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239B1 - 통신 장치 및 통신 계층 역할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통신 계층 역할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239B1
KR100959239B1 KR1020087022636A KR20087022636A KR100959239B1 KR 100959239 B1 KR100959239 B1 KR 100959239B1 KR 1020087022636 A KR1020087022636 A KR 1020087022636A KR 20087022636 A KR20087022636 A KR 20087022636A KR 100959239 B1 KR100959239 B1 KR 100959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amera
layer
role
r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3571A (ko
Inventor
겐이찌 후지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할 때, 장치들은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서로의 역할들을 결정한다. 통신 파라미터가 설정된 후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예를 들면, 물리 계층, IP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이, 통신 파라미터가 설정될 때의 역할들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통신 파라미터, 역할, 통신 계층, 통신 장치, 데이터 전송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통신 계층 역할 결정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LAYER ROLE DECIDING METHOD}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통신 계층 역할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통신 장치들 간에 통신을 행할 때에 복수의 통신 계층에서의 역할들을 결정하는 통신 장치 및 역할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장치들 간에 화상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통신 장치들 간에, 물리 계층의 확립, IP(Internet Protocol) 계층에서 이용될 IP 어드레스의 결정, 및 트랜스포트 계층의 확립을 행할 필요가 있다(USP6754200(일본 특개평 11-243419호)).
IEEE802.11 표준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애드 혹 통신을 정의하고 있다. 이 애드 혹 통신을 이용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을 행할 때, 상술한 개개의 통신 계층들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이들 통신 계층들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각 디바이스는 각 통신 계층에서의 역할을 실행하여야 한다.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 예를 들면 물리 계층의 역할들은 무선 LAN의 애드 혹 모드에서의 기능 역할들인 참가자(joiner)와 생성 자(creator)이다. 또한, 상위 계층인 IP 계층의 역할들은, MAC 어드레스로부터 IP 어드레스를 해결하는 기능 역할들인 RARP 서버와 RARP 클라이언트이다.
또한, 한층 더 상위 계층인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들은, PTP(Picture Transfer Protocol)/IP 통신의 개시자(initiator)와 응답자(responser)이다. 또한, 한층 더 상위 계층인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디바이스들의 제어 동작들이 서로 충돌한 경우 어느 디바이스에 우선 제어(priority control)를 부여할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갖는다.
전술한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는, 개개의 디바이스들 간의 관계는 대등하다. 따라서, 각 디바이스는 각 통신 계층에서 실행될 역할을 판별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양쪽 모두의 역할을 실행하여야 한다. 즉, 각 디바이스는, 물리 계층의 역할들로서, 애드 혹 모드에서의 기능 역할들인 참가자와 생성자의 역할 양쪽 모두를 실행한다. 또한, 각 디바이스는, IP 계층의 역할들로서, RARP 서버와 RARP 클라이언트의 역할 양쪽 모두를 실행한다. 또한, 각 디바이스는,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들로서, PTP/TP 통신의 개시자와 응답자의 역할 양쪽 모두를 실행한다. 또한, 각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역할로서, 우선 제어를 결정하기 위한 통신을 행해야 한다.
이로 인해 각 디바이스의 처리 부하가 증가한다. 이 처리 부하는 CPU 및 메모리 등의 제한된 리소스를 갖는 내장 디바이스에서 특히 증가하며, 다른 처리들을 방해한다.
처리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각 통신 계층의 역할이 설 정되는 경우, 이 사용자는 고도의 복잡한 설정을 수행할 것을 강요받는다.
또한, 예를 들면, 각 통신 계층의 기능 역할을 하나의 장치에 부가함으로써 복수의 장치들 간에 통신을 행하기 위해, 사용자는, 통신 기동 시에 화상 송신자 및 화상 수신자 등의 역할들을 제한하는 메뉴 선택을 수행할 것을 강요받는다. 또한, 사용자는 통신 서버 및 통신 클라이언트 등의 역할들을 제한하는 메뉴 선택을 수행할 것을 강요받는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관점으로부터 볼 때 동등한 관계로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요구를 사용자가 만족시킬 수 없게 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목적들 중 하나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통신 상대방에 대하여 각 통신 계층의 역할을 용이하게 결정하는 것.
사용자에게 임의의 복잡한 조작을 수행할 것을 강요하지 않고 각 통신 계층의 역할을 용이하게 결정하는 것.
사용자가 각 통신 계층의 역할을 고려하지 않고 간단하게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것.
디바이스의 처리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장치와 통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할 때의 역할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역할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통신 계층의 역할을 결정 및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카메라들이 서로 통신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두 대의 카메라와 프린터가 서로 통신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두 대의 카메라와 HDD가 서로 통신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디지털 카메라의 블럭도.
도 4는 프린터의 블럭도.
도 5는 카메라들이 서로 통신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6은 두 대의 카메라와 프린터가 서로 통신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7은 두 대의 카메라와 HDD가 서로 통신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8A는 카메라들이 서로 통신할 때 파라미터 제공자인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B는 카메라들이 서로 통신할 때 파라미터 제공자인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A는 카메라들이 서로 통신할 때 파라미터 수리자(acceptor)인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B는 카메라들이 서로 통신할 때 파라미터 수리자인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A는 카메라와 프린터가 서로 통신할 때 파라미터 제공자인 프린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B는 카메라와 프린터가 서로 통신할 때 파라미터 제공자인 프린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A는 카메라와 프린터가 서로 통신할 때 파라미터 수리자인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B는 카메라와 프린터가 서로 통신할 때 파라미터 수리자인 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카메라들이 서로 통신할 때 파라미터 제공자 및 파라미터 수리자로 할당될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카메라와 프린터가 서로 통신할 때 파라미터 제공자와 파라미터 수리자로 할당될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카메라와 저장 장치가 서로 통신할 때 파라미터 제공자와 파라미터 수리자로 할당될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각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개략들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설명될 각 장치는 IEEE802.11 표준을 따르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IEEE802.11 표준을 따르는 무선 통신은, 이하 무선 LAN 통신으로 칭해질 것이다.
또한, 각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 파라미터들에 대한 설정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설정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식별자(SSID(Service Set Identifier)), 암호화 방식, 암호화 키, 인증 방식, 및 인증 키 등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이 ROM 등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제1 장치는 화상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설정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장치에 전송한다. 설정 네트워크를 형성한 장치가 화상 통신에 대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공유하면, 제1 장치는 설정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종료하며, 새로운 화상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화상을 송수신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상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다른 장치에 전송 및 제공하는 장치를 파라미터 제공자로 칭할 것이다. 화상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리(accept)하는 장치를 파라미터 수리자로 칭할 것이다. 또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제공 및 수리하는 처리를 파라미터 교환 처리 또는 교환 처리로 칭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식별자(SSID(Service Set Identifier)), 암호화 방식, 암호화 키, 인증 방식, 및 인증 키를 무선 LAN 파라미터들의 예로서 취할 것이다. 그러나, 화상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파라미터들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가 형성된 후 화상을 송수신하는 데에 필요한 파라미터들 또는 다른 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100 및 10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들을 나타내며, 이들은 카메라 1(100) 및 카메라 2(101)이다. 카메라 1(100)(이하, 카메라 1로 칭함)은 무선 통신 기능부(102)를 가지며, 카메라 2(101)(이하, 카메라 2로 칭함)는 무선 통신 기능부(103)를 갖는다. 무선 통신 기능부들(102, 103)은 IEEEE802.11 표준에 따른 애드 혹 네트워크 모드로 서로 직접 통신한다. IEEE802.11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하 무선 LAN 통신으로 칭할 것임에 주목한다.
도 3은 카메라 1 및 2(100, 101)의 기능 블럭도이다. 참조 부호 300은 카메라의 본체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301은 카메라(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302는 촬상 화상에 대한 압축, 화상 처리 등을 행하는 화상 처리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303은 제어 명령들, 즉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또한 후술하는 카메라 1 및 2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ROM을 나타낸다. ROM(303)은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의 상대방에 대응하는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결정하기 위한 테이블들(도 12, 13, 14)을 저장한다. 또한, ROM(303)은, 설정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식별자(SSID(Service Set Identifier)), 암호화 방식, 암호화 키, 인증 방식, 및 인증 키 등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참조 부호 304는 제어부(301)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을 나타내며, 참조 부호 305는 무선 LAN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처리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306은 안테나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307은 안테나 제어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 호 308은 CCD(309)로부터 입력된 화소 신호를 수신하는 촬상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310은 촬상된 화상들 및 설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 매체 카드를 제어하는 카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311은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312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파라미터 설정 처리의 기동, 촬영 지시, 및 재생 등의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해 조작 버튼들을 포함하는 조작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313은 전원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314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예를 들면 USB 또는 IEEE1394를 나타낸다.
도 12는 동일한 종별의 디바이스들이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를 행할 때 적용되는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물리 계층의 역할들로서, 각 카메라는 무선 LAN의 애드 혹 모드에서의 기능 역할들인 참가자와 생성자의 역할을 한다. 생성자는 애드 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참가자는 이 네트워크에 참가한다. 상위 계층인 IP 계층의 역할들은,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로부터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를 해결하는 기능 역할들인 RARP 서버 및 RARP 클라이언트이다. RARP는 역방향 어드레스 해결 프로토콜(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축약어이며, RARP 클라이언트는 RARP 요구를 RARP 서버에 전송한다. RARP 요구에는, 원하는 MAC 어드레스와, 클라이언트의 IP 어드레스 및 MAC 어드레스가 기재되어 있다. RARP 서버는, RARP 요구에 의해 통지된 MAC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를 RARP 응답으로서 회신하며, 이에 따라 MAC 어드레스로부터 IP 어드레스를 얻게 된다. RARP 서버는 또한, RARP 요구에 기재되어 있는 상대방의 IP 어드레스 및 MAC 어드레스로부터, 상대방의 IP 어드레스와 AMC 어드레스간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
한층 더 상위 계층인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들은, PTP(Picture Transfer Protocol)/IP 통신의 개시자 및 응답자이다. 개시자는, PTP/IP 접속 요구를 응답자에게 전송하며, 응답자는 접속 응답을 회신하며, 이에 따라 PTP/IP 접속을 행한다. 또한, 개시자 및 응답자는 이들 사이에 커맨드를 주고 받음으로써 트랜스포트 계층에서의 화상 전송을 행한다. 예를 들면, 화상 등의 데이터를 개시자로부터 응답자로 전송할 때, 개시자는 SendObject를 응답자에게 전송한다. 응답자가 OK를 개시자에게 회신하면, 개시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응답자로부터 개시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응답자는 개시자에게 Event를 통지한다. Event를 수신한 개시자는, 응답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GetObject를 전송한다. GetObject를 수신한 응답자는 데이터를 개시자에게 전송한다. 한층 더 상위 계층인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디바이스들의 제어 동작들이 서로 충돌한 경우 이들 디바이스들 중 어느 것에 우선 제어가 부여되는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2가 무선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수리자이며 카메라 1이 무선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제공자인 경우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파라미터 제공자의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은, 물리 계층의 역할이 생성자이며, IP 계층의 역할이 RARP 서버이며,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이 PTP/IP 응답자이며,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우선 제어는 없는 것으로 결정된다. 또한, 파라미터 수리자의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은, 물리 계층의 역할이 참가자이며, IP 계층 의 역할이 RARP 클라이언트이며,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이 PTP/IP 개시자이며,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우선 제어는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도 5는 카메라들이 화상 전송을 행할 때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부터 화상 송수신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우선, 통신을 행하기 전에, 카메라 1 및 2는, 서로의 접속 목적지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설정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교환한다(S501). 이 교환 처리에서, 동일한 종별의 디바이스들 간에 파라미터 교환 처리가 수행되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동일한 종별의 디바이스들 간에 파라미터 교환 처리가 수행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역할들이 설정된다. 이 경우, 카메라 1이 파라미터 제공자이며 카메라 2가 파라미터 수리자인 것으로 결정되어 카메라 1은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카메라 2에 전송한다(S502). 교환 처리가 완료되면(S503), 카메라 1 및 2는 무선 통신을 중단하며(S504), 처리 동안에 등록된 서로의 접속 목적지를 선택함으로써 무선 통신을 재개한다. 이 단계에서, 카메라 1 및 2는, 교환 처리에 의해 교환된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카메라 1은 무선 물리 계층의 생성자로서 기동되며 비컨(beacon)을 송신한다(S505). 카메라 2는 무선 물리 계층의 참가자로서 기동되며, 스캐닝 동작을 행하기 위해 프로브(probe) 요구를 전송하며(S506), 카메라 1로부터의 프로브 응답을 기다린다(S507). 카메라 1은,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해 AUTOIP 기능을 기동시키며 IP 어드레스를 결정한다(S508). 마찬가지로, 카메라 2는 AUTOIP 기능 을 기동시키며 IP 어드레스를 결정한다(S509). 이 AUTOIP 기능은, AUTOIP 기능을 기동시킨 장치가 원하는 IP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다른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ARP 문의를 전송하며, 응답에 기초하여 IP 어드레스의 중복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다. 각 장치는, IP 어드레스의 중복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ARP 문의를 전송하며,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한다.
카메라 1은 IP 계층의 역할로서 RARP 서버를 기동시키며, 카메라 2는 IP 계층의 역할로서 RARP 클라이언트를 기동시킨다. 카메라 2는 카메라 1의 MAC 어드레스 00:11:22:33:44:55를 지정하고 RARP 요구를 전송한다(S510). 이 RARP 요구를 수신한 카메라 1은, RARP 응답으로서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카메라(2)에게 통지한다(S511). 카메라 1은 또한 수신된 RARP 요구의 내용으로부터 카메라 2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이어서, 카메라 1은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로서 PTP/IP 응답자를 기동시키며, 카메라 2는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로서 PTP/IP 개시자를 기동시킨다. 카메라 2는, 카메라 1과의, 트랜스포트 계층의 PTP/IP 접속을 행하기 위해 PTP/IP 접속 요구를 카메라 1에 전송한다(S512). 카메라 1은, 이 PTP/IP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PTP/IP 접속 응답을 전송한다(S513).
카메라 1 및 2에 의한 화상 동시 전송에 대한 제어가 이어진다. 카메라 1은, 화상을 전송하기 위해 PTP/IP에 의해 Event를 카메라 2에게 통지한다(S515). 카메라 2는, 화상을 전송하기 위해 PTP/IP에 의해 SendObject에 대한 요구를 카메라 1에 전송한다(S514). 카메라 2가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우선 제어를 가지기 때 문에, 카메라 1은 전송 처리를 카메라 2에 양도하며, 카메라 2에게 전송 허가를 통지하기 위해 OK를 전송한다(S516). 이 OK를 수신한 카메라 2는 화상을 카메라 1에 전송한다(S517). 카메라 1은 수신된 화상을 표시하고 OK를 전송하여 화상이 수신되었음을 카메라 2에게 통지한다(S518). 이 경우, 카메라 1은 표시부 상에 어떠한 전송 실패도 표시하지는 않지만, 화상 수신 처리가 실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이로 인해, 혼란없이 처리의 진행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및 도 8B는, 카메라들이 서로 화상을 송수신할 때의 파라미터 제공자인 카메라 1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들이다. 파라미터 제공자인 카메라 1은, 카메라 2와의 통신 접속을 행할 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설정한다.
카메라 1은, 설정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완료하면, 우선 물리 계층을 생성자로서 설정한다(S801). 그 후 카메라 1은 IP 계층을 RARP 서버로서 설정한다(S802). 카메라 1은 또한 트랜스포트 계층을 PTP/IP 응답자로서 설정하고(S803),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우선 제어는 없는 것으로 설정한다(S804). 이들 계층들의 역할을 결정한 후, 카메라 1은 무선 물리 계층의 역할인 생성자의 동작을 개시한다(S805). 카메라 1은, 생성자로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면, 다른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AUTOIP 어드레싱을 기동시킨다(S806). 카메라 1은, AUTOIP에 의해 자신의 IP 어드레스가 결정되면(S807), IP 계층의 역할인 RARP 서버를 기동시킨다(S808).
그 후, 카메라 1은 다른 RARP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어드레스 요구에 응답할 수 있다. 이어서, 카메라 1은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인 PTP/IP의 응답자를 기동시킨다(S809). 이 시점에서, 카메라 1은 PTP/IP 개시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응답할 수 있다. 그 후 RARP 요구가 수신되는 경우(S810), 카메라 1은 RARP 응답을 전송하여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요구처에 통지한다(S811). 이에 따라, 두 개의 디바이스들은 서로의 MAC 어드레스 및 IP 어드레스를 인식하게 된다.
그 후 PTP/IP 접속 요구가 수신되는 경우(S812), 카메라 1은 PTP/IP 접속 응답을 전송하고(S813),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카메라 2에 접속한다. 그 후, 카메라 1은, 접속 상대방인 카메라 2가 화상 전송을 요구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SendObject의 수신을 조사한다(S814). SendObject가 수신되는 경우, 카메라 1은 OK를 카메라 2에 전송하고(S815), 화상 수신 상태를 설정하고 (S816), 수신된 화상을 저장하고 이를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S817), OK를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818). SendObject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819로 진행한다.
카메라 1의 사용자가 조작부(312)를 조작하여 화상 전송을 요구하는 경우(S819), 카메라 1은, 화상 수신 상태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820). 화상 수신 상태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 카메라 1은 사용자에게 수신 상태를 통지하고(S821), 처리는 단계 S814로 되돌아간다. 화상 수신 상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S820에서, 아니오), 카메라 1은 전송 처리를 기동시키고 카메라 2에게 EVENT를 통지한다(S822). EVENT 통지를 수신한 카메라 2로부터 GetObject가 수신되는 경우(S823), 카메라 1은 화상 전송 상태를 설정하고(S824), 화상을 전송한다(S825). 화상을 수신한 카메라 2로부터, 수신 완료를 나타내는 OK가 수신되는 경우(S826), 카메라 1은 카메라 2와의 접속 해제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827). 수신 완료를 나타내는 OK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카메라 1은 화상을 재전송한다(S825). 접속 해제 요구가 있는 경우, 카메라 1은 카메라 2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S827). 접속 해제 요구가 없는 경우 처리는 단계 S814로 되돌아간다.
도 9A 및 도 9B는, 카메라들이 서로 화상을 송수신할 때의 파라미터 수리자인 카메라 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들이다. 파라미터 수리자인 카메라 2는, 카메라 1과의 통신 접속을 행할 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설정한다.
카메라 2는, 설정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완료하면, 우선 물리 계층을 참가자로서 설정한다(S901). 그 후 카메라 2는 IP 계층을 RARP 클라이언트로서 설정한다(S902). 카메라 2는 또한 트랜스포트 계층을 PTP/IP 개시자로서 설정하고(S903),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제어를, 우선 제어가 있는 것으로 설정한다(S904). 이들 계층들의 역할들을 결정한 후, 카메라 2는 무선 물리 계층의 역할인 참가자의 동작을 개시한다(S905). 카메라 2는, 네트워크에 참가자로서 참가하면 프로브 요구를 전송하고 스캐닝 동작을 반복한다. 카메라 2는 이 스캐닝 동작에 의해, 네트워크에 다른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카메라 2는, 생성자인 카메라 1로부터 프로브 응답을 수신하면, 통신 상대방인 카메라 1을 확인한다. 접속 목적지로서 등록된 카메라 1이 아닌 장치로부터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이는, 카메라 1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와는 다른 애드 혹 네트워크가 존재하거나, 혹은 카메라 1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에 접속 목적지로서 등록된 장치와는 다른 장치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 경우, 카메라 2는 사용자에게 이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원하는 통신 상대방이 아닌 장치와의 잘못된 통신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 2가 다른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접속 목적지로서 등록된 장치 이외의 장치를 확인하는 경우, 카메라 2는 또한 무선 통신을 자동적으로 종료하고 사용자에게 이 정보를 통지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그 후, 카메라 2는 AUTOIP 어드레싱을 기동시킨다(S906). 카메라 2는, 자신의 어드레스가 AUTOIP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S907), IP 계층의 역할인 RARP 클라이언트를 기동시킨다(S908). 통신 상대방인 카메라 1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기 위해, 카메라 2는 카메라 1의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RARP 요구를 전송하며(S909), RARP 응답의 수신을 기다린다(S910). 카메라 2는, RARP 서버인 카메라 1로부터 RARP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카메라 1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S911). 그 후 카메라 2는 PTP/IP 개시자를 기동시키며(S912), PTP/IP 접속 요구를, PTP/IP 응답자인 카메라 1에 전송한다(S913). PTP/IP 접속 응답이 카메라 1로부터 수신되는 경우(S914), 카메라 2는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카메라 1에 접속한다. 이어서, 카메라 2는, 사용자가 카메라 2의 조작부(312)를 조작하여 화상 전송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915). 화상 전송 요구가 있는 경우, 카메라 2는 화상 수신 상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916). 수신 상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카메라 2는 사용자에게 수신 상태를 통지한다(S917). 수신 상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 우, 카메라 2는 SendObject를 전송하여 카메라 1에게 화상 전송을 통지한다(S918). 카메라 2는, 카메라 1로부터 OK가 수신되면(S919), 화상을 카메라 1에 전송하며(S920), 전송 완료를 나타내는 OK를 기다린다(S921). 전송 완료를 나타내는 OK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카메라 2는 화상을 재전송한다. OK가 수신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 S922로 진행된다. 카메라 1로부터 전송 요구인 EVENT가 수신되는 경우(S922), 카메라 2는 화상 수신 상태를 설정하고(S923), GetObject를 카메라 1에 전송한다(S924). 카메라 2는 GetObject를 수신한 카메라 1로부터의 화상을 기다린다. 화상이 수신되는 경우, 카메라 2는 수신된 화상을 저장하거나 표시하며(S925), 수신 완료를 나타내는 OK를 전송한다(S926). 카메라 1과의 접속 해제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경우, 카메라 2는 그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종별의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하면, 개개의 통신 계층들에서의 각 역할은, 무선 통신 파라미터 교환 동안의 역할들의 동작과 미리 관련지어진다. 따라서, 실제의 통신이 개시되면, 이들 동일한 종별의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은 개개의 계층들에서의 역할들 및 동작들을 선택할 필요가 없으며, 어떠한 번거로운 조작도 없이 디바이스들간에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가 카메라들과 프린터 간에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도 2A는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2A에서, 참조 부호 100, 101, 및 20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들을 나타내며, 이들은 카메라 1(100), 카메라 2(101), 및 프린터(202)이다. 카메라 1(100) 및 카메라 2(101)는 도 1에 도 시된 카메라 1 및 2이다. 프린터(202)는 무선 통신 기능부(205)를 갖는다. 무선 통신 기능부(205)는 또한 무선 LAN 통신 기능을 가지며, 세 개의 디바이스들이 무선 LAN의 애드 혹 모드에서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도 4는 프린터(202)의 블럭도이다. 참조 부호 400은 프린터 본체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401은 프린터(4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402는 인쇄될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403은 제어 명령들, 즉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또한 후술하는 프린터(202)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도 저장하는 ROM을 나타낸다. ROM(403)은 또한,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의 상대방에 대응하는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결정하기 위한 테이블들(도 12, 13 및 14)을 저장한다. 또한, ROM(403)은, 설정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식별자(SSID(Service Set Identifier)) 암호화 방식, 암호화 키, 인증 방식, 및 인증 키 등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참조 부호 404는 제어부(401)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을 나타내며, 참조 부호 405는 전원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406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예를 들면 USB 또는 IEEE1394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407은 프린터 용지의 급지 및 배지를 행하는 급지/배지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408은 프린터의 인쇄를 제어하는 프린터 엔진을 나타내며, 참조 부호 409는 화상을 저장한 기록 매체 카드를 제어하는 카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410은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411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파라미터 설정 기동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412는 무선 LAN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처리부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413은 안테나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414는 안테나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13은 카메라들과 프린터 간에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를 행할 때에 적용되는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카메라들과 프린터 간에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를 행할 때 프린터는 파라미터 제공자이며 카메라들은 파라미터 수리자들인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미터 제공자는 물리 계층의 생성자의 역할을 하며, RARP 서버는 IP 계층의 역할을 하며, PTP/IP 개시자는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을 한다. 파라미터 수리자는 물리 계층의 참가자의 역할을 하며, RARP 클라이언트는 IP 계층의 역할을 하며, PTP/IP 응답자는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을 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카메라가 화상을 프린터에 전송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우선 제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에 주목한다.
도 6은 카메라 1 및 2가 프린터(202)를 이용하여 화상을 인쇄할 때의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부터 화상 송수신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통신을 행하기 전에, 카메라 1 및 2와 프린터는, 서로의 접속 목적지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설정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교환한다(S601 및 S602). 이 교환 처리에서, 카메라들과 프린터 간에 파라미터 교환 처리가 수행되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카메라들과 프린터 간에 파라미터 교환 처리가 수행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역할들이 설정된다.
이 처리에서, 프린터가 파라미터 제공자이며 카메라 1 및 2가 파라미터 수리자들인 것으로 결정된다. 프린터는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카메라 1에 전송하 며(S603), 카메라 1은 교환 처리의 완료를 프린터에게 통지한다(S604). 그 후, 프린터는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카메라 2에 전송한다(S605). 교환 처리가 완료되면(S606), 이들 디바이스들은 무선 통신을 중단하며(S607 및 S608), 처리 동안 등록된 서로의 접속 목적지를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재기동시킨다. 이 단계 동안, 이들 디바이스들은, 교환 처리에 의해 교환된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프린터는 무선 물리 계층의 생성자로서 자신을 기동시키며 비컨을 송신한다(S609). 카메라 2는 무선 물리 계층의 참가자로서 기동되며, 스캐닝 동작을 행하기 위해 프로브 요구를 전송하며(S610), 프린터로부터의 프로브 응답을 기다린다(S611). 마찬가지로, 카메라 1은 무선 물리 계층의 참가자로서 기동되며,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브 요구를 전송하며(S612), 프로브 응답을 기다린다(S613). 이어서, 프린터와 카메라 1 및 2는 AUTOIP 기능에 의해 IP 어드레스들을 결정한다.
그 후, IP 계층의 역할들로서, 프린터는 RARP 서버를 기동시키며, 카메라 1 및 2는 RARP 클라이언트들을 기동시킨다. RARP 클라이언트들인 카메라 1 및 2는, RARP 요구를 프린터에 전송한다(S614 및 S616). 프린터는 RARP 응답을 카메라 1 및 2에 전송하여(S615 및 S617), 이들에게 프린터의 IP 어드레스를 통지한다.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들로서, 프린터는 PTP/IP 개시자를 기동시키며, 카메라 1 및 2는 PTP/IP 응답자들을 기동시킨다.
그 후 카메라 1이 화상 전송 요구를 발생시키는 경우, 카메라 1은 프린터에 대하여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접속을 행한다(S618). 요구를 수신한 프린터는 PTP/IP 접속 요구를 카메라 1에 전송한다(S619). 카메라 1은 PTP/IP 접속 응답을 프린터에 전송하여(S620), PTP/IP 접속을 행한다. 또한, 카메라 1은 화상 취득 요구를 나타내는 EVENT를 프린터에 통지하며(S621), 이 통지를 수신한 프린터는 화상 취득 요구인 GetObject를 카메라 1에 전송한다(S622). GetObject를 수신한 카메라 1은 화상을 프린터에 전송하며(S623), 프린터는 수신된 화상의 인쇄를 개시한다. 카메라 2가 프린터에게 화상을 인쇄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처리가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624~S629).
도 10A 및 도 10B는, 프린터와 카메라들 간에 화상 송수신과 인쇄를 행할 때의 프린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들이다. 네트워크 파라미터 제공자인 프린터는, 카메라 1 및 2와의 통신 접속을 행할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설정한다.
프린터는, 설정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완료하면, 물리 계층을 생성자로서 설정한다(S1001). 그 후 프린터는 IP 계층을 RARP 서버로서 설정한다(S1002). 프린터는 또한 트랜스포트 계층을 PTP/IP 응답자로서 설정한다(S1003). 프린터는, 이들 계층들의 역할들을 결정한 후, 무선 물리 계층의 역할인 생성자의 동작을 개시한다(S1004). 프린터는, 생성자로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면, AUTOIP에 의해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며(S105 및 S1006), IP 계층의 역할인 RARP 서버를 기동시킨다(S1007). 그 후, 프린터는 다른 RARP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어드레스 요구에 응답할 수 있으며 RARP 요구를 기다린다(S1008). 이 RARP 요구는, RARP 서버가 기동 된 후 어떠한 타이밍에서도 수리될 수 있다. 프린터는, 그 후 RARP 요구를 수신하면, RARP 응답을 전송하여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상대방 장치에게 통지한다(S1009). 그 후 프린터는 카메라로부터의 TCP 접속 요구를 기다린다(S1010). 프린터는, TCP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인 PTP/IP 개시자를 기동시키며(S1011), PTP/IP 접속 요구를, 이 접속을 요구한 카메라에 전송한다(S1012). 이어서, 프린터는, PTP/IP 응답자로부터의 접속 응답을 기다린다(S1013). 프린터는, 접속 응답을 수신하면, 상대방 카메라가 PTP/IP 통신에서 화상 데이터 전송 요구를 발생시킬 때 주어지는 EVENT를 기다린다(S1014). 프린터는, EVENT를 수신하면, GetObject를 전송하여 카메라로부터 화상을 추출한다(S1015). 그 후 프린터는, GetObject를 수신한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을 기다린다(S1016). 프린터는, 화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화상을 인쇄한다(S1017). 인쇄 종료 요구가 있는 경우(S1018), 프린터는 종료 처리를 수행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프린터와 카메라들 간에 화상 통신과 인쇄를 행할 때의 카메라들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들이다. 네트워크 파라미터 수리자들인 카메라 1 및 2 각각은, 프린터(202)와의 통신 접속을 행할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설정한다.
각각의 카메라는, 설정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완료하면, 물리 계층을 참가자로서 설정한다(S1101). 그 후 카메라는 IP 계층을 RARP 클라이언트로서 설정한다(S1102). 카메라는 또한 트랜스포트 계층을 PTP/IP 응답자로서 설정한다(S1103). 카메라는, 이들 계층들의 역할들을 결정한 후, 무선 물리 계층의 역할 인 참가자의 동작을 개시한다(S1104). 카메라는, 네트워크에 참가자로서 참가하면, AUTOIP 어드레싱을 기동시킨다(S1105). 카메라는, AUTOIP에 의해 자신의 IP 어드레스가 결정되면(S1106), IP 계층의 역할인 RARP 서버를 기동시키고(S1107), RARP 요구를 전송한다(S1108). RARP 서버인 프린터로부터 RARP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S1109), 카메라는 프린터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있다(S1110). 그 후 카메라는 PTP/IP 응답자를 기동시키며(S1111), TCP 접속 요구를 프린터에 전송한다(S1112). 이 접속 요구는, PTP/IP 개시자의 동작을 기동시키기 위한 트리거를 프린터에 부여한다. PTP/IP 접속 요구가 PTP/IP 개시자로부터 전송되는 경우(S1113), 카메라는 PTP/IP 접속 응답을 전송한다(S1114). 이어서, 카메라는, 사용자가 조작부(312)를 조작하여 화상 전송 요구를 전송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115). 화상 전송 요구가 있는 경우, 카메라는 화상 취득 요구의 트리거인 EVENT를, PTP/IP 개시자인 프린터에게 통지한다(S1116). GetObject가 프린터로부터 수신되는 경우(S1117), 카메라는 화상을 프린터에 전송한다(S1118). 인쇄 처리 종료 요구가 있는 경우(S1119), 카메라는 종료 처리를 수행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TCP 접속 및 PTP/IP 접속 후에 사용자로부터의 화상 전송 요구가 판별된다. 그러나, TCP 접속 및 PTP/IP 접속은 또한, 화상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대방이 프린터이기 때문에 인쇄 요구를 검출함으로써 화상 전송 요구를 검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 및 카메라 등의 복수의 서로 다른 종별의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할 때, 개개의 통신 계층들에서의 서로의 역할들은, 무선 통신 파 라미터 교환 동안의 역할들의 동작과 미리 관련지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 조작부를 갖지 않는 디바이스, 혹은 복잡한 조작에 적절하지 않은 조작부를 갖는 프린터 등의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행할 때에도, 사용자는 개개의 계층들에서의 역할등 및 동작들을 선택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동일한 종별의 디바이스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어떠한 복잡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도, 원하지 않는 디바이스들(이 경우, 카메라들) 간에 통신을 행하지 않도록 통신 채널들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가, 카메라와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장치 간에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도 2B는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B에서, 참조 부호 100, 101 및 2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들을 나타내며, 이들은 카메라 1(100) 및 카메라 2(101)와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의 저장 장치(이하 HDD로 칭해짐)(212)이다. 카메라 1(100) 및 카메라 2(101)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1 및 2이다. HDD(212)는 무선 통신 기능부(215)와 표시부(216)를 갖는다. 무선 통신 기능부(215)는 또한 무선 LAN 통신 기능을 가지며, 세 개의 디바이스들이 무선 LAN의 애드 혹 모드에서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HDD(212)는 카메라 1 및 2로부터 전송된 화상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HDD(212)는 또한 저장된 화상들을, 이들 카메라들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카메라 1 및 2에 전송한다. HDD의 메모리는,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의 상대방에 대응하는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결정하기 위한 테이블들(도 12, 13 및 14)을 저장함에 주목한다. 이 메모리는 또한 설정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미리 저장해둔다.
도 14는 카메라들과 HDD 간에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를 수행할 때에 적용되는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카메라들과 HDD 간에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를 수행할 때, HDD는 파라미터 제공자이며 카메라들은 파라미터 수리자들인 것으로 가정한다.
카메라들과 HDD가 서로 통신할 때, 물리 계층의 역할들은, 무선 LAN의 애드 혹 모드에서의 기능 역할들인 참가자와 생성자이다. 상위 계층인 IP 계층의 역할은 RARP 서버와 RARP 클라이언트이다. 한층 더 상위 계층인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은 개시자(클라이언트)와 응답자(서버)이다. 트랜스포트 계층은 두 가지 유형의 프로토콜,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및 PTP/IP를 이용한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1 및 2는 무선 통신의 파라미터 수리자들이며, HDD(212)는 무선 통신의 파라미터 제공자이다. 카메라 1 및 2는, 파라미터 제공자인 HDD(212)에, 등록된 상대방 정보로서 설정되어 있다. 즉,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은, 물리 계층의 역할이 생성자이며 IP 계층의 역할이 RARP 서버이며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이 서버(응답자)이며 트랜스포트 계층의 프로토콜이 HTTP가 되도록 결정되어 있다. 또한, HDD는 파라미터 수리자들인 카메라 1 및 2에, 등록된 상대방 정보로서 설정되어 있다. 물리 계층의 역할이 참가자이며, IP 계층의 역할이 RARP 클라이언트이며,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이 클라이언트(개시자)가 되도록 역할들이 결정되어 있다. 또한, 등록된 상대방 정보가 HDD이기 때문에, 트랜스포트 계층의 프로토콜은 HTTP인 것으로 결정되어 있다.
도 7은 카메라 1 및 2가 화상을 HDD(212)에 전송할 때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 교환 처리부터 화상 송수신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통신을 행하기 전에, 카메라 1 및 2와 HDD는, 서로의 접속 목적지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교환한다(S701 및 S702). 이 교환 처리에서, 파라미터 교환 처리가 카메라들과 HDD 간에 수행되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파라미터 교환 처리가 카메라들과 HDD 간에 수행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역할들이 설정된다.
이 처리에서, HDD가 파라미터 제공자이며 카메라 1 및 2가 파라미터 수리자들인 것으로 결정된다. HDD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파라미터들을 카메라 1에 전송하며(S703), 카메라 1은 교환 처리의 완료를 HDD에게 통지한다(S704). 그 후, HDD는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카메라 2에 전송한다(S705). 교환 처리가 완료되면(S706), 이들 디바이스들은 무선 통신을 중단하며(S707 및 S708), 이 처리 동안 등록된 서로의 접속 목적지를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재기동시킨다. 이 단계에서, 이들 디바이스들은, 교환 처리에 의해 교환된 무선 통신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HDD(212)는 무선 물리 계층의 생성자로서 자신을 기동시키고 비컨을 송신한다(S709). 카메라 2는 무선 물리 계층의 참가자로서 자신을 기동시키고,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브 요구를 전송하며(S710), HDD(212)로부터의 프로브 응답을 기다린다(S711). 마찬가지로, 카메라 1은 무선 물리 계층의 참가자로서 자신을 기동시키며,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브 요구를 전송하며(S712), 프로 브 응답을 기다린다(S713). 이어서, HDD(212) 및 카메라 1 및 2는 AUTOIP 기능에 의해 IP 어드레스들을 결정한다. 그 후, IP 계층의 역할들로서, HDD(212)는 RARP 서버를 기동시키며 카메라 1 및 2는 RARP 클라이언트들을 기동시킨다. RARP 클라이언트들인 카메라 1 및 2는, HDD(212)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기 위해 RARP 요구를 전송한다(S714 및 S716). RARP 요구를 수신한 HDD(212)는 RARP 응답을 카메라 1 및 2에 전송하여(S715 및 S717), 이들에게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통지한다.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들로서, HDD는 HTTP 서버를 기동시키고, 카메라 1 및 2는 HTTP 클라이언트들을 기동시킨다.
카메라 1이 화상 전송 요구를 발생시키는 경우, 카메라 1은 HDD(212)에 대하여 TCP 접속을 수행하며(S718), 이 접속을 수신한 HDD(212)는 TCP 접속 응답을 카메라 1에 전송한다(S719). 카메라 1은 HTTP에 의한 데이터 전송 요구를 HDD(212)에 전송한다(S720). 이 요구를 수신한 HDD(212)는 수신 OK를 카메라 1에게 통지하며(S721), 카메라 1은 HTTP를 이용한 PUT 처리에 의해 화상을 전송한다. HDD(212)는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화상을 저장하며, 이와 동시에 화상을 표시부(216)에 표시한다. 카메라 2가, 저장된 화상을 전송할 것을 HDD(212)에게 요구하면, 카메라 2는 HDD(212)에 대하여 TCP 접속을 수행한다(S722). TCP 접속을 수신한 HDD(212)는 TCP 접속 응답을 카메라 2에 전송한다(S723). 카메라 2는 HTTP에 의한 데이터 취득 요구를 HDD(212)에 전송한다(S724). 이 요구를 수신한 HDD(212)는 전송 OK를 카메라 2에게 통지하며(S725), 카메라 2는 HTTP를 이용한 GET 처리에 의해 화상을 취득한다. 카메라 2는 HDD(212)로부터 전송된 화상을 저장하며 이와 동시에 화상 을 표시부(311)에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 장치 및 카메라 등의 복수의 서로 다른 종별의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할 때, 개개의 통신 계층들에서의 서로의 역할들은, 무선 통신 파라미터 교환 동안의 역할들의 동작과 미리 관련지어져 있다. 파라미터 교환 동안의 역할들에 대응하는 이들 계층들의 역할들은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또한, 데이터 통신 계층(트랜스포트 계층)의 프로토콜들은, 파라미터 교환의 상대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어떠한 복잡한 조작의 수행도 강요받지 않고, 원하는 상대방에 따라 통신 채널 선택 및 프로토콜 선택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각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전술한 실시예의 개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는 설정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의 교환을 개시한다(S1501). 이 교환 처리에서, 각 디바이스는 상대방 디바이스의 종별을 판별하고(S1502), 교환 처리 동안의 역할들을 결정한다(S1503). 그 후, 각 디바이스는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참가하기 위한 파라미터 교환을 수행한다(S1504). 그 후, 각 디바이스는, 파라미터 교환 동안의 역할들에 대응하는 개개의 계층들의 역할들을 결정한다(S1505). 이들 역할들은, 교환 처리의 상대방의 종별와 교환 처리 동안의 역할들에 따라 결정된다. 역할들을 결정한 후, 각 디바이스는, 교환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네트워크에 참가하며, 화상 등의 송수신을 행한다(S1506).
IP 계층의 역할은, 일례로서 상대방 IP 어드레스를 해결하는 RARP 서버/클라이언트 기능을 취하여 설명되었음을 주지한다. 그러나, UPnP(Universal Plug and Play)의 SSDP 디바이스/제어 포인트의 역할을 지정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SSDP는, 간단한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Simple Service Discover Protocol)의 축약어이며, 상대방 단말기를 발견하며 IP 어드레스를 해결하는 기능이다.
또한, IP 계층의 역할은 상대방의 IP 어드레스를 해결하는 기능에 초점을 두어 설명되었음을 주지한다. 그러나,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해결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DHCP 서버 기능의 역할을 본 실시예에 추가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링크 계층을 통해 무선 보안을 설정하는 역할을 본 실시예에 추가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IEEE802.11i에 의해 규정되는 보안 제어는, 서플리컨트(supplicant)(클라이언트) 기능 및 인증자(서버) 기능의 역할들을 갖는다. 서플리컨트 측은, 접속을 인증하고 접속을 허가할지 여부를 판별할 것을 인증자에게 요구한다. 인증자 측은, 이 인증 요구를 서플리컨트로부터 수신하면, 서플리컨트를 인증하고 서플리컨트의 접속을 허가할지 혹은 거부할지를 판별하고, 그 결과를 서플리컨트에게 통지한다. 이들 역할은 또한 파라미터 교환 동안의 역할들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파라미터 교환 동안의 역할들에 대응하는 다른 역할들도 또한 다른 계층들에서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대방 디바이스의 종별은, 파라미터 교환 처리 동안에 서로의 디바이스 종별들을 교환함으로써 판별되거나, 혹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예로서 무선 LAN을 취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UWB(Ultra Wide Band),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 블루투스(상표), 및 ZigBee 등의 다른 네트워크들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유선 네트워크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설명에서, 개개의 계층들의 역할들은, 네트워크 형성 처리 동안에 차례로 기동된다. 이로 인해 디바이스의 부하를 경감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파라미터의 교환 기능에 의해 결정된 역할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통신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개개의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을 서로 관련지어 결정 및 기동시킨다. 따라서, 이들 통신 계층들의 역할들은 어떠한 복잡한 조작도 없이 신속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통신에서의 역할들 또는 네트워크 구성에 관해 의식하지 않고, 통신 파라미터 교환 기능에 의해 교환된 파라미터들을 선택하여 상대방 디바이스와 접속 및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역할 및 디바이스 종별 등의 다양한 면에서 다른, 서로 다른 종별의 디바이스들이, 통신을 확립하기 전에 개개의 통신 계층들에서의 서로의 통신에서의 역할들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가외의(extra) 통신 기능도 기동시키지 않고 통신이 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는, 개개의 계층들에서의 모든 역할들을 수행할 필요가 없 는데, 그 이유는 이들 계층들에서의 역할들이 결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디바이스의 처리 부하가 경감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어떠한 복잡한 조작의 수행도 강요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계층에서의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이러한 모든 변경들 및 등가적인 구조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하는 가장 넓은 해석에 따를 것이다.
본 출원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원에 포함되는, 2006년 2월 1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040959호, 및 2006년 1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354429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Claims (15)

  1. 통신 장치로서,
    다른 장치와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할 때에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 또는 통신 파라미터 수리자(acceptor)로서의 역할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 및
    데이터 링크 계층, IP(Internet Protocol)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계층에서의 역할들을,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역할에 따라 설정하는 설정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통신 계층들에서의 역할들에 기초하여,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하나의 통신 계층에서의 역할로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역할, 및 다른 장치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역할 중 하나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하나의 통신 계층에서의 역할로서, 서버 및 클라이언트 중 하나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하나의 통신 계층에서의 역할로서, 상기 통신 계층에서의 접속을 요구하는 측, 및 접속 요구를 수리(accepting)하는 측 중 하나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하나의 통신 계층에서의 역할로서, 인증을 요구하는 측, 및 인증을 행하는 측 중 하나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하나의 통신 계층에서의 역할로서, 우선 제어(priority control)를 갖는 측, 및 우선 제어를 갖지 않는 측 중 하나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할 때의 역할에 대한 결정을 개시하라고 사용자가 상기 결정 수단에 명령하게 하는 조작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13.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 계층 역할 결정 방법으로서,
    다른 장치와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할 때에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 또는 통신 파라미터 수리자로서의 역할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역할에 따라, 데이터 링크 계층, IP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계층에서의 역할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계층 역할 결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할 때의 역할을 결정하는 단계는, 조작 수단에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통신 계층 역할 결정 방법.
  15.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다른 장치와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할 때에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 또는 통신 파라미터 수리자로서의 역할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역할에 따라, 데이터 링크 계층, IP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계층에서의 역할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
KR1020087022636A 2006-02-17 2007-02-15 통신 장치 및 통신 계층 역할 결정 방법 KR100959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0959 2006-02-17
JP2006040959 2006-02-17
JPJP-P-2006-00354429 2006-12-28
JP2006354429A JP4914207B2 (ja) 2006-02-17 2006-12-28 通信装置及び通信レイヤの役割決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571A KR20080103571A (ko) 2008-11-27
KR100959239B1 true KR100959239B1 (ko) 2010-05-19

Family

ID=3837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636A KR100959239B1 (ko) 2006-02-17 2007-02-15 통신 장치 및 통신 계층 역할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248961B2 (ko)
EP (1) EP1989830B1 (ko)
JP (1) JP4914207B2 (ko)
KR (1) KR100959239B1 (ko)
CN (1) CN101371516B (ko)
RU (1) RU2402883C2 (ko)
WO (1) WO2007094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9817B2 (ja) * 2007-01-29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通信方法、プログラム
CN100534037C (zh) * 2007-10-30 2009-08-26 西安西电捷通无线网络通信有限公司 一种适用于ibss网络的接入认证方法
JP5328142B2 (ja) * 2007-12-05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28141B2 (ja) * 2007-12-05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70937B2 (ja) * 2008-03-17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538692B2 (ja) * 2008-08-08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71892B2 (ja) * 2008-10-06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127658B2 (ja) 2008-10-06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448434B2 (ja) * 2008-12-11 2014-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2387180B (zh) * 2010-09-02 2014-12-24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自适应通信系统及方法
JP5832260B2 (ja) 2011-12-02 2015-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それを用いる撮像装置
JP5511777B2 (ja) * 2011-12-13 2014-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75363B2 (ja) * 2011-12-27 2016-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それを用いる撮像装置
JP5700690B2 (ja) * 2012-01-05 2015-04-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EP2856704B1 (en) * 2012-06-04 2019-03-20 Marvell World Trade Ltd. Relaying messages in a heterogeneous network
JP6184105B2 (ja) * 2013-01-25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223061B2 (ja) * 2013-08-21 2017-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6576240B (zh) * 2014-07-25 2020-03-10 佳能株式会社 通信设备和通信设备的控制方法
JP6344169B2 (ja) * 2014-09-12 2018-06-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装置、プログラム
US11558626B2 (en) * 2018-02-20 2023-01-17 Netgear, Inc. Battery efficient wireless network connection and registration for a low-power device
JP2022033370A (ja) * 2018-12-27 2022-03-0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3419A (ja) 1998-02-26 1999-09-07 Fujitsu Ltd Tcpレイヤのレート制御方式
JP2000269985A (ja) 1999-03-18 2000-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EP1102430A1 (en) 1999-10-27 2001-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rrangement in an ad hoc communication network
ATE471647T1 (de) * 1999-12-06 2010-07-15 Ericsson Telefon Ab L M Intelligente herstellung von piconets
US7002924B2 (en) * 2000-02-04 2006-0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Zero configuration networking
GB0004919D0 (en) * 2000-03-02 2000-04-1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d-hoc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912205B2 (en) * 2000-11-30 2005-06-28 Sun Microsystems, Inc. Autoconfiguring IP routers
JP4029629B2 (ja) 2001-03-27 2008-0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通信機器、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215923B2 (en) * 2001-08-06 2007-05-08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JP3937820B2 (ja) * 2001-11-27 2007-06-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のアダプタ
US6718394B2 (en) * 2002-04-29 2004-04-06 Harris Corporation Hierarchical mobile ad-hoc network and methods for performing reactive routing therein using 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routing (AODV)
JP3848235B2 (ja) * 2002-10-04 2006-11-2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処理装置、通信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855909B2 (ja) * 2002-10-23 2006-1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ポリシ設定可能なピアツーピア通信システム
US7263070B1 (en) * 2002-11-05 2007-08-28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node configuration to facilitate peer-to-peer communication
GB2398704B (en) * 2003-02-21 2005-07-06 Toshiba Res Europ Ltd Address autoconfiguration in ad hoc networks
US20050058109A1 (en) * 2003-09-16 2005-03-17 Jan-Erik Ekberg Mechanism for improving connection control in peer-to-peer ad-hoc networks
KR100803590B1 (ko) 2003-10-31 2008-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망간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터널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KR100555730B1 (ko) * 2003-11-04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애드혹 네트워크의 리더 선출방법
US20050188069A1 (en) * 2003-12-31 2005-08-25 Ravikumar Mohandas Zero-configuring IP addresses for peer-to-peer networks
US7046647B2 (en) * 2004-01-22 2006-05-16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Mobility architecture using pre-authentication, pre-configuration and/or virtual soft-handoff
US7673143B1 (en) * 2004-02-24 2010-03-02 Sun Microsystems, Inc. JXTA rendezvous as certificate of authority
US7493371B1 (en) * 2004-03-31 2009-02-17 Network Appliance, Inc. Using a client-server connection protocol to establish a peer-to-peer connection
JP4440009B2 (ja) 2004-06-21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7526310B2 (en) * 2005-11-21 2009-04-28 James Alan Billmaier Methods and apparatus to initiate the transmission of user data from a mobile device
US8090374B2 (en) * 2005-12-01 2012-01-03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Wireless multimedia handset
US7580701B2 (en) * 2005-12-27 2009-08-25 Intel Corporation Dynamic passing of wireless configuration parameter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Std 802.11 Information technology -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 Specific requirements Part 11", 2005.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9830B1 (en) 2012-11-14
USRE47843E1 (en) 2020-02-04
US20100220605A1 (en) 2010-09-02
RU2008137130A (ru) 2010-03-27
JP4914207B2 (ja) 2012-04-11
CN101371516B (zh) 2012-07-18
KR20080103571A (ko) 2008-11-27
RU2402883C2 (ru) 2010-10-27
EP1989830A1 (en) 2008-11-12
EP1989830A4 (en) 2009-05-13
CN101371516A (zh) 2009-02-18
US8248961B2 (en) 2012-08-21
JP2007251922A (ja) 2007-09-27
WO2007094512A1 (en)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239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계층 역할 결정 방법
JP628204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2283325B1 (ko) 통신 디바이스,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6335466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047676B1 (en) Handover of a connection between two communication devices from nfc communication mode to wlan communication mode involving service discovery
JP5600407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338344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663068B (zh) 可利用近距离无线通信连接的通信设备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EP1803254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163103A1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JP6858069B2 (ja) 画像供給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415232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7017594A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66669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6877999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038125B2 (ja) 通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6918463B2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204039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画像取得装置、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12882B2 (ja) 通信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929697B2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95828A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354653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撮影装置
JP2018007059A (ja)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