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476A -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 Google Patents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476A
KR20180020476A KR1020160104821A KR20160104821A KR20180020476A KR 20180020476 A KR20180020476 A KR 20180020476A KR 1020160104821 A KR1020160104821 A KR 1020160104821A KR 20160104821 A KR20160104821 A KR 20160104821A KR 20180020476 A KR20180020476 A KR 20180020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vertical
reinforcing rib
horizontal
precas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기
황석모
Original Assignee
청호산업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산업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청호산업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0476A/ko
Publication of KR20180020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평보강리브를 갖는 수평벽체와 수평벽체 일단으로부터 수평벽체 측으로 수직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되 후면에 수직보강리브를 갖는 수직벽체를 포함하며, 수직벽체와 수평벽체가 연결되는 부분 후면에 연결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연결보강리브 측면으로부터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연결보강리브의 일면에 함몰되어 연결공과 연통되는 연결홈이 형성됨으로써 수평보강리브, 수직보강리브 및 연결보강리브의 구성을 통해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단위체로서 다수의 옹벽 양측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결속바와 고정너트를 통해 결속고정되도록 한 후에 결속바에 일 측 고리부분이 연결된 연결고리의 타 측에 연결되는 인장로프의 자유단을 시공대상인 경사면 측에 매립고정하여 옹벽 간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연결고리와 인장로프를 통해 간편하게 프리스트레스 구조로 시공하여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보완하여 옹벽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L-type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inforcing slope}
본 발명은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보강리브를 갖는 수평벽체와 수평벽체 일단으로부터 수평벽체 측으로 수직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되 후면에 수직보강리브를 갖는 수직벽체를 포함하며, 수직벽체와 수평벽체가 연결되는 부분 후면에 연결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연결보강리브 측면으로부터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연결보강리브의 일면에 함몰되어 연결공과 연통되는 연결홈이 형성됨으로써 수평보강리브, 수직보강리브 및 연결보강리브의 구성을 통해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단위체로서 다수의 옹벽 양측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결속바와 고정너트를 통해 결속고정되도록 한 후에 결속바에 일 측 고리부분이 연결된 연결고리의 타 측에 연결되는 인장로프의 자유단을 시공대상인 경사면 측에 매립고정하여 옹벽 간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연결고리와 인장로프를 통해 간편하게 프리스트레스 구조로 시공하여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보완하여 옹벽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 경사면에 변화가 생겼을 때 지반 거동으로 인한 수압이나 토압 등에 저항하여 흙의 붕괴를 막고 안정성을 유지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벽체 구조물인 옹벽을 이용하여 사면을 보호 또는 보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옹벽은 벽 자체의 무게와 바닥면의 마찰력 등을 이용하여 경사면의 안정을 유지하는 항 토압 구조물이며, 벽체에 작용하는 수압이나 토압과 그 흙 위에 실린 하중 및 지반의 지지력 등을 조건으로 하여 구조부재의 안정성과 벽 전체가 쓰러지거나 미끄러지는 데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더욱이, 종래의 옹벽은 시공지역의 토사를 절토하거나 또는 산간지역의 계곡 및 낮은 지역을 메우기 위해 철근 및 패널 등으로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그 배면에 토사 및 쇄석을 채워 축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철근콘크리트의 옹벽은 성형 및 양생 등으로 인하여 비용 및 공기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역학적 허용 응력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외관상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되는 블록형 옹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블록형 옹벽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특히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및 역T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중,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은 단순히 모서리부분이 직각을 이루는 L자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지반 지지력이 약하여 전도의 위험성이 크며, 역T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은 운반시 높이제약으로 공장제작의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며, 운반시 응력에 의한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은 블록형 옹벽으로서, 중량감이 없으며 옹벽 간의 결합이 약하고 불안정하여 수평 토압을 견디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경사면의 보강은 계단식 벽체 형태로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옹벽 간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간편하게 프리스트레스(Pre-stress) 구조로 연결시공하여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보완하여 옹벽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40417호 2013.02.28.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보강리브를 갖는 수평벽체와 수평벽체 일단으로부터 수평벽체 측으로 수직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되 후면에 수직보강리브를 갖는 수직벽체를 포함하며, 수직벽체와 수평벽체가 연결되는 부분 후면에 연결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연결보강리브 측면으로부터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연결보강리브의 일면에 함몰되어 연결공과 연통되는 연결홈이 형성됨으로써 수평보강리브, 수직보강리브 및 연결보강리브의 구성을 통해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단위체로서 다수의 옹벽 양측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결속바와 고정너트를 통해 결속고정되도록 한 후에 결속바에 일 측 고리부분이 연결된 연결고리의 타 측에 연결되는 인장로프의 자유단을 시공대상인 경사면 측에 매립고정하여 옹벽 간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평보강리브를 갖는 수평벽체와 수평벽체 일단으로부터 수평벽체 측으로 수직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되 후면에 수직보강리브를 갖는 수직벽체를 포함하며, 수직벽체와 수평벽체가 연결되는 부분 후면에 연결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연결보강리브 측면으로부터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연결보강리브의 일면에 함몰되어 연결공과 연통되는 연결홈이 형성됨으로써 연결고리와 인장로프를 통해 간편하게 프리스트레스 구조로 시공하여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보완하여 옹벽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은 경사면 보강을 위해 경사면에 설치되는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에 있어서,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수평보강리브가 돌출형성되는 수평벽체; 수직부분이 기울어진 "L"자 형상이 되게 상기 수평벽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수평벽체 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평벽체 측인 후면에 다수의 수직보강리브가 돌출형성되며, 일 측면에 결합돌기가 길게 돌출형성되고 타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어 결합홈이 길게 함몰형성되는 수직벽체; 및 상기 수직벽체와 수평벽체가 연결되는 측 상기 수평벽체의 단부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하향 돌출형성되는 매립돌기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수직벽체와 수평벽체가 연결되는 부분의 후면에 연결보강리브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결보강리브 측면으로부터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연결보강리브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연결공과 연통되는 연결홈이 함몰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을 경사면에 시공 후,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벽체는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식생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식생공은 상기 수직벽체의 후면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후광전협의 형상으로 관통되는 후방 식생공 및 상기 후방 식생공 전단과 연통되어, 상기 수직벽체의 전면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전광후협의 형상으로 관통되는 전방 식생공으로 구성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는 경사면에 시공시, 단위체로서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을 다수 개로 상호 양측이 밀착된 상태에서 결속바를 상기 연결공에 삽입하되 상기 연결홈에 연결고리의 일 측 고리부분이 배치되도록 하여 고리부분을 관통토록 삽입한 후, 상기 결속바의 양단에 고정너트를 결합하여 다수의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이 밀착시공되는 한편, 상기 연결고리의 상기 연결홈과 연결되는 타 측에 연결되는 인장로프의 자유단을 시공대상인 경사면 측에 매립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직보강리브는 상기 수직벽체의 후면에 다수 개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수직벽체의 후면 상단과 양측에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수직벽체의 후면 양측 사이의 공간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평보강리브를 갖는 수평벽체와 수평벽체 일단으로부터 수평벽체 측으로 수직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되 후면에 수직보강리브를 갖는 수직벽체를 포함하며, 수직벽체와 수평벽체가 연결되는 부분 후면에 연결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연결보강리브 측면으로부터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연결보강리브의 일면에 함몰되어 연결공과 연통되는 연결홈이 형성됨으로써 수평보강리브, 수직보강리브 및 연결보강리브의 구성을 통해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단위체로서 다수의 옹벽 양측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결속바와 고정너트를 통해 결속고정되도록 한 후에 결속바에 일 측 고리부분이 연결된 연결고리의 타 측에 연결되는 인장로프의 자유단을 시공대상인 경사면 측에 매립고정하여 옹벽 간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수평보강리브를 갖는 수평벽체와 수평벽체 일단으로부터 수평벽체 측으로 수직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되 후면에 수직보강리브를 갖는 수직벽체를 포함하며, 수직벽체와 수평벽체가 연결되는 부분 후면에 연결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연결보강리브 측면으로부터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연결보강리브의 일면에 함몰되어 연결공과 연통되는 연결홈이 형성됨으로써 연결고리와 인장로프를 통해 간편하게 프리스트레스 구조로 시공하여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보완하여 옹벽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의 일 측 및 타 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을 나타낸 측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을 연이어 경사면에 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을 경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의 일 측 및 타 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을 나타낸 측 단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을 연이어 경사면에 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을 경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이다.
도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은 경사면 보강을 위해 경사면에 설치되는 블록타입의 옹벽이다.
이러한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은 크게 분류하면, 수평벽체(110), 수직벽체(130) 및 매립돌기(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평벽체(110)는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수평보강리브(111)가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벽체(130)는 수직부분이 기울어진 "L"자 형상이 되게 상기 수평벽체(11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수평벽체(110) 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수직벽체(130)는 상기 수평벽체(110) 측인 후면에 다수의 수직보강리브(131)가 돌출형성되며, 일 측면에 결합돌기(133)가 길게 돌출형성되고 타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33)와 대응되어 결합홈(134)이 길게 함몰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수직보강리브(131)는 상기 수직벽체(130)의 후면에 다수 개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수직벽체(130)의 후면 상단과 양측에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수직벽체(130)의 후면 양측 사이의 공간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수직보강리브(131)가 상기 수직벽체(130)의 후면에 다수 개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직벽체(130)에 대한 보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매립돌기(140)는 상기 수직벽체(110)와 수평벽체(130)가 연결되는 측 상기 수평벽체(110)의 단부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하향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은 특히, 상기 수직벽체(130)와 수평벽체(110)가 연결되는 부분의 후면에 연결보강리브(150)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보강리브(150)는 측면으로부터 연결공(151)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연결보강리브(150)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연결공(151)과 연통되는 연결홈(153)이 함몰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은 도로, 철도, 택지 등의 조성 시 용지를 넓게 활용할 목적으로 경사면에 흙막이용으로 시공 적용되거나 하천의 제방이나 농경지, 택지의 수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은 경사면에 시공 후,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후에 녹화조성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벽체(130)는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식생공(135)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식생공(135)은 상기 수직벽체(130)의 후면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후광전협의 형상으로 관통되는 후방 식생공(135a) 및 상기 후방 식생공(135a) 전단과 연통되어, 상기 수직벽체(13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전광후협의 형상으로 관통되는 전방 식생공(135b)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후방 식생공(135a)과 전방 식생공(135b)으로 구성된 식생공(135)이 상기 수직벽체(130)의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됨으로써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의 시공 후에 상기 식생공(135)을 통한 녹화조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는 경사면에 시공시, 단위체로서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을 다수 개로 상호 양측이 밀착된 상태에서 결속바(210)를 상기 연결공(151)에 삽입하되 상기 연결홈(153)에 연결고리(310)의 일 측 고리부분이 배치되도록 하여 고리부분을 관통토록 삽입한 후, 상기 결속바(210)의 양단에 고정너트(211)를 결합하여 다수의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이 밀착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211)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결속바(210)가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하여, 그 단부에 결합 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고정너트(2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바(210)가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의 연결홈(153) 내에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그 단부에 결합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결속바(210)는 단부에 나선이 형성되는 철재 봉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결속바(210)는 다수의 강선을 길게 꼬아서 형성되는 PC강선 타입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고정너트(211)는 너트가 아닌 클램핑 구조의 원형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는 상기 연결고리(310)의 상기 연결홈(153)과 연결되는 타 측에 연결되는 인장로프(330)의 자유단을 시공대상인 경사면 측에 매립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에 의하면, 수평보강리브(111)를 갖는 수평벽체(110)와 수평벽체(110) 일단으로부터 수평벽체(110) 측으로 수직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되 후면에 수직보강리브(131)를 갖는 수직벽체(130)를 포함하며, 수직벽체(130)와 수평벽체(110)가 연결되는 부분 후면에 연결보강리브(150)가 형성되고, 연결보강리브(150) 측면으로부터 연결공(151)이 관통형성되며, 연결보강리브(150)의 일면에 함몰되어 연결공(151)과 연통되는 연결홈(153)이 형성됨으로써 수평보강리브(111), 수직보강리브(131) 및 연결보강리브(150)의 구성을 통해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체로서 다수의 옹벽 양측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결속바(210)와 고정너트(211)를 통해 결속고정되도록 한 후에 결속바(210)에 일 측 고리부분이 연결된 연결고리(310)의 타 측에 연결되는 인장로프(330)의 자유단을 시공대상인 경사면 측에 매립고정하여 옹벽 간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수평보강리브(111)를 갖는 수평벽체(110)와 수평벽체(110) 일단으로부터 수평벽체(110) 측으로 수직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되 후면에 수직보강리브(131)를 갖는 수직벽체(130)를 포함하며, 수직벽체(130)와 수평벽체(110)가 연결되는 부분 후면에 연결보강리브(150)가 형성되고, 연결보강리브(150) 측면으로부터 연결공(151)이 관통형성되며, 연결보강리브(150)의 일면에 함몰되어 연결공(151)과 연통되는 연결홈(153)이 형성됨으로써 연결고리(310)와 인장로프(330)를 통해 간편하게 프리스트레스 구조로 시공하여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보완하여 옹벽의 전도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L형 프리캐시트 콘크리트 옹벽
110: 수평벽체 111: 수평보강리브
130: 수직벽체 131: 수직보강리브
133: 결합돌기 134: 결합홈
135: 식생공 135a: 후방 식생공
135b: 전방 식생공 140: 매립돌기
150: 연결보강리브 151: 연결공
153: 연결홈 210: 결속바
211: 고정너트 310: 연결고리
330: 인장로프

Claims (5)

  1. 경사면 보강을 위해 경사면에 설치되는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에 있어서,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수평보강리브(111)가 돌출형성되는 수평벽체(110); 수직부분이 기울어진 "L"자 형상이 되게 상기 수평벽체(11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수평벽체(110) 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평벽체(110) 측인 후면에 다수의 수직보강리브(131)가 돌출형성되며, 일 측면에 결합돌기(133)가 길게 돌출형성되고 타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33)와 대응되어 결합홈(134)이 길게 함몰형성되는 수직벽체(130); 및 상기 수직벽체(110)와 수평벽체(130)가 연결되는 측 상기 수평벽체(110)의 단부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하향 돌출형성되는 매립돌기(140)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수직벽체(130)와 수평벽체(110)가 연결되는 부분의 후면에 연결보강리브(15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결보강리브(150) 측면으로부터 연결공(151)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연결보강리브(150)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연결공(151)과 연통되는 연결홈(153)이 함몰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을 경사면에 시공 후,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벽체(130)는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식생공(135)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135)은, 상기 수직벽체(130)의 후면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후광전협의 형상으로 관통되는 후방 식생공(135a) 및 상기 후방 식생공(135a) 전단과 연통되어, 상기 수직벽체(13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전광후협의 형상으로 관통되는 전방 식생공(135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는 경사면에 시공시, 단위체로서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을 다수 개로 상호 양측이 밀착된 상태에서 결속바(210)를 상기 연결공(151)에 삽입하되 상기 연결홈(153)에 연결고리(310)의 일 측 고리부분이 배치되도록 하여 고리부분을 관통토록 삽입한 후, 상기 결속바(210)의 양단에 고정너트(211)를 결합하여 다수의 상기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100)이 밀착시공되는 한편, 상기 연결고리(310)의 상기 연결홈(153)과 연결되는 타 측에 연결되는 인장로프(330)의 자유단을 시공대상인 경사면 측에 매립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리브(131)는 상기 수직벽체(130)의 후면에 다수 개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수직벽체(130)의 후면 상단과 양측에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수직벽체(130)의 후면 양측 사이의 공간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KR1020160104821A 2016-08-18 2016-08-18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KR20180020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821A KR20180020476A (ko) 2016-08-18 2016-08-18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821A KR20180020476A (ko) 2016-08-18 2016-08-18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76A true KR20180020476A (ko) 2018-02-28

Family

ID=6140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821A KR20180020476A (ko) 2016-08-18 2016-08-18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04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535A (ko) * 2019-07-30 2021-02-09 청호산업 유한회사 다목적 블록
KR20220047074A (ko) 2020-10-08 2022-04-1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사면안정 격자구조물
CN114855871A (zh) * 2022-06-16 2022-08-05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预制式倾斜挡土墙及其现场装配装置、系统及方法
KR20220131794A (ko) * 2021-03-22 2022-09-29 노영곤 하프피씨 타입 개량형 옹벽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535A (ko) * 2019-07-30 2021-02-09 청호산업 유한회사 다목적 블록
KR20220047074A (ko) 2020-10-08 2022-04-1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사면안정 격자구조물
KR20220131794A (ko) * 2021-03-22 2022-09-29 노영곤 하프피씨 타입 개량형 옹벽 구조
CN114855871A (zh) * 2022-06-16 2022-08-05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预制式倾斜挡土墙及其现场装配装置、系统及方法
CN114855871B (zh) * 2022-06-16 2023-08-22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预制式倾斜挡土墙及其现场装配装置、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0476A (ko)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KR100930829B1 (ko) 락볼트 연결용 커플러를 갖는 판넬
CN102713080A (zh) 新建地下构造物的施工方法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KR101211469B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1278326B1 (ko) 조형석 및 그를 이용한 조형석 옹벽
KR101213589B1 (ko) 조립식 옹벽 및 그 조립 방법
KR100799848B1 (ko) 결합구조를 보강한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
KR20040038440A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KR101822412B1 (ko) 적층이 가능한 배면보강 판넬옹벽 및 배면보강 판넬옹벽 시공방법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KR101725856B1 (ko) 산석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20082A (ko) 사면안정용 텐션 소일네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블록의시공방법
KR102127192B1 (ko) 하중 저항력이 강화된 부벽형 옹벽 및 이의 제작방법
JP2019019555A (ja) 擁壁用ブロックユニット及び擁壁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20180036106A (ko) 고장력 앵커용 강봉을 갖는 대형 프리캐스트 옹벽
JP2004238863A (ja) 軽量盛土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461591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200461055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US6902353B2 (en) Top block for retaining wall
KR101643916B1 (ko)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KR102525543B1 (ko) 중공패널을 이용한 옹벽
KR200372011Y1 (ko) 식생블록용 고정구
JPS62288221A (ja) 擁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