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751B1 - 가변 착지식 지압판 - Google Patents

가변 착지식 지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751B1
KR100958751B1 KR1020100026591A KR20100026591A KR100958751B1 KR 100958751 B1 KR100958751 B1 KR 100958751B1 KR 1020100026591 A KR1020100026591 A KR 1020100026591A KR 20100026591 A KR20100026591 A KR 20100026591A KR 100958751 B1 KR100958751 B1 KR 100958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anding
plates
protrusion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섭
박근태
곽창진
Original Assignee
극동엔지니어링(주)
주식회사 청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엔지니어링(주), 주식회사 청아건설 filed Critical 극동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0002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02D2200/1664Shapes polygonal made from multip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 및 성토 사면의 보강을 위하여 사면에 밀착 시공되는 지압판에 관한 것으로, 앵커(anchor)가 결합되는 지압판 본체에 방사상(放射狀) 착지판을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되, 지압판 본체 및 각 착지판에 서로 대칭되는 경사면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 경사면 상측에는 승강봉이 설치된 압박프레임을 결합하여 승강봉이 지압판 본체와 착지판간 형성된 경사면 사이를 압박함으로써 각각의 착지판이 지면에 강력하게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지압판을 구성하는 각 착지판의 고정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정함은 물론 지면에 강력하게 밀착시킴으로써, 불규칙한 지면에 대하여도 지압판의 긴밀한 밀착과 높은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써 각종 절, 성토 사면에 대한 보강효과를 제고하고, 사면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착지식 지압판{VARIABLE CONTACT TYPE LAND PRESSING BLOCK}
본 발명은 절토 및 성토 사면의 보강을 위하여 사면에 밀착 시공되는 지압판에 관한 것으로, 앵커(anchor)가 결합되는 지압판 본체에 방사상(放射狀) 착지판을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되, 지압판 본체 및 각 착지판에 서로 대칭되는 경사면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 경사면 상측에는 승강봉이 설치된 압박프레임을 결합하여 승강봉이 지압판 본체와 착지판간 형성된 경사면 사이를 압박함으로써 각각의 착지판이 지면에 강력하게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압판이란, 일종의 사면 보강 부재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중심부는 지반에 관입된 앵커(19)에 의하여 고정되고, 다수의 착지판(10)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주변 사면을 지지하게 되며, 인접한 지압판의 착지판(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식생을 실시하여 절토사면 또는 성토사면의 파괴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압판은 통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또는 강제(鋼製)로 제작되어, 도 2에서와 같이 시공 대상 지반에 관입된 앵커(19) 두부에 결속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데,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공 대상면 즉, 절토면 또는 성토면이 평탄하지 않고 불규칙할 경우 지압판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착지판(10)이 지면에 밀착되지 않게 되어, 지압판내 응력분포가 편중될 뿐 아니라 지면에 작용하는 지압효과 또한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일반 성토사면의 경우 지압판이 설치된 지점의 지면이 변형되면서 지압판과 지면간 밀착효과를 어느정도 기대할 수 있으나, 암질(巖質) 절토면의 경우 표면이 불규칙할 뿐 아니라 시공면의 변형 또한 거의 기대할 수 없으므로, 전술한 지압판과 지면간 밀착불량 및 그로 인한 보강효과 저감 문제가 상존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지반에 관입된 앵커(19)가 중심부에 체결되고, 다수의 착지판(10)이 방사상(放射狀)으로 형성된 사면 보강용 지압판에 있어서, 중심부에 앵커공(21)이 형성된 중심블럭(20) 측면에는 다수의 돌출판(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돌출판(22)의 선단부 하측에는 돌출판(22)과 동수(同數)의 착지판(10) 일단부 하측이 회동축(11)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축(11) 상부의 돌출판(22) 및 착지판(10)에는 각각 돌출판경사면(29) 및 착지판경사면(19)이 형성되어 이들 돌출판경사면(29) 및 착지판경사면(19)이 측면상 V자형 홈을 형성하며, 하단이 회동축(11)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유도홈(33)이 종방향으로 절개된 한쌍의 측판(32)과, 이들 측판(32) 상단을 연결하고 중심부에 부분나선축(35)이 결합된 상판(31)과, 중심부에는 부분나선축(35)이 직교방향으로 결합되고 양단은 유도홈(33)에 결합되어 부분나선축(35)이 회전함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봉(34)으로 구성된 압박프레임(30)이 설치되어, 압박프레임(30)의 승강봉(34)이 돌출판경사면(29) 및 착지판경사면(19)을 압박함에 따라 착지판(10)의 저면이 지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착지식 지압판이다.
또한, 상기 착지판(10)의 저면은 망체(12)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봉(34)의 양단은 측판(32) 외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승강봉(34)의 양단에는 나선이 형성되고, 나선이 형성된 승강봉(34)의 양단에는 고정너트(37)가 체결되어 승강봉(34)이 측판(32)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착지식 지압판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지압판을 구성하는 각 착지판의 고정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정함은 물론 지면에 강력하게 밀착시킴으로써, 불규칙한 지면에 대하여도 지압판의 긴밀한 밀착과 높은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써 각종 절, 성토 사면에 대한 보강효과를 제고하고, 사면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압판 시공상태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지압판 시공상태 대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방식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상태 대표단면도
도 7은 저면에 망체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8은 승강봉에 고정너트가 체결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은 본 발명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심부를 관통하는 앵커공(21)이 형성되어 앵커(19) 두부가 결속되는 중심블럭(20)과, 중심블럭(20)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착지판(10) 등으로 구성된다.
중심블럭(20)과 착지판(10)은 힌지(hinge)연결되어 착지판(10)이 자유롭게 회전되는데, 중심블럭(20) 측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출판(22)에, 도 4에서와 같이, 착지판(10)의 일단 하부가 회동축(11)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회동축(11) 상부의 돌출판(22) 및 착지판(10)에는 각각 돌출판경사면(29) 및 착지판경사면(19)이 형성되어, 돌출판(22)과 착지판(10)의 결합시 이들 돌출판경사면(29) 및 착지판경사면(19)이 측면상 V자형 홈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유도홈(33)이 종방향으로 절개된 한쌍의 측판(32)과, 이들 측판(32) 상단을 연결하고 중심부에 부분나선축(35)이 결합된 상판(31)과, 중심부에는 부분나선축(35)이 직교방향으로 결합되고 양단은 유도홈(33)에 결합되어 부분나선축(35)이 회전함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봉(34)으로 구성된 압박프레임(30)이, 양 측판(32)의 하단부가 회동축(11)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나선축(35)의 두부 직하부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걸림턱(36)이 형성되어 부분나선축(35)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축방향의 이동은 상판(31)에 구속된 상태고, 승강봉(34)은 양단이 측판(32)의 유도홈(33)에 결합되어 부분나선축(35)을 축으로 하는 회전이 구속되므로, 압박프레임(30)의 승강봉(34)은 상판(31) 상측에 노출된 부분나선축(35)의 두부를 회전함에 따라 유도홈(33)을 따라 승강되는 것이다.
이에 도 5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착지판(10)이 회동축(11)을 축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부분나선축(35)을 회전하여 승강봉(34)을 하강시킴으로써 승강봉(34)의 외주면이 착지판경사면(19) 및 돌출판경사면(29)을 압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착지판(10)이 지면에 강력하게 밀착된다.
이렇듯 중심블럭(20)과 착지판(10)간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면서도 강력한 지반 밀착이 가능한 본 발명을 통하여 도 6에서와 같이, 불규칙한 형상을 가진 지반에서도 강력하고 긴밀한 지압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도 7은 통상 완전 폐쇄된 착지판(10)의 저면을 망체(12)로 구성함으로써, 착지판(10) 사이의 공간 뿐 아니라, 착지판(10) 자체에도 식물의 활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망체(12)형 착지판(10)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식생효과를 극대화함은 물론 지압판과 지면과의 결속효과를 제고하는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8은 승강봉(34)의 양단이 측판(32)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이 돌출된 부분에 나선을 형성하여 고정너트(37)를 체결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승강봉(34)을 압박프레임(30)의 양 측판(3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지압판을 계획지점에 설치하고 착지판(10)을 회동, 조정하여 지면에 밀착한 후, 승강봉(34)을 하강시켜 착지판(10)을 지면에 강력하게 압박한 상태에서, 승강봉(34) 양단에 고정너트(37)를 체결하여 승강봉(34)을 압박프레임(30)의 양 측판(32)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착지판(10)의 압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 : 착지판
19 : 앵커(anchor)
11 : 회동축
12 : 망체
19 : 착지판경사면
20 : 중심블럭
21 : 앵커공
22 : 돌출판
29 : 돌출판경사면
30 : 압박프레임
31 : 상판
32 : 측판
33 : 유도홈
34 : 승강봉
35 : 부분나선축
36 : 걸림턱
37 : 고정너트

Claims (3)

  1. 지반에 관입된 앵커(19)가 중심부에 체결되고, 다수의 착지판(10)이 방사상(放射狀)으로 형성된 사면 보강용 지압판에 있어서,
    중심부에 앵커공(21)이 형성된 중심블럭(20) 측면에는 다수의 돌출판(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돌출판(22)의 선단부 하측에는 돌출판(22)과 동수(同數)의 착지판(10) 일단부 하측이 회동축(11)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축(11) 상부의 돌출판(22) 및 착지판(10)에는 각각 돌출판경사면(29) 및 착지판경사면(19)이 형성되어 이들 돌출판경사면(29) 및 착지판경사면(19)이 측면상 V자형 홈을 형성하며;
    하단이 회동축(11)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유도홈(33)이 종방향으로 절개된 한쌍의 측판(32)과, 이들 측판(32) 상단을 연결하고 중심부에 부분나선축(35)이 결합된 상판(31)과, 중심부에는 부분나선축(35)이 직교방향으로 결합되고 양단은 유도홈(33)에 결합되어 부분나선축(35)이 회전함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봉(34)으로 구성된 압박프레임(30)이 설치되어;
    압박프레임(30)의 승강봉(34)이 돌출판경사면(29) 및 착지판경사면(19)을 압박함에 따라 착지판(10)의 저면이 지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착지식 지압판.
  2. 제1항에 있어서, 착지판(10)의 저면은 망체(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착지식 지압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승강봉(34)의 양단은 측판(32) 외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승강봉(34)의 양단에는 나선이 형성되고;
    나선이 형성된 승강봉(34)의 양단에는 고정너트(37)가 체결되어 승강봉(34)이 측판(32)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착지식 지압판.
KR1020100026591A 2010-03-25 2010-03-25 가변 착지식 지압판 KR10095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591A KR100958751B1 (ko) 2010-03-25 2010-03-25 가변 착지식 지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591A KR100958751B1 (ko) 2010-03-25 2010-03-25 가변 착지식 지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751B1 true KR100958751B1 (ko) 2010-05-19

Family

ID=4228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591A KR100958751B1 (ko) 2010-03-25 2010-03-25 가변 착지식 지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7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568A (ko) * 2014-12-10 2015-01-07 (주)스마텍엔지니어링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JP2018131809A (ja) * 2017-02-15 2018-08-23 吉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受圧板、受圧板を用いた既設法枠を有する斜面の保護方法及び既設法枠を有する斜面の保護システム
CN108729453A (zh) * 2018-05-31 2018-11-02 亓新广 一种预制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240028A (zh) * 2020-11-17 2021-01-19 福建省交通规划设计院有限公司 一种预制uhpc边坡锚固板装置及其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6521A (ja) 1987-02-23 1988-08-25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法枠構造体
JP2004027574A (ja) 2002-06-24 2004-01-29 Koiwa Kanaami Co Ltd 斜面の緑化工法
JP2004108093A (ja) 2002-09-20 2004-04-08 Fujimitsu Komuten:Kk 法枠とその補修工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る補強部材
JP2005036501A (ja) 2003-07-15 2005-02-10 Kensetsu Kiso Eng Co Ltd 斜面安定構造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6521A (ja) 1987-02-23 1988-08-25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法枠構造体
JP2004027574A (ja) 2002-06-24 2004-01-29 Koiwa Kanaami Co Ltd 斜面の緑化工法
JP2004108093A (ja) 2002-09-20 2004-04-08 Fujimitsu Komuten:Kk 法枠とその補修工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る補強部材
JP2005036501A (ja) 2003-07-15 2005-02-10 Kensetsu Kiso Eng Co Ltd 斜面安定構造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568A (ko) * 2014-12-10 2015-01-07 (주)스마텍엔지니어링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KR101643916B1 (ko) * 2014-12-10 2016-07-29 (주)스마텍엔지니어링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JP2018131809A (ja) * 2017-02-15 2018-08-23 吉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受圧板、受圧板を用いた既設法枠を有する斜面の保護方法及び既設法枠を有する斜面の保護システム
CN108729453A (zh) * 2018-05-31 2018-11-02 亓新广 一种预制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108729453B (zh) * 2018-05-31 2020-10-09 亓新广 一种预制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240028A (zh) * 2020-11-17 2021-01-19 福建省交通规划设计院有限公司 一种预制uhpc边坡锚固板装置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751B1 (ko) 가변 착지식 지압판
US8002234B2 (en) Device for forming concrete
US20180148901A1 (en) Supports for Helical Piles and Anchors
KR100699775B1 (ko) 강관파일의 두부보강장치
US10221538B2 (en) Helical pile leads and extensions
KR101703164B1 (ko) 매트 고정용 부재
KR200387370Y1 (ko) 회전 가능한 체결브라켓을 갖는 가설 흙막이 공법용경사버팀재
KR100978607B1 (ko) 도로, 조경 및 단지 공사용 회동 가변형 지압판
KR102400378B1 (ko) 전주용 보강구조
JP2017036592A (ja) 受圧板
WO2021217177A1 (en) Sod roller terminal attachment for excavator
KR101345575B1 (ko) 자연석 결합 매트형 호안재
KR102275450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의 커버 밴드 및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
US20130037691A1 (en) Formwork Column
KR100973484B1 (ko) 굴절 고정식 지압판
KR20200127556A (ko) 버팀보 연결구
CN209538193U (zh) 便于开挖深基坑的组合型支柱结构
CN207673348U (zh) 一种基于型钢的预制装配式复合支护系统
DE202015004038U1 (de) Massagegerät zum Lösen verklebter Faszienstrukturen, insbesondere bei Pferden
CN111719541B (zh) 一种可以破坏土体结构的插板装置及使用方法
EP3191645B1 (de) Zerlegbare und tragbare vorrichtung zum stützen und halten von balancierbändern mit bodenanker
KR102041697B1 (ko) 로프 고정구
JP6680512B2 (ja) 港湾、海岸、漁港等の構造物のマウンド
RU58563U1 (ru) Свайный фундамент
CN220013714U (zh) 一种交通工程的施工护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