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898B1 - 무소음 가압 송풍기 - Google Patents

무소음 가압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898B1
KR100966898B1 KR1020090070082A KR20090070082A KR100966898B1 KR 100966898 B1 KR100966898 B1 KR 100966898B1 KR 1020090070082 A KR1020090070082 A KR 1020090070082A KR 20090070082 A KR20090070082 A KR 20090070082A KR 100966898 B1 KR100966898 B1 KR 10096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ressure
control
main body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285A (ko
Inventor
황금택
Original Assignee
황금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금택 filed Critical 황금택
Publication of KR2010001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2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counter-engagement type, i.e. the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at the points of engagement being in opposite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10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250/101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D2260/402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friction drives
    • F05D2260/402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friction drives through belt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D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D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소음 가압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송풍기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장착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는 가압구와;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구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흡입된 유체가 상기 흡입구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구; 및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회전력을 상기 가압구와 상기 제어구에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2개의 원통이 측면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형상이고. 상기 가압구는 상기 연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가압회전축과 상기 가압회전축에 장착된 나선형의 가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구는 상기 연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어회전축과 상기 제어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판과 선접촉되어 회전하는 제어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고속이나 저속 회전에서도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압구와 제어구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므로 덕트 등에 의하여 저항이 발생하는 장소에도 확실하게 공기를 이송할 수 있으며,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소음, 가압, 송풍, 가압, 선접촉, 유체

Description

무소음 가압 송풍기{A MUTE BLOWER WORKING WITH HIGH AIR-PRESSER}
본 발명은 무소음 가압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구와 상기 가압구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제어구에 의하여 공기를 이송하므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닥트에 의하여 저항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에도 장착할 수 있는 무소음 가압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기체 특히 공기를 이용한 바람의 흐름 세기를 크게 하는 것으로, 크게 터보형 송풍기와 용적형 송풍기로 나누어진다. 이중 터보형 송풍기는 회전차가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날개의 양력에 의하여 에너지를 얻게 되는 축류송풍기와 원심력에 의해 에너지를 얻는 원심 송풍기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송풍기 중 원심다익송풍기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인 본체의 일측면 중앙에 흡입구를 구비하고, 원주면 일측으로 유출구를 형성하며, 원통 형상의 본체 내측 원통을 중심으로 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블래이드 그리고 스크롤 및 임펠러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여러 개 구비된 작은 날개인 블래이드가 일측으로 기울어져 회전되어 다수 블래이드에 형성된 원주형의 임펠러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송풍기는 환기가 필요한 공장, 실내 작업장, 지하실, 식당, 주방 등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송풍기는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공기의 마찰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덕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덕트의 저항에 의하여 공회전이 발생하여 전력이 손실될 뿐만 아니라, 와류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며 환기가 잘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덕트 등에 의하여 저항이 발생하는 장소에도 확실하게 공기를 이송할 수 있는 무소음 가압 송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무소음 가압 송풍기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장착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는 가압구와;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구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흡입된 유체가 상기 흡입구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구; 및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회전력을 상기 가압구와 상기 제어구에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2개의 원통이 측면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형상이고. 상기 가압구는 상기 연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가압회전축과 상기 가압회전축에 장착된 나선형의 가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구는 상기 연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어회전축과 상기 제어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판과 선접촉되어 회전하는 제어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압구와 상기 제어구가 교번되면서 장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연동수단은 기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장착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는 가압구와;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구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흡입된 유체가 상기 흡입구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구; 및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회전력을 상기 가압구와 상기 제어구에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통과 측면에서 연통하는 격실로 이루어지는 형상이고. 상기 가압구는 상기 연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가압회전축과 상기 가압회전축에 장착된 2개의 나선형의 날개로 이루어져서 상기 원통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구는 상기 연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고, 상기 격실에 장착되는 제어회전축과 원판 형상이고 반지름 방향으로 일정부분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날개가 상기 절개홈을 관통하면서 회전하는 제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하나의 상기 격실과 상기 격실의 양 측면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2개의 원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격실에는 상기 제어구가 장착되고, 2개의 상기 원통에는 상기 가압구가 각각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수단은 타임벨트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저속으로 회전하므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압구와 제어구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므로 덕트 등에 의하여 저항이 발생하는 장소에도 확실하게 공기를 이송할 수 있으며, 또한 출입문에 의하여 공기의 유입이 적은 장소에서도 환기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소음 가압 송풍기는 정량으로 계속하여 유체를 이송할 수 있게 되므로, 여러 가지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가압 송풍기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송풍기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송풍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가압 송풍기는 본체(10), 가압구(20) 및 제어구(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원통(13)이 측면으로 연통하는 형상이고,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연통의 측면에는 흡입구(11)와 배기구(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외부에는 케이스(5)가 장착되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중앙에 위치한 원통(13)에는 상기 제어구(30)가 장착되고, 측면에 위치한 2개의 원통(13)에는 상기 가압구(20)가 각각 장착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0)에 의하여 구동하는 회전력은 기어(50)를 통하여 상기 가압구(20)와 제어구(30)를 각각 구동하는데, 상기 기어(50)에 의하여 상기 제어구(30)와 상기 가압구(20)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속도는 서로 동일한 회전속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흡입구(11)와 상기 배기구(12)는 상기 가압구(20)가 안착되는 원통(13)에 각각 형성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1)에는 톱니 형상으르로 이루어져서, 공기가 흡입하는 초기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흡입구(11)와 한 쌍의 배기구(12)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한 상기 흡입구(11)와 상기 배기구(12)는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반대 방향에 구비되는 상기 흡입구(11)와 상기 배기구(12)는 연통구(7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이와 같은 연통구(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케이스(5)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연통구(70)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11)와 상기 배기구(12)가 서로 연결이 되므로 일측의 공기를 타측으로 송풍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구(20)는 기어(50)에 의하여 회전하는 가압회전축(21)과 상기 가압회전축(21)에 장착된 가압판(23)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판(23)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단면이 반원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가압회전축(21)의 양 측면에 한 쌍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어구(30)는 기어(50)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어회전축(31)과 상기 제어회전축(31)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판(23)과 밀착되어 회전하는 제어체(33)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체(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을 이루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서 일정한 체적을 이루에 된다.
상기 가압구(20)와 상기 제어구(30)는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는데, 상기 가압판(23)과 상기 제어체(33)는 길이방향으로 선접촉을 하면서 서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체(33)와 상기 가압판(23)은 항상 접촉되어서 회전하므로 상기 가압판(23)과 상기 제어체(33) 사이에는 공간이 없게 되어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동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가압구(20)와 제어구(30)는 서로 선접촉하면서 회전하므로, 상기 가압구(20)와 상기 제어구(30) 사이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없도록 차단된다.
따라서 회전하는 상기 가압구(20)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11)에서는 공기가 흡입되고, 이와 같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가압판(23)을 따라서 이동하다가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배기구(12)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흡입구(11)와 상기 배기구(12)는 서로 반대에 위치하게 되므로, 한 쌍의 상기 흡입구(11)와 한 쌍의 상기 배기구(12)는 각각 연통구(70)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게 되므로, 일츨에서 공기를 흡수하여 타측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 참조)
도 7과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가압 송풍기의 다른 실시예에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일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제어구(30)와 2개의 가압구(20)가 장착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는 하나의 가압구(20)와 하나의 제어구(30)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와 작동은 일실시에와 동일 유사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어구(30)와 상기 가압구(20)는 2개 이상으로 연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도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도 9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무소음 가압 송풍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도 본체(10), 가압구(20) 및 제어구(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원통(13)이 이격되게 안착되고, 상기 원통(13)과 원통(13) 사이에는 격실(15)이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외부는 케이스(5)에 의하여 커버되어 도 9와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가압구(20)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4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가압회전축(21)과 상기 가압회전축(21)에 장착된 2개의 나선형의 날개(25)로 이루어져서 상기 원통(13)에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상기 제어구(30)는 모터(40)에 의하여 회전하고, 상기 격실(15)에 장착되는 제어회전축(31)과 원판 형상이고 반지름 방향으로 일정부분 절개된 절개홈(37)이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구(20)는 원통(13)에 각각 안착되고, 상기 제어구(30)는 상기 격실(15)에 장착되는데. 도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전축(31)은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기가압회전축(21)은 수직으로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판(35)에 형성된 한 쌍의 절개홈(37)에는 상기 가압구(20)의 날개(25)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날개(25)는 상기 회전되면서 이동하는 절개홈(37)에 안착되기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진 나선형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무소음 가압 송풍기의 작동은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구(30)와 상기 가압구(20)는 동일한 회전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는 한 쌍의 날개(2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판(35)에 형성된 절개홈(37)을 관통하게 된다.
원판 형상의 상기 제어판(35)은 공기가 이동하는 것은 방지하여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홈(37)을 따라서 상기 가압구(20)의 상기 날개(25)는 관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송풍하게 된다.
도 16과 도 1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가압 송풍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구(20)가 2개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제어구(30)와 하나의 가압구(20)로 구성되고 기어(50)나 타임벨트(60)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동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소음 가압 송풍기는 공기를 송풍하는 장치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물이나 화학약품과 같은 유체를 이송하는 펌프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무소음 가압 송풍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가압 송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풍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송풍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송풍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가압구와 제어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송풍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가압 송풍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무소음 가압 송풍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가압 송풍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송풍기의 구성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송풍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송풍기에 장착된 가압구의 사시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송풍기에 장착된 제어구의 사시도.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송풍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송풍기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가압 송풍기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무소음 가압 송풍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압 송풍기, 10: 본체,
11: 흡입구, 12: 배기구,
13: 원통, 15: 격실,
20: 가압구, 21: 가압회전축,
23: 가압판, 25: 날개,
30: 제어구, 31: 제어회전축,
33: 제어체, 35: 제어판,
37: 절개홈, 70: 연통구

Claims (8)

  1. 삭제
  2. 중공부가 형성되고,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1)와 흡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기구(12)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중공부에 장착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11)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는 가압구(20)와; 상기 본체(10)의 중공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구(20)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흡입된 유체가 상기 흡입구(11)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구(30); 및 모터(40)에 의하여 구동하는 회전력을 상기 가압구(20)와 상기 제어구(30)에 연결하여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는 2개의 원통(13)이 측면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형상이고. 상기 가압구(20)는 상기 연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가압회전축(21)과 상기 가압회전축(21)에 장착된 나선형의 가압판(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구(30)는 상기 연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어회전축(31)과 상기 제어회전축(31)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판(23)과 선접촉되어 회전하는 제어체(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가압 송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가압구(20)와 상기 제어구(30)가 교번되면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가압 송풍기.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기어(5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가압 송풍기.
  6. 중공부가 형성되고,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1)와 흡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기구(12)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중공부에 장착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11)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는 가압구(20)와; 상기 본체(10)의 중공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구(20)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흡입된 유체가 상기 흡입구(11)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구(30); 및 모터(40)에 의하여 구동하는 회전력을 상기 가압구(20)와 상기 제어구(30)에 연결하여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통(13)과 측면에서 연통하는 격실(15)로 이루어지는 형상이고. 상기 가압구(20)는 상기 연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가압회전축(21)과 상기 가압회전축(21)에 장착된 2개의 나선형의 날개(25)로 이루어져서 상기 원통(13)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구(30)는 상기 연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고, 상기 격실(15)에 장착되는 제어회전축(31)과 원판 형상이고 반지름 방향으로 일정부분 절개된 절개홈(37)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회전축(31)에 장착되어 상기 날개(25)가 상기 절개홈(37)을 관통하면서 회전하는 제어판(3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가압 송풍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하나의 상기 격실(15)과 상기 격실(15)의 양 측면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2개의 원통(13)으로 구성되고, 상기 격실(15)에는 상기 제어구(30)가 장착되고, 2개의 상기 원통(13)에는 상기 가압구(20)가 각각 안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가압 송풍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기어(50)나 타임벨트(6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가압 송풍기.
KR1020090070082A 2008-08-04 2009-07-30 무소음 가압 송풍기 KR100966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6119 2008-08-04
KR1020080076119 2008-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85A KR20100015285A (ko) 2010-02-12
KR100966898B1 true KR100966898B1 (ko) 2010-06-30

Family

ID=4166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082A KR100966898B1 (ko) 2008-08-04 2009-07-30 무소음 가압 송풍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42706A1 (ko)
EP (1) EP2322806A4 (ko)
JP (1) JP5272077B2 (ko)
KR (1) KR100966898B1 (ko)
CN (1) CN102144099A (ko)
WO (1) WO201001668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5261B (zh) * 2017-10-06 2023-09-22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无人飞行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9289A (en) * 1983-11-07 1991-08-13 Wankel Gmbh Rotary piston blower having piston lobe portions shaped to avoid compression pockets
JPH05172094A (ja) * 1991-05-18 1993-07-09 Usui Internatl Ind Co Ltd モーター・ファン装置
US20050039289A1 (en) * 2003-08-20 2005-02-24 Buxton Richard Street sweeper guide ba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342A (en) * 1913-08-26 Edgar F Prall Gas-engine.
DE617955C (de) * 1935-08-29 Fried Krupp Germaniawerft Akt Drehkolbenverdichter
US1193808A (en) * 1916-08-08 Canada
US960994A (en) * 1909-12-20 1910-06-07 Newell H Motsinger Rotary engine.
DE567478C (de) * 1931-04-25 1933-01-04 Fried Krupp Germaniawerft Akt Drehkolbenverdichter
US2198786A (en) * 1935-02-07 1940-04-30 Imo Ind Stockholm Ab Power transmission to or from a fluid
US2232702A (en) * 1939-03-21 1941-02-25 Holzknecht Felix Rotary steam engine
US2437658A (en) * 1944-01-21 1948-03-09 Alfred O Williams Interengaging impeller type blower or pump
US2471813A (en) * 1944-09-28 1949-05-31 Chrysler Corp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3269328A (en) * 1964-09-28 1966-08-30 Laval Turbine Screw pumps or motors
US3438569A (en) * 1967-02-28 1969-04-15 Cornell Aeronautical Labor Inc Rotary wave compressors and the like
US3519375A (en) * 1968-06-18 1970-07-07 Laval Turbine Screw pumps
US3726616A (en) * 1971-01-11 1973-04-10 Univ Northwestern Fluid actuated energy translating device
US4152100A (en) * 1975-06-24 1979-05-01 Compair Industrial Ltd. Rotary piston compressor having pistons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SE407839B (sv) * 1977-09-15 1979-04-23 Imo Industri Ab Skruvmaskin
JPS55139991A (en) * 1979-04-19 1980-11-01 Goro Kihara Rotary piston compressor with stroke-change mechanism
DE2951591A1 (de) * 1979-12-21 1981-07-02 Arthur Pfeiffer Vakuumtechnik Wetzlar Gmbh, 6334 Asslar Mehrstufige waelzkolbenpumpe
SE439042B (sv) * 1983-07-20 1985-05-28 Imo Ab Skruvpump med regleranordning
US5080568A (en) * 1990-09-20 1992-01-14 Bernard Zimmern Positive displacement rotary machine
JP3965756B2 (ja) * 1998-02-03 2007-08-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遠心ポンプ
JP2001050197A (ja) * 1999-08-03 2001-02-23 Shizuo Hikita 食品調製機用の送風機
JP3629702B2 (ja) * 2001-12-21 2005-03-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機
JP2004003496A (ja) * 2003-05-07 2004-01-08 Hisao Kitayama 二対三型二軸式回転ポ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9289A (en) * 1983-11-07 1991-08-13 Wankel Gmbh Rotary piston blower having piston lobe portions shaped to avoid compression pockets
JPH05172094A (ja) * 1991-05-18 1993-07-09 Usui Internatl Ind Co Ltd モーター・ファン装置
US20050039289A1 (en) * 2003-08-20 2005-02-24 Buxton Richard Street sweeper guide 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6688A3 (ko) 2010-04-22
US20110142706A1 (en) 2011-06-16
JP5272077B2 (ja) 2013-08-28
EP2322806A2 (en) 2011-05-18
KR20100015285A (ko) 2010-02-12
EP2322806A4 (en) 2012-02-29
JP2011530042A (ja) 2011-12-15
WO2010016688A2 (ko) 2010-02-11
CN102144099A (zh)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1278A (ko) 원심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ES2846857T3 (es) Máquina de canal lateral (compresor, bomba de vacío o soplador) con un conducto de descarga en el separador
KR20150120168A (ko) 원심형 혼류송풍기
KR100966898B1 (ko) 무소음 가압 송풍기
KR101877306B1 (ko)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를 포함하는 송풍기
KR20160015905A (ko) 다단 가변형 터보 블로워
KR20110035411A (ko) 송풍장치
KR200437914Y1 (ko) 배수펌프의 임펠러
KR102515700B1 (ko) 송풍기
KR20060007637A (ko) 진공청소기용 팬-모터의 가이드 베인 구조
CN108474385B (zh) 旋风换气装置
KR200383480Y1 (ko) 시로코 팬 조립체
KR100700541B1 (ko) 진공청소기용 팬-모터의 가이드 베인
KR100420516B1 (ko) 송풍장치
JPS63183204A (ja) 軸流回転装置の失速防止構造
KR100439840B1 (ko) 엇갈린 날개를 갖는 시로코 팬
KR200437913Y1 (ko) 배수펌프의 임펠러
KR200437912Y1 (ko) 배수펌프의 임펠러
CN100455818C (zh) 螺旋形送风扇装置
KR100700542B1 (ko) 진공청소기용 팬-모터의 가이드 베인
KR101195181B1 (ko) 축류 압축기
JP2002295397A (ja) 追加ガス吸入口を有するガス摩擦ポンプ
KR100437027B1 (ko) 터보팬
KR200184090Y1 (ko) 로터리 펌프
KR101619134B1 (ko) 나선-디스크형 유체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