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968A - 앵커의 직선 배치를 보장하며 식생이 가능한 경량의 강재 앵커 수압판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앵커의 직선 배치를 보장하며 식생이 가능한 경량의 강재 앵커 수압판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968A
KR20150063968A KR1020150053112A KR20150053112A KR20150063968A KR 20150063968 A KR20150063968 A KR 20150063968A KR 1020150053112 A KR1020150053112 A KR 1020150053112A KR 20150053112 A KR20150053112 A KR 20150053112A KR 20150063968 A KR20150063968 A KR 20150063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hole
slope
plat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남
Original Assignee
(주)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53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3968A/ko
Publication of KR2015006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에 관입 설치된 앵커가 꺾이거나 휘지 않고 직선으로 배치되어 긴장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앵커 수압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재 빔(2)을 포함하여 십자(十字) 형상을 가지도록 강재로 제작되어 경량이며,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에 의해 앵커(6)가 정착됨으로써, 앵커 관입방향과 앵커 수압판 관통방향 간의 일치 여부와 무관하게, 앵커(6)는 항상 직선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긴장 정착되며, 그에 따라 앵커(6)에 의한 긴장력이 원활하게 앵커 수압판(100)에 작용할 수 있게 되는 앵커 수압판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앵커의 직선 배치를 보장하며 식생이 가능한 경량의 강재 앵커 수압판 및 그 시공방법{Steel Member for Settlement of Ground Anchor, and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 지중에 관입 설치되는 앵커(anchor)의 단부가 고정 정착되어 비탈면에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비탈면을 보강하여 사면 붕괴 방지와 사면 안정을 도모하는 앵커 수압판(受壓板)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십자(十字) 형상을 가짐으로써 효율적으로 앵커의 긴장력을 비탈면에 전달할 수 있으며, 강재(steel)로 제작되어 경량화됨으로써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식생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지며, 지반에 관입 설치된 앵커가 꺾이거나 휘지 않고 직선으로 배치되어 긴장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앵커 수압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탈면(斜面)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탈면의 지중에는 앵커를 관입 설치하고 앵커를 긴장하여 긴장력을 도입하게 되는데, 앵커의 긴장력을 받아서 비탈면으로 전달하기 위한 앵커 수압판이 비탈면에 설치된다. 지중에 관입되어 있고 긴장력이 도입된 앵커는 그 외측 단부가 앵커 수압판을 관통하여 앵커 수압판에 고정된다. 앵커의 긴장력에 의해 앵커 수압판은 비탈면 방향으로 강하게 가압되고, 그에 따라 비탈면의 보강 및 안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앵커의 정착 및 비탈면 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앵커 수압판은 십자(十字)형상을 가지도록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되었으며, 이러한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앵커 수압판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690호 등을 통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앵커 수압판은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1개당 중량이 2톤 내외로 매우 무겁다. 그렇기 때문에 운반 및 취급이 매우 어려우며 대형 트럭과 대형 크레인 등의 대형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면 앵커 수압판의 운반 및 설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대형 장비가 들어갈 수 없는 좁은 현장에서는 앵커 수압판을 들어서 비탈면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종래의 앵커 수압판은 공장에서부터 이미 십자 형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형상으로 인하여 야적이나 운반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앵커 수압판을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큰 거푸집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십자 형상의 거푸집을 만들어야 하므로, 거푸집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제작하는데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철근을 십자 형태로 배근하여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철근 배근 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 부재로만 제작된 종래의 십자형 앵커 수압판의 경우, 외부에서 보이는 표면에 어떠한 식생도 가능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앵커 수압판이 설치된 비탈면은 매우 삭막한 외관을 가지게 된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앵커 수압판이 설치되기 전에 미리 비탈면에 앵커를 설치하게 되는데, 시공과정에서 앵커가 비탈면에 관입 설치되어 있는 방향("앵커 관입방향")과, 앵커의 외측 단부가 앵커 수압판을 통과하는 방향("앵커 수압판 관통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도 1에는 이와 같이 앵커 관입방향과 앵커 수압판 관통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때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비탈면(9)에 관입된 앵커(6)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 즉, 앵커 관입방향과,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앵커 수압판(100) 내에 형성되어 앵커(6)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15)의 방향 즉, 앵커 수압판 관통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앵커 수압판(100)의 저면과 관통공(15)의 하단 사이의 모서리에 앵커(6)가 걸리면서 앵커(6)가 절곡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 1의 원 D로 표시된 모서리에 앵커(6)가 닿아서 앵커(6)가 절곡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앵커(6)가 절곡된 형태로 배치되면 앵커(6)의 긴장력이 제대로 비탈면에 작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됨은 물론이고, 앵커(6)가 모서리에 닿아 있는 부분에서, 앵커(6)에 손상이 발생하여 앵커(6)의 파단이 야기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690호(2011. 12. 29.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앵커 수압판이 가지는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십자(十字) 형상을 가짐으로써 효율적으로 앵커의 긴장력을 비탈면에 전달할 수 있으면서도, 강재(steel)로 제작되어 종래의 앵커 수압판보다 월등히 가벼운 중량을 가짐으로써,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되어 비탈면에서의 설치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대형 장비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대형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좁은 현장에서도 앵커 수압판을 비탈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수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어서, 비탈면에 설치되었을 때 미려하고 친환경적인 비탈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앵커 수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비탈면에 관입 설치된 앵커가 꺾이거나 휘지 않고 직선으로 배치된 상태로 긴장됨으로써 긴장력이 비탈면에 가해질 수 있게 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앵커 수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앵커의 외측 단부가 관통하여 정착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4개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강재 빔을 포함하여 십자 형상을 가지도록 강재로 제작되고, 비탈면에 설치되어, 앵커의 긴장 정착에 의해 비탈면을 가압하게 되는 앵커 수압판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에 있어서, 중앙부에는, 앵커가 관통하게 되는 구멍을 가지는 중앙 저면판, 및 관통공을 가지는 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져서 중앙 저면판의 구멍과 연통되도록 중앙 저면판에 설치되는 관통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강재 빔에는, 개별 저면판, 및 한 쌍의 측면판이 구비되어 있어서, 개별 저면판의 상면에는 개별 저면판과 측면판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보다 더 큰 반구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앵커가 관통하게 되는 중앙앵커공이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가, 관통공의 입구를 막도록 위치하고, 앵커의 외측 단부가 관통공과 중앙앵커공을 관통한 후 정착구와 결합되어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의 평평한 면에 밀착됨으로써 앵커가 긴장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앵커 수압판의 시공방법이 제공되는데,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우선 비탈면의 지반에 앵커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수압판의 개별 저면판이 비탈면에 밀착되도록 앵커 수압판을 비탈면에 배치하고; 비탈면 밖에 나와 있던 앵커의 외측 단부를 중앙 저면판의 구멍과 관통부재의 관통공으로 삽입시켜 관통부재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앵커를 긴장한 상태에서, 관통부재의 외부로 돌출된 앵커의 외측 단부를, 관통공보다 더 큰 반구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는 앵커가 관통하게 되는 중앙앵커공이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의 중앙앵커공에 관통시켜서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의 평평한 면에 밀착시키면서,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를 관통부재의 관통공 입구에 가로막도록 위치시켜서; 비탈면에 설치된 앵커 수압판이 앵커의 긴장 정착에 의해 비탈면을 가압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과 그 시공방법에서, 관통부재는 상단에서부터 중앙 저면판 방향의 하단으로 가면서 관통공 단면적이 점점 커지도록 하향 확장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수압판은 강재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가벼운 중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운반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하며, 특히, 운반을 하거나 비탈면에서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때 소형 장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그만큼 비용 절감 효과를 발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대형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좁은 현장에서도 앵커 수압판을 비탈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은 식생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비탈면에 설치되었을 때, 식물의 식재를 통해서 비탈면을 녹화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미려하고 친환경적인 비탈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에서는, 비탈면에 관입 설치된 앵커가 꺾이거나 휘지 않고 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앵커의 긴장력이 비탈면에 고르게 그리고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되며, 앵커가 앵커 수압판에 모서리 등에 닿아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앵커의 파단 우려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수압판에서 앵커 관입방향과 앵커 수압판 관통방향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에 앵커의 외측 단부가 관통하고, 앵커의 외측 단부에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이 비탈면에 설치된 상태에 대한 도 6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에서 강재 빔의 내부공간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는 각각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2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은 강재(鋼材)로 제작되며 평면에서 볼 때 십자(十字) 형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은, 앵커(6)의 외측 단부가 관통하여 정착되는 중앙부(1)와, 십자형상을 이루도록 중앙부(1)로부터 4개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강재 빔(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앙부(1)에는, 앵커(6)가 관통하게 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탈면(9)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중앙 저면판(10)과, 관통공(15)을 가지도록 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져서 중앙 저면판(10)의 구멍과 연통되도록 중앙 저면판(10)에 결합 설치되는 관통부재(11)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에서 관통부재(11)는 상단에서부터 중앙 저면판(10) 방향의 하단으로 가면서 관통공(15) 단면적이 점점 커지도록 하향 확장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재 빔(2)은 중앙부(1)와 일체화된 상태로 중앙부(1)로부터 4개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데, 각각의 강재 빔(2)은 비탈면(9)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개별 저면판(20)과 한 쌍의 측면판(21)을 포함하고 있다. 개별 저면판(20)의 외측 단부에는 외측 단부판(23)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중앙부(1)와 강재 빔(2) 사이에는 내측 단부판(22)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강재 빔(2)의 개별 저면판(20)은 중앙부(1)의 중앙 저면판(10)과 일체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강재판을 십자형상으로 절단 가공하여 십자형상의 중앙 부분은 중앙 저면판(10)이 되도록 하고, 강재판에서 십자형태를 이루도록 4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강재 빔(2) 각각의 개별 저면판(20)이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중앙 저면판(10)과 각각의 개별 저면판(20)을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개별 저면판(20)에서 횡방향 양측에는 각각 측면판(21)이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된다. 개별 저면판(20)의 연장된 외측 단부에는 외측 단부판(23)이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개별 저면판(20), 한 쌍의 측면판(21) 및 외측 단부판(23)에 의해 각각의 강재 빔(2)이 형성됨으로서, 개별 저면판(20)의 상면에는 둘레가 감싸져 있는 내부공간("강재 빔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중앙부(1)와 강재 빔(2) 사이에 내측 단부판(2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은, 강재로 제작되어 있고 개별 저면판(20)의 상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벼운 중량을 가지게 되며, 그에 따라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수압판에 비하여, 운반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하며, 특히 운반을 하거나 비탈면에서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때 소형 장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그만큼 비용 절감 효과를 발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대형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좁은 현장에서도 앵커 수압판을 비탈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강재 빔(2)의 강성 증대 및 보강을 위하여 보강리브가 강재 빔(2)의 내부공간에 더 설치될 수 있다. 보강리브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강재 빔(2)의 내부공간에서 강재 빔(2)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되어 연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1연직보강판(25)과, 강재 빔(2)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연직보강판(25)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연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2연직보강판(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연직보강판(25)과 제2연직보강판(26)은 각각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연직보강판(25)과 제2연직보강판(26)은 중앙 저면판(10)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관통부재(11)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연직보강판(25)과 제2연직보강판(26)으로 이루어진 보강리브가, 개별 저면판(20), 측면판(21) 및 외측 단부판(23)으로 감싸져 있는 강재 빔(2)의 내부공간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게 되면 강재 빔(2) 자체의 강성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이 비탈면(9)에 설치되고 앵커(6)의 외측 단부가 정착되는 구성 및 앵커(6)가 절곡되지 않고 직선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게 되는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에 앵커(6)의 외측 단부가 관통하고, 앵커(6)의 외측 단부에 반구(半球)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이 비탈면(9)에 설치된 상태에 대한 도 6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에서 4개의 강재 빔(2)의 내측 단부가 모여 있는 앵커 수압판(100)의 중앙부(1)에서는, 관통공(15)을 가진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관통부재(11)가 중앙 저면판(10)에 결합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우선 비탈면(9)의 지반에 앵커(6)를 고정 설치한 후, 앵커 수압판(100)의 개별 저면판(20)이 비탈면(9)에 밀착되도록 앵커 수압판(100)을 비탈면(9)에 배치한다. 이 때, 비탈면(9) 밖에 나와 있던 앵커(6)의 외측 단부는 중앙 저면판(10)의 구멍과 관통부재(11)의 관통공(15)으로 삽입되어 관통부재(11)의 외부로 돌출된다. 앵커(6)를 긴장한 상태에서, 관통부재(11)의 외부로 돌출된 앵커(6)의 외측 단부에 정착장치가 결합되어 관통부재(11)의 상단에 정착장치가 정착됨으로써, 앵커(6)의 긴장력이 앵커 수압판(100)을 비탈면(9)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그에 따라 비탈면(9)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관통부재(11)의 외부로 돌출된 앵커(6)의 외측 단부가 관통부재(11)의 상단에 정착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앵커(6)가 비탈면(9)에 관입 설치되어 연장되는 "앵커 관입방향"과, 앵커(6)의 외측 단부가 앵커 수압판(100)의 관통부재(11)를 통과하게 되는 "앵커 수압판 관통방향" 간의 경사 각도 차이에도 불구하고 앵커(6)가 구부러지지 않고 직선을 유지한 채로 긴장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반구(半球)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를 이용한다.
도 6에 상세히 예시되어 있듯이,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는 구(球)를 대략 절반으로 절단한 반구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는 앵커(6)가 관통하게 되는 중앙앵커공(30)이 형성되어 있다.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는 관통부재(11)의 관통공(15)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의 구형태로 볼록한 부분은 관통부재(11)의 관통공(15) 입구를 가로막도록 위치하게 되고, 관통부재(11)의 관통공(15) 내를 관통한 앵커(6)의 외측 단부는 중앙앵커공(30)을 관통한다. 이렇게 중앙앵커공(30)을 관통해온 앵커(6)의 외측 단부에는 도면처럼 웨지(32)와 웨지콘 정착구(31)를 이용하거나 또는 너트 결합되는 통상의 정착구가 결합되고, 이러한 정착구가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의 평평한 면에 밀착됨으로써, 앵커(3)가 정착된다.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는 반구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앵커(6)를 긴장 정착하기 위하여 반구형상을 가진 부분이 관통부재(11)를 막을 때, 앵커(6)가 당겨지는 방향에 맞추어서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의 반구형상 부분이 자동적으로 회전하면서 관통부재(11)의 관통공(15) 입구를 가로막으면서 걸쳐지게 된다.
앵커 수압판(100)이 비탈면(9)에 배치되었을 때, 관통부재(11)의 관통공(15)이 연장된 방향은 비탈면(9)의 경사 방향과 직교하게 된다. 즉, 앵커 수압판 관통방향은 비탈면(9)과 직교하는 것이다. 만일 앵커(6)가 지반에 관입되어 연장되는 방향 즉, 앵커 관입방향도 비탈면(9)과 직교하고, 더 나아가서 앵커(6)의 위치와 관통부재(11)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앵커 수압판(100)이 배치된다면, 앵커 관입방향과 앵커 수압판 관통방향이 완전히 일치하게 되어, 앵커(6)는 일직선을 유지한 채로 긴장되어 정착될 것이다. 그런데 도 1과 관련하여 살펴본 것처럼, 앵커 관입방향이 비탈면(9)과 직교하지 않는 경우에는, 앵커 관입방향과 앵커 수압판 관통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되며, 그에 따라 앵커(6)가 앵커 수압판에 의해 절곡되는 상태가 될 수 있고, 결국 앵커(6)의 긴장력이 구부러진 형상을 통해서 전달될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앵커(6)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앵커 관입방향이 비탈면(9)과 직교하지 않아서 결국 앵커 수압판 관통방향과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의 반구형상 부분은 앵커(6)가 직선을 유지하도록 자동적으로 회전하면서 관통부재(11)의 관통공(15) 입구에 걸쳐져 존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앵커(6)의 외측 단부가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를 관통하여 그 평평한 면에 정착되었을 때, 앵커(6)는 절곡되지 않고 여전히 직선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 관입방향과 앵커 수압판 관통방향 간의 일치 여부와 무관하게, 앵커(6)는 항상 직선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긴장 정착되며, 그에 따라 앵커(6)에 의한 긴장력이 원활하게 앵커 수압판(100)에 작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에는 관통부재(11)의 형상이 상단에서부터 중앙 저면판(10) 방향의 하단으로 가면서 관통공(15)의 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하향 확장 테이퍼져 있게 되면,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에 의해 앵커(6)가 직선 배치를 유지할 때, 앵커 수압판(100)의 저면과 관통부재(11)의 하단 사이의 모서리에 앵커(6)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었던 앵커의 모서리 접촉에 의한 손상 및 파단 위험을 본 발명에서는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에서는 강재 빔(2)에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강재 빔(2)의 내부공간은 식물(8)이 식재되어 성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8에는 강재 빔(2)의 내부공간에 식물(8)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이 비탈면(9)에 설치된 상태에서 강재 빔(2)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토사(81)를 채워서 식물(8)이 성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앵커 수압판(100)은 식생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비탈면(9)에 설치되었을 때, 식물의 식재를 통해서 비탈면(9)을 녹화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미려하고 친환경적인 비탈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개별 저면판(20)에는 관통공 형태의 배수공(2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공(201)이 형성되면, 후술하는 것처럼 강재 빔(2)에 형성된 내부공간이 식생공간으로 활용될 때, 강재 빔(2)의 식생용 내부공간에 과도하게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할 때에는 비탈면의 지반으로부터 식물에 필요한 수분이 배수공(201)을 통해서 강재 빔(2)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강재 빔(2)의 내부공간이 식생공간으로서 효율적으로 이용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것처럼, 강재 빔(2)의 내부공간에 제1연직보강판(25), 제2연직보강판(26) 등의 보강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보강리브에 의해 강재 빔(2)의 내부공간이 복수개의 소형 공간으로 분할되므로, 강재 빔(2)의 내부공간을 식생공간으로 활용할 때 토사의 유실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분할된 소형 공간에 각각 상이한 식물을 식재하는 등 식생공간으로서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1: 중앙부
2 : 강재 빔
3: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
6: 앵커
9: 비탈면
10: 중앙 저면판
20: 개별 저면판
21: 측면판
23: 외측 단부판

Claims (3)

  1. 앵커(6)의 외측 단부가 관통하여 정착되는 중앙부(1)와, 상기 중앙부(1)로부터 4개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강재 빔(2)을 포함하여 십자(十字) 형상을 가지도록 강재(鋼材)로 제작되고, 비탈면(9)에 설치되어, 앵커(6)의 긴장 정착에 의해 비탈면(9)을 가압하게 되는데;
    중앙부(1)에는, 앵커(6)가 관통하게 되는 구멍을 가지는 중앙 저면판(10), 및 관통공(15)을 가지는 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져서 중앙 저면판(10)의 구멍과 연통되도록 중앙 저면판(10)에 설치되는 관통부재(11)가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강재 빔(2)에는, 개별 저면판(20), 및 한 쌍의 측면판(21)이 구비되어 있어서, 개별 저면판(20)의 상면에는 개별 저면판(20)과 측면판(21)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15)보다 더 큰 반구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앵커(6)가 관통하게 되는 중앙앵커공(30)이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가, 관통공(15)의 입구를 막도록 위치하고, 앵커(6)의 외측 단부가 관통공(15)과 중앙앵커공(30)을 관통한 후 정착구와 결합되어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의 평평한 면에 밀착됨으로써 앵커(3)가 긴장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
  2. 제1항에 있어서,
    관통부재(11)는 상단에서부터 중앙 저면판(10) 방향의 하단으로 가면서 관통공(15) 단면적이 점점 커지도록 하향 확장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
  3. 비탈면(9)의 지반에 앵커(6)를 고정 설치하고;
    청구항 1의 앵커 수압판(100)의 개별 저면판(20)이 비탈면(9)에 밀착되도록 청구항 1의 앵커 수압판(100)을 비탈면(9)에 배치하고;
    비탈면(9) 밖에 나와 있던 앵커(6)의 외측 단부를 중앙 저면판(10)의 구멍과 관통부재(11)의 관통공(15)으로 삽입시켜 관통부재(11)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앵커(6)를 긴장한 상태에서, 관통부재(11)의 외부로 돌출된 앵커(6)의 외측 단부를, 관통공(15)보다 더 큰 반구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는 앵커(6)가 관통하게 되는 중앙앵커공(30)이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의 중앙앵커공(30)에 관통시켜서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의 평평한 면에 밀착시키면서, 반구형 위치조정 정착장치(3)를 관통부재(11)의 관통공(15) 입구에 가로막도록 위치시켜서;
    비탈면(9)에 설치된 청구항 1의 앵커 수압판(100)이 앵커(6)의 긴장 정착에 의해 비탈면(9)을 가압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수압판의 시공방법.
KR1020150053112A 2015-04-15 2015-04-15 앵커의 직선 배치를 보장하며 식생이 가능한 경량의 강재 앵커 수압판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63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112A KR20150063968A (ko) 2015-04-15 2015-04-15 앵커의 직선 배치를 보장하며 식생이 가능한 경량의 강재 앵커 수압판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112A KR20150063968A (ko) 2015-04-15 2015-04-15 앵커의 직선 배치를 보장하며 식생이 가능한 경량의 강재 앵커 수압판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968A true KR20150063968A (ko) 2015-06-10

Family

ID=5350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112A KR20150063968A (ko) 2015-04-15 2015-04-15 앵커의 직선 배치를 보장하며 식생이 가능한 경량의 강재 앵커 수압판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39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450B1 (ko) 2020-11-18 2021-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탈면 활동에 대한 앵커 거동 분석을 위한 토조 전단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조 전단시험방법
CN114411767A (zh) * 2021-11-30 2022-04-29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松散变形边坡加固结构的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450B1 (ko) 2020-11-18 2021-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탈면 활동에 대한 앵커 거동 분석을 위한 토조 전단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조 전단시험방법
CN114411767A (zh) * 2021-11-30 2022-04-29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松散变形边坡加固结构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638B2 (en) Footing plates
AU757709B2 (en) Modular element for crawl spaces and floor structures
US9631392B2 (en) Structural post and beam connection device with friction release bracket
JP5372289B1 (ja) 境界壁構造物
CN103290952A (zh) 装配整体式混凝土框架-剪力墙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759397B1 (ko) 기초보강재
US3662985A (en) Reusable concrete form alignment device
US10081942B2 (en) Building element, a building comprising one or more such building elements and a method for joining such a building element and a support element
KR20150063968A (ko) 앵커의 직선 배치를 보장하며 식생이 가능한 경량의 강재 앵커 수압판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34445A (ko)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용 거푸집
KR20130000115A (ko) 다각형태를 갖는 식생블럭
CN210216483U (zh) 地基及其基础承台
KR20150064002A (ko) 강재빔을 이용한 식생가능 구성의 경량 앵커 수압판 및 그 시공방법
JP4795810B2 (ja) コンクリート床形成方法
KR101643916B1 (ko)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KR102284782B1 (ko) 지반 강화를 위한 기초 파일 지중 고정 장치
AU2019101738B4 (en) A void forming module and system therefor
KR101623342B1 (ko)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43124B1 (ko) 기능성 앵커 지압판
KR101608286B1 (ko) 인발에 의한 분리가능 구조를 가지는 phc말뚝-강재빔의 합성형 중간말뚝
KR20160003941A (ko) 보강 h 빔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KR100915658B1 (ko)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한 사면보강용 옹벽
KR200436480Y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 구조체
CN213867640U (zh) 一种生态护坡板
KR102368643B1 (ko) 지반 강화를 위한 기초 파일 지중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