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301B1 -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301B1
KR101627301B1 KR1020150051564A KR20150051564A KR101627301B1 KR 101627301 B1 KR101627301 B1 KR 101627301B1 KR 1020150051564 A KR1020150051564 A KR 1020150051564A KR 20150051564 A KR20150051564 A KR 20150051564A KR 101627301 B1 KR101627301 B1 KR 101627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main body
mold
interval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판열
Original Assignee
대림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테크(주) filed Critical 대림테크(주)
Priority to KR1020150051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40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ectromagnetic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412Infrared [I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반 형상으로 회전작동하는 작업대가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체;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위치 정렬핀이 장착되는 하부 금형; 상기 회전체의 일 측에 장착되고 하부 외피를 하부 금형의 상부에 공급하는 하부 외피 공급수단; 상기 하부 외피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상부에 안착된 하부 외피의 상부에 선바이저 본체를 공급하는 본체 공급수단; 상기 본체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상부에 안착된 선바이저 본체의 상부에 상부 외피를 공급하는 상부 외피 공급수단;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방향으로 하강작동시켜 상·하부 외피가 선바이저 본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성형하는 고주파 성형기; 상기 고주파 성형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하부 외피 및 선바이저 본체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바이저를 자동으로 생산하면서도 균일한 품질의 선바이저를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수동으로 제작되던 것을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인건비와 공장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바이저{Visor and visor for vehicles with automatic production equipment manufactured by it for the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바이저를 자동으로 생산하면서도 균일한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바이저는 크게 본체와 본체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선바이저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품으로 일 측이 차량 지붕에 부착된 힌지에 부착되어 방향이 전환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외피는 본체를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본체 외부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직물지나 인조가죽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체와 외피의 결합은 본체의 외부에 외피를 감싸지게 만든 후 고주파를 이용하여 외피를 절단하여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고주파 성형기의 하단에 제1외피를 설치한 후, 상기 제1외피의 상부에 본체를 올려놓은 다음,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제2외피를 올려놓는 작업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고주파금형을 결합시켜 제1외피와 제2외피가 본체를 중간에 놓은 상태에서 결합되게 하는 모든 작업이 수동으로 이루어졌다.
즉 한 대의 고주파 성형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작업자가 작업과정을 지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엇다.
더욱이 작업을 위한 공간에는 작업자가 이동하는데 필요한 이동공간과 본체 및 제1외피와 제2외피가 보관되어야 하는 공간이 있어야 하였기에 작업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선바이저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작됨으로써 일정한 품질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선바이저 제작공정은 단순반복적인 작업이기에 숙련공을 보유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숙련도가 확보된 작업자도 단순한 제조작업이라는 선입견으로 인해 쉽게 이직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530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1245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바이저를 자동으로 생산하면서도 균일한 품질의 선바이저를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선바이저 제조작업을 자동화하여 인력의 잦은 이직을 줄이고, 비숙련공들은 자동화설비에 선바이저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본체와 외피를 정렬하는 등의 업무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자동화설비를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단순 반복작업에 따른 근로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한편, 보다 고차원적인 관리업무에 필요한 인력이 단순작업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는 원반 형상으로 회전작동하는 작업대가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체;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위치 정렬핀이 장착되는 하부 금형; 상기 회전체의 일 측에 장착되고 하부 외피를 하부 금형의 상부에 공급하는 하부 외피 공급수단; 상기 하부 외피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상부에 안착된 하부 외피의 상부에 선바이저 본체를 공급하는 본체 공급수단; 상기 본체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상부에 안착된 선바이저 본체의 상부에 상부 외피를 공급하는 상부 외피 공급수단;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방향으로 하강작동시켜 상·하부 외피가 선바이저 본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성형하는 고주파 성형기; 상기 고주파 성형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하부 외피 및 선바이저 본체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 공급수단과 상부 외피 공급수단의 사이에는 선바이저 본체의 위치를 점검할 수 있도록 이미지센서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과 고주파 성형기의 사이에는 상·하부 외피의 성형 및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외선 가열기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금형의 양측에는 하부 외피의 고정과 함께 선바이저 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 지그가 수평작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공급수단은 내부에 외피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게 관통공이 형성되는 공급 틀; 상기 공급 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송 레일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전·후진 작동되고,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수직 실린더가 연동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수직 실린더의 하부에는 외피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부재가 장착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틀의 전방에 위치한 수용공간의 하부에는 외피를 가열할 수 있도록 예열부재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성형기의 상부 금형에는 일체로 형성된 상·하부 외피 및 선바이저 본체가 상부 금형과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분리수단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수단은 고주파 성형기의 상부 금형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홀과, 상기 지지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과 상부 금형의 하부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바이저를 자동으로 생산하면서도 균일한 품질의 선바이저를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수동으로 제작되던 것을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인건비와 공장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바이저 가공공정은 단순반복작업에 해당하여 작업자들이 근무하기를 꺼려하는 업무였으나, 이를 고도의 자동화설비로 대체하므로 인해 고도로 숙련된 전문 오퍼레이터가 근무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다수의 작업자가 단순반복작업에 의해 생산하던 선바이저를 단일의 자동화설비로 대체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또한 감시 인력만 대기하면 24시간 작업이 가능하여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해야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여 작업시간을 유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량이 증가하더라도 오퍼레이터는 설비에 대한 숙지 및 비상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가진 자가 대기 및 감시의 업무만을 담당하기 때문에 야근으로 인한 업무의 피로도가 적고, 이로 인해 고주파성형 과정에서 열에 의한 화상 등의 산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성형기의 상부 금형에는 일체로 형성된 상·하부 외피 및 선바이저 본체를 상부금형과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분리수단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수단은 고주파 성형기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홀과, 상기 지지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과 고주판 금형의 하부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금형을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구성하는 외피 공급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구성하는 고주파 성형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구성하는 분리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구성하는 적외선 가열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구성하는 배출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선바이저를 나타낸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금형을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구성하는 외피 공급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구성하는 고주파 성형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구성하는 분리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구성하는 적외선 가열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구성하는 배출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10)는 회전체(20), 하부 금형(30), 하부 외피 공급수단(40), 본체 공급수단(50), 상부 외피 공급수단(60), 고주파 성형기(70), 배출수단(80)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10)는 작업대(22)가 구비되는 회전체(20)의 주변에 순차적으로 하부 외피 공급수단(40), 본체 공급수단(50), 상부 외피 공급수단(60) 등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20)의 작업대(22)는 이들 공급수단(40, 50, 60)의 중앙에서 회전작동하게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20)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부에는 원반 형상으로 회전작동하는 작업대(22)가 장착된다.
즉 상기 회전체(2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는 하부 금형(30)의 회전작동을 위하여 작업대(22)가 장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업대(22)는 모터 등과 같은 공지된 회전작동수단을 통해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작업대(22)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하부 금형(30)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위치 정렬핀(32)이 장착된다.
즉 상기 하부 금형(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부에 정렬핀(32)을 장착하여 상기 선바이저(1)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하부 외피(3)와 선바이저 본체(5) 및 상부 외피(7) 등을 정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렬핀(32)은 하부 외피(3)와 상부 외피(7)를 정렬할 경우에는 하부 금형(30)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5)를 정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 금형(3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하부 금형(30)은 상부에 장착되는 정렬핀(32)을 통해 하부 외피(3)와 선바이저 본체(5) 및 상부 외피(7)의 위치 정렬이 가능하므로 선바이저(1)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금형(30)의 양측에는 하부 외피(3)의 고정과 함께 선바이저 본체(5)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 지그(34)가 수평작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고정 지그(34)는 하부 금형(30)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외피(3)가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안착되기 전까지 외측을 향해 후퇴하고 있다가, 상기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하부 외피(3)가 안착되면, 내측으로 전진작동하면서 선바이저 본체(5)를 지지하고, 상기 선바이저 본체(5)의 상부에 상부 외피(7)가 안착된 후, 고주파 성형기(70)에 전달되면 후퇴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 지그(34)의 전, 후 작동은 공지된 실린더 또는 액추에이터 등을 선택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체(30)의 일 측에 장착되는 하부 외피 공급수단(40)은 하부 외피(3)를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 외피 공급수단(40)은 회전작동하는 작업대(22)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하부 외피(3)를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외피 공급수단(40)은 내부에 하부 외피(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4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42)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게 관통공(43)이 형성되는 공급 틀(41)과, 상기 공급 틀(4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송 레일(45)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44)과, 상기 이송 레일(45)을 따라 전·후진 작동되고, 상기 관통공(43)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수직 실린더(47)가 연동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수직 실린더(47)의 하부에는 하부 외피(3)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부재(48)가 장착되는 승강수단(4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 외피 공급수단(40)은 수용공간(42)에 수용되는 하부 외피(3)를 승강수단(46)이 이송 레일(45)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한 후, 한 쌍의 수직 실린더(45)와 흡착부재(48)가 연동작동한 다음, 상기 흡착부재(48)가 하부 외피(3)를 흡착한 후, 전방으로 이동하여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하부 외피(3)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 틀(41)의 전방에 위치한 수용공간(42)의 하부에는 하부 외피(3)를 가열할 수 있도록 예열부재(13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하부 외피 공급수단(40)은 공지된 이송수단, 크레인, 로봇, 로봇팔, 접착수단 등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하부 외피 공급수단(4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본체 공급수단(50)은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안착된 하부 외피(3)의 상부에 선바이저 본체(5)를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 공급수단(50)은 회전작동하는 작업대(22)에 의하여 본체 공급수단(50)에 위치한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안착된 하부 외피(3)에 선바이저 본체(5)를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안착된 하부 외피(3)에 선바이저 본체(5)를 공급하는 본체 공급수단(50)은 공지된 이송수단, 크레인, 로봇, 로봇팔, 접착수단 등을 조합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 공급수단(5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 외피 공급수단(60)은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안착된 선바이저 본체(5)의 상부에 상부 외피(7)를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60)의 회전작동하는 작업대(22)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안착된 선바이저 본체(5)의 상부에 상부 외피(7)를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60)은 내부에 상부 외피(7)가 수용되는 수용공간(6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62)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게 관통공(63)이 형성되는 공급 틀(61)과, 상기 공급 틀(6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송 레일(65)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64)과, 상기 이송 레일(65)을 따라 전·후진 작동되고, 상기 관통공(63)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수직 실린더(67)가 연동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수직 실린더(67)의 하부에는 상부 외피(7)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부재(68)가 장착되는 승강수단(6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60)은 수용공간(62)에 수용되는 상부 외피(7)를 승강수단(66)이 이송 레일(65)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한 후, 한 쌍의 수직 실린더(65)와 흡착부재(68)가 연동작동한 다음, 상기 흡착부재(68)가 상부 외피(7)를 흡착한 후, 전방으로 이동하여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상부 외피(7)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 틀(61)의 전방에 위치한 수용공간(62)의 하부에는 상부 외피(7)를 가열할 수 있도록 예열부재(13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60)은 공지된 이송수단, 크레인, 로봇, 로봇팔, 접착수단 등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본체 공급수단(50)과 상부 외피 공급수단(60)의 사이에는 선바이저 본체(5)의 위치를 점검할 수 있도록 이미지센서(9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센서(90)는 본체 공급수단(50)과 상부 외피 공급수단(60)에 장착되어 상기 선바이저 본체(5)의 위치를 한번 더 정밀하게 점검하여 상기 외피 공급수단(6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부 외피(7)가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6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고주파 성형기(7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는 하부 금형(30)으로 하강작동시켜 상·하부 외피(3, 7)가 선바이저 본체(5)의 외면을 감싸도록 성형할 수 있는 상부 금형(72)이 장착된다.
즉 상기 고주파 성형기(70)는 작업대(22)의 회전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 외피(3)와 선바이저 본체(5) 및 상부 외피(7)를 상부 금형(72)을 감싸면서 일체로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금형(72)에는 일체로 형성된 상·하부 외피(3, 7) 및 선바이저 본체(5)가 상부금형(72)과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분리수단(110)이 장착된다.
즉 상기 분리수단(110)은 상부 금형(72)을 통해 성형된 상·하부 외피(3, 7) 및 선바이저 본체(5)가 상부 금형(72)을 따라 상부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분리수단(110)은 상부 금형(72)이 고주파성형을 마친 후 상승할 때 하부 금형(30)에 머물러야만 하는 선바이저 가공물이 상부 금형(72)과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주파성형기(70)에 선바이저 상부 외피(7)가 융착이 되더라도 이를 쉽게 분리시켜 상기 상부 외피(7)의 융착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수단(110)은 고주파 성형기(70)을 구성하는 상부 금형(72)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홀(111)과, 상기 지지홀(111)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지지핀(112)과, 상기 지지핀(112)과 상부 금형(72)의 하부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11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분리수단(110)은 상부 금형(72)의 작동시 연동작동하고, 상기 상부 금형(72)과 하부 금형(30)의 접촉시, 상기 지지핀(112)은 지지홀(111)을 따라 이동하고 스프링(113)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금형(72)이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핀(112)은 스프링(113)의 탄성에 의하여 원상복귀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홀(111)이 내측에는 지지핀(11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단턱(114)가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60)과 고주파 성형기(70)의 사이에는 상·하부 외피(3, 7)의 성형 및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외선 가열기(10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외선 가열기(100)는 선바이저 상부 외피(7)가 공급된 하부 금형(30)의 외부에 선바이저 상부 외피(7)가 선바이저 하부 외피(3)의 성형 및 접착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면서도 자동화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더욱 줄이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주파 성형기(7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배출수단(80)은 일체로 성형된 선바이저(1)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즉 상기 배출수단(80)은 고주파 성형기(70)를 통해 상·하부 외피(3, 7) 및 선바이저 본체(5)가 일체로 성형된 선바이저(1)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80)은 이송 컨베이어(81)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8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송 레일(82)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83)과, 상기 이송 레일(82)을 따라 전·후진 작동되고, 수직 실린더(83)가 장착되며, 상기 수직 실린더(85)의 하부에는 선바이저(1)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부재(86)가 장착되는 승강수단(8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배출수단(80)은 하부 금형(30)에 수용되는 선바이저(1)를 승강수단(84)이 이송 레일(82)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한 후, 수직 실린더(85)와 흡착부재(86)가 연동작동한 다음, 상기 흡착부재(86)가 선바이저(1)를 흡착한 후, 이송 컨베이어(81)로 선바이저(1)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부에는 원반 형상으로 회전작동하는 작업대(22)가 장착되는 회전체(2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22)의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위치 정렬핀(32)이 장착되고, 양측에는 하부 외피(3)의 고정과 함께 선바이저 본체(5)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 지그(34)가 수평작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금형(3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체(20)의 간격을 두고 일 측에는 내부에 하부 외피(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4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42)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게 관통공(43)이 형성되는 공급 틀(41)과, 상기 공급 틀(4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송 레일(45)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44)과, 상기 이송 레일(45)을 따라 전·후진 작동되고, 상기 관통공(43)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수직 실린더(47)가 연동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수직 실린더(47)의 하부에는 하부 외피(3)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부재(48)가 장착되는 승강수단(46)으로 구성되는 하부 외피 공급수단(4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외피 공급수단(40)의 일 측으로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안착된 하부 외피(3)의 상부에 선바이저 본체(5)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 공급수단(50)을 장착하고, 상기 본체 공급수단(50)의 일 측으로 선바이저 본체(5)의 위치를 한번 더 정밀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이미지센서(9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미지센서(90)의 일 측으로 내부에 상부 외피(7)가 수용되는 수용공간(6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62)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게 관통공(63)이 형성되는 공급 틀(61)과, 상기 공급 틀(6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송 레일(65)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64)과, 상기 이송 레일(65)을 따라 전·후진 작동되고, 상기 관통공(63)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수직 실린더(67)가 연동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수직 실린더(67)의 하부에는 상부 외피(7)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부재(68)가 장착되는 승강수단(66)으로 구성되는 상부 외피 공급수단(6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성형기(70)의 일 측으로 하부 외피(3, 7)의 성형 및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외선 가열기(100)를 장착한 후 상기 적외선 가열기(100)의 일 측으로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는 하부 금형(30)으로 하강작동시켜 상·하부 외피(3, 7)가 선바이저 본체(5)의 외면을 감싸도록 성형할 수 있는 상부 금형(72)으로 이루어지는 고주파 성형기(7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상부 금형(72)는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홀(111)과, 상기 지지홀(111)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지지핀(112)과, 상기 지지핀(112)과 상부 금형(72)의 하부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113)으로 구성되는 분리수단(11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주파 성형기(70)의 일 측으로 이송 컨베이어(81)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8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송 레일(82)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83)과, 상기 이송 레일(82)을 따라 전·후진 작동되고, 수직 실린더(83)가 장착되며, 상기 수직 실린더(85)의 하부에는 선바이저(1)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부재(86)가 장착되는 승강수단(84)으로 구성되는 배출수단(80)을 장착하면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1)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체(20)의 작업대(22)가 회전작동되면, 상기 선바이저 하부 외피 공급수단(40)은 수용공간(42)에 수용되는 하부 외피(3)를 승강수단(46)이 이송 레일(45)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한 후, 한 쌍의 수직 실린더(45)와 흡착부재(48)가 연동작동한 다음, 상기 흡착부재(48)가 하부 외피(3)를 흡착한 후, 전방으로 이동하여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하부 외피(3)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외피(3)가 안착된 하부 금형(30)이 본체 공급수단(50)을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본체 공급수단(50)은 하부 외피(3)의 상부에 선바이저 본체(5)를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외피(3) 및 선바이저 본체(5)가 안착된 하부 금형(30)은이미지센서(90)를 거쳐 상부 외피 공급수단(60)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60)은 수용공간(62)에 수용되는 상부 외피(7)를 승강수단(66)이 이송 레일(65)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한 후, 한 쌍의 수직 실린더(65)와 흡착부재(68)가 연동작동한 다음, 상기 흡착부재(68)가 상부 외피(7)를 흡착한 후, 전방으로 이동하여 하부 금형(30)의 상부에 상부 외피(7)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외피(3)와 선바이저 본체(5) 및 상부 외피(7)가 안착된 하부 금형(30)은 적외선 가열기(100)의 위치에 전달된 후, 상기 적외선 가열기(100)의 작동에 의해 하부 외피(3)와 선바이저 본체(5) 및 상부 외피(7)는 예열된다.
다음으로 예열된 하부 외피(3)와 선바이저 본체(5) 및 상부 외피(7)는 고주파 성형기(70)에 전달되고, 상기 고주파 성형기(70)는 상기 하부 외피(3)와 선바이저 본체(5) 및 상부 외피(7)를 상부 금형(72)을 감싸면서 일체로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금형(72)에 장착되는 분리수단(110)은 상부 금형(72)의 작동시 연동작동하고, 상기 상부 금형(72)과 하부 금형(30)의 접촉시, 상기 지지핀(112)은 지지홀(111)을 따라 이동하고 스프링(113)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금형(72)이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핀(112)은 스프링(113)의 탄성에 의하여 원상복귀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체로 성형된 선바이저(1)는 배출수단(80)에 전달되고, 상기 배출수단(80)은 하부 금형(30)에 수용되는 선바이저(1)를 승강수단(84)이 이송 레일(82)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한 후, 수직 실린더(85)와 흡착부재(86)가 연동작동한 다음, 상기 흡착부재(86)가 선바이저(1)를 흡착한 후, 이송 컨베이어(81)로 선바이저(1)를 전달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거치면서 자동차용 선바이저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는 지금까지 한 대의 고주파성형기에 한 명의 작업자가 배치되어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작되었던 선바이저를 다수의 공급수단과 한 대의 작업대 및 고주파 성형기로 다수개의 고주파 성형기에서 이루어지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20 : 회전체,
22 : 작업대, 30 : 하부 금형,
32 : 위치 정렬핀, 34 : 고정 지그,
40 : 하부 외피 공급수단, 41 : 공급 틀,
42 : 수용공간, 43 : 관통공,
44 : 가이드 프레임, 45 : 이송 레일,
46 : 승강수단, 47 ; 수직 실린더,
48 : 흡착부재, 50 : 본체 공급수단,
60 : 상부 외피 공급수단, 61 : 공급 틀,
62 : 수용공간, 63 : 관통공,
64 : 가이드 프레임, 65 : 이송 레일,
66 : 승강수단, 67 ; 수직 실린더,
68 : 흡착부재, 70 : 고주파 성형기,
72 : 상부 금형, 80 : 배출수단,
90 : 이미지센서, 100 : 적외선 가열기,
110 : 분리수단.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원반 형상으로 회전작동하는 작업대가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체;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위치 정렬핀이 장착되는 하부 금형; 상기 회전체의 일 측에 장착되고 하부 외피를 하부 금형의 상부에 공급하는 하부 외피 공급수단; 상기 하부 외피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상부에 안착된 하부 외피의 상부에 선바이저 본체를 공급하는 본체 공급수단; 상기 본체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상부에 안착된 선바이저 본체의 상부에 상부 외피를 공급하는 상부 외피 공급수단;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방향으로 하강작동시켜 상·하부 외피가 선바이저 본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성형하는 고주파 성형기; 상기 고주파 성형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하부 외피 및 선바이저 본체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의 양측에는 하부 외피의 고정과 함께 선바이저 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 지그가 수평작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5. 원반 형상으로 회전작동하는 작업대가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체;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위치 정렬핀이 장착되는 하부 금형; 상기 회전체의 일 측에 장착되고 하부 외피를 하부 금형의 상부에 공급하는 하부 외피 공급수단; 상기 하부 외피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상부에 안착된 하부 외피의 상부에 선바이저 본체를 공급하는 본체 공급수단; 상기 본체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상부에 안착된 선바이저 본체의 상부에 상부 외피를 공급하는 상부 외피 공급수단;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방향으로 하강작동시켜 상·하부 외피가 선바이저 본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성형하는 고주파 성형기; 상기 고주파 성형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하부 외피 및 선바이저 본체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내부에 외피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게 관통공이 형성되는 공급 틀;
    상기 공급 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송 레일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전·후진 작동되고,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수직 실린더가 연동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수직 실린더의 하부에는 외피를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부재가 장착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틀의 전방에 위치한 수용공간의 하부에는 외피를 가열할 수 있도록 예열부재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7. 삭제
  8. 원반 형상으로 회전작동하는 작업대가 상부에 장착되는 회전체;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위치 정렬핀이 장착되는 하부 금형; 상기 회전체의 일 측에 장착되고 하부 외피를 하부 금형의 상부에 공급하는 하부 외피 공급수단; 상기 하부 외피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상부에 안착된 하부 외피의 상부에 선바이저 본체를 공급하는 본체 공급수단; 상기 본체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부 금형의 상부에 안착된 선바이저 본체의 상부에 상부 외피를 공급하는 상부 외피 공급수단; 상기 상부 외피 공급수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방향으로 하강작동시켜 상·하부 외피가 선바이저 본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성형하는 고주파 성형기; 상기 고주파 성형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하부 외피 및 선바이저 본체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주파 성형기의 상부 금형에는 일체로 형성된 상·하부 외피 및 선바이저 본체가 상부 금형과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분리수단이 더 장착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고주파 성형기의 상부 금형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홀과, 상기 지지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과 상부 금형의 하부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9. 청구항 4항 내지 청구항 6항,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제조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020150051564A 2015-04-13 2015-04-13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01627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564A KR101627301B1 (ko) 2015-04-13 2015-04-13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564A KR101627301B1 (ko) 2015-04-13 2015-04-13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바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301B1 true KR101627301B1 (ko) 2016-06-03

Family

ID=5619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564A KR101627301B1 (ko) 2015-04-13 2015-04-13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3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3448A (zh) * 2019-03-21 2019-05-31 新子元(上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汽车遮阳板的集成装配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859Y1 (ko) * 2001-08-27 2002-01-05 윤근수 합성수지판재의 가압성형장치
KR20090107813A (ko) * 2008-04-10 2009-10-14 유판열 선바이저 표피재 용착용 금형
KR20090124509A (ko) 2008-05-30 2009-12-03 동보공업(주)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140023101A (ko) * 2012-08-17 2014-02-26 (주) 신화테크 자동차용 휠 가드 후트림 장치
KR101395308B1 (ko) 2012-09-26 2014-05-16 동신산업(주) 선바이저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859Y1 (ko) * 2001-08-27 2002-01-05 윤근수 합성수지판재의 가압성형장치
KR20090107813A (ko) * 2008-04-10 2009-10-14 유판열 선바이저 표피재 용착용 금형
KR20090124509A (ko) 2008-05-30 2009-12-03 동보공업(주) 선바이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140023101A (ko) * 2012-08-17 2014-02-26 (주) 신화테크 자동차용 휠 가드 후트림 장치
KR101395308B1 (ko) 2012-09-26 2014-05-16 동신산업(주) 선바이저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3448A (zh) * 2019-03-21 2019-05-31 新子元(上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汽车遮阳板的集成装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6109B2 (en) Band saw machine
CN108298294A (zh) 一种用于曲轴搬运的机器人夹具
CN205309757U (zh) 一种智能手表自动装配机
KR101627301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자동생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바이저
CN106239148B (zh) 一种电机支架装配生产线
CN105397470A (zh) 汽车座椅弹簧压入装置
CN105081916A (zh) 用于磁瓦自动去毛刺排版输送整体系统
CN206200369U (zh) 一种自动化生产工艺设备快速切换柔性系统
JPH1086867A (ja) 自動車ドア製造装置
CN109571280B (zh) 一种螺旋伞齿轮数控喷丸系统自动上下料控制方法
CN109909632B (zh) 白车身自动化焊接生产线
CN207748519U (zh) 一种自动防错上料机
KR101726860B1 (ko) 자동화된 폼 패드 와이어링 가공장치
JP6443614B2 (ja) 車体搬送装置
CN108080875B (zh) 一种钢托总成焊接装置
KR101234640B1 (ko) 엔진 가공용 호닝 머신
CN102427995A (zh) 用于装配车辆乘员室的侧部的设备和方法
CN110668186A (zh) 一种物料送件装置
CN217413080U (zh) 一种汽车内饰件组装机
CN113172401B (zh) 一种用于车灯的装配系统及装配方法
CN210115658U (zh) 内饰件卡扣的自动化安装设备
CN216399219U (zh) 一种刀具外径段差磨床的自动接料装置
CN211589720U (zh) 一种手机玻璃保护片加工设备
CN218282714U (zh) 挡风玻璃外观检查设备
KR102129902B1 (ko) 러기지 보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