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353B1 -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353B1
KR100952353B1 KR1020080050776A KR20080050776A KR100952353B1 KR 100952353 B1 KR100952353 B1 KR 100952353B1 KR 1020080050776 A KR1020080050776 A KR 1020080050776A KR 20080050776 A KR20080050776 A KR 20080050776A KR 100952353 B1 KR100952353 B1 KR 100952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outer mold
mold
cavities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509A (ko
Inventor
권장문
Original Assignee
동보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보공업(주) filed Critical 동보공업(주)
Priority to KR1020080050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35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4Dielectric heating, e.g. high-frequency welding, i.e. radio frequency welding of plastic materials having dielectric properties, e.g. PV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65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res or inserts, e.g. pins, mandrel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이 간단하여 시간이 단축되면서도 에너지소모가 적고, 성형품의 외관이 미려하고 외장필름의 부착견고성이 우수한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바이저형태의 캐비티(25,26)가 각각 형성된 상하형(15,16) 사이에 캐비티(25,26)의 규격보다 작은 코어(10)를 중앙에 두고 이 캐비티(25,26)의 규격보다 약간 큰 완충시트(5,6)와 외장필름(40,41)을 순서대로 외부에 적층하여 캐비티(25,26)의 둘레를 따라 융착하여 선바이저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형(15,16)은 캐비티(25,26)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열전도성재질의 외곽몰드(27)와, 외곽몰드(27)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곽몰드(27)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도성이 낮은 내부몰드(28)로 구성되고, 상기 외곽몰드(28)는 가열장치(21)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이 제공된다.
선바이저, 성형, 캐비티, 수직선부, 융착

Description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M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nvisor}
본 발명은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공정이 간단하여 시간이 단축되면서도 에너지소모가 적고, 성형품의 외관이 미려하고 외장필름의 부착견고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전형적인 구조중의 하나는 내부에 금속재 와이어가 절곡성형된 프레임인 코어를 사이에 두고 열가소성 발포수지 등으로 된 완충시트가 중첩되고, 그 외부에는 역시 열가소성의 수지재 외장필름이 배치된 구조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선바이저를 성형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형태의 캐비티(125,126)가 각각 형성되고 캐비티(125,126)의 둘레를 따라 칼날형태의 엣지부(131,132)가 돌출형성된 상하형(115,116) 사이에, 캐비티(125,126)의 규격보다 작은 코어(110)를 사이에 두고 이 캐비티(125,126)의 규격 보다 약간 큰 완충시트(105,106)와 외장필름(140,141)을 순서대로 적층배치한 후에, 상하형(115,116)을 닫고, 도시안된 고주파용접장치를 제1출력으로 가동하여, 예를 들면 완충시트(105,106)의 용융온도인 120℃로 가열하여 일차적으로 코어(110)의 둘레부를 따라 완충시트(105,106)를 부분적으로 융착시키고, 이어서 고주파용접장치의 출력을 제2출력으로 가동하여 외장필름(140,141)의 용융온도인 150℃로 가열하여 2차적으로 외장필름(140,141)을 융착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칼날형태의 엣지부(131,132)가 주변부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제거하여 성형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선바이저의 성형을 위해, 상하형(115,116)을 닫는 과정에서 고주파용접장치를 서로 다른 출력의 2사이클로 작동시켜서 가열온도를 변화시켜야 하므로, 그만큼 작동이 복잡하고 제어가 어려우며, 성형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선바이저의 제조상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정이 간단하여 시간이 단축되면서도 에너지 소모가 적고, 성형품의 외관이 미려하고 외장필름이 견고하게 부착되어 상품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선바이저형태의 캐비티(25,26)가 각각 형성된 상하형(15,16) 사이에 캐비티(25,26)의 규격보다 작은 코어(10)를 중앙에 두고 이 캐비티(25,26)의 규격보다 약간 큰 완충시트(5,6)와 외장필름(40,41)을 순서대로 외부에 적층하여 캐비티(25,26)의 둘레를 따라 융착하여 선바이저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형(15,16)은 캐비티(25,26)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열전도성재질의 외곽몰드(27)와, 외곽몰드(27)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곽몰드(27)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도성이 낮은 내부몰드(28)로 구성되고, 상기 외곽몰드(28)는 가열장치(21)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곽몰드(27)는 캐비티(25,26)의 엣지부에 형성되며 서로 맞닿도록 된 수직선부(29)와, 이 수직선부(29)의 안쪽에 형성되는 경사부(30) 또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곽몰드(27)의 수직선부(29)의 외측에는 수평연장되는 수평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열장치(21)는 고주파용접장치이고 상기 내무몰드(28)는 내열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캐비티(25,26)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열전도성재질의 외곽몰드(27)와, 외곽몰드(27)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곽몰드(27)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도성이 낮은 내부몰드(28)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몰드(28)는 가열장치(21)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외곽몰드(27)는 캐비티(25,26)의 엣지부에 형성되며 서로 맞닿도록 된 수직선부(29)와, 이 수직선부(29)의 안쪽에 형성되는 경사부(30) 또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상하형(15,16)으로 선바이저를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하형(15,16)의 사이에 캐비티(25,26)의 규격보다 작은 코어(10)를 가운데 두고 이 캐비티(25,26)의 규격보다 약간 큰 완충시트(5,6)와 외장필름(40,41)을 순서대로 외부에 적층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형(15,16)을 닫으면서 가열장치(21)를 작동하여 외곽몰드(27)를 가열하여 외장필름(40,41)을 융착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의 성형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바이저를 성형하는 상하형(15,16)을 캐비티(25,26)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열전도성재질의 외곽몰드(27)와, 외곽몰드(27)의 내부에 배치되며 열전도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내부몰드(28)로 구성하여, 선바이저 성형재료 적층재를 가압할 때 상기 외곽몰드(28)를 고주파용접장치와 같은 가열장치(21)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한 번의 동작으로 선바이저 윤곽형태의 둘레부를 따라서 외장필름(40,41)을 융착시킴과 동시에 완충시트(5,6)의 둘레부를 선바이저의 테두리형상에 맞도록 성형할 수 있어서, 성형동작이 간단하여 성형시간이 단축되면서도, 외곽몰드(28)만을 집중가열하므로 사용동력이 절감되고, 완충시트(5,6)의 둘레부가 선바이저의 형상에 맞게 열변형되어 성형되므로, 완충시트(5,6)가 가장자리부위에서 팽창되지 않으므로, 완충시트(5,6)의 팽창력에 의해 외장필름(40,41)을 부착상태에 반하여 분리시키는 힘이 작용되지 않기 때문에 부착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외곽몰드(27)의 캐비티(25,26)의 서로 맞닿는 엣지부에 수직선부(29)가 형성되므로, 외장필름(40,41)의 융착시에 용융재료가 압착되어 외부로만 밀려나가지 않고, 내측과 외측으로 균일하게 밀려나가므로, 용융부분이 외장필름(40,41) 의 양쪽에 형성되어 외장필름(40,41)의 부착력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외곽몰드(27)의 수직선부(29)의 외측에는 짧은 길이의 수평부(31)가 형성되어 외장필름(40,41)에 상당한 면적으로 접촉되어 용융시킬 수 있어서, 외장필름(40,41)이 충분히 가열되고 수지의 용출량도 증대되어 완충시트(5,6)가 견고하게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몰드(28)를 베이클라이트나 기타의 내열성수지(28)로 제작함으로써, 제작코스트를 낮추면서도, 가열장치의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하형의 개방상태도이고,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상하형의 체결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바이저형태의 캐비티(25,26)가 형성된 상하형(15,16)이 프레스장치(1)에 설치되고, 이 프레스장치(1)의 일측에는 상하형(15,16)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용접장치로 된 가열장치(21)가 구비된다.
상기 상하형(15,16)은 캐비티(25,26)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열전도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황동으로 제작된 외곽몰드(27)와, 이 외곽몰드(27)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곽몰드(27)보다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 바람직하게는 베이클라이트와 같은 내열성수지로 제작된 내부몰드(28)로 구성된다. 상기 외곽몰드(27)의 형태를 살펴보면, 캐비티(25,26)의 엣지부에 형성되며 금형의 체결시에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수직선부(29)가 형성되고, 이 수직선부(29)의 안쪽에는 경사부(30) 또는 만곡부 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하형(15,16) 사이에 선바이저 성형용 적층재를 투입하고 금형을 가압하여 체결하면, 가열장치(21)의 열이 캐비티(25,26)의 둘레부분의 외곽몰드(27)를 통해서 외장필름(40,41)의 가장자리부분이 집중적으로 융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성형재료의 외관이나 재질이 열변형되지 않아서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외장필름(40,41)의 둘레부가 융착된다. 이 때 도 4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25,26)의 서로 맞닿는 엣지부에 수직선부(29)가 형성되므로, 이 수직선부(29)에 의해 가압되는 외장필름(40,41)이 용융되어 형성되는 버르 또는 용출물이 금형의 외부쪽으로만 쏠리지 않고 금형의 내측과 외측으로 균일하게 용출되므로, 용융부분이 외장필름(40,41)의 양쪽에 형성되고 부착면적이 증대되어 부착력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외곽몰드(27)의 수직선부(29)의 외측에는 짧은 길이만큼 연장되는 수평부(31)가 형성되는데, 이 수평부(31)는 상하형(15,16)이 서로 맞닿을 때 외장필름(40,41)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서 외장필름(40,41)이 충분히 가열되어, 수지의 용출량이 증대되어 외장필름(40,41)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외곽몰드(27)의 엣지부를 이루는 수평부(31)의 폭은, 상하형(15,16)이 닫힐 때 엣지부에 의해 외장필름(40,41)이 절단되지 않으면서 충분한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이 수평부(31)의 폭은 외장필름(40,41)의 재료의 물성에 따라 정해지지만, PVC 필름을 외장필름(40,41)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1mm이상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선바이저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선바이저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하형(15,16) 사이에 캐비티(25,26)의 규격보다 작은 코어(10)를 가운데 두고, 그 외부에 캐비티(25,26) 보다 약간 큰 규격의 완충시트(5,6)와 외장필름(40,41)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배치한 후에 상하형(15,16)을 닫으면서 가열장치(21), 바람직하게는 고주파용접장치를 작동하여 외곽몰드(27)를 가열시키면, 외장필름(40,41)이 가압되어 가열되면서 용융되어 접착되게 된다. 이 때, 완충시트(5,6)는 용융되어 엣지부의 내측과 외측이 분리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외곽몰드(27)의 수직선부(29)에 의해 가압되는 외장필름(40,41)이 용융된 용출물이 금형의 내측과 외측으로 균일하게 용출되므로, 외장필름(40,41)의 부착성이 증대되고, 외곽몰드(27)의 수평부(31)에 의해서는 충분한 접촉면적이 확보되어 외장필름(40,41)의 용융면적 및 용출량을 증대시켜서 부착력의 증대에 기여한다.
이러한 성형과정을 거치면, 캐비티(25,26)에 의해 성형된 선바이저 성형체와 캐비티(25,26)의 외측에 있던 여분의 둘레부가 서로 부착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여분의 둘레부는 별도의 후가공을 통해 선바이저 성형체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고, 선바이저의 접착부에 잔류하는 융착물 또는 버르를 사상하여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하형(15,16)의 외측에 근접시켜서 별도의 절단금형 또는 트리밍금형을 설치함으로써, 선바이저의 성형에 후속하여 여분의 둘레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장치 또는 성형방법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선바이저 성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략 단면구성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체결상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

Claims (5)

  1. 선바이저형태의 캐비티(25,26)가 각각 형성된 상하형(15,16) 사이에 캐비티(25,26)의 규격보다 작은 코어(10)를 중앙에 두고 이 캐비티(25,26)의 규격보다 약간 큰 완충시트(5,6)와 외장필름(40,41)을 순서대로 외부에 적층하여 캐비티(25,26)의 둘레를 따라 융착하여 선바이저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형(15,16)은 캐비티(25,26)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열전도성재질의 외곽몰드(27)와, 외곽몰드(27)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곽몰드(27)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도성이 낮은 내부몰드(28)로 구성되고, 상기 외곽몰드(28)는 가열장치(21)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몰드(27)는 캐비티(25,26)의 엣지부에 형성되며 서로 맞닿도록 된 수직선부(29)와, 이 수직선부(29)의 안쪽에 형성되는 경사부(30) 또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성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몰드(27)의 수직부(29)의 외측에는 수평연장되는 수평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성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21)는 고주파용접장치이고 상기 내무몰드(28)는 내열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성형장치.
  5. 캐비티(25,26)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열전도성재질의 외곽몰드(27)와, 외곽몰드(27)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곽몰드(27)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도성이 낮은 내부몰드(28)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몰드(28)는 가열장치(21)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외곽몰드(27)는 캐비티(25,26)의 엣지부에 형성되며 서로 맞닿도록 된 수직선부(29)와, 이 수직선부(29)의 안쪽에 형성되는 경사부(30) 또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상하형(15,16)으로 선바이저를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하형(15,16)의 사이에 캐비티(25,26)의 규격보다 작은 코어(10)를 가운데 두고 이 캐비티(25,26)의 규격보다 약간 큰 완충시트(5,6)와 외장필름(40,41)을 순서대로 외부에 적층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형(15,16)을 닫으면서 가열장치(21)를 작동하여 외곽몰드(27)를 가열하여 외장필름(40,41)을 융착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의 성형방법.
KR1020080050776A 2008-05-30 2008-05-30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0952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776A KR100952353B1 (ko) 2008-05-30 2008-05-30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776A KR100952353B1 (ko) 2008-05-30 2008-05-30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509A KR20090124509A (ko) 2009-12-03
KR100952353B1 true KR100952353B1 (ko) 2010-04-09

Family

ID=4168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776A KR100952353B1 (ko) 2008-05-30 2008-05-30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308B1 (ko) * 2012-09-26 2014-05-16 동신산업(주) 선바이저 성형장치
KR101627301B1 (ko) 2015-04-13 2016-06-03 대림테크(주)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바이저
CN111590921B (zh) * 2020-05-21 2022-06-17 湘潭大学 基于多尺度结构控制的高分子导热复合材料成型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0325A (ja) * 1988-01-11 1989-07-18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サンバイザの製造方法
JPH091602A (ja) * 1995-06-26 1997-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射出成形金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0325A (ja) * 1988-01-11 1989-07-18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サンバイザの製造方法
JPH091602A (ja) * 1995-06-26 1997-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射出成形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509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89592A3 (en) Twin-sheet thermoforming process
KR960017225A (ko)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제조방법
CN104393226B (zh) 一种锂电池极耳热压成型方法
CN1938148A (zh) 由热塑性材料制造成型体的方法
KR100952353B1 (ko)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CN102264198A (zh) 电子产品外壳的结构及其加工工艺
KR100952356B1 (ko)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7256564B2 (ja) 立体装飾片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59145A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得るための金型装置
JP5430229B2 (ja) プラスチック製眼鏡フロント枠の製造方法
JPH06344460A (ja) 表皮材付発泡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8012799A (ja) 不織布付き樹脂シート、不織布付き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不織布付き樹脂シートを用いた成形品の成形方法
JP3404295B2 (ja) 成形物の製造方法
JPS6253811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WO1996033912A1 (fr) Procede et appareil pour former une obturation hermetique d'un tube lamine en aluminium
JP2004009304A (ja) 貼り合わせブロー成形方法
JP7350255B2 (ja) 発泡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4048692B2 (ja) 表皮材インサート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装置
JP3760868B2 (ja) 中空体成形装置および中空体成形方法
JPH0367607B2 (ko)
JP6192095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表皮材貼合構造
CZ309011B6 (cs) Sluneční clona, zejména pro automobily, a způsob její výroby
KR20130002078A (ko) 선바이저 제조장치
JPH0615746A (ja) 合成樹脂モールの端末接合方法および装置
CN103660260A (zh) P型泡棉成型用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