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765B1 -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765B1
KR100959765B1 KR1020080086377A KR20080086377A KR100959765B1 KR 100959765 B1 KR100959765 B1 KR 100959765B1 KR 1020080086377 A KR1020080086377 A KR 1020080086377A KR 20080086377 A KR20080086377 A KR 20080086377A KR 100959765 B1 KR100959765 B1 KR 100959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agnets
magnet
rotation
liquid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448A (ko
Inventor
정봉관
김재홍
유대일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080086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7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7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6Methods for cleaning the liquid crystal cells, or components thereof, during manufacture: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는 회전 구동축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N개의 구동자석을 가지며 나란히 배열된 2개의 회전 구동축, 상기 회전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2개의 모터, 및 양쪽 단부에 피동자석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자석이 상기 구동자석과 마주하도록 2개의 회전 구동축 사이에 배열된 N개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상기 2개의 회전 구동축 사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자석, 피동자석,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 회전 구동축, 처리액 샤워 파이프, 균일 처리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Processing Apparatus for FPD Glass Using Magnet}
제1도는 종래 처리장치에 의한 처리공정의 개략도로서 도1a는 정면도, 도1b는 평면도이다.
제2도는 종래 노즐 오실레이션 및 파이프 스윙 방식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3도는 종래 노즐 오실레이션 처리 장치의 개략도로서 도3a는 측면도이고, 도3b는 평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제5a도 및 제5b도는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6a도 내지 제6d도는 회전구동축 회전에 따른 처리액 샤워 파이프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7도는 서로 이웃한 구동자석의 각도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킨 회전 구동축의 사시도이다.
제8도는 도7에 도시된 회전 구동축을 사용한 경우 처리액 샤워파이프의 위치 및 이동속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20 : 회전 구동축 11, 21 : 구동자석
12, 22 : 모터 30 : 처리액 샤워 파이프
31, 32 : 피동자석 40 : 차폐막
50 : 직선 슬라이드 베어링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글래스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구동자석을 갖는 2개의 구동축에 의해 복수개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오실레이션되는 새로운 형태의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FPD(Flat Panel Display) 글래스를 처리하는 공정으로 액상의 세정액, 에칭액, 현상액 등을 이용하여 FPD 글래스를 세정, 에칭, 현상 또는 스트립핑하는 습윤 공정이 있다.
도1a와 도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습윤 공정 동안에는 통상 FPD 글래스(3)가 컨베이어 수단(2)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수평 이동하고(A방향), 그 상부에 위치한 처리액 샤워 파이프(10)의 분사 노즐(1)을 통해 액상의 물질이 분사되면서 FPD 글래스 표면이 세정, 에칭, 현상, 스트립핑 (이하 '처리') 되며, 처리의 균일성을 위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액 샤워 파이프를 좌우로 오실레이션(Oscillation) 시키거나 처리액 샤워 파이프를 스윙시킨다.
그런데 처리액 샤워 파이프를 좌우로 오실레이션 시키거나 스윙시키기 위해 각각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에 구동 모터를 구비할 경우 구동부가 위치하기 위한 많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다수의 구동장치를 유지보수 함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구동장치로 가능한 많은 수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처리 공정 중에 글래스의 Defect를 유발할 수 있는 오염물질이 챔버 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처리공정에 사용되는 화학약품인 처리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처리액 샤워 파이프와 구동부를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처리액 샤워 파이프 스윙 방식에 있어서는, 자석을 이용함으로써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분리하며,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두 개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스윙되는 이중 샤프트 구동 장치(특허 제758693호)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동장치로는 세 개 이상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를 구동할 수 없으며, 파이프 스윙 방식에서는 스윙 속도의 불균일 현상으로 분사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분사폭, 분사각, 분사거리가 일정하지 않고 파이프 회전에 따라 반복적으로 변화하여 샤워파이프를 오실레이션 하는 방식만큼의 처리액 분사 균일성을 얻지 못하였다.
반면 파이프 오실레이션 방식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처리액 분사장치가 하나의 모터로 전체 파이프를 오실레이션함으로써 구동부 구성을 줄일 수 있었으며, 파이프 스윙 보다는 더 뛰어난 분사 균일성을 달성할 수 있으나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오실레이션의 시작, 중간, 끝 포인트별로 사인파 형태의 속도차가 발생하여 완전한 분사 균일성을 달성할 수 없었다.
또한 무거운 처리액 분사 장치를 전체적으로 오실레이션 시켜야 하므로 모터 등의 오실레이션 관련 부품들에 큰 부하가 걸려 고장 발생 빈도가 높고, 상기 부품들의 움직임에 따라 FPD 글래스를 오염시킬 수 있는 먼지 등의 입자가 발생하였으나 샤워파이프와 구동부가 분리되지 않아서 이러한 오염 요소를 차단할 수 없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FPD 글래스의 대형화에 따라 더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분사 균일성을 위해 파이프 오실레이션 방식으로 구동되면서도 구동 모터의 부하를 줄이고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분리할 수 있고, 샤워파이프별 개별 구동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분리할 수 있는 파이프 오실레이션 방식의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개의 구동부로 복수개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를 구동할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처리액 샤워 파이프 각각의 오실레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축과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 구동자석의 각도를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샤워파이프별 개별 구동이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축과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 구동자석의 각도를 균일하게 배열함으로써 처리액을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른 오염물질이 처리 챔버 내에 유입되지 않는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글래스 대형화에 따라 증가하는 구동부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부의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MTBF(평균무고장시간) 증가, 분진 발생 감소 등이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는 회전 구동축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N개의 구동자석(11, 21)을 가지며 나란히 배열된 2개의 회전 구동축(10, 20), 상기 회전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2개의 모터(12, 22), 및 양쪽 단부에 피동자석(31, 32)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자석이 상기 구동자석과 마주하도록 2개의 회전 구동축 사이에 배열된 N개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상기 2개의 회전 구동축 사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구동자석(11, 21) 사이에, 상기 회전 구동축을 지지하고 상기 구동자석의 자력을 차폐하는 차폐막(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액 샤워 파이프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직선 슬라이드 베어링(5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상기 2개의 회전 구동축 사이에서 직선 왕복 운 동하기 위해 상기 피동자석 중 한쪽 피동자석의 극성을 마주보는 구동자석의 극성과 동일하게 하고, 다른 쪽 피동자석의 극성을 마주보는 구동자석의 극성과 반대로 하며, 피동자석과 마주보는 구동자석의 극성이 회전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이웃한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거나 상기 N개의 구동자석(11, 21)이 이웃한 구동자석과 360°/N의 각도차를 갖도록 하여 분사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4에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는 2개의 회전 구동축(10, 20)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2개의 회전 구동축 사이에 노즐을 통해 처리액이 분사되는 복수개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30)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회전 구동축에는 복수개의 구동자석(11, 21)이 회전 구동축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처리액 샤워 파이프에는 양쪽 단부에 피동자석(31, 32)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피동자석은 상기 구동자석과 마주하도록 위치되어 있어 구동자석의 움직임에 따라 피동자석이 부착된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움직이게 된다. 즉, 모 터(12, 22)에 의해 회전 구동축(10, 20)이 회전함으로써 회전 구동축에 부착된 구동자석(11, 21)이 회전하면, 구동자석과 마주보게 위치한 피동자석을 양 단부에 갖는 상기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상기 2개의 회전 구동축 사이에서 밀리거나 당겨지면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 때 서로 이웃하는 구동자석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니켈과 철의 합금인 퍼멀로이(Permalloy) 합금, 규소강 등의 자기 차폐 물질을 사용한 차폐막(40)을 이웃하는 구동자석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폐막은 회전 구동축이 관통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일측에 위치한 모터에만 지지되어 있는 회전 구동축이 휘어지지 않게 방지할 수 있는 지지 역할도 할 수 있다.
처리액 샤워 파이프(30)에는 직선 슬라이드 베어링(50)을 설치하여 회전 구동축(10, 20) 회전에 따라 용이하게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액 샤워 파이프(30)의 한쪽 피동자석의 극성을 마주보는 구동자석의 극성과 동일하게 하고, 다른 쪽 피동자석의 극성을 마주보는 구동자석의 극성과 반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반대 극성의 구동자석이 처리액 샤워 파이프를 회전 구동축 쪽으로 당겨주고 동일한 극성의 구동자석이 반대쪽에서 밀어줌으로써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고정되어 있는 것에 비해 처 리액 샤워 파이프가 이동함에 따라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에 처리액을 보다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축(10, 20)에 부착된 구동자석의 극성을 서로 이웃하는 자석과 반대로 구성하고, 처리액 샤워 파이프(30)의 양 단부에 부착된 피동자석의 극성을 서로 이웃하는 자석끼리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회전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처리액 샤워파이프(3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경우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에 보다 균일하게 처리액 분사할 수 있다.
비록 도4에는 피동자석의 극성을 모두 N극으로 하고, 구동자석의 극성을 서로 이웃하는 자석과 반대로 구성하였으나 서로 이웃하는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자석의 극성을 모두 동일하게 하고 서로 이웃하는 피동자석의 극성을 반대로 구성하거나 피동자석의 극성을 한쪽은 S극 다른 한쪽은 N극으로 구성하는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4에는 막대자석 형태인 구동자석이 회전 구동축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회전 구동축 회전에 따라 구동자석의 극성이 바뀌면 될 뿐 이러한 형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회전 구동축(10, 20)의 회전에 따른 처리액 샤워 파이프(30)의 이동을 도6a 내지 도6d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일측에 연결된 모터(12, 22)에 의해 회전 구동축(10, 20)이 회전한다. 이 때 양쪽 모터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동기화 되어 동일한 속도로 양쪽 회전 구동축을 회전시킨다. 이 때 회전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모두 가능하며, 양쪽 회전 구동축의 회전 방향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를 구동하여 회전 구동축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하면 왼쪽 회전 구동축(10)의 구동자석과 반대 극성의 왼쪽 피동자석(31)과 오른쪽 회전 구동축(20)의 구동자석과 동일한 극성의 오른쪽 피동자석(32)을 갖는 1, 3, 5열은 자력에 의해 왼쪽으로 힘을 받아 왼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반면, 왼쪽 회전 구동축(10)의 구동자석과 동일한 극성의 왼쪽 피동자석(31)과 오른쪽 회전 구동축(20)의 구동자석과 반대 극성의 오른쪽 피동자석(32)을 갖는 2, 4, 6열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는 자력에 의해 오른쪽으로 힘을 받아 오른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위와 같은 이동에 따른 서로 이웃하는 처리액 샤워 파이프 사이의 어긋남은 회전 구동축이 90°만큼 회전하였을 때 최대가 되며 90°를 지나면서 피동자석과 마주하는 구동자석의 극성이 바뀌어 1, 3, 5열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는 자력에 의해 오른쪽으로 힘을 받아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2, 4, 6열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는 자력에 의해 왼쪽으로 힘을 받아 왼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도6b 참조).
위와 같은 이동 방향은 90°∼270° 회전 구간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며, 180° 회전 위치에서 처리액 샤워 파이프는 도6a에서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도6c 참조), 회전 구동축이 270°만큼 회전하였을 때 서로 이웃하는 처리액 샤워 파이프 사이의 어긋남이 최대가 된다(도6d 참조).
또한 90°를 지나면서 구동자석의 극성이 바뀌었던 것과 동일하게 270°를 지나면서 피동자석과 마주하는 구동자석의 극성이 바뀌어 1, 3, 5열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는 자력에 의해 왼쪽으로 힘을 받아 왼쪽으로 이동하고 2, 4, 6열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는 자력에 의해 오른쪽으로 힘을 받아 오른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위와 같은 이동 방향은 270°∼450°(=90°) 구간에서 유지되며, 360°일 때 도6a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는 이웃한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에 보다 균일하게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비록 위의 구체예에서는 복수개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를 두 가지 방향 즉, 서로 이웃한 처리액 샤워 파이프의 이동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구동하고 있지만 회전 구동축에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각 구동자석의 각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샤워 파이프별 개별 구동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처리장치의 회전 구동축이 N개의 구동자석을 구비한 경우 N개의 구동자석을 서로 이웃하는 구동자석과 360°/N의 각도차를 갖도록,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축이 6개의 구동자석을 구비한 경우 서로 이웃하는 구동자석과 60°의 각도차를 갖도록 배열하는 것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오실레이션의 시작, 중간, 끝 포인트별로 사인파 형태의 속도차가 발생하여 글래스에 처리액이 고르게 분사되지 못하여 글래스가 균일하게 처리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경우 N개의 구동자석에 대응하는 N개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30)의 개별 구동이 가능하며, 이 때 글래스의 한 지점을 기준으로 볼 때, 이동 방향으로 각각의 노즐 오실레이션 속도가 사인파의 어느 한 지점의 속도가 되므로 모든 샤워파이프의 속도를 합산하면 모두 동일한 속도가 된다. 즉, 도8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점선 1, 2, 3에 해당하는 값을 각각 합했을 때 모두 동일한 값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는 처리액 샤워 파이프(30)별로 오실레이션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처리 장치에 비해 유량 및 압력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와 피구동부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구동부가 자력에 의해 피구동부를 구동하기 때문에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가 처리액 샤워 파이프(30)에 의해 처리되는 챔버 부분과 모터, 회전 구동축(10, 20) 등이 구성하는 구동부를 자력을 차단하지 않는 셔터 또는 케이스 등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외부의 오염물질이 처리 챔버 내에 유입되거나 처리액이 챔버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분리할 수 있고, 두개의 구동부로 복수개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를 구동할 수 있으며, 처리액 샤워 파이프 각각의 오실레이션을 제어할 수 있으며, 구동축과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 구동자석의 각도를 균일하게 배열함으로써 처리액을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고, 구동장치 작동에 따른 오염물질이 처리 챔버 내에 유입되지 않으며, 글래스 대형화에 따라 증가하는 구동부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구동부의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MTBF(평균무고장시간) 증가, 분진 발생 감소 등이 가능한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회전 구동축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N개의 구동자석(11, 21)을 각각 가지며, 나란히 배열된 2개의 회전 구동축(10, 20);
    상기 회전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2개의 모터(12, 22); 및
    양쪽 단부에 피동자석(31, 32)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자석이 상기 구동자석과 마주하도록 2개의 회전 구동축 사이에 배열된 N개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처리액 샤워 파이프가 상기 2개의 회전 구동축 사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자석(11) 사이 및 복수의 구동자석(21)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 구동축을 지지하고 상기 구동자석의 자력을 차폐하는 차폐막(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 샤워 파이프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직선 슬라이드 베어링(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 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자석 중 한쪽 피동자석의 극성은 마주보는 구동자석의 극성과 동일하며, 다른 쪽 피동자석의 극성은 마주보는 구동자석의 극성과 반대이며, 피동자석과 마주보는 구동자석의 극성이 회전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30)는 서로 이웃한 처리액 샤워 파이프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처리액 샤워 파이프(30)는 상기 회전 구동축과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각 구동자석의 각도가 달라 처리액 샤워 파이프의 개별구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구동자석(11, 21)은 이웃한 구동자석과 360°/N의 각도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KR1020080086377A 2008-09-02 2008-09-02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KR100959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377A KR100959765B1 (ko) 2008-09-02 2008-09-02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377A KR100959765B1 (ko) 2008-09-02 2008-09-02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448A KR20100027448A (ko) 2010-03-11
KR100959765B1 true KR100959765B1 (ko) 2010-05-28

Family

ID=4217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377A KR100959765B1 (ko) 2008-09-02 2008-09-02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7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1601A (ja) * 1993-11-10 1995-07-21 Sharp Corp 直線運動用駆動装置
KR19980018504A (ko) * 1996-08-13 1998-06-05 니시히라 순지 자기반송장치, 자기반송장치의 동력전달기구, 및 이것에 사용되는 회전구동부재
JP2002082445A (ja) * 2000-07-07 2002-03-22 Nikon Corp ステージ装置及び露光装置
JP2004149244A (ja) * 2002-10-29 2004-05-27 Shibaura Mechatronics Corp 基板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1601A (ja) * 1993-11-10 1995-07-21 Sharp Corp 直線運動用駆動装置
KR19980018504A (ko) * 1996-08-13 1998-06-05 니시히라 순지 자기반송장치, 자기반송장치의 동력전달기구, 및 이것에 사용되는 회전구동부재
JP2002082445A (ja) * 2000-07-07 2002-03-22 Nikon Corp ステージ装置及び露光装置
JP2004149244A (ja) * 2002-10-29 2004-05-27 Shibaura Mechatronics Corp 基板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448A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9128B (zh) 高压清洗液喷射式清洗装置
KR101091095B1 (ko) 기판 세정 모듈 및 이를 갖는 기판 처리 장치
JP5388613B2 (ja) 高圧洗浄液噴射式洗浄装置
KR20130085764A (ko) 콤팩트한 기판 표면처리 시스템 및 기판 표면처리 방법
KR100959765B1 (ko) 자석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KR101280340B1 (ko) 기판의 처리 장치
JP2005279451A (ja) 基板処理装置
KR20050087446A (ko) 습식에칭장치
JP2006192387A (ja) 基板処理装置
KR20080103753A (ko) 기판 이송 장치
KR100837629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05011B1 (ko) 유기발광 표시소자 증착용 마스크의 세정장치
KR101098230B1 (ko) 기판 크기 자동 변환이 가능한 기판 처리 장치
KR100874819B1 (ko) 평판디스플레이 에칭가공용 컨베이어장치
KR101029219B1 (ko)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처리 장치
KR100828424B1 (ko) 기판 처리 장치
KR20080018009A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
CN111009484A (zh) 晶圆清洗装置及晶圆清洗方法
KR200345186Y1 (ko) 습식에칭장치
KR100911671B1 (ko) 기판 처리 장치
KR20090124068A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629471B1 (ko) 기판세정장치
JPH10223581A (ja) スクラブ洗浄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基板処理装置
KR100684981B1 (ko) 평판표시장치용 회전식 분사장치 및 그를 포함한 제조장치
KR100573536B1 (ko) 평판 디스플레이의 습윤 공정용 다중 처리 회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