25)의 배출구쪽에는 필터팬 모듈(26)이 설치된다. 필터팬 모듈(26)은 예컨대 활성탄 필터(charcoal filter)와 같은 필터와 팬 및 모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시트팬 모듈(22)의 동작에 연동되어 같이 동작한다. 이 필터팬 모듈(26)에 의하여, 시트(10) 주변에서부터 시트팬 모듈(22)에 의해 흡입되어 배출관(25)을 통해 이동된 에어가 실외 또는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배출된 에어는 필터에 의하여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실내 악취 제거 장치는,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수동으로 조작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팬 모듈(22)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트 사용자 스위치(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악취를 감지하였을 때 시트 사용자 스위치(21)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실내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의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예에서는, 센서(24) 및 시트 콘트롤 모듈(20)을 더 구비한다. 센서(24)는 시트(10)에 있는 흡입구(23)에 인접하여 소정의 화학물질, 예컨대 암모니아와 같은 물질을 감지하고, 이를 시트 콘트롤 모듈(20)로 전달한다. 시트 콘트롤 모듈(20)은 센서(24)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시트팬 모듈(22)의 동작 및 이에 연동된 필터팬 모듈(26)을 자동 제어한다. 시트 콘트롤 모듈(22)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 등과 같은 제어 장치의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또다른 실시예에서, 시트 콘트롤 모듈(22)은 유사한 구성의 필터 콘트롤 모듈(27)에 연결되고, 필터 콘트롤 모듈(27)은 필터팬 모듈(26)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예들에서는 시트(10) 주변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경우, 센서(24)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자동으로 악취 제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실내 악취 제거 장치는 다수의 시트에 장착되어 네트워크화된 시스템으로서, 도 1에서 4개의 시트(10, 10a, 10b, 10c)를 가진 차량에 장착된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더 적거나 많은 시트에 대해서도 적용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차량 내의 시트(10, 10a, 10b, 10c) 각각의 표면 중 소정 부위에 흡입구(23, 23a, 23b, 23c)가 각각 설치된다.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23, 23a, 23b, 23c)는 시트 바닥(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흡입구가 시트 백레스트(14)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흡입구(23, 23a, 23b, 23c) 각각으로부터 에어를 각각 강제 흡입하기 위한 시트팬 모듈(22, 22a, 22b, 22c)이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23, 23a, 23b, 23c) 각각에 인접하여 소정의 화학물질, 예컨대 암모니아를 감지하는 센서(24, 24a, 24b, 24c)가 설치된다. 상기 센 서(24, 24a, 24b, 24c)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시트(10, 10a, 10b, 10c)의 시트팬 모듈(22, 22a, 22b, 22c)의 동작을 각각 자동 제어하기 위한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이 설치되어, 시트팬 모듈과 센서에 각각 연결된다.
배출관(25)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트리형태 또는 도 5에 도시된 개별 관 형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출관(25)은 상기 시트팬 모듈(22, 22a, 22b, 22c)에 의해 강제 흡입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하여 흡입구(23, 23a, 23b, 23c) 각각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배출관(25)의 에어 배출쪽에는, 필터를 거쳐 에어가 배출토록 하기 위한 필터팬 모듈(26)이 설치되고, 필터팬 모듈(26) 근처에는, 상기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필터팬 모듈(26)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필터 콘트롤 모듈(27)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팬 모듈(22, 22a, 22b, 22c)의 동작을 각각 수동 제어하기 위한 시트 사용자 스위치(21, 21a, 21b, 21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과 상기 필터 콘트롤 모듈(27)은 각각 팬 가동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콘트롤 모듈들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고 또한 각각 진단포트(28)에 연결되어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콘트롤 모듈들은 이 진단포트(28)에 접속된 진단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저장된 팬 가동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콘트롤 모듈의 연결 핀 구조의 예가 도시된다. 시트 콘트롤 모 듈(20, 20a, 20b, 20c)은 예컨대 차량의 시동장치 또는 점화장치(ignition)에 연결됨으로써, 차량이 시동된 상태일 때 온되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일때는 오프로 될 수 있다. 메인 파워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차량 샤시에 연결된 접지선을 가질 수 있다.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은 서로에 동작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진단포트(28) 및 필터 콘트롤 모듈(27)과 연결되는 데이터라인을 구비한다. 또한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은 사용자 스위치(21, 21a, 21b, 21c)에 의해 동작될 수 있고, 화학물질 감지 센서(24, 24a, 24b, 24c)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될 수 있으며, 이 밖에 시트에 설치될 수 있는 시트 점유 감지 센서에도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 점유 감지 센서는 예컨대 압력 센서와 같은 구성을 함으로써, 해당 시트에 사람이 착석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콘트롤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은 대응하는 시트팬 모듈(22, 22a, 22b, 22c)을 동작시킨다.
필터 콘트롤 모듈(27)은 배터리와 연결되며,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 및 진단포트(28)에 연결된 데이터라인을 구비한다. 필터 콘트롤 모듈(27)은 필터팬 모듈(26)을 동작시킨다. 필터 콘트롤 모듈(27)은 필터팬 모듈(26)의 도어에 설치된 도어 스위치와 연결되어, 예컨대 필터를 교체하기 위하여 필터팬 모듈(26)의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 작동하는 도어 스위치에 의하여 리셋될 수 있다. 필터 콘트롤 모듈(27)이 리셋되는 경우, 필터 콘트롤 모듈(27)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필터팬 모듈(26)의 가동시간에 대한 데이터가 초기화될 수 있다.
각각의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은 다른 콘트롤 모듈이 동작 중 이라는 정보를 데이터라인으로 전송받을 경우, 저속 팬 모드로 동작, 즉 대응하는 시트팬 모듈이 저속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화학물질 감지 센서(24, 24a, 24b, 24c)가 동작하여 감지 신호가 들어오면, 해당 감지신호를 수신한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은 중간 속도 팬 모드로 동작, 즉 대응하는 시트팬 모듈이 중간 속도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은 대응하는 화학물질 감지 센서(24, 24a, 24b, 24c)가 예컨대 암모니아를 더 이상 감지하지 않은 경우에 중간 속도에서 바로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 시간(예컨대 약15초 정도) 동안은 저속으로 시트팬 모듈을 가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 27)은 팬 가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누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 가동 시간에 대한 정보는 필터가 교체되어야 할 시기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필터 교체 시기는, 차량이 시동이 걸어져 있는 상태이고 예컨대 시트에 착석된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 알려질 수 있다. 필터가 교체되어야 할 경우, 전체 장치의 동작은 정지되며, 필터가 교체된 후(즉, 필터 도어 스위치에 의하여 리셋된 후)에야 다시 동작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악취 제거 장치는 사람이 착석하는 의자(시트)에 장착되어 의자에 착석한 사람에 의하여 예고없이 급격하게 발생되는 악취를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밀폐된 공간과 시트를 구비하는 2인승 또는 4인승 승용차, 미니밴, 버스, 또는 비행기, 선박, 사무실 등의 다양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분야에서 이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 중 콘트롤 모듈의 연결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의 배출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의 콘트롤 모듈들 간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의 또 다른 배출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악취 제거 장치가 시트에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0b, 10c : 시트
20, 20a, 20b, 20c : 시트 콘트롤 모듈
21, 21a, 21b, 21c : 시트 사용자 스위치
22, 22a, 22b, 22c : 시트팬 모듈
23, 23a, 23b, 23c : 시트 흡입구
24, 24a, 24b, 24c : 시트센서
25 : 배출관
26 : 필터팬 모듈
27 : 필터 콘트롤 모듈
28 : 진단포트

Claims (6)

  1. 실내에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시트(10)의 표면 중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착석하는 부위에 설치된 흡입구(23)와;
    상기 흡입구(23)로부터 에어를 강제 흡입하기 위한 시트팬 모듈(22)과;
    상기 시트팬 모듈(22)에 의해 강제 흡입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23)로부터 연장되는 배출관(25)과;
    상기 시트팬 모듈(22)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트 사용자 스위치(21)와;
    상기 시트팬 모듈(22)의 동작과 연동되고 상기 배출관(25)의 에어 배출쪽에 설치되어 필터를 거쳐 에어가 실외로 배출토록 하기 위한 필터팬 모듈(26)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23)에 인접하여 소정의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센서(24)와, 상기 센서(24)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시트팬 모듈(22)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시트 콘트롤 모듈(2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센서(24)는 암모니아를 감지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악취 제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시트(10, 10a, 10b, 10c) 각각의 표면 중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착석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된 흡입구(23, 23a, 23b, 23c)와;
    상기 흡입구(23, 23a, 23b, 23c) 각각으로부터 에어를 각각 강제 흡입하기 위한 시트팬 모듈(22, 22a, 22b, 22c)과;
    상기 흡입구(23, 23a, 23b, 23c) 각각에 인접하여 소정의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센서(24, 24a, 24b, 24c)와;
    상기 시트팬 모듈(22, 22a, 22b, 22c)에 의해 강제 흡입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하여 흡입구(23, 23a, 23b, 23c)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출관(25)과;
    상기 센서(24, 24a, 24b, 24c)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시트(10, 10a, 10b, 10c)의 시트팬 모듈(22, 22a, 22b, 22c)의 동작을 각각 자동 제어하기 위한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과;
    상기 배출관(25)의 에어 배출쪽에 설치되어 필터를 거쳐 에어가 실외로 배출토록 하기 위한 필터팬 모듈(26)과;
    상기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필터팬 모듈(26)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필터 콘트롤 모듈(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악취 제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팬 모듈(22, 22a, 22b, 22c)의 동작을 각각 수동 제어하기 위한 시트 사용자 스위치(21, 21a, 21b, 21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악취 제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콘트롤 모듈(20, 20a, 20b, 20c)과 상기 필터 콘트롤 모듈(27)은 각각 팬 가동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또한 각각 진단포트(28)에 연결되고, 이 진단포트(28)에 접속된 진단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저장된 팬 가동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악취 제거 장치.
  6. 삭제
KR1020070124553A 2007-09-25 2007-12-03 실내 악취 제거 장치 KR10096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5109A JP2009101982A (ja) 2007-09-25 2008-02-15 自動車内の悪臭空気換気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03,699 2007-09-25
US11/903,699 US8083575B2 (en) 2007-09-25 2007-09-25 Car interior odor air ventilation system
CA2604264A CA2604264C (en) 2007-09-26 2007-09-26 Car interior odor air ventilation system
CA2,604,264 2007-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804A KR20090031804A (ko) 2009-03-30
KR100968504B1 true KR100968504B1 (ko) 2010-07-07

Family

ID=4069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553A KR100968504B1 (ko) 2007-09-25 2007-12-03 실내 악취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101982A (ko)
KR (1) KR1009685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3286B2 (en) 2017-03-02 2022-10-18 Hound Tech Llc Filtration assembly for reducing malaodors in air and aerosolized waste from toilets
KR20230001059A (ko) 2021-06-25 2023-01-04 정병식 실내용 탈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7545B2 (ja) * 2016-03-08 2019-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乗り物用臭い判別システム
CN107788738A (zh) * 2017-10-13 2018-03-13 南昌大学 空气自净化座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0814A (ja) * 1990-11-22 1992-07-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空気清浄装置
JP2005348997A (ja) * 2004-06-11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4942C2 (sv) * 1995-09-14 1997-06-02 Walinov Ab Anordning för ventilering av en fordonsstol
JPH09206173A (ja) * 1996-01-31 1997-08-12 Tetsuji Kazekami 生理現象のガス舜時吸引消臭座席
JP2000079026A (ja) * 1998-09-07 2000-03-21 Nec Yamagata Ltd クリーンロッカ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0814A (ja) * 1990-11-22 1992-07-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空気清浄装置
JP2005348997A (ja) * 2004-06-11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3286B2 (en) 2017-03-02 2022-10-18 Hound Tech Llc Filtration assembly for reducing malaodors in air and aerosolized waste from toilets
KR20230001059A (ko) 2021-06-25 2023-01-04 정병식 실내용 탈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804A (ko) 2009-03-30
JP2009101982A (ja)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3575B2 (en) Car interior odor air ventilation system
KR100968504B1 (ko) 실내 악취 제거 장치
US20110319004A1 (en) Malodor air exhaust system
JPH1078254A (ja) 換気空調システム
JP2005348997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CA2604264C (en) Car interior odor air ventilation system
JP2010254001A (ja) 空気清浄機
US20060037127A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toilet
KR102190828B1 (ko)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JP2005320715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KR200441026Y1 (ko) 차량용 환풍장치
CN219467497U (zh) 空气净化系统
CN109866662A (zh) 一种汽车座椅的排异味装置
CN105507397A (zh) 一种智能座便器
CN105421554A (zh) 一种抽风便器
CN104859405A (zh) 一种智能型车载空气净化器
KR101293090B1 (ko) 악취 공기 배기 시스템
US20130160197A1 (en) Air ventilation device
JP3818126B2 (ja) 空気清浄器
CA2709045A1 (en) Malodour air exhaust system
JPH057717A (ja) 空気清浄化装置
JP2002089908A (ja) トイレ換気装置
JPH1085532A (ja) 換気送風機
JPH0314721A (ja) 空気清浄化装置
JP2001336796A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