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784B1 - 모니터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784B1
KR100951784B1 KR1020080011015A KR20080011015A KR100951784B1 KR 100951784 B1 KR100951784 B1 KR 100951784B1 KR 1020080011015 A KR1020080011015 A KR 1020080011015A KR 20080011015 A KR20080011015 A KR 20080011015A KR 100951784 B1 KR100951784 B1 KR 100951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rack
gear
housi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224A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78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틸팅장치는, 자동차의 프런트커버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수납실에 디스플레이어를 설치하고, 디스플레이어의 하단부를 인출시키면서 경사지게 회전시키도록 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어를 인출수납수단에 의해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고, 전방으로 인출된 디스플레이어를 경사각도조절부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어를 인출수납수단에 의해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시켜 줌으로서 디스플레이어의 상단과 하단이 하우징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회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어를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시킬 때에는 디스플레이어의 상단 및 하단과 하우징의 내면과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수납된 디스플레이어의 상단 및 하단과 하우징의 내면과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간(GAP)으로 인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먼지와 같은 각종 이물질이 하우징의 내부로 쉽게 침투하여 전자장비에 부착되면서 손상시킬 염려도 배제할 수 있다.
AV시스템. 디스플레이어. 모터. 제1렉. 제2렉. 제1피니언. 제2피니언. 제1톱니수납기어. 제2톱니수납기어. 인출수납유도가이드홀.

Description

모니터 틸팅장치{Monitor tilt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런트커버에 설치되어 DVD시스템과 내비게이션 및 전후방 상황 등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전석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장치를 개선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자동차의 프런트커버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수납실에 디스플레이어를 설치하고, 디스플레이어의 하단부를 인출시키면서 경사지게 회전시키도록 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어를 인출수납수단에 의해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고, 전방으로 인출된 디스플레이어를 경사각도조절부에 의해 회전시키되,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된 디스플레이어의 상단과 하단이 하우징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어를 하우징의내부에 수납시킬 때에는 디스플레이어의 상단과 하단이 하우징의 내면과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한 모니터틸팅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장비와 통신이 발달 되면서 자동차의 프런트커버에는 DVD시스템과 내비게이션 및 전후방 상황 등의 영상을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어에 디스플 레이시켜 주는 AV시스템이 장착되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프런트커버에 AV시스템(1)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내부가 공간부로 되고 전방으로 개방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하우징(2)의 내부에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어(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2)의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어(3)의 종래의 틸팅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틸팅장치는 하우징(2)의 수납실(4)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어(3)를 수납실(4)의 내부에서 직접 회전시켜 영상각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수납실(4)의 높이를 디스플레이어(3)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높게 유지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수납실(4)의 높이를 크게 유지시켜 주면 하우징(2)의 내부 상면과 밑면에는 디스플레이어(3)의 상단과 하단으로 공간이 크게 발생하게 되고, 디스플레이어(3)의 상단과 하단으로 크게 발생하는 공간(GAP)으로 인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고, 먼지와 같은 각종 이물질이 하우징(2)의 내부로 쉽게 침투하여 전자장비에 부착되면서 손상시킬 염려(폐단)도 배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모니터 틸팅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런트커버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수납실에 디스플레이어를 설치하고, 디스플레이어의 하단부를 인출시키면서 경사지게 회전시키도록 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어를 인출수납수단에 의해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고, 전방으로 인출된 디스플레이어를 경사각도조절부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된 모니터 틸팅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어를 인출수납수단에 의해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시켜 줌으로서 디스플레이어의 상단과 하단이 하우징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회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어를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시킬 때에는 디스플레이어의 상단 및 하단과 하우징의 내면과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한 모니터틸팅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어를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시킬 때에는 디스플레이어의 상단 및 하단과 하우징의 내면과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간(GAP)으로 인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먼지와 같은 각종 이물질이 하우징(2)의 내부로 쉽게 침투하여 전자장비에 부착되면서 손상시킬 염려(폐단)도 배제할 수 있도록 된 모니터틸팅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자동차의 프론트커버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수납실에 디스플레이어를 설치하고, 디스플레이어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면서 경사지게 회전시키도록 된 것 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어를 인출수납수단에 의해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거나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한 것과;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된 디스플레이어를 경사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회전시켜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틸팅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어를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거나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인출수납수단과,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된 디스플레이어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여 주는 경사각도조절수단은; 단일 동력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어를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거나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인출수납수단과,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된 디스플레이어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여 주는 경사각도조절수단은; 단일 동력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어 인출시에는 인출수납수단이 경사각도조절수단 보다 먼저 작동하고, 디스플레이어 수납시에는 경사각도조절수단이 인출수납수단보다 먼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어를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거나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인출수납수단은; 수납실의 중간부 상측과 하측에는 제1렉과 제2렉을 각각 설치하여 동력장치에 의해 동시에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2렉의 선단을 디스플레이어의 배면 하단에 고정축으로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된 디스플레이어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여 주는 경사각도조절수단은; 제2렉의 선단이 연결되는 고정축이 수납실 전방으로 전후진 이동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어의 배면 상단에 돌출된 지지대에 연결된 이동축이 디스플레이어의 각도가 조정될 때에 경사유도가이드홀를 따라 승하강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어의 지지대에 장착된 이동축을 상하로 가이드하는 경사각도조절수단은; 제1렉의 전방에는 상단수평홀을 형성하고, 상단수평홀의 선단에 전방경사홀을 상단수평홀과 연통되도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유도가이드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수납실의 중간부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는 제1렉과 제2렉을 동시에 전후진 이동시키는 인출수납수단의 동력장치는; 제1렉의 저부에 치합되는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과는 이격된 상태로 제1렉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톱니수납기어가 동시 치합된 기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에서 인출수납수단과 경사각도조절부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동력장치는; 정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틸팅장치는,
자동차의 프런트커버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수납실에 디스플레이어를 설치하고, 디스플레이어의 하단부를 인출시키면서 경사지게 회전시키도록 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어를 인출수납수단에 의해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고, 전방으로 인출된 디스플레이어를 경사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어를 인출수납수단에 의해 하우징의 전방으로 인출시켜 줌으로서 디스플레이어의 상단과 하단이 하우징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회전할 수 있고, 디스 플레이어를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시킬 때에는 디스플레이어의 상단 및 하단과 하우징의 내면과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수납된 디스플레이어의 상단 및 하단과 하우징의 내면과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간(GAP)으로 인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먼지와 같은 각종 이물질이 하우징의 내부로 쉽게 침투하여 전자장비에 부착되면서 손상시킬 염려(폐단)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틸팅장치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틸팅장치의 작동관계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틸팅장치(1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자동차의 프론트커버에 설치되는 하우징(2)의 수납실(4)에 디스플레이어(3)를 설치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어(3)를 인출수납수단에 의해 하우징(2)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거나 하우징(2)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하우징(2)의 전방으로 인출된 디스플레이어(3)를 경사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회전시켜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디스플레이어(3)를 하우징(2)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거나 하우징(2)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인출수납수단과, 하우징(2)의 전방으로 인출된 디스플레이어(3)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여 주는 경사각도조절수단은, 단일 동력장치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단일 동력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어(3) 인출시에는 인출수납수단이 경사각도조절수단 보다 먼저 작동하고 디스플레이어(3) 수납시에는 경사각도조절수단이 인출수납수단보다 먼저 작동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어(3)를 하우징(2)의 전방으로 인출시키거나 하우징(2)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인출수납수단은; 수납실(4)의 중간부 상측 및 하측 각각에 수평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렉(21)과 제2렉(22)을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렉(22)의 선단은 디스플레이어(3)의 배면 하단에 장착된 고정축(6)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렉(21)의 선단은 경사유도가이드홀(60)의 상단수평홀(62)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된 이동축(7)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출수납수단의 동력장치는; 제1렉(21)의 후당 하측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11)의 출력축에 축설된 기동기어(12)로 구성되며, 상기 기동기어(12)와 제1렉(21) 사이에는 제1피니언(31)이 치합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기동기어(12)의 전방에는 제1톱니수납기어(41)가 치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의 전방으로 인출된 디스플레이어(3)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여 주는 경사각도조절수단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는 경사유도가이드홀(60)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유도가이드홀(60)은 수납실(4)의 내측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유도가이드홀(60)의 상단수평홀(62)은 제1렉(21)의 선단부분이 수평상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렉(21)과 수평상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유도가이드홀(60)의 전방경사홀(61)은 그 상단이 상단수평홀(62)에 연통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하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톱니수납기어(41)의 내부에는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이 귄취된 구조로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은 동력장치인 모터(11)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기동기어(12)에 치합된 제1톱니수납기어(41)가 좌,우로 회전함에 따라서 제1톱니수납기어(41)에서 인출되거나 또는 수납되는 상태로 전,후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은 인출수납유도가이드홀(50) 내측으로 수납되는 상태로 전진하거나 또는 빠져나오는 상태로 후진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어(3)의 배면 상단에는 수납실(4)을 향해 수평상으로 돌출하는 지지대(5)를 고정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5)의 내부 선단에는 이동축(7)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축(7)은 디스플레이어(3)의 각도가 조정될 때에 상기 제1렉(21)에 의한 전,후진작동시 경사유도가이드홀(60)의 상단수평홀(62) 및 전방경사홀(61)의 내부를 따라 승강작동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유도가이드홀(60)은 제1렉(21)의 전방에 수평상으로 형성되는 상단수평홀(62)과 이의 선단에서부터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전방경사홀(61)은 서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유도가이드홀(60)의 전방경사홀(61)은 그 내측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에 후술하는 제2피니언(32)가 치합되도록 상기 제2피니언(32)을 향해 개구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2렉(22)의 후단 상측에는 제2톱니수납기어(4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톱니수납기어(42)에 수납된 상태로 귄취되어 있는 제2각도조절용 후렉시블기어(24)는 제2톱니수납기어(42)의 좌,우 회전작동에 따라 그 내부에서 출현(전진)하거나 또는 몰입(후진)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4)은 제2렉(22)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 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24)은 각기 제1 및 제2 톱니수반기어(41)(42) 각각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 내부에 두루마리상으로 권취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톱니수납기어(41)(42)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출현작동으로 전진하거나 도는 몰입작동으로 후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수납수단 및 경사각도조절수단의 작동은, 모터(11)의 구동으로 기동기어(12)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기동기어(12)에 치합되어 있는 제1피니언(31)과 제1톱니수납기어(41)가 동시 회전(반시계방향)하게 되므로 상기 제1피니언(31)에 치합된 제1렉(21)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도 1의 화살표 방향 참조)하게 되고, 상기 제1톱니수납기어(41)에 수납되어 있는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은 제1톱니수납기어(41)에서 출현되어 인출수납유도가이드홀(50)을 따라 전진 이동(도 2의 화살표 방향 참조)하게 되며, 상기 제1렉(21)의 선단에 연결된 이동축(7)이 상단수평홀(62)의 끝단 즉, 전방경사홀(61) 상단 위치까지 진입된 상태가 될 때에는 상기 인출수납유도가이드홀(50)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의 선단은 제2피니언(32)에 치합되는 상태가 되며(도 3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11)가 구동하게 될 때에는 제1피니언(31)은 제1렉(21)의 후단에서 벗어난 상태가 되어 공회전하게 되는 한편, 제1톱니수납기어(41)에서 출현 전진하는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이 제2피니언(32)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피니언(32)과 같이 연동기어(13)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톱니수납기어(4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제2톱니수납기어(42)에 수납 권취되어 있는 제2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4)이 제2톱니수납기어(42)에 출현 전진하면서 제2렉(22)을 도면상 좌측으로 밀어냄에 따라 제2렉(22) 선단은 고정축(6)을 전방을 향해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이동축(7)은 전방경사홀(61)을 따라 하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므로써 디스플레이어(3)의 상단이 도면상 우측을 향해 경사지는 상태로 디스플레이어(3)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인출수납수단과 경사각도조절수단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동력수단은, 모터(11)에 의해 정역 회전작동에 의해 기동기어(12)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피니언(31)과 제1톱니수납기어(41)에 동시에 회전시켜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틸장치(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어(3)가 하우징(2)의 수납실(4)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ON)하여 모터(11)가 정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하면 기동기어(12)가 정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피니언(31)과 제1톱니수납기어(41)를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도 2 참조)
상기 제1피니언(31)과 제1톱니수납기어(41)가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피니언(31)은 치합된 제1렉(21)을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피니언(31)은 제1렉(21)의 선단이 이동축(7)과 함께 경사유도가이드홈(60)의 상단수평홀(62) 내측 끝부분까지 전진 이동시킨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축(7)이 상단수평홀(62)의 내측 끝부분과 전방경사홀(61)의 상단부분이 만나는 지점까지 전진 이동시킨 상태가 되면 상기 제1피니언(31)은 제1렉(21)을 완전히 밀어낸 상태가 됨과 동시 상기 제1렉(21)의 후단을 벗어난 위치에서 제자리에서 공회전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톱니수납기어(41)에 수납된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은 제1톱니수납기어(41)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제1톱니수납기어(41)에서 도면상 좌측방향을 향해 출현 전진하여 인출수납유도가이드홀(5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은 제1렉(21)의 전진작동이 정지된 시점에 이르게 되면 제2피니언(32)과 치합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1렉(21)의 전진 이동이 완료되고 또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의 선단이 제2피니언(32)에 치합되는 시점에 이르게 되더라도 모터(11)는 지속적으로 구동하는 상태이다.(도 3 참조)
상기 모터(11)의 계속된 구동에 의해 기동기어(12)에 치합되어 있는 제1피니언(31)은 제1렉(21)의 후단을 벗어난 위치에서 공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1톱니수납기어(41)는 계속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을 출현 전진시키게 되므로, 이에 따라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에 치합되는 제2피니언(32)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피니언(32)과 함께 회전하는 연동기어(13)는 제2톱니수납기어(42)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톱니수납기어(42)에 수납되어 있는 각도조절용후렉시블렉(24)은 제2톱니수납기어(42)에서 출현 전진하면서 제2렉(22)을 디스플레이어(3) 쪽으로(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어(3)는 제1렉(21)과 제2렉(22)이 이동축(7)과 고정축(6)을 동시에 밀어내게 되므로써 하우징(2)의 수납실(4)의 입구측에서 전방(도면상 좌측방향)을 향해 수직상태로 인출되는 것이다.(도 3 참조)
그리고, 상기 제2피니언(32)과 함께 회전하는 연동기어(13)가 제2톱니수납기어(42)를 계속해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2톱니수납기어(42)에 수납되어 있는 제2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4)이 제2렉(22)을 수납실(4)의 전방을 향해 길게 돌출되도록 밀어내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1렉(21)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이므로 지지대(5)에 연결된 이동축(7)만 전방경사홀(61)을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어(3)는 그 상단부분이 도 4의 도시와 같이 우측을 향해 소정각도로 넘어진 상태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다.
삭제
한편,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어(3)가 하우징(2)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경사진 각도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어(3)를 하우징(2)의 수납실(4)에 수납시키고자 할 때에는 스위치를 다시 조작하는데, 이때에는 모터(11)가 역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조작하면 기동기어(12)가 역 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피니언(31)과 제1톱니수납기어(41)를 정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디스플레이어(3)를 수납실(4)에 수납시키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어(3)를 수납식(4)에 수납시키는데 따른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모터(11)가 역 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 기동기어(12)도 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피니언(31)과 제1톱니수나기어(41)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1피니언(31)은 제1렉(21)의 후단을 벗어난 위치에서 공회전하가 되지만 제1톱니수납기어(41)의 정 방향 회전작동에 따라 제1톱니수납기어(41)로 몰입되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하는 제1각도절용 후렉시블렉(23)이 제2피니언(32)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제2피니언(32)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연동기어(13)가 제2톱니수납기어(42)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써 제2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4)은 제2톱니수납기어(42)에 몰입되는 상태로 후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4)이 제2톱니수납기어(42)에 수납되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2렉(22)은 수납실(4) 쪽 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렉(22)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축(6)이 디스플레이어(3)를 수납실(4)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고정축(6)과 함께 수납실(4) 쪽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어(3)는 지지대(5)에 연결된 이동축(7)이 전방경사홀(61)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경사진 상태서 서서히 수직 상태로 일어서게 되며, 상기 이동축(7)이 전방경사홀(61)의 상단 부위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어(3)는 수직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어(3)가 수직 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모터(11)는 계속적으로 구동하는 상태이며, 또한 제1톱니수납기어(41)에 수납되는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의 선단부분은 여전히 제2피니언(32)에 치합된 상태에서 제2피니언(32)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의 선단부분이 제2피니언(32)에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피니언(32)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디스플레이어(3)는 수납실(4) 쪽으로 이동하여 수납되는 것인데,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어(3)의 지지대(5)에 연결된 이동축(7)이 제2렉(21)의 선단을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제1렉(21)의 후단이 다시 제1피니언(31)에 치합되어 제2렉(22)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써 상기 제2렉(22)은 디스플레이어(3)를 안전하게 수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렉(22)이 디스플레이어(3)를 완전히 수납시킨 상태가 될 때에는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의 선단이 제2피니언(32)에서 이완되는 상태가 되며, 이때에도 모터(11)는 계속 구동하여 상기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을 제1톱니수납기어(41)에 몰입시키게 되며, 상기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이 제1톱니수납기어(41)에 완전히 몰입된 상태가 되면 상기 모터(11)는 정지되어 다음 작동을 대기하는 것이다.
삭제
도 1은 AV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틸팅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틸팅장치의 작동관계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AV시스템 2: 하우징
3: 디스플레이어 10: 모니터틸팅장치
11: 모터 12: 기동기어.
21: 제1렉. 22: 제2렉.
31: 제1피니언 32: 제2피니언
41: 제1톱니수납기어 42: 제2톱니수납기어
50: 인출수납유도가이드홀 60: 경사유도가이드홀

Claims (9)

  1. 자동차의 프론트커버에 설치되는 하우징(2)의 수납실(4)에 내설되는 디스플레이어(3)를 동력장치인 모터(11)의 구동으로 수납실(4)에서 인출 및 수납시키기 위해, 상기 수납실(4)의 상,하측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제1렉(21)과 제2렉(22)으로 형성되는 인출수납수단과, 상기 수납실(4)에서 디스플레이어(3)를 경사지게 인출하도록 형성되는 경사각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모니터 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납수단은,
    상기 제1렉(21)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렉(21)의 저부에 치합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1피니언(31)과 함께 동력장치인 모터(11)의 출력축에 축설된 기동기어(12)에 치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톱니수납기어(41)와;
    상기 제1톱니수납기어(41)에 권취된 상태로 출몰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제1톱니수납기어(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제1톱니수납기어(41)에서 출현되어지며, 상기 제1톱니수납기어(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제1톱니수납기어(41)에 몰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과;
    상기 제1렉(21)과 제2렉(22)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납실(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각도조절용 후렉시블렉(23)의 출현 작동시 치합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2피니언(32)과;
    상기 제2피니언(32)과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연동기어(13)와;
    상기 연동기어(13)와 제2렉(22) 사이에 형성되어 연동기어(1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렉을 수평상으로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설치되는 제2톱니수납기어(42)와;
    상기 제2톱니수납기어(42)에 권취된 상태로 출몰가능하게 수납된 채 상기 제2렉(22)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톱니수납기어(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제2톱니수납기어(42)에서 출현되면서 제2렉(22)을 하우징(2) 전방으로 밀어내며, 상기 제2톱니수납기어(4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제2톱니수납기어(42)에 몰입되면서 제2렉(22)을 수납실(4)로 끌어당기도록 형성되는 제2각조조절용 후렉시블렉(24);
    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틸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어(3)의 내측 하단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렉(22)의 선단에 연결되는 고정축(6)과;
    상기 제1렉(21) 선단부분의 진퇴가 가능하도록 제1렉(21)의 전방에 수평상으로 형성되는 상단수평홀(62)과, 상기 상단수평홀(62)과 연통하도록 련결된 상태로 상기 수납실(4) 전방에 경사상으로 형성되는 전방경사홀(61)로 구성되는 경사유도가이드홀(60)과;
    상기 디스플레이어(3)의 내측 상단에 돌출된 지지대(5)에 부착된 채 상기 상단수평홀(62)에 진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렉(21)의 전진작동시 그 선단에 지지된 상태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전방경사홀(61)을 따라서는 상,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축(7);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틸팅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011015A 2008-02-04 2008-02-04 모니터 틸팅장치 KR100951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15A KR100951784B1 (ko) 2008-02-04 2008-02-04 모니터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15A KR100951784B1 (ko) 2008-02-04 2008-02-04 모니터 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224A KR20090085224A (ko) 2009-08-07
KR100951784B1 true KR100951784B1 (ko) 2010-04-09

Family

ID=4120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015A KR100951784B1 (ko) 2008-02-04 2008-02-04 모니터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7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054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카 오디오의 액정모니터의 틸팅 메카니즘
KR20000011056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카 오디오의 액정모니터의 틸팅 메카니즘
KR20000011055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카 오디오의 액정모니터의 틸팅 메카니즘
JP2006276769A (ja) * 2005-03-30 2006-10-12 Fujitsu Ten Ltd チルト機構および電子機器駆動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054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카 오디오의 액정모니터의 틸팅 메카니즘
KR20000011056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카 오디오의 액정모니터의 틸팅 메카니즘
KR20000011055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카 오디오의 액정모니터의 틸팅 메카니즘
JP2006276769A (ja) * 2005-03-30 2006-10-12 Fujitsu Ten Ltd チルト機構および電子機器駆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224A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3619B1 (ko) 냉장고
KR970011969B1 (ko)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US20060220505A1 (en) Movable console device
KR100598619B1 (ko) 차량용 모니터의 팝업장치
KR20190114478A (ko) 냉장고
KR100951784B1 (ko) 모니터 틸팅장치
JP2010227395A (ja) 遊技機の演出装置
KR100835989B1 (ko)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KR102070082B1 (ko)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200354807Y1 (ko) 카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모니터 수납 장치
KR20200044495A (ko) 냉장고
CN216556161U (zh) 一种可交互的数字展台
JP2009137400A (ja) モニター内蔵シート
JP4227173B2 (ja) 表示装置
JP4109126B2 (ja) スロットマシンのリール支持装置
JP3846435B2 (ja) 引き出し付き収納庫及びその転倒防止装置
JP3233427B2 (ja) 車載用テレビ
KR100782888B1 (ko)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
JP2009119093A (ja) スロットマシン
CN110980439A (zh) 一种可旋转自动收线新能源汽车充电桩
KR100446772B1 (ko) 카오디오의 프론트패널 구동장치
JPH10101235A (ja) 省スペース・ローディング・トレイ装置
CN219361938U (zh) 辊筒架
JP2004007135A (ja) 収納型ディスプレイ装置
CN216172149U (zh) 一种高纯氧化铝用生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