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568A -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 Google Patents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568A
KR20150002568A KR20140177538A KR20140177538A KR20150002568A KR 20150002568 A KR20150002568 A KR 20150002568A KR 20140177538 A KR20140177538 A KR 20140177538A KR 20140177538 A KR20140177538 A KR 20140177538A KR 20150002568 A KR20150002568 A KR 20150002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plate
concrete block
steel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7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916B1 (ko
Inventor
오성남
Original Assignee
(주)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7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9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2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관입 설치되는 앵커의 단부가 고정 정착되어 비탈면에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비탈면을 보강하여 사면 붕괴 방지와 사면 안정을 도모하는 앵커 수압판(受壓板)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재(鋼材) 블록과 콘크리트 블록의 조립 일체화 구조에 의해 십자(十字) 형상을 가짐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하여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되며, 식생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지는 강-콘크리트(steel-concrete)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Steel-Concrete Composite Member for Settlement of Ground Anchor}
본 발명은 지중에 관입 설치되는 앵커의 단부가 고정 정착되어 비탈면에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비탈면을 보강하여 사면 붕괴 방지와 사면 안정을 도모하는 앵커 수압판(受壓板)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재(鋼材) 블록과 콘크리트 블록의 조립 일체화 구조에 의해 십자(十字) 형상을 가짐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하여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되며, 식생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지는 강-콘크리트(steel-concrete)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에 관한 것이다.
비탈면(斜面)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탈면의 지중에는 앵커를 관입 설치하고 앵커를 긴장하여 긴장력을 도입하게 되는데, 경사면에는 앵커의 긴장력을 받아서 비탈면으로 전달하기 위한 앵커 수압판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비탈면에는 앵커 수압판이 설치되고, 지중에 관입 설치되고 긴장력이 도입된 앵커의 외측 단부는 앵커 수압판을 관통하여 앵커 수압판에 고정된다. 앵커의 긴장력에 의해 앵커 수압판은 비탈면 방향으로 강하게 가압되고, 그에 따라 비탈면의 보강 및 안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앵커의 정착 및 비탈면 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앵커 수압판은 십자(十字)형상을 가지도록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되었으며, 이러한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앵커 수압판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690호 등을 통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앵커 수압판은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1개당 중량이 2톤 내외로 매우 무겁다. 그렇기 때문에 운반 및 취급이 매우 어려우며 대형 트럭과 대형 크레인 등의 대형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면 앵커 수압판의 운반 및 설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대형 장비가 들어갈 수 없는 좁은 현장에서는 앵커 수압판을 들어서 비탈면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종래의 앵커 수압판은 공장에서부터 이미 십자 형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형상으로 인하여 야적이나 운반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앵커 수압판을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큰 거푸집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십자 형상의 거푸집을 만들어야 하므로, 거푸집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제작하는데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철근을 십자 형태로 배근하여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철근 배근 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만 제작된 종래의 십자형 앵커 수압판의 경우, 외부에서 보이는 표면에 어떠한 식생도 가능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앵커 수압판이 설치된 비탈면은 매우 삭막한 외관을 가지게 된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비탈면 표면의 요철이 심한 경우, 종래의 앵커 수압판을 설치하였을 때 앵커 수압판의 저면과 비탈면이 밀착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앵커의 긴장력이 비탈면에 등분포하중으로 분산되지 못하고 집중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앵커 수압판 및 비탈면과 지반에 작용하는 응력이 매우 커지게 되어 비탈면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690호(2011. 12. 29.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만 제작된 십자형 앵커 수압판이 가지는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앵커 수압판과 마찬가지로 십자 형상을 가지고 있되 종래의 앵커 수압판보다 월등히 가벼운 중량을 가짐으로써,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되어 비탈면에서의 설치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대형 장비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대형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좁은 현장에서도 앵커 수압판을 비탈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수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십자 형상이 현장에서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앵커 수압판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의 규모를 축소할 수 있게 하여 그에 따른 비용 절감과 필요 제작 공간의 축소를 도모하고, 십자 형상의 거푸집이 필요하지 않게 함으로써 거푸집 제작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철근을 십자 형태로 배근하여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철근 배근 작업도 필요하지 않게 하며, 공장에서 야적할 때, 또는 현장으로 운반할 때에 십자 형상으로 인한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앵커 수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식생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어서, 비탈면에 설치되었을 때 미려하고 친환경적인 비탈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며, 비탈면 표면에 요철이 존재하더라도 앵커의 긴장력이 앵커 수압판을 통하여 비탈면에 균등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탈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앵커 수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빔 부재로 이루어지며, 지중에 관입된 앵커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앵커가 정착되는 정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鋼材)의 빔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에 각각 조립 결합되는 강재 블록으로 구성되어; 십자(十字) 형상을 가지면서 비탈면에 설치되어 앵커의 가압력에 의해 비탈면을 가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에서, 강재 블록은 비탈면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저면판과, 한 쌍의 측면판과,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에 결합되는 내측 단면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빈 내부공간은 식물이 식재되어 성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이 되는 빈 내부공간이 저면판, 측면판 및 내측 단면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앵커 수압판이 제공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한 쌍의 측면판 위에 상면판이 덮이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에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이 십자 형상의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다각형 단면의 빔 부재로 구성되며; 강재 블록은 십자 형상의 제2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강재 빔 부재로 이루어져서, 콘크리트 블록의 중앙 위치에서 제2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일체로 조립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2개의 강재 블록은 연결판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콘크리트 블록은 연결판의 상면 위에 위치하게 되며; 앵커가 콘크리트 블록에 긴장 정착되어 앵커의 긴장력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이 비탈면 방향으로 가압될 때, 콘크리트 블록이 연결판을 직접 가압하게 됨으로써, 강재 블록이 비탈면을 가압하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블록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6면체의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콘크리트 블록의 4개의 측면에는 각각 강재 블록이 일체로 조립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이 제공되며, 더 나아가 앵커 수압판의 저면과 비탈면 사이에는, 주머니 형태의 매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충진재가 채워져 팽창되는 지압매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수압판은 개별적인 작은 부재의 조립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부재는 가벼운 중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운반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하며, 특히, 운반을 하거나 비탈면에서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때 소형 장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그만큼 비용 절감 효과를 발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대형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좁은 현장에서도 앵커 수압판을 비탈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에서는 콘크리트 부재를 빔 부재의 단순한 형상으로 제작하게 되므로, 거푸집의 규모가 종래의 십자형 앵커 수압판보다 크게 줄어들게 되고 거푸집의 형상도 상대적으로 단순해지므로 거푸집을 이용한 제작비용의 절감 및 필요 제작 공간의 축소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할 때 철근을 십자 형태로 배근할 필요가 없으므로 철근 배근 작업도 종래의 십자형 앵커 수압판보다 훨씬 수월해져서 그만큼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되고, 특히 공장에서 야적할 때, 또는 현장으로 운반할 때에 십자 형상으로 인한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전체적인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수압판은 식생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비탈면에 설치되었을 때, 식물의 식재를 통해서 비탈면을 녹화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미려하고 친환경적인 비탈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앵커 수압판과 비탈면 사이에 지압매트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탈면의 표면에 요철이 존재하더라도, 앵커의 긴장 정착에 의해 비탈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은 앵커 수압판의 저면 전체를 통해서 비탈면에 등분포하중으로 분산되어 고르게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비탈면의 구조적 안정성이 종래 기술보다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압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앵커 수압판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앵커 수압판이 비탈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선 A-A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앵커 수압판이 비탈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선 B-B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관통결합봉이 결합부재로 이용되는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압판에 대한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2개의 강재 블록이 연결판(28)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에 대한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압판이 비탈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강재 블록에 상면판이 구비된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압판에서 상면판이 덮이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면판이 강재 블록에 완전히 덮인 상태를 보여주는 앵커 수압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콘크리트 블록의 4개 측면에 각각 강재 블록(이 조립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압판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압판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2는 콘크리트 블록에 추가적인 강재 블록이 각각 일체 조립된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압판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압판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과 비탈면 사이에 지압매트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지압매트가 팽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은 평면 방향으로 볼 때 십자 형상을 가지는데 편의상 십자(十字) 형상의 서로 교차되는 2개의 방향을 각각 제1방향과 제2방향이라고 부른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압판(1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앵커 수압판(10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도 1의 앵커 수압판(100)이 비탈면(9)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은 도 1의 선 A-A 위치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선 B-B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은 강재 블록과 콘크리트 블록의 일체 조립 합성으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빔 부재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블록(1)과, 강재(鋼材)의 빔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 블록(1)의 측면에 각각 조립 결합되는 강재 블록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블록(1)은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다각형 단면의 빔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내부에는 보강 철근이 배근되어 있는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되며, 비탈면(9)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평평한 저면을 가지고 있는 부재이다. 편의상 콘크리트 블록(1)의 내부에 배근되는 보강 철근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콘크리트 블록(1)의 중앙에는 앵커(6)의 외측 단부가 정착되는 정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착부에는 앵커(6)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비탈면(9)의 지중에 관입 고정된 앵커(6)의 외측 단부는 콘크리트 블록(1)의 관통공(15)에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앵커(6)가 긴장된 후에는 앵커의 외측 단부는 콘크리트 블록(1)의 정착부에 정착된다.
강재 블록은 강재로 이루어진 빔 부재인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강재 블록(2a, 2b)이 각각 콘크리트 블록(1)의 중앙 위치에서 제2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일체로 조립 결합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이 비탈면(9)에 설치되고, 앵커(6)가 콘크리트 블록(1)에 긴장 정착되면, 앵커(6)의 긴장력은 콘크리트 블록(1) 뿐만 아니라 강재 블록(2a, 2b)에 의해 비탈면(9)에 가압력의 형태로 작용하게 되어 비탈면(9)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강재 블록(2a, 2b)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각의 강재 블록(2a, 2b)은 비탈면(9)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저면판(20)과, 한 쌍의 측면판(21)과, 콘크리트 블록(1)의 측면에 결합되는 내측 단면판(22)을 포함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강재 블록(2a, 2b)에서 제2방향의 외측 단부에는 외측 단부판(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강재 블록(2a, 2b)에는 저면판(20), 측면판(21) 및 내측 단면판(22)으로 감싸져 있는 빈 내부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은 후술하는 것처럼 식물(8)이 식재되어 성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강재 블록(2a, 2b)이 비탈면(9)에 설치된 상태에서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에 토사(81)를 채워서 식물(8)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이 식생공간으로서 활용되는 것을 감안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강재 블록(2a, 2b)은 저면판(20)에 관통공 형태의 배수공(20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수공(201)이 형성되면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에 과도하게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할 때에는 비탈면의 지반으로부터 식물에 필요한 수분이 배수공(201)을 통해서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이 식생공간으로서 효율적으로 이용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수압판(100)은 이와 같이 식생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비탈면(9)에 설치되었을 때, 식물의 식재를 통해서 비탈면(9)을 녹화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미려하고 친환경적인 비탈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강재 블록(2a, 2b)의 강성 증대 및 보강을 위하여 보강리브가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에 더 설치될 수 있다. 보강리브는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제2방향으로 배치되며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에 연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2연직보강판(26)과,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2연직보강판(26)과 교차하도록 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연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1연직보강판(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연직보강판(25)과 제2연직보강판(26)은 각각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연직보강판(25)과 제2연직보강판(26)으로 이루어진 보강리브가, 저면판(20), 측면판(21) 및 내측 단면판(22)으로 감싸져 있는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게 되면, 강재 블록(2a, 2b) 자체의 강성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이 보강리브에 의해 복수개의 소형 공간으로 분할되므로,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을 식생공간으로 활용할 때 토사의 유실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분할된 소형 공간에 각각 상이한 식물을 식재하는 등 식생공간으로서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다음에서는 강재 블록(2a, 2b)을 콘크리트 블록(1)에 일체로 조립 결합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강재 블록(2a, 2b)의 내측 단면판(22)이 콘크리트 블록(1)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부재(5)에 의해 강재 블록(2a, 2b)과 내측 단면판(22)이 일체로 결합된다. 결합부재(5)로는 매립연결봉이 이용될 수 있는데, 콘크리트 블록(1)을 제작할 때 매립연결봉의 일단을 콘크리트 블록(1)에 매립시키고 매립연결봉의 타단은 콘크리트 블록(1)의 측면 밖으로 돌출시킨 후, 현장에서 강재 블록(2a, 2b)의 내측 단면판(22)을 콘크리트 블록(1)의 측면에 밀착시키면서 내측 단면판(22)에 형성된 체결관통공에 매립연결봉의 타단이 관통되도록 하고 관통된 매립연결봉의 타단에 너트 등이 체결수단(51)을 체결함으로써 강재 블록(2a, 2b)을 콘크리트 블록(1)에 일체로 조립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재(5)로는 위와 같이 일단이 미리 콘크리트 블록(1)에 매립되는 매립연결봉 이외에도, 콘크리트 블록(1)을 제2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결합봉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관통결합봉이 결합부재(5)로 이용되는 경우에 대한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콘크리트 블록(1)에 미리 제2방향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해두고 관통결합봉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5)를 콘크리트 블록(1)에 제2방향으로 관통시켜 결합부재(5)의 양단부가 콘크리트 블록(1)의 측면에 각각 돌출되도록 한 후, 강재 블록(2a, 2b)의 내측 단면판(22)을 콘크리트 블록(1)의 측면에 밀착시키면서 내측 단면판(22)에 형성된 체결관통공(220)에 관통결합봉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5)의 단부가 관통되도록 하고 관통된 관통결합봉에 너트 등이 체결수단(51)을 체결함으로써 강재 블록(2a, 2b)을 콘크리트 블록(1)에 일체로 조립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강재 블록(2a, 2b)을 콘크리트 블록(1)에 일체로 조립 결합하는 구성은, 상기한 것처럼 관통결합봉이나 매립연결봉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5)를 이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크리트의 평평한 면에 강재 판을 밀착하여 서로 일체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것을 이용하여 강재 블록(2a, 2b)의 내측 단면판(22)을 콘크리트 블록(1)에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강재 블록(2a, 2b)과 콘크리트 블록(1)을 조립 일체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강재 블록(2a, 2b)과 콘크리트 블록(1)의 일체 조립은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콘크리트 블록(1)과 강재 블록(2a, 2b)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되고 보관 및 운반 역시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서 비탈면의 현장으로 각각 이송되어 현장에서 상기한 일체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앵커 수압판과 달리,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은 개별적인 작은 부재의 조립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부재(콘크리트 블록, 강재 블록)는 가벼운 중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운반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하다. 특히, 운반을 하거나 비탈면에서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때 소형 장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그만큼 비용 절감 효과를 발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대형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좁은 현장에서도 앵커 수압판을 비탈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에서는 콘크리트 부재를 십자 형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빔 부재의 형상으로 제작하게 되므로, 거푸집의 규모가 종래의 십자형 앵커 수압판보다 크게 줄어들게 되고 거푸집의 형상도 상대적으로 단순해지므로 거푸집을 이용한 제작비용의 절감 및 필요 제작 공간의 축소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할 때 철근을 십자 형태로 배근할 필요가 없으므로 철근 배근 작업도 종래의 십자형 앵커 수압판보다 훨씬 수월해져서 그만큼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되고, 보관이나 운송할 때 십자 형상으로 인한 불편함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콘크리트 블록(1)에 결합되는 강재 블록(2a, 2b)이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2개의 강재 블록(2a, 2b)은 연결판(28)에 의해 처음부터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에는 이와 같이 2개의 강재 블록(2a, 2b)이 연결판(28)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한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가 비탈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강재 블록(2a, 2b) 사이에는 연결판(28)이 구비되어 2개의 강재 블록(2a, 2b)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연결판(28)의 위치는 강재 블록(2a, 2b)의 저면판(21)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저면판(21)이 길게 연장되어, 그 연장된 부분이 연결판(28)에 해당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연결판(28)에는 앵커(6)가 관통하는 앵커관통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판(28)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강재 블록(2a, 2b)과 콘크리트 블록(1)이 일체로 조립되었을 때, 콘크리트 블록(1)은 연결판(28)의 상면 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앵커 수압판(100)이 비탈면(9)에 설치되고 앵커(6)가 콘크리트 블록(1)에 긴장 정착되어 앵커(6)의 긴장력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1)이 비탈면(9) 방향으로 가압될 때, 콘크리트 블록(1)이 연결판(28)을 직접 가압하게 되어 강재 블록(2a, 2b)도 비탈면(9)을 가압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5의 경우, 앵커(6)의 긴장 정착에 의해 발생되어 콘크리트 블록(1)을 비탈면(9)에 가압하는 가압력은, 결합부재(5)에 의해 강재 블록(2a, 2b)으로 전달되어 강재 블록(2a, 2b)을 비탈면(9)에 밀착 가압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강재 블록(2a, 2b)과 콘크리트 블록(1)간에는 이러한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전단결합이 이루어져야 하고, 결합부재(5) 역시 이에 부합할 수 있는 전단강성 및 단면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에 비하여 도 6 및 도 7의 경우, 앵커(6)에 의해 발생된 가압력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1)이 비탈면(9)에 가압됨과 동시에 콘크리트 블록(1)이 직접 연결판(28)을 가압하게 되어, 가압력이 연결판(28)을 통해서 강재 블록(2a, 2b)으로 전달되고 강재 블록(2a, 2b)이 비탈면(9)에 밀착 가압된다. 즉, 앵커에 의한 가압력이 전단결합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1)으로부터 강재 블록(2a, 2b)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블록(1)이 강재 블록(2a, 2b)을 비탈면(9) 방향으로 직접 누르는 것에 의해 가압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의 경우, 강재 블록(2a, 2b)과 콘크리트 블록(1)간에는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전단결합이 요구되며, 그에 따라 결합부재(5)에 대해 요구되는 전단강성 및 단면 역시 줄어들게 된다. 만일 위에서 예시한 관통결합봉이나 매립연결봉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5)를 이용하여 강재 블록(2a, 2b)과 콘크리트 블록(1)을 조립한다면,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보다 더 적은 개수의 결합부재(5) 또는 더 작은 단면의 결합부재(5)를 사용하여도 충분하며, 그에 따라 비용 절감 및 강재 블록(2a, 2b)과 콘크리트 블록(1)의 결합 작업 간소화의 이점이 발휘된다.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는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이 식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외부에 개방된 형태로 노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강재 블록(2a, 2b)의 내부공간을 상면판(24)으로 덮을 수도 있다. 도 8에는 강재 블록(2a, 2b)에 상면판(24)이 덮이는 상태를 보여주는 앵커 수압판(100)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상면판(24)이 완전히 덮인 상태를 보여주는 앵커 수압판(1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에서는, 한 쌍의 측면판(21) 위로 상면판(24)이 덮여서 평면에서 볼 때 빈 내부공간이 보이지 않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의 경우, 십자 형상에서 제1방향의 길이 전체가 콘크리트 블록(1)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콘크리트 블록(1)은 제1방향의 길이 일부에만 해당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에는 각각 콘크리트 블록(1)이 제1방향으로 강재 블록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만 가지고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1)의 4개 측면에 각각 강재 블록(2a, 2b, 2c, 2d)이 조립 결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압판(1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도 10)와 조립 사시도(도 1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콘크리트 블록(1)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6면체로 이루어지고, 4개의 측면에는 각각 강재 블록(2a, 2b, 2c, 2d)이 일체로 조립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도, 강재 블록은 연결판(28)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강재 블록(2a, 2b)이 연결판(28)에 연결되고,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강재 블록(2c, 2d)도 연결판(28)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4개의 강재 블록(2a, 2b, 2c, 2d)이 하나의 연결판(28)에 의해 모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에는 각각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제1방향의 전체 길이 중 일부만이 콘크리트 블록(1)으로 이루어져서, 콘크리트 블록(1)의 제1방향 양 단부측에도 소정 길이로 추가적인 강재 블록(2c, 2d)이 각각 일체 조립된 구성을 가지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수압판(1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도 12)와 조립 사시도(도 13)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강재 블록(2a, 2b) 자체의 구성, 강재 블록(2a, 2b)과 콘크리트 블록(1) 간의 조립 구성, 그리고 상면판(24) 및 기타 작용 효과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앵커 수압판(100)이 비탈면(9)에 설치되었을 때, 비탈면(9)의 표면 요철에 의해, 앵커 수압판(100)의 저면이 비탈면(9)의 표면에 완벽하게 밀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 발생에 대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앵커 수압판(100)을 비탈면(9)에 설치할 때, 앵커 수압판(100)과 비탈면(9) 사이에 지압매트(7)를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과 비탈면(9) 사이에 지압매트(7)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지압매트(7)가 팽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지압매트(7)는 내부에 충진재를 주입하여 팽창시킬 수 있는 일종의 주머니 형태의 평평한 매트 부재로 구성되는데, 앵커 수압판(100)을 비탈면(9)에 설치할 때, 비탈면(9)의 표면에 미리 지압매트(7)를 설치하고, 지압매트(7) 위에 앵커 수압판(100)을 설치하게 된다. 지압매트(7)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지고, 충진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호스가 구비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아직 앵커(6)가 긴장 정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압매트(7)의 내부에 충진재를 주입하여 지압매트(7)를 팽창시켜서 앵커 수압판(100)의 저면과 비탈면(9)의 표면 사이의 공간이 지압매트(7)에 의해 완전히 채워지게 만들게 되고, 후속하여 앵커(6)를 긴장 정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이미 앵커 수압판(100)의 저면과 비탈면(9)의 표면 사이의 공간이 틈이 없이 지압매트(7)에 의해 완전히 채워져 있으므로, 비탈면의 표면에 요철이 존재하더라도, 앵커(6)의 긴장 정착에 의해 비탈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은 앵커 수압판(100)의 저면 전체를 통해서 비탈면(9)에 등분포하중으로 분산되어 고르게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비탈면의 구조적 안정성이 종래 기술보다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1: 콘크리트 블록
2a, 2b, 2c, 2d : 강재 블록
6: 앵커
9: 비탈면
20: 저면판
21: 측면판
22: 내측 단면판
23: 외측 단부판

Claims (7)

  1. 철근 콘크리트 빔 부재로 이루어지며, 지중에 관입된 앵커(6)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앵커(6)가 정착되는 정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콘크리트 블록(1)과;
    강재(鋼材)의 빔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 블록(1)의 측면에 각각 조립 결합되는 강재 블록으로 구성되어;
    십자(十字) 형상을 가지면서, 비탈면(9)에 설치되어 앵커(6)의 가압력에 의해 비탈면(9)을 가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
  2. 제1항에 있어서,
    강재 블록은, 비탈면(9)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저면판(20)과, 한 쌍의 측면판(21)과, 콘크리트 블록(1)의 측면에 결합되는 내측 단면판(22)을 포함하고 있으며;
    빈 내부공간은 식물(8)이 식재되어 성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이 되는 빈 내부공간이 저면판(20), 측면판(21) 및 내측 단면판(22)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
  3.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측면판(21) 위로는 상면판(24)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1)은 십자 형상의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다각형 단면의 빔 부재로 구성되며;
    강재 블록은, 십자 형상의 제2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강재 빔 부재로 이루어져서, 콘크리트 블록(1)의 중앙 위치에서 제2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일체로 조립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
  5.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강재 블록은 연결판(28)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콘크리트 블록(1)은 연결판(28)의 상면 위에 위치하게 되며;
    앵커(6)가 콘크리트 블록(1)에 긴장 정착되어 앵커(6)의 긴장력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1)이 비탈면(9) 방향으로 가압될 때, 콘크리트 블록(1)이 연결판(28)을 직접 가압하게 됨으로써, 강재 블록이 비탈면(9)을 가압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1)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6면체의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콘크리트 블록(1)의 4개의 측면에는 각각 강재 블록(2a, 2b, 2c, 2d)이 일체로 조립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앵커 수압판(100)의 저면과 비탈면(9) 사이에는, 주머니 형태의 매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충진재가 채워져 팽창되는 지압매트(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
KR1020140177538A 2014-12-10 2014-12-10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KR101643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38A KR101643916B1 (ko) 2014-12-10 2014-12-10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38A KR101643916B1 (ko) 2014-12-10 2014-12-10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68A true KR20150002568A (ko) 2015-01-07
KR101643916B1 KR101643916B1 (ko) 2016-07-29

Family

ID=5247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538A KR101643916B1 (ko) 2014-12-10 2014-12-10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4421A (zh) * 2019-06-24 2019-10-18 中建桥梁有限公司 一种高边坡框架梁混凝土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526A (ja) * 1993-05-24 1994-11-29 Kengo Kimoto 斜面安定工法
JP3113634B2 (ja) * 1998-07-13 2000-12-04 黒沢建設株式会社 法面保護用ブロック
KR100958751B1 (ko) * 2010-03-25 2010-05-19 극동엔지니어링(주) 가변 착지식 지압판
KR200457690Y1 (ko) 2008-11-24 2011-12-29 한솔물산(주) 지반보강용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526A (ja) * 1993-05-24 1994-11-29 Kengo Kimoto 斜面安定工法
JP3113634B2 (ja) * 1998-07-13 2000-12-04 黒沢建設株式会社 法面保護用ブロック
KR200457690Y1 (ko) 2008-11-24 2011-12-29 한솔물산(주) 지반보강용 블록
KR100958751B1 (ko) * 2010-03-25 2010-05-19 극동엔지니어링(주) 가변 착지식 지압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4421A (zh) * 2019-06-24 2019-10-18 中建桥梁有限公司 一种高边坡框架梁混凝土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916B1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90952A (zh) 装配整体式混凝土框架-剪力墙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80014793A (ko) 연결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CN109235222B (zh) 轻型全装配式大悬臂超高性能混凝土展翅梁及其施工方法
KR20150005300A (ko) 철근간섭을 방지한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코핑 시공방법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100644745B1 (ko) 피씨 기둥-보 접합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0216714U (zh) 梁柱节点结构及装配式建筑
CN108166619A (zh) 一种新型装配式混凝土结构梁柱节点
KR20180134445A (ko)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용 거푸집
KR101643916B1 (ko)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KR101213589B1 (ko) 조립식 옹벽 및 그 조립 방법
KR20180020476A (ko)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CN208088613U (zh) 一种预制叠合楼板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0928530B1 (ko) 콘크리트 법면보호공의 현장시공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법면보호공법
KR100700074B1 (ko)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돌망태 격자블럭 및 이의시공방법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KR10105029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구조
KR101164989B1 (ko) 지반 보강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213680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터널구조체
KR101677431B1 (ko) 대용량 콘크리트 옹벽
KR101213684B1 (ko) 강화된 하부 지지구조를 갖는 파형강판터널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100671227B1 (ko) 흙막이용 토류패널
KR20150063968A (ko) 앵커의 직선 배치를 보장하며 식생이 가능한 경량의 강재 앵커 수압판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