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478B1 -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공급지그 - Google Patents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공급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478B1
KR100990478B1 KR1020080075150A KR20080075150A KR100990478B1 KR 100990478 B1 KR100990478 B1 KR 100990478B1 KR 1020080075150 A KR1020080075150 A KR 1020080075150A KR 20080075150 A KR20080075150 A KR 20080075150A KR 100990478 B1 KR100990478 B1 KR 100990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nut
insert
jaw
supply unit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571A (ko
Inventor
박민혜
Original Assignee
박민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혜 filed Critical 박민혜
Priority to KR102008007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4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에 관한 것으로, 스트리퍼부시취부판에 연결되어서 이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 공급유니트취부판에 고정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되는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최하단의 인서트너트를 파지하고, 인서트너트가 인서트너트핀에 하나씩 공급되도록 하는 죠; 외주면이 스트리퍼부시취부판에 고정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되고, 내주면이 죠의 둘레에 위치되어서 승강시 죠에 인서트너트가 파지되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스트리퍼부시; 슬라이드테이블 및 공급유니트취부판에 설치되어서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가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되면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공급유니트취부판 하강제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적층된 인서트너트들이 인서트너트핀 측으로 하나씩만 공급되므로 인서트너트의 자동 공급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비교적 간단한 유압실린더의 승강 작동으로 인해 여러 부품들이 유기적으로 작동되면서 인서트너트가 공급되므로 인서트너트 공급지그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가의 구동장치인 유압실린더가 최소로 사용되므로 전체 설비비가 절감된다.
인서트너트, 유압실린더, 죠,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 스트리퍼부시

Description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Insert nut supply jig for insert nut self-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적층된 인서트너트들이 하나씩만 공급되며, 인서트너트를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매우 간단한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케이스(C) 등과 같이 합성수지재에 의해 사출성형되는 부품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부품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인서트너트(N)가 투입된 후 사출성형된다.
종래의 인서트너트(N)를 금형의 사전에 설정된 위치에 공급시키기 위해서는 로봇의 엔드 이펙터 등을 이용하여 인서트너트(N)를 하나씩 집어서 금형의 특정 위치로 공급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인서트너트(N)를 하나씩 공급하므로 사출품에 다수의 인서트 부재가 필요한 경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수개의 인서트너트를 정해진 위치에 정렬시켜서 로봇의 엔드 이펙터가 한 번에 다수의 인서트 부재를 픽업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인서트 부재 정렬 시스템(실용신안등록 제0384714호)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인서트 부재 정렬 시스템은, 파츠피더에 의해 인서트 부재를 메인 플레이트에 다수 형성된 인서트 부재 이송홈의 인서트 부재 투입구로 연속적으로 유입시키면 상기 인서트 부재 투입구로 유입된 인서트 부재는 압축공기에 의해 인서트 부재 이송홈의 단부로 이송정렬되고, 상기 인서트부재 이송홈의 단부로 이송 정렬된 다수의 인서트 부재는 인서트 부재 이송홈의 단부 직하부에 설치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승되는 다수의 푸싱핀에 의해 메인 플레이트 상측으로 올라서게 되며, 메인 플레이트 상측으로 올라선 다수의 인서트 부재는 모두 로봇의 엔드 이펙터가 픽업하여 금형 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서트 부재 정렬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서트 부재를 공급하는 방법은, 인서트 부재를 파츠피더와 압축공기로 인서트 부재 이송홈의 단부로 이송 정렬시키되 마찰저항을 받고 이송되므로 인서트 부재의 이송이 원활하지 못함은 물론 푸싱핀으로 인서트 부재를 밀어 올리는 과정에서 다음 인서트 부재가 넘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작업이 수시로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서트 부재 자동 공급장치(실용신안등록 제20-431809호)가 개발된 바 있다. 이는, 다수의 인서트 부재가 공급봉에 삽입된 상 태로 준비되어 있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낙하되는 인서트 부재가 하나씩 낙하되도록 공급봉의 하부에는 1차걸림편과 2차걸림편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1차걸림편은, 한쌍의 두 판들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서로 맞물리거나 벌어지도록 작동되며 이와 같이 작동되면서 하나의 인서트 부재의 둘레를 파지하여 홀딩시키거나 해제하면서 하나씩 하측으로 낙하시킨다.
2차걸림편은, 1차걸림편들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1차걸림편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1차걸림편을 지나 하측으로 낙하되는 인서트 부재가 일시 안착되도록 하며, 1차걸림편과는 반대로 작동된다.
즉, 1차걸림편의 두 판들이 서로 벌어지도록 작동되어서 이에 지지된 하나의 인서트 부재가 하측으로 낙하되면 2차걸림편의 두 판들은 서로 밀착되도록 작동되어서 낙하되는 인서트 부재가 그 위에 안착되도록 한다.
2차걸림편의 두 판들이 서로 벌어지도록 작동되면서 안착된 인서트 부재가 하측으로 낙하되면 1차걸림편의 두 판들은 서로 밀착되도록 작동되어서 2차걸림편에 안착된 인서트 부재가 그 하측으로 낙하되는 동안 상측의 인서트 부재가 낙하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인서트 부재 자동 공급장치는, 인서트 부재를 하나씩 낙하시키기 위해 많은 부품들이 필요하다. 즉, 서로 맞물리거나 벌어지도록 설치되는 두 판들로 이루어진 1차걸림편과, 1차걸림편의 두 판들을 공압으로 작동시키는 구동수단과, 두 판들로 이루어져서 1차걸림편을 통과한 인서트 부재를 지지하는 2차 걸림편과, 2차걸림편을 공압으로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인서트 부재를 하나씩 낙하시키기 위해 여러 부품들 및 구동수단들이 필요하므로 설비비가 그만큼 증가되고, 부품들의 손상, 수리 및 오동작의 우려가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인서트 부재 자동 공급장치는, 인서트 부재가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서 공급되는 구조이므로 적층된 인서트 부재들이 하나씩만 일정한 시간차로 낙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최하단측 인서트 부재와 인접한 그 상측의 인서트 부재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밀착된 경우가 아니더라도 이들 사이에 습기나 이물질 등에 의해 서로 접촉 저항이 발생될 경우, 2차걸림편이 열리더라도 최하단측의 인서트 부재가 신속히 낙하되지 못하여 오동작이 발생될 우려가 상존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된 인서트너트들이 하나씩만 공급되도록 한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서트너트를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매우 간단하도록 한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는, 정렬된 다수의 인서트너트를 슬라이드테이블 상에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에 있어서, 슬라이드테이블 상부의 인서트너트핀홀더에 설치되어서 하나씩 공급되는 인서트너트가 안착되는 인서트너트핀; 상기 인서트너트핀홀더에 고정된 센서고정블록에 설치되고 컨트롤러에 연결되어서 상기 인서트너트핀에 안착되는 인서트너트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센서; 상기 슬라이드테이블의 상부에 위치되고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스트리퍼부시취부판; 상기 슬라이드테이블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리퍼부시취부판에 연결되어서 이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 상기 스트리퍼부시취부판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스트리퍼부시취부판의 승강시 이와 함께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공급유니트취부판; 상기 공급유니트취부판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이를 하 측방향으로 눌러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공급유니트취부판에 고정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되고, 내부에 다수의 인서트너트가 적재되는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 상기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최하단의 인서트너트를 파지하고, 인서트너트가 상기 인서트너트핀에 하나씩 공급되도록 하는 죠; 외주면이 상기 스트리퍼부시취부판에 고정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되고, 내주면이 상기 죠의 둘레에 위치되어서 승강시 상기 죠에 인서트너트가 파지되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스트리퍼부시; 상기 슬라이드테이블 및 공급유니트취부판에 설치되어서 상기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가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되면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공급유니트취부판 하강제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는, 상기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는, 상기 공급유니트취부판에 고정되고 다수의 인서트너트가 적재되는 인서트너트취출관과, 상기 인서트너트취출관 및 에어펌프에 연결되어서 상기 인서트너트취출관 내부의 인서트너트를 그 하단측으로 밀어내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와, 적재된 상기 인서트너트의 중앙에 삽입되어서 상기 인서트너트들이 정렬되도록 하는 인서트너트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의 다른 특징은, 상기 죠는, 상측에 상기 스트리퍼부시의 하강시 눌리도록 제1곡면 및 제2곡면이 형성된 제1누름부 및 제2누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 인서트너트의 양측을 파지하도록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형성된 제1죠 및 제2죠와, 상기 제1죠 및 제2죠의 중앙부분과 인서트너트취출관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죠 및 제2죠가 회동되 도록 안내하는 제1힌지핀 및 제2힌지핀과, 상기 제1죠의 제1누름부 및 제2죠의 제2누름부에 지지되어서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상기 인서트너트에 탄성적으로 파지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는, 상기 스트리퍼부시는, 하부 내측둘레에 상기 제1죠의 제1누름부 및 제2죠의 제2누름부 둘레가 위치되도록 대구경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내측둘레에 상기 인서트너트취출관의 둘레가 위치되도록 소구경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강시 상기 제1죠의 제1곡면 및 제2죠의 제2곡면을 눌러서 상기 제1죠 및 제2죠가 제1힌지핀 및 제2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대구경면 및 소구경면 사이에 테이퍼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는, 상기 공급유니트취부판 하강제한수단은, 상기 슬라이드테이블에 고정되고 상부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된 가이드부시와, 상부가 상기 공급유니트취부판에 고정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되고 하강시 하단이 상기 가이드부시의 가이드구멍에 삽입되는 가이드핀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가 작동되어서 스트리퍼부시취부판을 하강시키면 압축스프링에 의해 공급유니트취부판이 함께 하강되고, 가이드핀이 가이드부시에 삽입되면서 공급유니트취부판의 하강이 멈추게 되며, 이때 유압실린더가 더 작동되면서 스트리퍼부시취부판을 더 하강시켜 스트리퍼부시의 테이퍼면이 죠의 제1누름부 및 제2누름부를 누르게 하므로 파지하고 있던 인서트너트를 해제시 킨다. 최하단의 인서트너트가 죠로부터 해제되면 에어호스에 에어가 공급되어서 최하단의 인서트너트가 인서트너트핀에 삽입되고, 인서트너트가 공급되면 유압실린더가 작동되어서 스트리퍼부시취부판 및 스트리퍼부시를 상승시켜 죠의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대응 인서트너트를 파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최하단의 인서트너트가 인서트너트핀에 공급되면 죠의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그 상측의 인서트너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승되므로 인서트너트핀에는 항상 하나의 인서트너트만 공급된다. 그러므로 적층된 인서트너트들이 인서트너트핀 측으로 하나씩만 공급되므로 인서트너트의 자동 공급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그만큼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스트리퍼부시취부판, 스트리퍼부시, 공급유니트취부판,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의 승강 작동과, 죠의 벌림 및 파지 작동이 유압실린더의 승강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유압실린더의 승강 작동으로 인해 여러 부품들이 유기적으로 작동되면서 인서트너트가 공급되므로 인서트너트 공급지그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가의 구동장치인 유압실린더가 최소로 사용되므로 전체 설비비가 절감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를 보인 부분 단면도 및 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인서트너트 공급유니트 및 스트리퍼부시가 1차 하강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및 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스트리퍼부시가 2차로 하강되어서 최하단의 인서트너트가 공급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및 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인서트너트의 공급 후 스트리퍼부시가 1차 상승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및 그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 및 스트리퍼부시가 2차 상승되어서 공급 완료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및 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는, 정렬된 다수의 인서트너트(31)를 슬라이드테이블(2) 상에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써, 슬라이드테이블(2) 상부의 인서트너트핀홀더(4)에는 하나씩 공급되는 인서트너트(31)가 안착되도록 인서트너트핀(6)이 구비되어 있다.
인서트너트핀홀더(4)에 고정된 센서고정블록(8)에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서 인서트너트핀(6)에 안착되는 인서트너트(31)의 유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전달하도록 센서(9)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테이블(2)의 상부에는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은, 후술할 유압실린더(14)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는 스트리퍼부시(56)가 고정되어 있고, 그 둘레에는 후술할 가이드핀(70)이 삽입되도록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테이블의 양측에는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에 연결되어서 이를 승강시키도록 유압실린더(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압실린더(14)는 슬라이드테이 블(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지만 슬라이드테이블(2)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유압실린더(14)가 슬라이드테이블(2)이 일측에만 설치될 경우, 슬라이드테이블(2)의 타측에는 승강되는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봉(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의 상부에는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의 승강시 이와 함께 승강되도록 공급유니트취부판(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급유니트취부판(16)은 양측이 고정편(18)에 고정된 가이드축(20) 상에 결합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공급유니트취부판(16)의 상부와 고정편(18)의 하부에는 압축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압축스프링(22)에 의해 공급유니트취부판(16)이 하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의 상면 및 공급유니트취부판(16)의 저면에는 각각 부시(23)가 고정되어 있다.
공급유니트취부판(16)에는 내부에 다수의 인서트너트(31)가 적재되는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24)가 고정되어 있다. 이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24)는 공급유니트취부판(16)에 고정되고 다수의 인서트너트(31)가 적재되는 인서트너트취출관(26)과, 인서트너트취출관(26) 및 에어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서 인서트너트취출관(26) 내부의 인서트너트(31)를 그 하단측으로 밀어내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28)와, 적재된 인서트너트(31)의 중앙에 삽입되어서 인서트너트(31)들이 정렬되도록 하는 인서트너트(31)줄로 이루어진다.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24)의 하부에는 최하단의 인서트너트(31)를 파지하고, 인서트너트(31)가 인서트너트핀(6)에 하나씩 공급되도록 죠(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죠(32)는, 제1죠(34) 및 제2죠(42), 제1힌지핀(50) 및 제2힌지핀(52), 인장스프링(54)으로 이루어진다.
제1죠(34) 및 제2죠(42)는, 상측에 스트리퍼부시(56)의 하강시 눌리도록 제1곡면(38) 및 제2곡면(46)이 형성된 제1누름부(36) 및 제2누름부(44)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인서트너트(31)의 양측을 파지하도록 제1파지부(40) 및 제2파지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제1힌지핀(50) 및 제2힌지핀(52)은, 제1죠(34) 및 제2죠(42)의 중앙부분과 인서트너트취출관(26)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제1죠(34) 및 제2죠(42)가 회동되도록 안내한다. 인장스프링(54)은, 제1죠(34)의 제1누름부(36) 및 제2죠(42)의 제2누름부(44)에 지지되어서 제1파지부(40) 및 제2파지부(48)가 인서트너트(31)에 탄성적으로 파지되도록 한다.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의 중앙에는 스트리퍼부시(56)가 고정된다. 이 스트리퍼부시(56)는 외주면이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에 고정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되고, 내주면이 죠(32)의 둘레에 위치되어서 승강시 죠(32)에 인서트너트(31)가 파지되거나 해제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트리퍼부시(56)는, 하부 내측둘레에 제1죠(34)의 제1누름부(36) 및 제2죠(42)의 제2누름부(44) 둘레가 위치되도록 대구경면(58)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내측둘레에 인서트너트취출관(26)의 둘레가 위치되도록 소구경면(60)이 형성되어 있다. 대구경면(58)과 소구경면(60) 사이에는, 하강시 제1죠(34)의 제1곡면(38) 및 제2죠(42)의 제2곡면(46)을 눌러서 제1죠(34) 및 제2죠(42)가 제1힌지핀(50) 및 제2힌지핀(52)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테이퍼면(6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테이블(2) 및 공급유니트취부판(16)에는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24)가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되면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공급유니트취부판 하강제한수단(6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급유니트취부판 하강제한수단(64)은, 슬라이드테이블(2)에 고정되고 상부에 가이드구멍(68)이 형성된 가이드부시(66)와, 상부가 공급유니트취부판(16)에 고정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되고, 하강시 하단이 가이드부시(66)의 가이드구멍(68)에 삽입되는 가이드핀(7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테이블(2)이 이송되어서 슬라이드테이블(2) 상부의 인서트너트핀(6)이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2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인서트너트(31) 공급 대기 상태가 완료되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4)가 작동되어서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을 1차로 하강시킨다.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이 하강되면 압축스프링(22)이 공급유니트취부판(16)을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하강되는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과 함께 하강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14)가 작동되면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 및 공급유니트취부판(16)이 함께 1차 하강된다.
공급유니트취부판(16)이 하강되면서 가이드핀(70)이 가이드부시(66)에 삽입 되며,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핀(70)이 가이드부시(66)에 완전히 삽입되면 공급유니트취부판(16)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는다.
여기서,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과 가이드핀(70)은 서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서로 슬라이드되도록 삽입된 상태이므로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은 가이드핀(70)을 따라 더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유니트취부판(16)이 더 이상 하강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은 더 하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유압실린더(14)가 더 작동되면서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을 더 하강시키면 이와 함께 스트리퍼부시(56)가 하강된다. 하강되는 스트리퍼부시(56)는 그 테이퍼면(62)이 제1죠(34) 및 제2죠(42)를 누르면서 제1파지부(40) 및 제2파지부(48)를 벌린다.
즉, 스트리퍼부시(56)의 테이퍼면(62)이 하강되면서 제1누름부(36)의 제1곡면(38)과 제2누름부(44)의 제2곡면(46)을 누르면 제1죠(34) 및 제2죠(42)가 제1힌지핀(50) 및 제2힌지핀(5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제1파지부(40) 및 제2파지부(48)가 벌어지게 되며, 파지하고 있던 인서트너트(31)를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스트리퍼부시(56)에 의해 최하단의 인서트너트(31)가 죠(32)로부터 해제되면 에어호스(28)에 에어가 공급되어서 최하단의 인서트너트(31)가 인서트너트핀(6)에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너트(31)가 인서트너트핀(6)에 공급되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4)가 작동되어서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 및 스트리퍼부시(56)를 1차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제1죠(34)의 제1곡면(38) 및 제2죠(42)의 제2곡면(46)이 스트리퍼부시(56)의 테이퍼면(62)을 벗어나면서 대구경면(58)에 위치되며, 인장스프링(54)의 복원력에 의해 제1힌지핀(50) 및 제2힌지핀(5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죠(32)의 제1파지부(40) 및 제2파지부(48)가 대응 인서트너트(31)를 파지한다.
따라서 최하단의 인서트너트(31)가 인서트너트핀(6)에 공급되면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 및 스트리퍼부시(56)가 1차 상승되면서 죠(32)의 제1파지부(40) 및 제2파지부(48)가 이미 공급된 인서트너트(31)의 상부에 있는 다른 인서트너트(31)를 파지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4)가 계속 작동되어서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이 2차 상승되면 공급유니트취부판(16)이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에 의해 상측으로 밀리면서 이와 함께 상승되면서 인서트너트(31)의 공급을 완료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는, 최하단측 인서트너트(31)가 인서트너트핀(6)에 공급되면 죠(32)가 공급된 인서트너트(31)의 상부에 있는 다른 인서트너트(3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승하므로 인서트너트핀(6)에는 항상 하나의 인서트너트(31)만 공급된다.
그러므로 적층된 인서트너트(31)들이 인서트너트핀(6) 측으로 하나씩만 공급되므로 인서트너트(31)의 자동 공급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그만큼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 스트리퍼부시(56), 공급유 니트취부판(16),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24)의 승강 작동과, 죠(32)의 벌림 및 파지 작동이 유압실린더(14)의 승강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유압실린더(14)의 승강 작동으로 인해 여러 부품들이 유기적으로 작동되면서 인서트너트(31)가 공급되므로 인서트너트 공급지그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가의 구동장치인 유압실린더(14)가 최소로 사용되므로 전체 설비비가 절감된다.
도 1은 인서트너트가 구비된 일반적인 핸드폰 케이스를 보인 개략적 배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를 보인 부분 단면도 및 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 및 스트리퍼부시가 1차 하강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및 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스트리퍼부시가 2차로 하강되어서 최하단의 인서트너트가 공급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및 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인서트너트의 공급 후 스트리퍼부시가 1차 상승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및 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 및 스트리퍼부시가 2차 상승되어서 공급 완료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및 그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슬라이드테이블 4 : 인서트너트핀홀더
6 : 인서트너트핀 8 ; 센서고정블록
9 : 센서 10 : 스트리퍼부시취부판
12 : 관통구멍 14 : 유압실린더
16 : 공급유니트취부판 18 : 고정편
20 : 가이드축 22 : 압축스프링
23 : 부시 24 :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
26 : 인서트너트취출관 28 : 에어호스
30 : 인서트너트줄 31 : 인서트너트
32 : 죠 34 : 제1죠
36 : 제1누름부 38 : 제1곡면
40 : 제1파지부 42 : 제2죠
44 : 제2누름부 46 : 제2곡면
48 : 제2파지부 50 : 제1힌지핀
52 : 제2힌지핀 54 : 인장스프링
56 : 스트리퍼부시 58 : 대구경면
60 : 소구경면 62 : 테이퍼면
64 : 공급유니트취부판 하강제한수단
66 : 가이드부시 68 : 가이드구멍
70 : 가이드핀

Claims (4)

  1. 정렬된 다수의 인서트너트를 슬라이드테이블 상에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에 있어서,
    슬라이드테이블(2) 상부의 인서트너트핀홀더(4)에 설치되어서 하나씩 공급되는 인서트너트(31)가 안착되는 인서트너트핀(6);
    상기 인서트너트핀홀더(4)에 고정된 센서고정블록(8)에 설치되고 컨트롤러에 연결되어서 상기 인서트너트핀(6)에 안착되는 인서트너트(31)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센서(9);
    상기 슬라이드테이블(2)의 상부에 위치되고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
    상기 슬라이드테이블(2)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에 연결되어서 이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14);
    상기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의 승강시 이와 함께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공급유니트취부판(16);
    상기 공급유니트취부판(16)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이를 하측방향으로 눌러 지지하는 압축스프링(22);
    상기 공급유니트취부판(16)에 고정되고 다수의 인서트너트(31)가 적재되는 인서트너트취출관(26)과,
    상기 인서트너트취출관(26) 및 에어펌프에 연결되어서 상기 인서트너트취출 관(26) 내부의 인서트너트(31)를 그 하단측으로 밀어내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28)와,
    적재된 상기 인서트너트(31)의 중앙에 삽입되어서 상기 인서트너트(31)들이 정렬되도록 하는 인서트너트줄(30)로 이루어진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24);
    상기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24)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최하단의 인서트너트(31)를 파지하고, 인서트너트(31)가 상기 인서트너트핀(6)에 하나씩 공급되도록 하는 죠(32);
    외주면이 상기 스트리퍼부시취부판(10)에 고정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되고, 내주면이 상기 죠(32)의 둘레에 위치되어서 승강시 상기 죠(32)에 인서트너트(31)가 파지되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스트리퍼부시(56);
    상기 슬라이드테이블(2) 및 공급유니트취부판(16)에 설치되어서 상기 인서트너트공급유니트(24)가 일정한 거리만큼 하강되면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공급유니트취부판 하강제한수단(6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죠(32)는,
    상측에 상기 스트리퍼부시(56)의 하강시 눌리도록 제1곡면(38) 및 제2곡면(46)이 형성된 제1누름부(36) 및 제2누름부(44)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 인서트너트(31)의 양측을 파지하도록 제1파지부(40) 및 제2파지부(48)가 형성된 제1 죠(34) 및 제2죠(42)와,
    상기 제1죠(34) 및 제2죠(42)의 중앙부분과 인서트너트취출관(26)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죠(34) 및 제2죠(42)가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힌지핀(50) 및 제2힌지핀(52)과,
    상기 제1죠(34)의 제1누름부(36) 및 제2죠(42)의 제2누름부(44)에 지지되어서 상기 제1파지부(40) 및 제2파지부(48)가 상기 인서트너트(31)에 탄성적으로 파지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5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부시(56)는,
    하부 내측둘레에 상기 제1죠(34)의 제1누름부(36) 및 제2죠(42)의 제2누름부(44) 둘레가 위치되도록 대구경면(58)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내측둘레에 상기 인서트너트취출관(26)의 둘레가 위치되도록 소구경면(6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강시 상기 제1죠(34)의 제1곡면(38) 및 제2죠(42)의 제2곡면(46)을 눌러서 상기 제1죠(34) 및 제2죠(42)가 제1힌지핀(50) 및 제2힌지핀(52)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대구경면(58) 및 소구경면(60) 사이에 테이퍼면(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니트취부판 하강제한수단(64)은,
    상기 슬라이드테이블(2)에 고정되고 상부에 가이드구멍(68)이 형성된 가이드 부시(66)와,
    상부가 상기 공급유니트취부판(16)에 고정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되고 하강시 하단이 상기 가이드부시(66)의 가이드구멍(68)에 삽입되는 가이드핀(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 공급지그.
KR1020080075150A 2008-07-31 2008-07-31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공급지그 KR100990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150A KR100990478B1 (ko) 2008-07-31 2008-07-31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공급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150A KR100990478B1 (ko) 2008-07-31 2008-07-31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공급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571A KR20100013571A (ko) 2010-02-10
KR100990478B1 true KR100990478B1 (ko) 2010-10-29

Family

ID=4208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150A KR100990478B1 (ko) 2008-07-31 2008-07-31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공급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846B1 (ko) * 2016-05-24 2016-10-27 강종원 취출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3701A (zh) * 2013-04-28 2013-07-17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辅助固定装置
CN103707224A (zh) * 2014-01-08 2014-04-09 安徽星瑞齿轮传动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内孔衬套的夹具
CN107649872A (zh) * 2017-09-30 2018-02-02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一种自适应机构
CN116475720A (zh) * 2023-06-25 2023-07-25 苏州施米特机械有限公司 一种自冲铆冲头及其自冲铆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013Y1 (ko) 2004-10-11 2004-12-23 주식회사 우성티오티 사출물 인서트 장치의 팸너트 공급기구
KR200373885Y1 (ko) 2004-10-11 2005-01-27 주식회사 우성티오티 팸너트 인서트 및 검사장치
KR100754774B1 (ko) 2006-10-27 2007-09-03 주식회사 삼광 휴대폰케이스 제조용 너트 인서트장치의 자동화 공정 및장치
KR100822118B1 (ko) 2007-12-28 2008-04-15 주식회사 신양엔지니어링 사출금형의 측면에서 인서트너트를 취출 및 공급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013Y1 (ko) 2004-10-11 2004-12-23 주식회사 우성티오티 사출물 인서트 장치의 팸너트 공급기구
KR200373885Y1 (ko) 2004-10-11 2005-01-27 주식회사 우성티오티 팸너트 인서트 및 검사장치
KR100754774B1 (ko) 2006-10-27 2007-09-03 주식회사 삼광 휴대폰케이스 제조용 너트 인서트장치의 자동화 공정 및장치
KR100822118B1 (ko) 2007-12-28 2008-04-15 주식회사 신양엔지니어링 사출금형의 측면에서 인서트너트를 취출 및 공급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846B1 (ko) * 2016-05-24 2016-10-27 강종원 취출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571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478B1 (ko) 생산성을 향상시킨 인서트너트 자동공급장치용 인서트너트공급지그
KR101026858B1 (ko) Nc프레스 픽업장치
KR101173274B1 (ko) 패킹 조립장치
CN109605662B (zh) 一种叠推式管体全自动上料装置和上料方法
CN111152008A (zh) 一种锁夹和弹簧座的装配装置
KR20120043838A (ko) 스프링 삽입장치
CN111152010B (zh) 内燃机气门组件装配设备
CN113352099A (zh) 一种安全注射器自动化组装产线
TWM609015U (zh) 先進先出運輸設備
CN109366170B (zh) 一种转动连接件的装配设备
KR100487796B1 (ko) 취출기의 인서트시스템
CN116140536A (zh) 自动铆接机
CN110640435A (zh) 一种能够筛分下料的线圈支架组装设备
CN115351327A (zh) 风力发电叶片芯材钻孔设备和方法
JP2013132700A (ja) 部品移送組付装置
CN202319282U (zh) 压痕烫金机送纸机构的吹纸装置
CN215200513U (zh) 一种多功能花洒组装机
JP4045503B2 (ja) 物品把持装置
KR101398564B1 (ko) 오링 성형 장치
CN214867011U (zh) 一种连板定位移载装置
KR100961363B1 (ko) 니플의 콜렛 조립 장치
CN111390955A (zh) 一种导杆隔板一体夹具及其夹持工件的方法
CN111152011B (zh) 一种内燃机气门组件用弹簧座的上料装置
TWI739647B (zh) 先進先出運輸設備及其使用方法
CN114211246B (zh) 一种门锁壳体组件自动组装设备及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