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611B1 -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611B1
KR100951611B1 KR1020090084818A KR20090084818A KR100951611B1 KR 100951611 B1 KR100951611 B1 KR 100951611B1 KR 1020090084818 A KR1020090084818 A KR 1020090084818A KR 20090084818 A KR20090084818 A KR 20090084818A KR 100951611 B1 KR100951611 B1 KR 100951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ellet
pellet manufacturing
outpu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시기
Original Assignee
실버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모터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실버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5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2Wood or forestry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출력을 이용해서 폐기물을 파쇄, 건조,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재료를 파쇄하여 미리 설정된 입자 크기 이하의 분말을 제조하는 파쇄부, 상기 분말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나누어 공급하는 정량 공급부, 상기 정량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분말을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부, 상기 제조된 펠릿을 냉각시키고, 찌꺼기를 선별하여 제거하는 냉각 선별부 및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원재료, 분말 및 펠릿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펠릿제조장치, 상기 펠릿제조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펠릿제조장치의 파쇄, 성형 및 제조 동작에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배분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압력 발생부 또는 동력 취출부로부터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펠릿제조장치에 전달하는 전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펠릿제조장치는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이용해 원재료를 파쇄하고, 파쇄된 분말을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원재료의 보관 장소에서 차량의 엔진출력을 이용해 펠릿을 직접 제조하므로, 원재료 운송 및 완제품 공급을 위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운송시간을 단축하고, 시스템 제작비용 및 펠릿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84818
펠릿 제조 시스템, 차량, 압력 발생부, 압력 배분

Description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ELLET PRODUCTION}
본 발명은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목 후 폐목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엔진 출력을 이용해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펠릿은 톱밥, 폐타이어,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적 신재생 연료이다.
그 중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목재 펠릿을 제조하는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8051호(2009년01월05일자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목재필릿 제조설비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목재 펠릿 제조 설비는 목재 원료를 반입하여 톱밥을 제조하는 톱밥제조설비(1), 톱밥을 건조시키는 건조설비(2), 건조된 톱밥을 분쇄하는 분쇄설비(3), 분쇄된 톱밥을 목재 펠릿으로 성형하는 성형설비(4), 성형된 목재 펠릿을 포장하는 포장설비(5) 및 목재원료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설비(2)의 건조열원을 공급하는 열원설비(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목재 펠릿 제조 설비는 목재를 가공하고 남은 톱밥이나 잡목을 이용해 제조되므로, 주원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펠릿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건조과정 및 성형과정에서 톱밥의 함수율을 설정 범위 이내로 제어하여 톱밥 분쇄시 분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목재 펠릿 제조 설비는 대형공장에 각 설비를 구비한 상태에서 원재료를 반입하여 목재 펠릿을 제조하고, 제조된 목재 펠릿을 다시 사용처로 운송해서 사용하므로, 펠릿 제조 설비의 초기 투자비용이 증가되고, 운송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목재 펠릿 제조 설비는 원재료 반입에서 펠릿 완제품을 공급받기까지 시간지연 및 운송비용이 발생하고, 원재료와 각 펠릿 제조 과정에서의 생산물 및 완제품 펠릿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목재 펠릿 제조설비의 공간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엔진출력을 이용해서 폐기물을 파쇄, 건조,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을 벌목이 이루어지는 벌목장이나 폐목을 수집할 수 있는 임야, 톱밥이 발생되는 제재소 등 다양한 장소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 제소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재료를 파쇄하여 미리 설정된 입자 크기 이하의 분말을 제조하는 파쇄부, 상기 분말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나누어 공급하는 정량 공급부, 상기 정량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분말을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부, 상기 제조된 펠릿을 냉각시키고, 찌꺼기를 선별하여 제거하는 냉각 선별부 및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원재료, 분말 및 펠릿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펠릿제조장치, 상기 펠릿제조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펠릿제조장치의 파쇄, 성형 및 제조 동작에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배분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압력 발생부 또는 동력 취출부로부터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펠릿제조장치에 전달 하는 전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펠릿제조장치는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이용해 원재료를 파쇄하고, 파쇄된 분말을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 발생부는 상기 엔진의 회전동력을 이용해 브레이크를 동작시키기 위해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이고, 상기 동력 취출부는 상기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변속기로부터 동력을 취출하는 동력취출장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쇄부의 파쇄동작시 상기 원재료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크기 이상이면 파쇄동작를 제외한 나머지 동작을 일시정지시키고 상기 파쇄부에 상기 구동부의 출력 전체 또는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을 제공하고, 상기 원재료의 크기가 상기 기준크기 미만이면 상기 펠릿제조장치에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미리 설정된 배분비율에 따라 배분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은 상기 구동부의 출력에 의해 신축 동작하여 상기 적재함 및 펠릿제조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펠릿제조장치는 상기 파쇄부로부터 제조되는 분말을 건조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부, 상기 펠릿제조부로부터 제조된 펠릿의 중량을 계측하여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나누는 계량부 및 상기 계량부로부터 공급되는 펠릿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차량 엔진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압력 발생부 또는 동력 취출부에서 발생된 압력을 구동부에 공급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단계, (b)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원재료를 파쇄해서 미 리 설정된 입자 크기 이하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분말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나누고, 상기 구동력을 이용해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펠릿을 냉각시키고, 냉각된 펠릿에서 찌꺼기를 선별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원재료의 크기정보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크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펠릿제조장치에 배분하여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ⅰ) 상기 비교결과, 상기 원재료가 상기 기준크기 미만이면,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파쇄부와 펠릿제조부 및 나머지 장치에 40:40:20의 비율로 공급하여 일괄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ⅱ) 상기 비교결과, 상기 원재료가 상기 기준크기 이상이면, 상기 파쇄부를 제외한 나머지 장치를 일시정지시키고, 상기 파쇄부에 상기 구동부의 출력 전체 또는 80% 이상을 공급하는 단계 및 (ⅲ) 상기 (ⅱ) 단계의 파쇄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상기 파쇄부를 제외한 나머지 장치에 공급하여 제조, 냉각 및 선별 동작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ⅳ) 상기 분말에 습기가 포함된 경우, 진공건조부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분말을 미리 설정된 수분 함수율 범위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선별된 찌꺼기를 재활용하도록 상기 (b) 단계로 피드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e) 상기 (d) 단계에서 제조된 펠릿을 미리 설정된 단위포장별 중 량으로 나누어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펠릿 제조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펠릿 제조 시스템 내부에 별도의 적재함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재료의 보관 장소에서 차량의 엔진출력을 이용해 펠릿을 직접 제조하므로, 발전기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시스템 제작비용 및 펠릿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펠릿 제조과정에서 한정된 차량의 엔진 출력을 각 장치에 선택적으로 배분하여 공급하므로, 동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차량 1대를 벌목이 이루어지는 벌목장이나 폐목을 수집할 수 있는 임야, 톱밥이 발생되는 제재소 등 다양한 장소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펠릿을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벌목장과 펠릿제조시스템 사이의 운송비용을 절감하고, 운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펠릿제조 과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임야에 방치된 폐목을 활용하거나 제재소에서 버려지는 톱밥을 재활용하여 펠릿을 제조하므로, 펠릿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폐목 및 톱밥을 제거하여 임야 및 제재소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펠릿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목재 펠릿을 제조하는 목재 펠릿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식물 쓰레기나 폐타이어와 같은 다양한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시스템에 공히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펠릿 제조 시스템은 원재료의 보관장소 및 목재 펠릿을 공급하고자 하는 장소로 직접 이동할 수 있도록 차량(10)의 적재함(14)에 설치된다. 이때, 차량(10)은 적재중량 4.5톤 이상의 중형 및 대형 차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10)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엔진(11)의 회전동력으로 공기를 압축하여 구동부(13)를 구동하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압력 발생부(12)와 상기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13), 상기 적재함(14)의 모퉁이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력에 의해 신축 동작하여 상기 적재함(14) 및 펠릿제조장치(20)를 지지하는 지지대(15)를 구비한다.
상기 압력 발생부(12)는 공기를 압축하여 고압을 발생하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이고, 상기 구동부(13)는 공기압에 의해 구동 되는 공압 모터와 모터의 출력을 전달하는 전달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공기 압축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엔진(11) 출력을 전달받은 변속기(16)에 동력취출부(17)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취출부(17)는 변속기(16)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장착되는 동력취출장치(Power Take-OFF)를 말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13)는 동력취출부(17)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펠릿 제조 시스템은 상기 구동부(13)의 출력을 이용해 원재료를 파쇄하여 목분을 제조하고, 목분을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장치(20)와 상기 펠릿제조장치(20)의 각 동작에 필요한 출력을 배분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구동부(13)를 제어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된다.
펠릿제조장치(20)는 원재료, 예컨대 잡목이나 폐목과 같은 목재를 투입받아 파쇄하고, 미리 설정된 입자 크기 이하의 목분을 제조하는 파쇄부(21), 상기 목분을 일정 중량으로 나누어 공급하는 정량 공급부(23), 상기 정량 공급부(23)로부터 공급되는 일정 중량의 목분을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부(24) 및 상기 제조된 펠릿을 냉각시키고, 찌꺼기를 선별하여 제거하는 냉각 선별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펠릿제조부(24)는 구동부(13)의 출력을 이용해 펠릿을 성형하여 미리 설정된 형상, 예컨대 구 형상이나 원기둥 형상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펠릿제조장치(20)는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목분의 수분을 미리 설정된 함수율 범위 이내로 건조하는 진공건조부(22), 상기 냉각 선별부(25)에서 찌꺼기가 제거된 펠릿의 중량을 계측하여 미리 설정된 단위포장에 따라 일정 중량으로 나누는 계량부(26) 및 상기 계량부(26)로부터 공급되는 펠릿을 포장하는 포장부(2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건조부(22)는 목재 원료나 석탄, 천연가스 등의 다른 재료를 태우거나 별도로 구비되는 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해서 발열하는 열원(222)을 구비한다.
상기 파쇄부(21)와 진공건조부(22) 사이에는 파쇄부(21)에서 제조된 목분을 임시 저장하는 목분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진공건조부(22)와 정량 공급부(23) 사이에는 진공건조부(22)에서 건조된 목분을 임시 저장하는 건조 원료 저장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펠릿제조장치(20)는 상기 구동력을 이용해 상기 원재료, 목분 및 펠릿을 이송하는 이송수단(28)을 구비한다. 상기 이송수단(28)은 컨베이어(Convey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펠릿제조장치(20)에서 파쇄부(21)는 입구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원재료의 크기를 감지하는 감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펠릿제조장치(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재료의 크기정보를 입력하는 조작스위치(2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상기 엔진(11)의 한정된 출력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 발생부(12)로부터 상기 펠릿제어장치(20)의 각 장치에 공급되는 구동부(13)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원재료의 미리 설정된 기준크기 정보 및 원재료의 크기에 따른 제어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원재료의 크기에 따라 구동부(13)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배분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가장 큰 동력을 요하는 파쇄부(21)의 파쇄 동작시, 상기 감지부(212) 또는 조작스위치(29)를 통해 입력되는 원재료의 크기정보에 따라 구동부(13)의 출력을 배분하여 각 장치(21 내지 28)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212) 또는 조작스위치(29)를 통해 입력된 상기 원재료의 크기정보, 즉 직경이 상기 기준크기, 예컨대 15㎝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30)는 파쇄부(21)와 펠릿제조부(24) 및 나머지 장치(22,23,25,26,27,28)에 구동부(13)의 출력을 40:40:20의 비율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상기 원재료의 직경이 15㎝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30)는 구동부(13) 출력 전체 또는 대부분, 예컨대 80% 이상을 파쇄부(21)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30)는 파쇄부(21) 및 이송수단(28)을 제외한 나머지 장치들(22 내지 27)의 구동을 일시 중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펠릿 제조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펠릿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 도이다.
본 발명은 펠릿 제조에 사용되는 원재료, 예컨대 잡목이나 폐목, 톱밥 등이 있는 장소로 차량을 이동시키고, 이후 차량 엔진(11)의 회전동력을 이용해 펠릿을 제조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10)의 엔진(11)에 연결되는 압력 발생부(12), 즉 컴프레서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목재 펠릿을 제작한다.
이를 위해, 압력 발생부(12)는 엔진(11)의 회전동력을 이용해 공기를 압축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 구동부(13)가 구동된다(S10).
제어부(30)는 원재료를 파쇄부(21)로 공급하도록 구동부(13)의 출력을 이송수단(28), 예컨대 컨베이어에 공급하게 제어한다(S11).
이어서 제어부(30)는 원재료를 파쇄하도록 구동부(13)의 출력을 파쇄부(21)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파쇄부(21)는 원재료, 예컨대 잡목이나 폐목과 같은 목재를 파쇄하여 미리 설정된 입자 크기 이하의 목분을 제조한다(S12).
한편, 원재료가 톱밥과 같이, 펠릿을 곧바로 제작할 수 있는 목분 상태인 경우, 단계 S11 내지 단계 S12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12에서 제조된 목분에 습기가 포함된 상태인 경우(S13), 진공건조부(22)는 내부에 투입된 목분의 수분 함수율이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될 때까지 내부 공간을 진공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목재나 석탄, 천연가스 등의 원료를 태우거나 발전기 전원을 이용해 열원(222)을 발열동작시켜 목분을 건조한다(S14).
반면, 단계 S12에서 제조된 목분의 수분 함수율이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이 면, 제어부(30)는 단계 S15로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단계 S15에서 제어부(30)가 정량 공급부(23) 및 펠릿제조부(24)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정량 공급부(23)는 상기 목분을 일정 중량으로 나누어 펠릿제조부(24)로 공급하고, 펠릿제조부(24)는 구동력을 이용해 목분을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한다.
냉각 선별부(25)는 단계 S15에서 제조된 펠릿을 냉각시키고, 냉각된 펠릿으로부터 찌꺼기를 선별하여 제거한다(S16). 이때, 제어부(30)는 찌꺼기를 다시 파쇄부(21)로 피드백시키도록 이송수단(28)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쇄부(21)는 피드백된 찌꺼기를 파쇄하여 목분을 제조한다.
만약, 펠릿의 단위포장이 필요한 경우(S17), 계량부(26)는 펠릿의 중량을 계측하여 미리 설정된 단위포장별 중량에 따라 나누고, 포장부(27)는 나누어진 펠릿을 각 단위포장별로 포장한다(S18).
펠릿을 단위포장할 필요가 없거나 단계 S18에서 펠릿의 단위포장이 완료되면, 제어부(30)는 펠릿을 임시 저장부로 이송하여 임시저장하도록 이송수단(28)을 제어한다(S19).
이어서, 제어부(30)는 펠릿제조장치(20)에 공급된 원재료의 펠릿 제조과정이 완료되었는가를 검사하고(S20), 모든 원재료의 펠릿 제조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단계 S10 내지 단계 S20을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상기 펠릿 제조과정은 각 장치에서 일괄적으로 수행되는 일괄동작이므로, 제어부(30)는 엔진(11)의 한정된 출력을 각 장치(21 내지 28)에 효율적으로 배 분하여 제공하도록 압력 발생부(12)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계 S12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상세흐름도이다.
도 3의 단계 S12의 파쇄과정에 진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감지부(212) 또는 조작스위치(29)로부터 원재료의 크기정보를 수신하고(S120), 수신된 원재료의 크기정보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기준크기를 비교한다(S121).
만약, 원재료의 크기정보가 기준크기, 예컨대 15㎝ 이상인 경우, 제어부(30)는 펠릿 제조과정, 목분 건조과정, 찌꺼기 선별과정 및 포장과정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구동부(13)의 출력 전체를 파쇄부(21)에 공급하거나, 미리 설정된 비율, 예컨대 80% 이상을 파쇄부(21)에 공급하고 나머지를 이송수단(28)에 공급하여 파쇄동작 및 이송동작만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22).
이후, 원재료의 파쇄동작이 완료될 때까지(S123) 제어부(30)는 단계 S122 내지 S123단계를 반복수행한다.
그래서, 단계 S123에서 원재료의 파쇄동작이 완료되면, 제어부(30)는 파쇄부(21)를 제외한 나머지 장치(22 내지 28)에 구동부(13)의 출력 전체를 공급하고, 도 3의 단계 S13 내지 S20단계로 진행하여 파쇄동작을 제외한 나머지 동작을 일괄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124).
반면, 단계 S121에서 원재료의 크기정보가 기준크기 미만인 경우, 제어부(30)는 파쇄부(21)와 펠릿제조부(24) 및 나머지 장치(22,23,25,26,27,28)에 구동 부(13)의 출력을 미리 설정된 배분비율, 예컨대 40:40:20의 비율로 공급하여 도 3의 단계 S13 내지 S20단계에서 일괄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125).
결국, 본 발명은 차량 1대를 벌목이 이루어지는 벌목장이나 폐목을 수집할 수 있는 임야, 톱밥이 발생되는 제재소 등 다양한 장소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펠릿을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벌목장과 펠릿제조시스템 사이의 운송비용을 절감하고, 운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펠릿제조 과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임야에 방치된 폐목을 활용하거나 제재소에서 버려지는 톱밥을 재활용하여 펠릿을 제조하므로, 펠릿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폐목 및 톱밥을 제거하여 임야 및 제재소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펠릿 제조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은 차량에서 엔진의 회전동력을 이용해 구동되는 구동부의 출력을 이용해 원재료를 파쇄하고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목재필릿 제조설비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펠릿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펠릿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계 S12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상세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량 11: 엔진
12: 압력 발생부 13: 공압구동부
14: 적재함 15: 지지대
20: 펠릿제조장치 21: 파쇄부
212: 감지부 22: 진공건조부
23: 정량 공급부 24: 펠릿제조부
25: 냉각 선별부 26: 계량부
27: 포장부 28: 이송수단
29: 조작스위치 30: 제어부

Claims (9)

  1. 원재료를 파쇄하여 미리 설정된 입자 크기 이하의 분말을 제조하는 파쇄부, 상기 분말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나누어 공급하는 정량 공급부, 상기 정량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분말을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부, 상기 제조된 펠릿을 냉각시키고, 찌꺼기를 선별하여 제거하는 냉각 선별부 및 구동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원재료, 분말 및 펠릿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펠릿제조장치,
    상기 펠릿제조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펠릿제조장치의 파쇄, 성형 및 제조 동작에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배분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압력 발생부 또는 동력 취출부로부터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펠릿제조장치에 전달하는 전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펠릿제조장치는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이용해 원재료를 파쇄하고, 파쇄된 분말을 성형하여 펠릿을 제조하며,
    상기 펠릿제조장치는 상기 원재료의 크기정보를 입력하는 조작스위치를 구비하거나 또는 원재료가 투입되는 상기 파쇄부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원재료의 크기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파쇄부로부터 제조되는 분말을 건조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부, 상기 펠릿제조부로부터 제조된 펠릿의 중량을 계측하여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나누는 계량부 및 상기 계량부로부터 공급되는 펠릿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쇄부의 파쇄동작시 상기 감지부 또는 조작스위치에 의한 상기 원재료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크기 이상이면 파쇄동작를 제외한 나머지 동작을 일시정지시키고 상기 파쇄부에 상기 구동부의 출력 전체 또는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을 제공하고, 상기 원재료의 크기가 상기 기준크기 미만이면 상기 펠릿제조장치에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미리 설정된 배분비율에 따라 배분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압력 발생부는 상기 엔진의 회전동력을 이용해 브레이크를 동작시키기 위해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이고,
    상기 동력 취출부는 상기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변속기로부터 동력을 취출하는 동력취출장치이며,
    상기 차량은 상기 구동부의 출력에 의해 신축 동작하여 상기 적재함 및 펠릿제조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제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84818A 2009-09-09 2009-09-09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0951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18A KR100951611B1 (ko) 2009-09-09 2009-09-09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18A KR100951611B1 (ko) 2009-09-09 2009-09-09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611B1 true KR100951611B1 (ko) 2010-04-09

Family

ID=4221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818A KR100951611B1 (ko) 2009-09-09 2009-09-09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6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823B1 (ko) 2012-08-20 2013-02-08 주식회사 피앤피케미칼 플라스틱용 복합소재 조성물과 조성물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360962B1 (ko) 2012-04-27 2014-02-12 미래엔진 주식회사 소형의 엔진을 이용한 펠릿 제조 장치
KR101365270B1 (ko) 2013-03-14 2014-03-12 (주)비츠로밀텍 열전지용 팰릿 제조장치
KR101472108B1 (ko) 2013-07-09 2014-12-16 김유진 축분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 차량
KR20200066467A (ko) * 2018-11-30 2020-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855B1 (ko) * 1995-05-02 1999-01-15 안자키 사토루 이동식 파쇄기의 제어회로
KR20060019094A (ko) * 2004-08-26 2006-03-03 백한종 차량형 압축 퇴비/사료 제조장치
KR20070116316A (ko) * 2006-06-05 2007-12-10 정정우 사출기 주변장치가 일체화된 초소형 전동 사출성형장치
KR100878051B1 (ko) * 2008-06-20 2009-01-13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목재펠릿 제조방법 및 목재펠릿 제조 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855B1 (ko) * 1995-05-02 1999-01-15 안자키 사토루 이동식 파쇄기의 제어회로
KR20060019094A (ko) * 2004-08-26 2006-03-03 백한종 차량형 압축 퇴비/사료 제조장치
KR20070116316A (ko) * 2006-06-05 2007-12-10 정정우 사출기 주변장치가 일체화된 초소형 전동 사출성형장치
KR100878051B1 (ko) * 2008-06-20 2009-01-13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목재펠릿 제조방법 및 목재펠릿 제조 설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962B1 (ko) 2012-04-27 2014-02-12 미래엔진 주식회사 소형의 엔진을 이용한 펠릿 제조 장치
KR101231823B1 (ko) 2012-08-20 2013-02-08 주식회사 피앤피케미칼 플라스틱용 복합소재 조성물과 조성물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365270B1 (ko) 2013-03-14 2014-03-12 (주)비츠로밀텍 열전지용 팰릿 제조장치
KR101472108B1 (ko) 2013-07-09 2014-12-16 김유진 축분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 차량
KR20200066467A (ko) * 2018-11-30 2020-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제조장치
KR102151039B1 (ko) * 2018-11-30 2020-09-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611B1 (ko) 펠릿 제조 시스템 및 방법
US45307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reparing biomass particles for fuel and for use as chemical feed stock
EP1584880A1 (en) Drying-storing apparatus for powder material and feeding system for powder material
JPS6119405B2 (ko)
CN101168694B (zh) 低变质煤无粘结剂热压成型方法及装置
US11745390B2 (en) System for recovery of mixed multi-plastic and natural fiber
JP2012011583A (ja) 燃料用間伐材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500941B1 (ko) 타이어 스틸코드지 분리장치
KR101455028B1 (ko) 이동식 축분 펠릿 제조시스템
CN108974948B (zh) 一种氮气循环使用的气力输送装置
JP2018053101A (ja) バイオマス燃料製造方法及びバイオマス燃料製造装置
JP5698711B2 (ja) 廃棄物処理方法及び廃棄物処理装置
CN203818270U (zh) 一种带烘干功能的碎屑机
US201001450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sifying polypropylene
JP2006231712A (ja) ペレタイザ
JP2004183104A (ja) 合成樹脂類の処理方法及び設備
KR101183540B1 (ko) 펠릿 제조 시스템
CN109966989B (zh) 颗粒除尘冷却生产设备、颗粒加工系统及颗粒加工工艺
KR101002404B1 (ko) 석탄분쇄 및 분급 이송장치
KR101429202B1 (ko)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KR20160106281A (ko) 이동식 다목적 펠릿 제조장치
NL10420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expanded polystyrene
JPH11123373A (ja) 切り屑等の再生処理装置及び再生処理方法
US20220281139A1 (en) Device for preparing composite material waste
KR20030012577A (ko) 차량탑재용 폐스치로폼 파쇄 및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8