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700B1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700B1
KR102515700B1 KR1020180016023A KR20180016023A KR102515700B1 KR 102515700 B1 KR102515700 B1 KR 102515700B1 KR 1020180016023 A KR1020180016023 A KR 1020180016023A KR 20180016023 A KR20180016023 A KR 20180016023A KR 102515700 B1 KR102515700 B1 KR 102515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blades
impelle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497A (ko
Inventor
권병하
박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8001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7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펠러에 역류성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깃통과(BPF: Blade Pass Frequency)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임과 동시에 송풍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어 회전 구동 시 일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토출하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되어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슈라우드를 구비한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내측면이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 사이에 공기 유동통로를 형성하고, 공기 배출통로의 일측에는 컷오프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 유동통로에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역류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역류성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풍기{AIR BLOWER}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펠러에 역류성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깃통과(BPF: Blade Pass Frequency)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송풍기는 임펠러의 회전운동에 의한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체의 압력과 속도를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보일러 및 발전설비의 연소공기 공급용, 일반 건축물의 급배기용 및 공기조화용에서부터 산업체의 제조 공정용, 광산지하철 터널 등의 급배기용까지 사용되는 광범위한 유체기계이다.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3가지가 있는데 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 내부 공기 유동에 의한 기류 소음 및 송풍기 날개 깃을 통과하는 깃통과 주파수 소음으로 구분된다. 공기유동에 의한 소음은 백색잡음 형태로 발생하기 때문에 소음도가 높아도 짜증을 유발하지 않으나, 깃통과 주파수 소음은 단일 주파수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음으로 기본소음 대비 20dB 이상이 되면 짜증을 유발하는 소음을 발생한다. 깃통과 주파수 소음은 송풍기의 저 RPM대역부터 중 RPM 대역까지 주로 발생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뚜렷한 청음되며, 고 RPM에서는 기류소음이 상대적으로 우세하여 소음이 잘 들리지 않게 된다.
최근에는 소음공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감에 따라, 공기를 전송하는 회전기계인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송풍기는 임펠러(100)와, 상기 임펠러(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상기 임펠러(100)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블레이드(110)와, 상기 블레이드(110)에 결합되어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슈라우드(120a)와 하부 슈라우드(120b)를 포함하고, 상부 슈라우드(120a)의 중앙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통로(121)가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110)의 회전 시, 상부 슈라우드(120a)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레이드(110)의 내측단 사이에 마련된 흡입부(101)를 통해 흡입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한 후에 블레이드(110)의 외측단 사이에 마련된 토출부(102)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통로(201)가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110)의 외측면과 하우징(200)의 내측면(202) 사이에는 공기 유동통로(21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통로(201)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컷오프(2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송풍기 구조에 의하면, 상기 컷오프(220)가 형성된 부근의 공기 유동통로(210)의 간격이 협소하여, 임펠러(100)의 회전 시 공기는 도 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임펠러(1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류하면서 상기 공기 유동통로(210)의 협소한 틈새를 통과하여 슈라우드(120)의 상측으로 말려 올라가게 되며, 이러한 공기 유동 시 심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송풍기의 소음 저감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5616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회전주파수에 블레이드 개수를 곱한 수치로 계산되는 송풍기의 깃통과(BPF: Blade Pass Frequency) 주파수 소음은 블레이드가 근접한 고정체(Cut-off wall)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압력 변동 및 맥동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회전주파수가 제품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할 경우 공진에 의한 소음을 야기하거나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송풍기에서 깃통과 주파수 소음이 발생할 때의 소음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임펠러의 회전수가 3800rpm이고, 블레이드의 개수가 13개인 경우, 특정 주파수인 823.3Hz 간격으로 에너지가 집중되어 깃통과(BPF)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 깃통과(BPF) 소음 저감 기술은, 다수 개의 블레이드 간의 간격(Pitch)을 불균등하게 구성하거나, 다수 개의 블레이드 끝단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Cut-off wall) 부근에서 발생하는 압력 변동이나 맥동을 줄여 소음의 최대치(Peak)를 줄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블레이드 간의 간격을 불균등하게 구성할 경우에는 블레이드 사이로 이송되는 공기의 유량이 균일하지 않게 되어 송풍 성능이 저하되고, 블레이드 끝단 형상을 상이하게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체(Cut-off wall)와의 물리적인 간격이 불균등해짐으로써 송풍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송풍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0967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0305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5209호에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임펠러에 역류성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깃통과(BPF: Blade Pass Frequency)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임과 동시에 송풍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풍기는,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어 회전 구동 시 일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토출하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되어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슈라우드를 구비한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내측면이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 사이에 공기 유동통로를 형성하고, 공기 배출통로의 일측에는 컷오프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 유동통로에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역류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역류성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성 공기통로는 상기 슈라우드의 외측단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여유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공기가 흡입되는 측에 위치하는 슈라우드의 외측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슈라우드의 외측단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이웃하게 위치하는 블레이드 사이 영역 중에서 회전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블레이드 측으로 치우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의 외측단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의 외측면은, 상기 컷오프와 대면하는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컷오프와의 이격 간격이 일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통로의 면적은, 상기 컷오프 측으로부터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배출통로 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역류성 공기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슈라우드의 상측 공간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슈라우드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으로 재유입된 후 상기 공기 유동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에 의하면, 블레이드 외측면과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통로에 역류성 공기통로를 추가로 형성하여 임펠러의 회전 시 역류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여유있게 확보함으로써, 컷오프 부근에서의 깃통과(BPF: Blade Pass Frequency)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블레이드의 외측단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각 블레이드 사이로 이송되는 공기의 유량이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하고, 다수 개의 블레이드의 외측면과 컷오프 간의 이격 간격이 일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블레이드 간의 피치를 불균등하게 구성하거나 블레이드 끝단의 형상 변형 시 초래되었던 송풍 성능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외측면은 하우징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공기 유동통로가 넓게 확보되어 공기 유동시 소음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송풍기에 구비되는 임펠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송풍기에서 컷오프 부위에서의 공기 역류에 의한 소음 발생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송풍기에서 깃통과 주파수 소음이 발생할 때의 소음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의 상부 슈라우드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역류성 공기통로가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임펠러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의 소음 저감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임펠러와 하부 하우징의 (a) 사시도 및 (b)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송풍기와 종래기술의 송풍기의 임펠러 회전수에 따른 음압 레벨의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송풍기(1)는, 임펠러(10)와, 상기 임펠러(10)가 수용되는 하우징(20,30)과, 상기 임펠러(10)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40), 및 상기 하우징(20,30)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50)를 포함한다.
상기 임펠러(10)는, 공기가 흡입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다수 개의 블레이드(11)와, 상기 블레이드(11)의 상면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슈라우드(12), 상기 블레이드(11)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 슈라우드(13), 및 상기 하부 슈라우드(13)의 바닥면 중앙에 구비되어 모터(40)의 회전축(41)이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임펠러(10)의 회전 시, 상부 슈라우드(12)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레이드(11)의 내측단 사이에 마련된 흡입부(11a)를 통해 흡입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한 후에 블레이드(11)의 외측단 사이에 마련된 토출부(11b)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하우징(20,30)은, 상기 임펠러(10)를 수용하며,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임펠러(10)의 상부를 덮는 상부 하우징(20)과, 임펠러(10)의 하부를 덮으며 상부 하우징(20)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부 중앙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통로(21)가 형성되고, 상부 하우징(20)의 일측에는 임펠러(1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통로(2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임펠러 수용부(31)가 마련되고, 하부 하우징(30)의 일측에는 임펠러(1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통로(32)가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30)의 바닥 중앙에는 모터(40)의 회전축(41)이 관통하는 관통구(33)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30)의 내측면에는 배출통로(32)의 일측으로 컷오프(34)가 돌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상부 하우징(20)에도 하부 하우징(30)의 임펠러 수용부(31)와 컷오프(34)에 각각 대응하는 구성이 포함된다.
상기 모터(40)의 회전축(41)은 하부 하우징(30)의 관통구(33)를 관통하여 임펠러(10)의 회전축 결합부(14)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40)의 몸체는 하부 하우징(30)의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배출구(50)는 상부 하우징(20)의 배출통로(22)의 일측부와 하부 하우징(30)의 배출통로(32)의 일측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기 배출통로(22,32)에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개구부(51)가 형성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11)의 외측면과 하우징(20,30)의 내측면(30a) 사이에는 공기 유동통로(35)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동통로(35)에는 임펠러(10)의 회전 시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역류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역류성 공기통로(16)가 형성된다.
도 6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역류성 공기통로(16)는 공기가 흡입되는 측에 위치하는 상부 슈라우드(12)의 외측단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15)에 의해 형성되는 여유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도 6에서 점선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절개부(15)가 형성되기 전의 상부 슈라우드(12)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절개부(15)는 상부 슈라우드(12)의 외측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11)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슈라우드(12)의 외측단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개부(15)는 이웃하게 위치하는 블레이드(11) 사이 영역 중에서 회전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블레이드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7의 (b)에서 임펠러(10)가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블레이드(11)에 의해 타격되는 공기는 회전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블레이드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 절개부(15)에 의해 마련되는 역류성 공기통로(16)를 통과하여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역행하여 유동하기에 앞서 회전방향 측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역류성 공기통로(16)를 통과하여 상부 슈라우드(12)의 상측 공간으로 유동한 공기는 다시 상부 슈라우드(12)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다수 개의 블레이드(11) 사이의 공간으로 재유입된 후 공기 유동통로(35)를 경유하여 배출통로(22,32)와 배출구(5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슈라우드(12)의 외측단의 일부를 절개하여 역류성 공기통로(16)를 추가로 형성하여 임펠러(10)의 회전 시 역류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여유있게 확보함으로써, 특히 유로가 좁게 형성되는 컷오프(34) 부근에서의 깃통과(BPF: Blade Pass Frequency)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레이드(11)의 외측면은 하우징(20,30)의 내측면(30a)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1c)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블레이드(11)의 외측면과 하우징(20,30)의 내측면(30a) 사이에 마련되는 공기 유동통로(35)가 경사지게 배치된 공간에 의해 넓게 확보될 수 있어, 도 7의 (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유동하게 되어 공기 유동시 소음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11)의 외측단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각 블레이드(11) 사이로 이송되는 공기의 유량이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또한, 다수 개의 블레이드(11)의 외측면과 컷오프(34) 간의 이격 간격이 일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종래기술에서 블레이드 간의 피치를 불균등하게 구성하거나 블레이드 끝단의 형상 변형 시 초래되었던 송풍 성능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0,30)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동통로(35)의 면적은 상기 컷오프(34) 측으로부터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배출통로(32) 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한다. 또한, 상기 배출통로(32)는 그 기준이 되는 컷오프(34)로부터 그 유로가 점차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임펠러(10)가 회전하게 되면, 유입통로(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임펠러(10)와 하우징의 내측면(30a) 사이에 마련되며 공기 유동방향을 따라 유로가 점차 확대되는 상기 공기 유동통로(35)를 따라 유동하여 배출통로(32) 부근에서 공기의 유동속도가 감소하며 공기압이 동압에서 정압으로 회복하면서 배출구(50)를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토출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송풍기와 종래기술의 송풍기의 임펠러 회전수에 따른 음압 레벨의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공기 유동통로(35)에 역류성 공기통로(16)를 형성할 경우, 종래 일반적인 송풍기와 비교하여,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이 대폭 감소되어 소음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풍기는, 보일러 또는 온수기에 구비되는 연소기기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향 연소식과 하향 연소식 연소기기에 수직, 수평 또는 기타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킴으로써, 보일러 또는 온수기를 조용한 상태로 가동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보일러 또는 온수기 이외에도 공기를 전송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송풍기 10 : 임펠러
11 : 블레이드 11a : 흡입부
11b : 토출부 11c : 경사면
12 : 상부 슈라우드 13 : 하부 슈라우드
14 : 회전축 결합부 15 : 절개부
16 : 역류성 공기통로 20 : 상부 하우징
21 : 유입통로 22 : 배출통로
30 : 하부 하우징 30a : 하우징의 내측면
31 : 임펠러 수용부 32 : 배출통로
33 : 관통구 34 : 컷오프(Cut-Off)
35 : 공기 유동통로 40 : 모터
41 : 회전축 50 : 배출구
51 : 개구부 100 : 임펠러
101 : 흡입부 102 : 토출부
111 : 블레이드의 외측면 110 : 블레이드
120a : 상부 슈라우드 120b : 하부 슈라우드
121 : 유입통로 200 : 하우징
201 : 배출통로 202 : 하우징의 내측면
210 : 공기 유동통로 220 : 컷오프

Claims (10)

  1.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어 회전 구동 시 일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토출하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되어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슈라우드를 구비한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내측면이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 사이에 공기 유동통로를 형성하고, 공기 배출통로의 일측에는 컷오프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 유동통로에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역류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역류성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역류성 공기통로는 상기 슈라우드의 외측단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여유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부는, 공기가 흡입되는 측에 위치하는 슈라우드의 외측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슈라우드의 외측단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며, 이웃하게 위치하는 블레이드 사이 영역 중에서 회전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블레이드 측으로 치우진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의 외측단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의 외측면은, 상기 컷오프와 대면하는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컷오프와의 이격 간격이 일정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통로의 면적은, 상기 컷오프 측으로부터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배출통로 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성 공기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슈라우드의 상측 공간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슈라우드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으로 재유입된 후 상기 공기 유동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KR1020180016023A 2018-02-09 2018-02-09 송풍기 KR10251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023A KR102515700B1 (ko) 2018-02-09 2018-02-09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023A KR102515700B1 (ko) 2018-02-09 2018-02-09 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497A KR20190096497A (ko) 2019-08-20
KR102515700B1 true KR102515700B1 (ko) 2023-03-30

Family

ID=6780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023A KR102515700B1 (ko) 2018-02-09 2018-02-09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5128B (zh) * 2020-04-10 2023-08-01 星光化工机株式会社 磁悬浮式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0587A (ja) * 2007-06-29 2009-02-12 Denso Corp 遠心式多翼ファン
JP2015096716A (ja) * 2013-11-15 2015-05-21 リンナイ株式会社 遠心式ファン
KR101645209B1 (ko) * 2014-10-14 2016-08-0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뒤쪽굽움 에어포일 흡입면 형상의 비틀림깃 원심임펠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0587A (ja) * 2007-06-29 2009-02-12 Denso Corp 遠心式多翼ファン
JP2015096716A (ja) * 2013-11-15 2015-05-21 リンナイ株式会社 遠心式ファン
KR101645209B1 (ko) * 2014-10-14 2016-08-0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뒤쪽굽움 에어포일 흡입면 형상의 비틀림깃 원심임펠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497A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5654B2 (ja) 遠心式の多翼送風機
JP2017082759A (ja) ファン、ディフューザ、及びこれらを有する真空掃除機
US20180258959A1 (en) Vaned Diffuser and Blower, Fluid Machine, or Electric Blower Provided with Same
RU2636909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вентилятор и кондиционер с таким вентилятором
KR100748966B1 (ko) 송풍장치
KR20190096496A (ko) 송풍기
KR102515700B1 (ko) 송풍기
KR100725813B1 (ko) 원심팬
KR100741787B1 (ko) 흡입 강화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용 팬-모터
JP2005282578A (ja) 渦流ファン
KR100635212B1 (ko) 원심송풍기용 임펠러
KR20110026064A (ko) 차량 공조기용 블로워
KR200467395Y1 (ko) 송풍장치
KR100912526B1 (ko) 팬과 쉬라우드의 조립체
JPS63183204A (ja) 軸流回転装置の失速防止構造
KR20060007637A (ko) 진공청소기용 팬-모터의 가이드 베인 구조
KR100471429B1 (ko) 진공청소기용 원심송풍기
KR20090115259A (ko) 송풍팬
KR100437018B1 (ko) 진공 청소기용 원심 송풍기
KR20030020502A (ko) 원심 송풍기
KR100457551B1 (ko) 진공청소기용 원심송풍기
KR200273142Y1 (ko) 송풍기
KR1019503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KR19990056525A (ko) 송풍기 유니트
KR100741789B1 (ko) 배기 후드 및 그의 원심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