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363B1 -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363B1
KR100961363B1 KR1020080024679A KR20080024679A KR100961363B1 KR 100961363 B1 KR100961363 B1 KR 100961363B1 KR 1020080024679 A KR1020080024679 A KR 1020080024679A KR 20080024679 A KR20080024679 A KR 20080024679A KR 100961363 B1 KR100961363 B1 KR 10096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nipple
holding member
chuck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9605A (ko
Inventor
김정범
Original Assignee
김정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범 filed Critical 김정범
Priority to KR102008002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3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니플 본체에 콜렛을 결합시킬 때 콜렛과 니플 본체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아 콜렛이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조립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개선한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니플 본체에 콜렛을 결합시킬 때 콜렛을 일정 힘으로 가압하여 니플 본체의 입구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니플 본체와 콜렛의 결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50)에 설치되어 콜렛(C)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피더(51)와, 상기한 베이스(50)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 자재하는 이송 실린더(54)와, 상기한 이송실린더(54)에 설치됨과 아울러 수직 실린더(55)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자재하도록 설치되고 하단에 콜렛(C)을 그립할 수 있는 척(56)이 설치되어 있는 승강부재(57)를 포함하는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승강부재(57)에 설치됨과 아울러 척(56)의 측면으로 근접 배치되어 끝단으로 콜렛(C)의 외주변을 가압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된 홀딩부재(1)와, 상기한 척(56)에 콜렛(C)이 그립될 때 콜렛(C)의 외주변을 홀딩부재(1)가 가압하고 척(56)에서 콜렛(C)이 분리될 때는 콜렛(C)의 외주변에서 홀딩부재(1)가 이격되도록 구성된 작동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니플, 콜렛, 조립 지그, 조립장치

Description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omitted}
본 발명은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니플 본체에 콜렛을 결합시킬 때 콜렛과 니플 본체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아 콜렛이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조립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개선한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로 물을 인입시키고 정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튜브를 연결할 때 또는 정수기의 필터들을 튜브로 연결할 때, 튜브의 연결 및 물의 외부 유출 방지를 위해 니플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니플은 유로가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에 입구가 형성된 니플 본체와, 상기한 양측의 입구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한 커버에 끼워져 일정 간격 유동하면서 튜브를 그립하거나 튜브를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콜렛과, 상기한 입구의 내측면에 삽입되어 있는 오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니플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하거나 또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니플 조립 시스템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니플 조립 시스템은 베이스(50)의 상면에 설치되어 콜렛(C)이 순차적 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피더(51)와, 상기한 베이스(5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지지대(52)와, 상기한 상부지지대(52)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지지대(53)와, 상기한 수평지지대(53)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 자재하는 이송 실린더(54)와, 상기한 이송실린더(54)에 설치됨과 아울러 수직 실린더(55)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자재하도록 설치되고 하단에 콜렛(C)을 그립(GRIP)할 수 있는 척(56)이 설치되어 있는 승강부재(57)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베이스(50)의 측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니플 본체(N)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턴테이블(58)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턴테이블(58)이 일정 피치로 회전하면서 니플 본체(N)를 베이스(50)의 측면에 위치시키면 척(56)이 콜렛(C)을 그립하여 니플 본체(N)로 공급하면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니플 조립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피더(51)를 통해 콜렛(C)이 순차적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턴테이블(58)에서 니플 본체(N)가 일정 피치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한 수직 실린더(55)가 하강하면서 척(56)에 콜렛(C)이 그립되도록 한다.
척(56)에 콜렛(C)이 그립되면 다시 수직 실린더(55)가 상승하게 됨과 아울러 이송 실린더(54)가 전진하면서 턴테이블(58)의 니플 본체(N) 상면으로 콜렛(C)을 이송시키게 된다.
콜렛(C)이 니플 본체(N)의 상면에 위치되면 수직 실린더(55)가 하강하면서 니플 본체(N)에 콜렛(C)을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상태로 턴테이블(58)에 안착되어 있는 니 플 본체(N)의 입구(I)에 콜렛(C)이 척(56)에 그립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삽입됨으로써, 자동적으로 니플 본체(N)에 콜렛(C)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척에 콜렛을 그립시켜 니플 본체의 입구에 삽입하게 되면, 콜렛이 니플 본체의 입구에 걸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이 벌어지게 되어 콜렛이 니플 본체의 입구에 삽입되지 않는 결합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즉, 콜렛의 성형 불량 또는 척에 결합된 콜렛과 니플 본체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아 콜렛이 니플 본체의 입구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게 됨으로써, 콜렛이 벌어져 니플 본체의 입구에 걸리게 되고, 콜렛과 니플 본체가 결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니플 본체에 콜렛을 결합시킬 때 콜렛을 일정 힘으로 가압하여 니플 본체의 입구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니플 본체와 콜렛의 결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에 설치되어 콜렛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피더와, 상기한 베이스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 자재하는 이송 실린더와, 상기한 이송실린더에 설치됨과 아울러 수직 실린더에 의해 수 직 방향으로 이동 자재하도록 설치되고 하단에 콜렛을 그립할 수 있는 척이 설치되어 있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승강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척의 측면으로 근접 배치되어 끝단으로 콜렛의 외주변을 가압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된 홀딩부재와, 상기한 척에 콜렛이 그립될 때 콜렛의 외주변을 홀딩부재가 가압하고 척에서 콜렛이 분리될 때는 콜렛의 외주변에서 홀딩부재가 이격되도록 구성된 작동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니플 본체에 콜렛을 조립할 때 콜렛의 끝단이 니플 본체의 입구에 걸리지 않도록, 콜렛의 외주변을 가압하는 홀딩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니플 조립 시 조립 불량을 방지하여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a와 도1b와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1a에서 A-A 선 단면도로서, 하단에 콜렛(C)을 그립할 수 있는 척(56)이 설치된 승강부재(57)와, 상기한 승강부재(57)에 설치됨과 아울러 척(56)의 측면으로 근접 배치되어 끝단으로 콜렛(C)의 외주변을 가압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된 홀딩부재(1)와, 상기한 척(56)에 콜렛(C)이 그립될 때 콜렛(C)의 외주변을 홀딩부재(1)가 가압하고 척(56)에서 콜렛(C)이 분리될 때는 콜렛(C)의 외주변에서 홀딩부재(1)가 이격되도록 구성된 작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승강부재(57)가 수직실린더(55)에 의해 승강하면서 콜렛(C)을 그 립할 때, 상기한 작동수단이 작동하면서 콜렛(C)의 외주변을 홀딩부재(1)가 가압하여 니플 본체(N)의 입구(I)에 걸리지 않으면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작동수단은 홀딩부재(1)를 승강시키도록 승강부재(57)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실린더(2)와, 상기한 승강실린더(2)의 하향 시 홀딩부재(1)의 선단을 가압하여 콜렛(C)에 밀착시키고 상향 시 홀딩부재(1)의 선단이 콜렛(C)에서 이격되도록 홀딩부재(1)에 형성된 꺾임부(3)와, 상기한 홀딩부재(1)가 하향될 때 꺾임부(3)가 눌리면서 콜렛(C)과 홀딩부재(1)의 선단이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승강부재(57)의 저면에 설치된 가압부재(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가압부재(4)는 승강부재(57)의 저면에서 고정축(5)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다수의 홀딩부재(1)가 관통 및 유동 자재하도록 다수의 유동홈(6)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홀딩부재(1)는 소정 탄성을 갖는 재질로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니플 본체(N)에 콜렛(C)을 결합하기 위해서, 턴테이블(58)에 니플 본체(N)를 공급함과 아울러 베이스(50)의 피더(51)에 콜렛(C)을 순차 공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수직 실린더(55)가 작동하면 승강부재(57) 및 여기에 설치된 척(56)이 하강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한 홀딩부재(1)는 도1a와 같이 척(56)에서 이격된 상태로 하강을 하게 된다.
승강부재(57) 및 척(56)이 하강하면서 척(56)에 콜렛(C)이 그립되면, 승강실 린더(2)가 작동하면서 도1b와 같이 홀딩부재(1)를 하강시키게 된다.
홀딩부재(1)가 하강되면 홀딩부재(1)의 꺾임부(3)가 가압부재(4)의 유동홈(6)에 의해 눌리면서 안쪽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한 홀딩부재(1)의 선단이 콜렛(C)의 외주변을 소정 힘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콜렛(C)이 척(56)에 그립되면서 홀딩부재(1)에 의해 외주변이 눌리게 되면, 수직실린더(55)가 상승함과 아울러 이송실린더(54)가 작동하여 승강부재(57) 및 척(56)을 턴테이블(58)에 안착된 니플 본체(N)의 상면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니플 본체(N)의 상면으로 척(56)에 그립된 콜렛(C)이 이송되면 다시 수직실린더(55)가 하강하면서 니플 본체(N)의 입구(I)에 콜렛(C)을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재(1)가 콜렛(C)의 외주변을 가압하게 되면, 니플 본체(N)의 입구(I)보다 콜렛(C)의 삽입되는 부분의 직경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니플 본체(N)의 입구(I)에 삽입 시 콜렛(C)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콜렛(C)이 니플 본체(N)의 입구에 삽입되면 다시 승강실린더(2)가 작동하여 홀딩부재(1)를 상향시키게 되는 바, 홀딩부재(1)가 상향되면 꺾임부(3)가 가압부재(4)의 유동홈(6)을 벗어나기 때문에 홀딩부재(1)가 자체 탄성에 의해 원위치되고, 콜렛(C)의 외주변으로부터 이격된다.
콜렛(C)의 외주변에서 홀딩부재(1)가 이격되면 수직실린더(55)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한 동작을 반복하면서 니플 본체(N)에 콜렛(C)을 연속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1b는 도1a에서 홀딩부재가 콜렛을 그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2는 도1a에서 A-A 선 단면도,
도3은 도1b에서 척 및 홀딩부재에 그립된 콜렛이 니플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니플 조립 시스템의 일반적인 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5는 도4에서 척에 결합된 콜렛과 니플 본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홀딩부재 2: 승강실린더
3: 꺾임부 4: 가압부재
5: 고정축 6: 유동홈
C: 콜렛 N: 니플본체
I: 입구

Claims (3)

  1. 삭제
  2. 베이스에 설치되어 콜렛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피더와, 상기한 베이스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 자재하는 이송 실린더와, 상기한 이송실린더에 설치됨과 아울러 수직 실린더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자재하도록 설치되고 하단에 콜렛을 그립할 수 있는 척이 설치되어 있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승강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척의 측면으로 근접 배치되어 끝단으로 콜렛의 외주변을 가압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된 홀딩부재와, 상기한 홀딩부재를 승강시키도록 승강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실린더와, 상기한 승강실린더의 하향 시 홀딩부재의 선단을 가압하여 콜렛에 밀착시키고 상향 시 홀딩부재의 선단이 콜렛에서 이격되도록 홀딩부재에 형성된 꺾임부와, 상기한 홀딩부재가 하향될 때 꺾임부가 눌리면서 콜렛과 홀딩부재의 선단이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승강부재의 저면에 설치된 가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압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승강부재의 저면에서 고정축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다수의 홀딩부재가 관통 및 유동 자재하도록 다수의 유동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
KR1020080024679A 2008-03-18 2008-03-18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 KR10096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679A KR100961363B1 (ko) 2008-03-18 2008-03-18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679A KR100961363B1 (ko) 2008-03-18 2008-03-18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605A KR20090099605A (ko) 2009-09-23
KR100961363B1 true KR100961363B1 (ko) 2010-06-04

Family

ID=4135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679A KR100961363B1 (ko) 2008-03-18 2008-03-18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3030A (zh) * 2020-01-18 2020-05-08 浙江农林大学暨阳学院 一种长尾夹装配装置
CN111571166B (zh) * 2020-05-14 2022-03-04 广州爱高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空滤管过滤网装配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624U (ko) 1987-06-02 1988-12-13
JP2004351565A (ja) 2003-05-29 2004-12-16 Shinto:Kk 電動ドライバー
KR100700050B1 (ko) * 2005-12-30 2007-03-29 경신공업 주식회사 볼트 공급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624U (ko) 1987-06-02 1988-12-13
JP2004351565A (ja) 2003-05-29 2004-12-16 Shinto:Kk 電動ドライバー
KR100700050B1 (ko) * 2005-12-30 2007-03-29 경신공업 주식회사 볼트 공급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605A (ko)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929615U (zh) 用于阀体的挡圈安装装置
KR20110139516A (ko) 패킹 조립장치
KR100961363B1 (ko)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
CN102001081A (zh) 一种卡簧自动安装装置
CN202479301U (zh) 自动打头机
KR20120043838A (ko) 스프링 삽입장치
CN113526126B (zh) 一种底盖拆分机
KR100990478B1 (ko)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공급지그
CN108580625B (zh) 一种液压翻边机构
CN211971006U (zh) 一种对针座自动定位的吸附式末端执行器
CN201848821U (zh) 一种卡簧自动安装装置
CN104624779B (zh) 一种管材冲孔机
CN105500287B (zh) 一种全自动孔用卡簧装配机
CN108859159B (zh) 一种输血器滴斗瓶分离供料装置
KR100980396B1 (ko) 캐리어에 대한 피씨비 기판 탑재기
CN111331235B (zh) 一种线束穿线管道焊接机和焊接方法
US8495814B1 (en) Reactor installation and removal tools
CN210498644U (zh) 一种锚具夹片攻丝装置
CN207890894U (zh) 一种箱型构件起吊设备
CN220480034U (zh) 冲床用钣金下料吸料装置
CN215597250U (zh) 一种锅炉用钟罩式风帽
CN217020431U (zh) 一种能自动识别并更换吸盘的芯片夹持装置
KR20130115905A (ko) 오링 성형 장치
CN220331122U (zh) 一种管材检测固定装置
CN212443930U (zh) 一种自动化焊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