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616B1 -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616B1
KR100963616B1 KR1020080028819A KR20080028819A KR100963616B1 KR 100963616 B1 KR100963616 B1 KR 100963616B1 KR 1020080028819 A KR1020080028819 A KR 1020080028819A KR 20080028819 A KR20080028819 A KR 20080028819A KR 100963616 B1 KR100963616 B1 KR 100963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left eye
right eye
eye imag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065A (ko
Inventor
요시유키 타무라
케이 푸카이시
유이치 카쿠바리
히데키 오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8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위상차판 및 화상 표시부의 열에 의한 팽창·수축에 기인하는 크로스 토크의 발생, 그리고 위상차판 및 화상 표시부의 표면의 요철에 기인하는 색 얼룩 등을 억제하는 동시에 위상차판의 화상 표시부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한다.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의 면과 위상차판(180)의 입사측의 면을 접착층(300)에 의해 접착하는 동시에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 좌우의 두 변을 유리 전이 온도가 접착층(300)보다 높은 접착 영역(400)에 의해 접착한다.
화상 표시부, 위상차판, 접착층, 접착 영역, 입체 화상 표시 장치

Description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tereoscopic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위상차판의 주변부를 화상 표시부에 접착한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와 위상차판을 조합시킨 입체 화상 표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1998-253824호 공보 참조). 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에서의 관찰자측 면에 위상차판을 접착제를 이용해서 점착하고 있다.
여기서, 액정 디스플레이 및 위상차판은 제조 공정에서 가열·냉각됨으로써 팽창·수축해서 휘어진다. 또한, 위상차판의 표면에 요철이 존재할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와 위상차판을 접착하는 접착제에는 이들이 휨에 따라 휠 수 있는 정도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및 위상차판 표면의 왜곡이나 두께의 불균일에 따라 평탄성을 발현할 수 있는 정도, 즉 당해 휨 및 당해 표면의 요철을 흡수할 수 있는 정도의 유연성이 요구된다.
이 요구 레벨을 달성하는 방법의 한 가지에는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를 낮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접착제는 제조 공정에서의 열과 가압력, 그리고 고온 환경 아래에서 사용함으로써 접착제의 크리프가 발생하기 쉽고 위상차판이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상 표시부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우안용 화상광을 생성하는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좌안용 화상광을 생성하는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 생성부를 포함하며,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화상 표시부,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좌안용 편광 영역을 포함하며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좌안용 편광 영역에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이 각각 입사한 때에 입 사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 또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위상차판, 화상 표시부의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과 위상차판의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좌안용 편광 영역이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며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의 면과 위상차판의 입사측의 면을 접착하는 접착층, 및 화상 표시부와 위상차판의 주변부를 접착하는 접착 영역을 포함하며, 접착 영역의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는 접착층의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우안용 화상광을 생성하는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좌안용 화상광을 생성하는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 생성부를 포함하며,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화상 표시부, 및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좌안용 편광 영역을 포함하며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좌안용 편광 영역에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이 각각 입사한 때에 입사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 또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의 면 및 위상차판의 입사측의 면 중 적어도 한 쪽에서 화상 표시부의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과 위상차판의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좌안용 편광 영역이 겹치는 영역에 경화성의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 시트를 점착하는 점착 공정,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의 면과 위상차판의 입사측의 면을 마주보게 해서 겹치는 적층 공정, 화상 표시부 및 위상차판 의 주변부에 수지를 도포하는 주변 도포 공정, 주변 도포 공정 및 적층 공정 후에 주변부에 도포한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주변부를 접착하는 주변 접착 공정, 및 주변 접착 공정 후에 화상 표시부와 위상차판 사이의 수지를 경화함으로써 화상 표시부와 위상차판을 접착하는 전면 접착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우안용 화상광을 생성하는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좌안용 화상광을 생성하는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 생성부를 포함하며,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화상 표시부, 및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좌안용 편광 영역을 포함하며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좌안용 편광 영역에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이 각각 입사한 때에 입사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 또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의 면 및 위상차판의 입사측의 면 중 적어도 한 쪽에서 화상 표시부의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과 위상차판의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좌안용 편광 영역이 겹치는 영역에 수지를 도포하는 전면 도포 공정, 전면 도포 공정의 후에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의 면과 위상차판의 입사측의 면을 마주보게 해서 겹치는 적층 공정, 화상 표시부 및 위상차판의 주변부에 수지를 도포하는 주변 도포 공정, 적층 공정 및 주변 도포 공정 후에 주변부에 도포한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주변부를 접착하는 주변 접착 공정, 및 주변 접착 공정 후에 화상 표시부와 위상차판 사이의 수지를 경화함으로써 화상 표시부 와 위상차판을 접착하는 전면 접착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이 필요로 하는 특징의 모두를 열거한 것이 아니다. 또한, 이들 특징군의 서브 콤비네이션도 또한 발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위상차판 및 화상 표시부의 열에 의한 팽창·수축에 기인하는 크로스 토크의 발생, 그리고 위상차판 및 화상 표시부의 표면의 요철에 기인하는 색 얼룩 등을 억제하는 동시에 위상차판의 화상 표시부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실시 형태를 통해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 형태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 형태의 안에서 설명되고 있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는 광원(120), 화상 표시부(130), 위상차판(180), 및 반사 방지층(200)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화상 표시부(130)는 광원측 편광판(150), 화상 생성부(160), 및 출사측 편광판(170)을 포함한다. 또한, 반사 방지층(200)을 포함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에 표시되는 입체 화상을 후술하는 관찰자(500)가 관찰할 경우, 도 1에서의 반사 방지층(200)보다도 우측에서 관찰한다.
광원(120)은 관찰자(500)로부터 보아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가장 안쪽에 배치되며,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하,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 상태”라고 약칭한다)에서 백색의 무편광이 광원측 편광판(150)의 한 면을 향해서 출사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120)에 면광원을 이용하고 있지만 면광원을 대신해서 예를 들면 점광원과 집광 렌즈의 조합이어도 된다. 이 집광 렌즈의 일례로서 프레넬 렌즈 시트를 들 수 있다.
광원측 편광판(150)은 화상 생성부(160)에서의 광원(120)측에 배치된다. 광원측 편광판(150)은 투과축 및 당해 투과축에 직교하는 흡수축을 가지므로, 광원(120)으로부터 출사한 무편광이 입사하면 그 무편광 가운데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축의 빛을 투과하는 동시에 흡수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축의 빛을 차단한다. 여기서, 편광축의 방향이란 빛에서의 전계의 진동 방향을 말한다. 광원측 편광판(150)에서의 투과축의 방향은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찰자(500)가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를 볼 때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오른쪽 위 45도의 방향으로 되어 있다.
화상 생성부(160)는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을 포함한다. 이들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생성부(160)를 수평 방향으로 구분한 영역이며, 복수의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이 연직 방향으로 번갈아서 배치되고 있다.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 상태에서 화상 생성부(160)의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에는 각각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이 생성된다. 이 경우, 광원측 편광판(150)을 투과한 빛이 화상 생성부(160)의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에 입사하면,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의 투과광은 우안용 화상의 화상광(이하, “우안용 화상광”이라고 약칭한다)이 된다. 마찬가지로, 광원측 편광판(150)을 투과한 빛이 화상 생성부(160)의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에 입사하면,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의 투과광은 좌안용 화상의 화상광(이하, “좌안용 화상광”이라고 약칭한다)이 된다.
또한,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을 투과한 좌안용 화상광은 각각 특정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직선 편광으로 된다. 여기서, 각각 특정 방향의 편광축이란 서로 같은 방향이어도 되며,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둘다 편광축이 후술할 출사측 편광판(170)에서의 투과축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정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 생성부(160)에는 예를 들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차원적으로 복수의 작은 셀이 배치되며, 각 셀에서 배향막 사이에 액정을 밀봉한 LCD(액정 디스플레이)가 이용된다. 이 LCD에서 각 셀을 전기적으로 구동함으로써 각 셀은 통과하는 빛을 그 편광축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투과하는 상태와 편광축의 방향을 90도 회전시켜서 투과하는 상태를 선택한다.
출사측 편광판(170)은 화상 생성부(160)에서의 관찰자(500)측에 배치된다. 이 출사측 편광판(170)은 상기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을 투과한 좌안용 화상광이 입사하면, 이들 가운데 편광축이 투과축과 평행한 빛을 투과하는 동시에 편광축이 흡수축과 평행한 빛을 차단한다. 여기서, 출사측 편광판(170)에서의 투과축의 방향은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찰자(500)가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를 본 때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왼쪽 위 45도의 방향으로 되고 있다. 즉, 화상 표시부(130)는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광으로서 출사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평행이란 관찰자(500)가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입체 화상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평행도를 가지고 있으면 되며 오차의 범위도 포함한다.
위상차판(180)은 우안용 편광 영역(181) 및 좌안용 편광 영역(182)을 포함한다. 이 위상차판(180)에서의 우안용 편광 영역(181) 및 좌안용 편광 영역(182)의 위치 및 크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생성부(160)의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 상태에서 우안용 편광 영역(181)에는 상기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이 입사하는 동시에 좌안용 편광 영역(182)에는 상기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을 투과한 좌안용 화상광이 입사한다.
또한, 위상차판(180)의 화상 표시부(130)에 대향하는 면에서의 우안용 편광 영역(181)과 좌안용 편광 영역(182)의 경계에는 차광부(190)가 설치되고 있다. 이 차광부(190)는 위상차판(180)의 우안용 편광 영역(181)에 인접하는 좌안용 편광 영역(182)에 입사해야 할 좌안용 화상광 가운데 상기 경계를 넘어서 당해 우안용 편 광 영역(181)에 입사하는 화상광을 흡수해서 차단한다. 또한, 상기 차광부(190)는 마찬가지로 위상차판(180)의 좌안용 편광 영역(182)에 인접하는 우안용 편광 영역(181)에 입사해야 할 우안용 화상광 가운데 상기 경계를 넘어서 당해 좌안용 편광 영역(182)에 입사하는 화상광을 흡수해서 차단한다. 이와 같이, 위상차판(180)의 상기 경계에 차광부(190)를 설치함으로써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출사되는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에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우안용 편광 영역(181)은 입사한 우안용 화상광의 편광축을 회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투과한다. 또한, 좌안용 편광 영역(182)은 입사한 좌안용 화상광의 편광축을 우안용 편광 영역(181)에 입사한 우안용 화상광의 편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우안용 편광 영역(181)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의 편광축과 좌안용 편광 영역(182)을 투과한 좌안용 화상광의 편광축은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방향이 서로 직교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직교란 관찰자(500)가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입체 화상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직각도를 가져서 교차하고 있으면 되며 오차의 범위도 포함한다.
또한, 도 1의 위상차판(180)에서의 화살표는 위상차판(180)을 통과한 편광의 편광축을 나타내고 있다. 우안용 편광 영역(181)에는 예를 들면 투명한 유리 또는 수지 등이 이용되며, 좌안용 편광 영역(182)에는 예를 들면 입사되는 좌안용 화상광의 편광축의 방향에 대하여 45도 각도의 광학축을 갖는 반파장판이 이용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 좌안용 편광 영역(182)의 광학축의 방향은 수평 방향 또는 연직 방향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광학축이란 빛이 좌안용 편광 영역(182)을 투과할 때의 진상축 또는 지상축의 한 쪽을 가리킨다. 또한, 상기 위상차판(180)을 대신하여 우안용 편광 영역(181) 및 좌안용 편광 영역(182)에 각각 반파장판을 이용하여 입사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으로서 출사해도 된다.
도 2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해 입체 화상을 관찰할 경우, 관찰자(5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투영되는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 안경(220)을 쓰고 관찰한다. 이 편광 안경(220)에는 관찰자(500)가 이 편광 안경(220)을 쓴 때에 관찰자(500)의 우안(512)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우안용 화상 투과부(232)가 배치되며 좌안(514)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좌안용 화상 투과부(234)가 배치된다. 이들 우안용 화상 투과부(232) 및 좌안용 화상 투과부(234)는 서로 다른 특정한 투과축 방향을 가지는 편광 렌즈이며 편광 안경(220)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우안용 화상 투과부(232)는 투과축 방향이 우안용 편광 영역(181)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과 같은 방향을 가지며 흡수축 방향이 상기 투과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갖는 편광판으로 되어 있다. 좌안용 화상 투과부(234)는 투과축 방향이 좌안용 편광 영역(182)을 투과한 좌안용 화상광과 같은 방향을 가지며 흡수축 방향이 상기 투과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갖는 편광판으로 되어 있다. 이들 우안용 화상 투과부(232) 및 좌안용 화상 투과부(234)에는 예를 들면 이색성 염료를 침투시킨 필름을 한 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편광막을 점착한 편광 렌즈가 이용된다.
관찰자(500)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해 입체 화상을 관찰할 때, 상기 위상차판(180)의 우안용 편광 영역(181) 및 좌안용 편광 영역(182)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이 출사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편광 안경(220)을 쓰고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를 관찰한다. 이에 따라, 우안(512)으로는 우안용 화상광만을 관찰할 수 있으며 좌안(514)으로는 좌안용 화상광만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500)는 이들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입체 화상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하우징(110)에 수용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부(130)가 외측 프레임(165)에 지지된다. 더욱이,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에 위상차판(180) 및 반사 방지층(200)이 설치된다. 하우징(110)은 광원(120) 및 화상 표시부(130)를 수용한다. 여기서, 위상차판(180)은 접착층(300) 및 접착 영역(400)에 의해 화상 표시부(130)에 접착된다.
접착층(300)의 두께는 차광부(190)와 같은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같은 두께란 완전히 동일할 경우에 더하여 접착층(300) 쪽이 차광부(190)보다도 1.5배 정도 두꺼운 범위까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차광부(190)의 두께가 10μm로부터 15μm일 경우에 접착층(300)의 두께는 10μm로부터 20μm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차광부(190)의 두께가 2μm로부터 3μm일 경우에 접착층(300)의 두께는 2μm로부터 5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착층(300)의 두께는 위상차판(180)의 우안용 편광 영역(181) 및 좌안용 편광 영역(182)에서의 입사측 면으로부터의 두께를 말한다. 차광부(190)의 두께가 보다 작은 쪽이 접착층(300)과 위상차 판(180)의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도 4는 반사 방지층(200)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기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는 위상차판(180)보다도 관찰자(500)측에 반사 방지층(200)을 갖는다. 반사 방지층(200)은 위상차판(180)의 유리 기판(183) 위에 접착층(202), 기재(204), 하드 코트(206), 고굴절률 수지(208), 및 저굴절률 수지(210)를 이 순서로 포함한다. 접착층(202)의 두께는 예를 들면 25μm이다. 또한, 기재(204)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로서 두께는 80μm이다. 하드 코트(206)의 두께는 예를 들면 5μm이다. 고굴절률 수지(208) 및 저굴절률 수지(210)의 굴절률은 각각 1.65, 1.40이며, 두께는 각각 0.1μm로 되어 있다. 또한, 반사 방지층(200)은 출사되는 편광을 교란시키지 않으면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은 얼라인먼트 공정으로서의 점착 공정과 적층 공정, 주변 접착 공정으로서의 점접착 공정, 라미네이트 공정으로서의 진공 라미네이트 공정과 오토클레이브 공정, 전면 접착 공정으로서의 전면 UV 접착 공정을 포함한다.
점착 공정에서는 화상 표시부(130)에 접착층(300)을 형성한다. 또한, 적층 공정에서는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의 면과 위상차판(180)을 마주보게 해서 겹친다. 또한, 점접착 공정은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 면과 위상차판(180)의 주변부에 수지를 도포하는 주변 도포 공정과 주변 도포 공정에서 도포한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 면과 위상차판(180)의 주변부를 접착하는 주변 접착 공정을 포함한다.
진공 라미네이트 공정에서는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을 진공 가압 라미네이트한다. 또한,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는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을 가열한다. 더욱이, 전면 UV 접착 공정에서는 접착층(300)을 경화함으로써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을 접착한다.
도 5는 점착 공정 전의 화상 표시부(130)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의 화상 표시부(130)의 화상 생성부(160)는 광원측 유리 기판(142) 및 출사측 유리 기판(144)과, 이들 광원측 유리 기판(142) 및 출사측 유리 기판(144)의 사이에 밀봉된 액정에 의해 형성되는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을 포함한다. 광원측 유리 기판(142)의 광원측에는 광원측 편광판(150)이 배치되는 동시에 출사측 유리 기판(144)의 출사측에는 출사측 편광판(170)이 배치된다.
도 6은 점착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공정은 위상차판(180)의 입사측 면에 접착 시트(700)를 점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접착 시트(700)는 접착층(300) 및 당해 접착층(300)을 지지하는 세퍼레이트 필름(710)을 포함한다. 접착층(300)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이며, 일례로서 쓰리본드(등록 상표)사의 쓰리본드(등록 상표) 1630 등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의 수지를 들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위상차판(180)에서 차광부(190)가 설치된 면에 접착 시트(700)의 접착층(300)측이 놓여짐으로써 위상차판(180)에 접착 시 트(700)가 점착된다. 또한, 접착 시트(700)는 롤 형상으로 감긴 상태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인출하여 잘라서 사용해도 되며 또한 미리 단일 종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여기서, 차광부(190)의 두께가 3∼10μm인 경우에 접착 시트(700)의 접착층(300)의 두께는 15∼75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광부(190) 사이의 오목부에도 수지가 넘쳐서 표면을 평활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계속해서 점착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공정은 위상차판(180)의 입사측 면에 점착한 접착 시트(700)의 세퍼레이트 필름(710)측에 가열한 롤러(800)를 누름으로써 접착 시트(700)를 위상차판(180)에 라미네이트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도 7에 나타내는 공정에 있어서, 대기압(0.1MPa)의 챔버 내에서 섭씨 80도∼85도로 가열된 롤러(800)가 접착 시트(700)의 접착층(300) 위에서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0.3m/min의 속도로 구르면서 이동함으로써 라미네이트되고, 위상차판(180)에 접착 시트(700)가 가접착된다. 가열된 롤러(800)로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차광부(190)의 유무에 의한 요철 형상을 따라 접착층(300)이 메워지며 위상차판(180)에서의 입사측의 전체면에 접착층(300)이 배치된다. 또한, 도 6에 위상차판(180)과 접착 시트(700)의 부착과 도 7에 나타내는 라미네이트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계속해서 점착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공정은 라미네이트된 접착 시트(700)의 세퍼레이트 필름(710)을 접착층(300)으로부터 벗기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접착층(300)이 노출된 상태로 위상차판(180)측에 남는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접착 시트(700)를 위상차판(180)에 먼저 접착해서 라미네이트하고 있다. 그 대안으로서 접착 시트(700)를 화상 표시부(130)에 먼저 접착해서 라미네이트하여도 된다.
도 9는 적층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적층 공정에서 위상차판(180)의 접착층(300)측의 면과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 편광판(170)측의 면을 마주보도록 겹치고 위상차판(180)과 화상 표시부(130)의 얼라인먼트를 조정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판(180)의 우안용 편광 영역(181) 및 좌안용 편광 영역(182)은 유리 기판(183)에 지지되고 있다. 위상차판(180)의 유리 기판(183)이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 유리 기판(144)보다도 두껍고 또한 위상차판(180)과 화상 표시부(130)를 전면 접착하므로, 강도를 유지하면서 출사측 유리 기판(144)을 얇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표시부(130)의 화상 생성부(160)와 위상차판(180)의 우안용 편광 영역(181) 및 좌안용 편광 영역(182)의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시야각을 넓힐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기판(183)의 두께가 0.7mm일 경우에, 출사측 유리 기판(144)의 두께를 0.5mm 이하로 할 수 있다.
도 10 (A), (B)는 점접착 공정에서의 주변 도포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주변 도포 공정에 있어서, 위상차판(180)의 주변부로서의 좌우 한 쌍의 측면(189)과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의 면 즉 출사측 유리 기판(144)의 좌우 양측에 수지(접착제)를 도포한다. 여기서, 수지는 각 측면(189)에서의 복수 장소에 소정 간격마다 소정의 폭으로 도포한다. 이에 따라, 주변 도포 공정에서 위상차 판(180)의 좌우 한 쌍의 측면(189)을 따라 서로 이간된 복수의 접착 영역(400)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수지는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이며, 일례로서 쓰리본드사의 쓰리본드 3114 또는 3114B 등의 에폭시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수지는 예를 들면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사이즈가 46인치의 경우, 각 측면(189) 및 화상 표시부(130)에서의 각 측면(189)의 외측의 4 장소에 80mm 간격마다 2mm의 도포 폭으로 도포된다.
여기서, 출사측 편광판(170)의 가로 폭은 위상차판(180)의 가로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으며, 좌우의 접착 영역(400)은 출사측 편광판(170)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또한, 접착 영역(400)은 위상차판(180)의 유리 기판(183)에서의 측면과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 유리 기판(144)에서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도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출사측 편광판(170)의 팽창 수축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안정된 입체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도 11은 점접착 공정에서의 주변 접착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주변 접착 공정에서 접착 영역(400)에 대하여 스폿과 같이 자외선을 조사해서 접착 영역(400)의 수지를 경화시킨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적산 광량 30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위상차판(180)의 유리 기판(183)에서의 좌우 측면과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 유리 기판(144)에서의 좌우 가장자리부가 접착된다.
도 12는 진공 라미네이트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진공 라미네이트 공정에서는 감압 하의 진공로 내에서 상기 점접착 공정 후의 화상 표시부(130) 및 위 상차판(180)이 위상차판(180)을 위로 해서 재치대(610)에 놓여진다. 더욱이, 감압 하의 진공로 내에서 롤러(600)가 위상차판(180)의 유리 기판(183)을 누르면서 회전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진공화를 1분간 실시해서 950MPa의 라미네이트 압력, 80도의 라미네이트 온도로 라미네이트를 6분간 실시한다. 이에 따라,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이 라미네이트되는 동시에 접착층(300) 및 접착 영역(400)의 수지의 공기가 빠진다. 따라서, 접착층(300)의 두께를 균일하게 해서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의 평탄도 및 평행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지의 투명성 및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채용한 롤 라미네이트 공법 이외에 예를 들면 다이어프램 방식에 의한 라미네이트 공법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트 공정 후의 접착층(300)의 두께는 차광부(190)와 같은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트 공정에서 롤러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이 나열해 있는 방향을 따라 회전해서 라미네이트하여도 되며 또한 도 12와는 직교하는 방향 즉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해서 라미네이트하여도 된다.
상기 진공 라미네이트 공정 후에는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실시한다. 이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분위기 속에서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을 가열한다. 당해 가열 공정에서의 분위기의 압력은 상기 진공 라미네이트 공정에서의 라미네이트 압력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오토클레이 브 공정의 조건의 일례로서 분위기의 온도 섭씨 80도 및 압력 0.6MPa의 챔버 내에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이 1시간 배치된다. 당해 오토클레이브 공정에 의해 상기 진공 라미네이트 공정으로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에 생긴 왜곡이 개방된다. 더욱이, 당해 오토클레이브 공정에 의해 진공 가압 라미네이트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접착층(300)의 기포를 누르거나 밀어내거나 할 수 있다.
도 13은 전면 UV 접착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전면 UV 접착 공정에서는 상기 오토클레이브 공정 후의 접착층(300)에 대하여 위상차판(180)의 측에서 자외선을 조사해서 접착층(300)의 수지를 경화시킨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조도 180mW/cm2, 적산 광량 3000mJ/cm2, 파장 365nm의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접착층(300)의 수지 가운데 위상차판(180)의 차광부(190) 사이의 영역에 자외선이 조사되어서 경화된다.
더욱이, 히터 등에 의해 외부로부터 접착층(300)에 열을 가해서 접착층(300) 전체를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의 수지도 경화시켜서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을 보다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의 조사와 히터에 의한 가열은 함께 수행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접착된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이 도 3에 나타내는 하우징(110)에 설치됨으로써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가 제조된다. 여기서, 접착 영역(400)의 수지로서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접착층(300)의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높은 것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접착 영역(400)의 수지로서는 유 리 전이 온도가 섭씨 80도 이상의 것을 이용하고 있는 반면, 접착층(300)의 수지로서는 유리 전이 온도가 섭씨 0도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섭씨 -20도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즉, 접착 영역(400)의 수지 온도는 주변 도포 공정부터 전면 UV 접착 공정까지의 전공정에 걸쳐서 유리 전이 온도 이하로 되는 반면, 접착층(300)의 수지 온도는 점착 공정 후의 전공정에 걸쳐서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아진다. 이 때문에, 점접착 공정, 진공 라미네이트 공정, 오토클레이브 공정, 및 전면 UV 접착 공정이 실시되고 있는 동안, 접착층(300)의 수지는 유리 상태로부터 고무 상태로 되는 반면, 접착 영역(400)의 수지는 점성과 강성이 접착층(300)의 수지와 비교해서 유리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착 공정 후의 각 공정에서의 가열에 의해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의 한 쪽에 팽창·수축에 의한 휨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 한 쪽의 휨에 대해서 다른 쪽과 접착층(300)이 추종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가 사용되고 있는(입체 영상을 감상하는) 상태에서의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 사이에서의 빛의 간섭(예를 들면, 뉴튼 링과 같은 모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대화면의 경우에는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의 휨이 보다 커지는 것으로부터 입체 화상의 화질 향상에 대하여 보다 큰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의 표면에 왜곡이나 두께 불균일이 있을 경우에도 점성이 낮은 접착층(300)은 그 표면의 왜곡이나 두께 불균일을 보충하는 형태로 추종하므로,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의 사이가 일정하게 되며 접착층(300)을 간극 없이 채울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 사이에서의 내부 반사를 억제할 수 있으며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의 간격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색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입체 화상의 화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 영역(400)의 유리 전이 온도가 점접착 공정 후의 각 공정의 온도 조건 이상인 것에 의해 점접착 공정 후의 각 공정에서 접착층(300)이 위상차판(180)의 중량을 견디어내는데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일지라도, 접착 영역(400)이 위상차판(180)의 중량을 견디어내는데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위상차판(180)이 자체 무게에 의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상차판(180)의 화상 표시부(130)에 대한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 영역(400)의 유리 전이 온도는 제조 후에 상정되는 사용 환경의 온도보다 높다. 이에 따라, 고온 환경에서의 주위의 열, 화상 표시부(130)의 발열 등에 의해 접착층(300)의 크리프가 생긴 경우에도 접착 영역(400)이 위상차판(180)의 중량을 견디어내는데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정되는 사용 환경에서 위상차판(180)이 자체 무게에 의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상차판(180)의 화상 표시부(130)에 대한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 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접착 영역(400)을 위상차판(180)과 화상 표시부(130)의 좌우 양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해서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위상차판(180)과 화상 표시부(130)로 전해지는 접착 영역(400)의 수지의 경화시 발생하는 수축 응력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축 응력에 의해 발생한 위상차판(180)의 왜곡을 접착층(300)에 의해 흡수·완화시킴으로써 화상 표시부(130)의 콘트라스트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색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상차판(180)의 좌우 측면(189)과 화상 표시부(130)의 좌우 양측부를 접착 영역(400)에 의해 접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접착 영역(400)이 화상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화상 영역의 전체 영역이 사용 가능해진다. 또한, 적층 공정 후에 위상차판(180)의 측면(189)과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의 면에서 형성되는 구석부에 접착제를 모으는 것에 의해 위상차판(180)의 측면(189)과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의 면을 접착할 수 있으므로 접착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상차판(180)의 유리 기판(183)과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 유리 기판(144)의 접착에서 좌우의 두 변을 접착하고 있지만, 당해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상하 두 변 혹은 한 변을 화상 표시부(130)에 대하여 접착해도 된다. 또한, 위상차판(180)의 유리 기판(183)을 저열 팽창·수축의 필름 기재로 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위상차판(180)의 중량을 억제 할 수 있어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필름 기재와 출사측 유리 기판(144)의 접착은 네 변, 두 변, 혹은 한 변의 접착을 할 수 있지만, 유리 기재보다 기재의 수축이 큰 필름 기재의 경우는 네 변의 접착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착 영역(400)을 출사측 편광판(170)으로부터 이간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출사측 편광판(170)의 열에 의한 팽창·수축의 영향이 접착 영역(400)을 통해서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에 의한 팽창·수축이 위상차판(180)과 비교해서 작은 위상차판(180)의 유리 기판(183)과 화상 표시부(130)의 출사측 유리 기판(144)을 직접 접착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위치 어긋남을 더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에서 상기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는 상기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위상차판(180)을 대신해서 위상차판(185)을 포함한다. 이 위상차판(185)은 우안용 편광 영역(186) 및 좌안용 편광 영역(187)을 포함한다.
여기서, 우안용 편광 영역(186) 및 좌안용 편광 영역(187)은 둘다 1/4 파장판이며 각각의 광학축이 서로 직교한다. 이 위상차판(185)에서의 우안용 편광 영역(186) 및 좌안용 편광 영역(187)의 위치 및 크기는 상기 위상차판(180)에서의 우 안용 편광 영역(181) 및 좌안용 편광 영역(182)의 위치 및 크기와 마찬가지로 화상 생성부(160)의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의 사용 상태에서 우안용 편광 영역(186)에는 상기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을 투과한 우안용 화상광이 입사하며 좌안용 편광 영역(187)에는 상기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을 투과한 좌안용 화상광이 입사한다.
또한, 위상차판(185)의 화상 표시부(130)에 대향하는 면에서의 우안용 편광 영역(186)과 좌안용 편광 영역(187)의 경계에는 차광부(19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광부(190)는 위상차판(185)의 우안용 편광 영역(186)에 인접하는 좌안용 편광 영역(187)에 입사해야 할 좌안용 화상광 가운데 상기 경계를 넘어서 당해 우안용 편광 영역(186)에 입사하는 화상광을 흡수해서 차단한다.
또한, 상기 차광부(190)는 마찬가지로 위상차판(185)의 좌안용 편광 영역(187)에 인접하는 우안용 편광 영역(186)에 입사해야 할 우안용 화상광 가운데 상기 경계를 넘어서 당해 좌안용 편광 영역(187)에 입사하는 화상광을 흡수해서 차단한다. 이와 같이, 위상차판(185)의 상기 경계에 차광부(190)를 설치함으로써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로부터 출사되는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에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위상차판(185)은 입사한 빛을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한다. 예를 들면, 우안용 편광 영역(186)은 입사한 빛을 우회전의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며 좌안용 편광 영역(187)은 입사한 빛을 좌회전의 원형 편 광으로서 출사한다. 또한, 도 14의 위상차판(185)의 화살표는 이 위상차판(185)을 통과한 편광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우안용 편광 영역(186)에는 예를 들면 광학축이 수평 방향인 1/4 파장판이 이용되며, 좌안용 편광 영역(187)에는 예를 들면 광학축이 연직 방향인 1/4 파장판이 이용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에서도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착층(300) 및 접착 영역(400)에 의해 화상 생성부(160)와 위상차판(185)을 접착한다. 이에 따라,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의 휨, 요철을 접착층(300)에 흡수시키는 동시에 위상차판(180)의 화상 표시부(130)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위상차판(185)을 포함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를 관찰할 경우, 관찰자(500)는 우안(512)측에 닿는 위치 및 좌안(514)측에 닿는 위치에 각각 1/4 파장판과 편광 렌즈가 배치된 편광 안경을 쓰고서 관찰한다. 이 편광 안경에서 관찰자(500)의 우안(512)측에 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1/4 파장판은 광학축이 수평 방향이며, 관찰자(500)의 좌안(514)측에 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1/4 파장판은 광학축이 연직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관찰자(500)의 우안(512)측에 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편광 렌즈 및 관찰자(500)의 좌안(514)측에 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편광 렌즈는 함께 투과축 방향이 관찰자(500)로부터 보아서 우측 경사 45도이며 흡수축 방향이 상기 투과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관찰자(500)의 우안(512)측에서는 편광축이 관찰자(500)로부터 보아서 우회전의 원형 편광이 입사한 때에 그 원형 편광은 상기 광학축이 수평 방향인 1/4 파 장판에 의해 우측 경사 45도의 직선 편광으로 변환된 후 상기 편광 렌즈를 투과해서 관찰자(500)의 우안(512)에서 관찰된다. 또한, 관찰자(500)의 좌안(514)측에서는 편광축이 관찰자(500)로부터 보아서 좌회전의 원형 편광이 입사한 때에 그 원형 편광은 상기 광학축이 연직 방향인 1/4 파장판에 의해 우측 경사 45도의 직선 편광으로 변환된 후 상기 편광 렌즈를 투과해서 관찰자(500)의 좌안(514)에서 관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편광 안경을 쓰고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를 관찰함으로써 우안(512)에서는 우안용 화상광만을 관찰할 수 있고 좌안(514)에서는 좌안용 화상광만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500)는 이들 우안용 화상광 및 좌안용 화상광을 입체 화상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진공 적재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당해 다른 제조 방법은 도 5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에서의 적재 공정을 대신하여 진공 적재 공정을 포함한다. 당해 다른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번호를 첨부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 적재 공정에서 화상 표시부(130)는 출사측 편광판(170)이 위로 되도록 하반(900)에 놓여지며, 위상차판(180)은 접착층(300)이 아래로 되도록 상반(910)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의 위치가 결정된다. 하반(900)과 상반(910)이란 닫혀진 공간 내에 상하로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으며, 상반(910)은 하반(900)에 대하여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진공 적층 공정에서는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을 각각 하반(900) 및 상반(910)에 설치한 후 이들이 배치된 공간 내를 진공 분위기로 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당해 공간 내를 1∼1000Pa로 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반(910)이 하반(900)측으로 이동되고 위상차판(180)과 화상 표시부(130)가 접착층(300)을 통해서 압착된다. 본 작업은 접착층(300)의 압축량과 압축 시간을 관리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압착되기 전에 두께가 35μm의 접착층(300)을 5∼25μm 압축시킨다. 압축 시간은 10∼90초로 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의 진공 적재 공정에 의하면 적재 공정에서 접착층(300)과 화상 표시부(130)의 사이에 기포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기포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진공 라미네이트 공정이 불필요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라미네이트 공정에서의 가열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당해 가열에 기인하는 위상차판(180)의 화상 표시부(130)에 대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전면 도포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당해 다른 제조 방법은 도 5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에서의 점착 공정을 대신하여 전면 도포 공정을 포함한다. 당해 다른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번호를 첨부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도포 공정에서 화상 표시부(130)에서의 출사측 편광판(170)의 출사측 면에 수지가 도포되어 접착층(300)이 형성된다. 여 기서, 수지는 적어도 화상 표시부(130)의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과 위상차판(180)의 우안용 편광 영역(181) 및 좌안용 편광 영역(182)이 대향하는 영역에 도포된다. 그 대안으로서, 출사측 편광판(170)의 전체면에 도포되어도 된다.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은 다이 코팅기, 그라비어 코팅기 등이 이용된다. 당해 전면 도포 공정에서의 접착층(300)의 경화 전의 두께는 차광부(190)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도 엷어도 된다. 전면 도포 공정에서의 접착층(300)의 경화 전의 두께는 차광부(190) 사이의 개구부의 면적 및 차광부(190)의 두께 등에 의해 적당히 설정될 수 있다.
당해 전면 도포 공정에서 이용되는 수지는 자외선으로 경화하는 동시에 열로도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과 열의 양쪽으로 경화하는 수지로서는 측면 사슬에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관능기와 에폭시기를 갖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으로 경화하는 수지와 열로 경화하는 수지를 혼합해서 도포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자외선으로 경화하는 수지로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등의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로 경화하는 수지로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디알릴 프탈레이트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의 점도는 상온(섭씨 25도)에서 500cps 내지 10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가 500cps보다 작으면 도포한 수지가 흘러나올 경우가 있다. 한편, 점도가 1000cps보다 크면 차광부(190)의 사이에 수지가 들어가기 어려워져 구석구석까지 수지가 퍼지지 않을 경우가 있다.
도 18은 적재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적재 공정에서 화상 표시 부(130)의 접착층(300)이 형성된 면에 위상차판(180)의 차광부(190)가 형성된 면이 마주보게 중첩해서 놓여진다. 화상 표시부(130)에 위상차판(180)이 놓여진 상태에서 이들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이 진공로 내에 배치되고 당해 진공로가 감압됨으로써 수지의 공기를 빼는 탈기 공정이 수행된다. 탈기 공정에서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에 초음파 진동이 주어짐으로써 수지의 공기가 빠져도 된다.
도 19은 라미네이트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라미네이트 공정에서 상기 재치 공정 후의 화상 표시부(130) 및 위상차판(180)이 위상차판(180)을 위로 하여 재치대(610)에 놓여진다. 더욱이, 롤러(600)가 위상차판(180)의 유리 기판(183)을 가압하면서 회전함으로써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이 라미네이트된다. 이에 따라, 접착층(300)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여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의 평탄도 및 평행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트 공정 후, 접착층(300)의 두께는 차광부(190)와 같은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트 공정에서 롤러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이 나열해 있는 방향을 따라 회전해서 라미네이트하여도 되며, 또한 도 19와는 직교하는 방향 즉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162) 및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16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해서 라미네이트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라미네이트 공정후에 화상 표시부(130)와 위상차판(180)이 얼라인먼트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접착층(300)에 실리카계 필러를 스페이서로서 혼합함으로써 얼라인먼트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면 도포 공정, 재치 공정, 및 라미네이트 공정을 감압 하의 진공로 내에서 실행해도 된다.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공기를 빼는 것이 가능하며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를 이용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추가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이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추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명확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안용 편광 영역(181)과 좌안용 편광 영역(182)의 경계부에 차광부(190)를 설치했지만, 차광부(190)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경우에는 차광부(190)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차광부(190)를 생략함으로써 시야각을 더 넓힐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하우징(110)에 수용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반사 방지층(200)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점착 공정 전의 화상 표시부(130)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점착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점착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점착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적층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주변 도포 공정을 설명하는 (A)는 단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주변 접착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진공 라미네이트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전면 접착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진공 적층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진공 적층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전면 도포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적층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의 다른 제조 방법에서의 진공 라미네이트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입체 화상 표시 장치, 101 입체 화상 표시 장치, 110 하우징, 120 광원, 130 화상 표시부, 142 광원측 유리 기판, 144 출사측 유리 기판, 150 광원측 편광판, 160 화상 생성부, 162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164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 165 외측 프레임, 170 출사측 편광판, 180 위상차판, 181 우안용 편광 영역, 182 좌안용 편광 영역, 183 유리 기판, 185 위상차판, 186 우안용 편광 영역, 187 좌안용 편광 영역, 189 측면, 190 차광부, 200 반사 방지층, 202 접착층, 204 기재, 206 하드 코트, 208 고굴절율 수지, 210 저굴절율 수지, 220 편광 안경, 232 우안용 화상 투과부, 234 좌안용 화상 투과부, 300 접착층, 400 접착 영역, 500 관찰자, 512 우안, 514 좌안, 600 롤러, 610 재치대, 700 접착 시트, 710 세퍼레이트 필름, 800 롤러, 900 하반, 910 상반

Claims (12)

  1. 우안용 화상광을 생성하는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좌안용 화상광을 생성하는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화상 표시부,
    상기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좌안용 편광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편광 영역에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이 각각 입사한 때에 입사한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 또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위상차판,
    상기 화상 표시부의 상기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과 상기 위상차판의 상기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편광 영역이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의 면과 상기 위상차판의 입사측의 면을 접착하는 접착층, 및
    상기 화상 표시부와 상기 위상차판의 주변부를 접착하는 접착 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영역의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접착층의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영역은 상기 위상차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간해서 복수 설치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영역은 상기 위상차판의 측면과 상기 화상 표시부를 접착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유리 기판 및 상기 유리 기판에서의 상기 위상차판이 있는 측의 면에 점착된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영역은 상기 유리 기판과 상기 위상차판을 접착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영역은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은 상기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편광 영역을 지지하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영역은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상기 유리 기판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위상차판의 상기 유리 기판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를 접착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
  7. 우안용 화상광을 생성하는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좌안용 화상광을 생성하는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화상 표시부, 및
    상기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좌안용 편광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편광 영역에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이 각각 입사한 때에 입사한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 또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위상차판
    을 포함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의 면 및 상기 위상차판의 입사측의 면 중 적어도 한 쪽에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상기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과 상기 위상차판의 상기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편광 영역이 겹치는 영역에 경화성의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 시트를 점착하는 점착 공정,
    상기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의 면과 상기 위상차판의 입사측의 면을 마주보게 해서 겹치는 적층 공정,
    상기 화상 표시부 및 상기 위상차판의 주변부에 수지를 도포하는 주변 도포 공정,
    상기 주변 도포 공정 및 상기 적층 공정 후에 상기 주변부에 도포한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주변부를 접착하는 주변 접착 공정, 및
    상기 주변 접착 공정 후에 상기 화상 표시부와 상기 위상차판 사이의 수지를 경화함으로써 상기 화상 표시부와 상기 위상차판을 접착하는 전면 접착 공정
    을 포함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접착 공정과 상기 전면 접착 공정의 사이에 상기 화상 표시부 및 상기 위상차판을 라미네이트하는 라미네이트 공정을 더 포함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공정을 진공로 내에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접착 시트가 포함하는 상기 수지의 공기를 빼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우안용 화상광을 생성하는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좌안용 화상광을 생성하는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평행한 직선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화상 표시부, 및
    상기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좌안용 편광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편광 영역에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이 각각 입사한 때에 입사한 상기 우안용 화상광 및 상기 좌안용 화상광을 편광축이 서로 직교한 직선 편광 또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원형 편광으로서 출사하는 위상차판
    을 포함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의 면 및 상기 위상차판의 입사측의 면 중 적어도 한 쪽에서 상기 화상 표시부의 상기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과 상기 위상차판의 상기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편광 영역이 겹치는 영역에 수지를 도포하는 전면 도포 공정,
    상기 전면 도포 공정 후에 상기 화상 표시부의 출사측의 면과 상기 위상차판의 입사측의 면을 마주보게 해서 겹치는 적층 공정,
    상기 화상 표시부 및 상기 위상차판의 주변부에 수지를 도포하는 주변 도포 공정,
    상기 적층 공정 및 상기 주변 도포 공정 후에 상기 주변부에 도포한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주변부를 접착하는 주변 접착 공정, 및
    상기 주변 접착 공정 후에 상기 화상 표시부와 상기 위상차판 사이의 수지를 경화함으로써 상기 화상 표시부와 상기 위상차판을 접착하는 전면 접착 공정
    을 포함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접착 공정과 상기 전면 접착 공정의 사이에 상기 화상 표시부 및 상기 위상차판을 라미네이트하는 라미네이트 공정을 더 포함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공정을 진공로 내에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화상 표시부의 상기 우안용 화상 생성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화상 생성 영역과 상기 위상차판의 상기 우안용 편광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편광 영역이 겹치는 영역에 도포된 상기 수지의 공기를 빼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80028819A 2008-01-25 2008-03-28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3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15516A JP4528333B2 (ja) 2008-01-25 2008-01-25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8-00015516 2008-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065A KR20090082065A (ko) 2009-07-29
KR100963616B1 true KR100963616B1 (ko) 2010-06-16

Family

ID=3952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819A KR100963616B1 (ko) 2008-01-25 2008-03-28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194316B2 (ko)
EP (1) EP2083573B1 (ko)
JP (1) JP4528333B2 (ko)
KR (1) KR100963616B1 (ko)
CN (1) CN101493581B (ko)
TW (1) TWI3917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028A (ja) * 2008-08-01 2010-02-1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表示方法及び電子機器
WO2011090355A2 (ko) * 2010-01-22 2011-07-28 (주)Lg화학 광배향막 배향 처리용 점착 필름
DE102011009281B4 (de) * 2010-01-22 2022-05-25 Lg Chem.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ischen Filters
JP5316444B2 (ja) * 2010-03-04 2013-10-16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立体映像表示用光学部材及び立体映像表示装置
US8379158B2 (en) * 2010-03-08 2013-02-19 Au Optronic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display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2011209562A (ja) * 2010-03-30 2011-10-20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立体視用液晶シャッタ眼鏡
WO2011156531A2 (en) * 2010-06-08 2011-12-15 Reald Inc. Stereoscopic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s
JP5178811B2 (ja) * 2010-12-10 2013-04-10 株式会社有沢製作所 立体画像表示装置
WO2012064138A2 (ko)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WO2012064141A2 (ko)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WO2012064142A2 (ko)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TWI471612B (zh) * 2010-11-10 2015-02-01 Lg Chemical Ltd 光學元件
KR101265314B1 (ko) * 2010-11-11 2013-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JP2012123040A (ja) * 2010-12-06 2012-06-28 Nitto Denko Corp 位相差層付偏光板
JP5462830B2 (ja) * 2011-03-31 2014-04-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3d画像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位相差板、3d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3d画像表示装置用接着剤組成物
JP2012256028A (ja) * 2011-05-13 2012-12-27 Fujifilm Corp 光学異方性素子、偏光板、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WO2012155243A1 (en) 2011-05-13 2012-11-22 Écrans Polaires Inc. / Polar Screens Inc. Method and display for concurrently display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KR101818246B1 (ko) * 2011-05-17 2018-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턴 리타더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2012252104A (ja) * 2011-06-01 2012-12-20 Sony Corp 偏光モジュール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30006130A (ko) * 2011-07-08 2013-0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5753747B2 (ja) * 2011-08-01 2015-07-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異方性素子、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472180B1 (ko) 2011-08-09 2014-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터
WO2013022258A2 (ko) * 2011-08-09 2013-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터
TW201346341A (zh) * 2012-05-03 2013-11-16 Ind Tech Res Inst 顯示裝置及其控制方法
KR101977241B1 (ko) * 2012-05-23 2019-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편광 필름
CN102854655B (zh) * 2012-09-25 2015-07-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面板及其制作方法
TWI522653B (zh) * 2012-11-29 2016-02-21 Lg化學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與偏光眼鏡
TWI465782B (zh) * 2014-04-25 2014-12-21 Far Eastern New Century Corp 製造位相差板的方法及位相差板
CN104409023A (zh) * 2014-08-25 2015-03-11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集成式三维led显示模组的制作方法
JP6203978B1 (ja) * 2017-04-17 2017-09-27 株式会社アスカネット 立体像結像装置の製造方法
KR20200010730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제우스 디스플레이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1243037A1 (en) 2020-05-27 2021-12-02 Looking Glass Factory, Inc. System and method for holographic display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2420A (ja) * 1994-08-17 1996-03-0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層を有する位相差板
JPH10253824A (ja) 1997-03-13 1998-09-25 Sharp Corp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7199616A (ja) 2006-01-30 2007-08-09 Nitto Denko Corp 位相差板の製造方法、位相差板、位相差板付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80013752A (ko) * 2006-08-08 2008-02-1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편광 시트 및 편광 시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485A (ja) * 1995-05-26 1996-12-03 Rohm Co Ltd 液晶表示装置
US6055103A (en) * 1997-06-28 2000-04-25 Sharp Kabushiki Kaisha Passive polarisation modulating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uch an element
US6306965B1 (en) * 1998-08-31 2001-10-23 Ppg Industries Ohio, Inc. Thermosett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rbamate-functional polylmers prepared using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JP4692696B2 (ja) * 2000-09-08 2011-06-0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樹脂組成物
JP3875130B2 (ja) 2002-03-26 2007-01-31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90309B2 (ja) * 2002-08-30 2008-05-28 帝人株式会社 全芳香族ポリエステル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JP3853297B2 (ja) * 2003-02-12 2006-12-06 株式会社ソフィア 画像表示装置
KR20050027487A (ko) * 2003-09-15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어셈블리, 기판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CN100561292C (zh) * 2005-07-11 2009-11-18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JP2007248696A (ja) * 2006-03-15 2007-09-27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20080239485A1 (en) * 2007-03-30 2008-10-02 Arisawa Mf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reoscopic display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shift plate, and the phase shift plate thereb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2420A (ja) * 1994-08-17 1996-03-0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層を有する位相差板
JPH10253824A (ja) 1997-03-13 1998-09-25 Sharp Corp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7199616A (ja) 2006-01-30 2007-08-09 Nitto Denko Corp 位相差板の製造方法、位相差板、位相差板付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80013752A (ko) * 2006-08-08 2008-02-1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편광 시트 및 편광 시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3573B1 (en) 2012-10-10
KR20090082065A (ko) 2009-07-29
TW200933248A (en) 2009-08-01
US8243367B2 (en) 2012-08-14
CN101493581A (zh) 2009-07-29
JP2009175551A (ja) 2009-08-06
JP4528333B2 (ja) 2010-08-18
EP2083573A2 (en) 2009-07-29
TWI391742B (zh) 2013-04-01
US20090190213A1 (en) 2009-07-30
US8194316B2 (en) 2012-06-05
CN101493581B (zh) 2010-12-08
EP2083573A3 (en) 2010-11-17
US20100041299A1 (en)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616B1 (ko)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82504B1 (ko)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482588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25808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82219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46049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591591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68284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93013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962411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0032675A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立体画像表示装置
JP4811431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立体画像表示装置
JP6071212B2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477088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2128384A (ja) 液晶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